KR20000072567A -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2567A
KR20000072567A KR1020000053788A KR20000053788A KR20000072567A KR 20000072567 A KR20000072567 A KR 20000072567A KR 1020000053788 A KR1020000053788 A KR 1020000053788A KR 20000053788 A KR20000053788 A KR 20000053788A KR 20000072567 A KR20000072567 A KR 20000072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s
cable tray
cable
core
c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311B1 (ko
Inventor
탁태식
Original Assignee
탁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태식 filed Critical 탁태식
Priority to KR10-2000-005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311B1/ko
Publication of KR2000007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3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주변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케이블배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하는데 사용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를 경량의 강선을 이용하여 구성을 간단하면서도 경량화하여 제작단가를 줄이는 한편,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 설치가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U자형으로 절곡되어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받침철심(23)과, 상기 받침철심(23)의 양측 상단부와 상단부를 따라 용접 설치되어 상기 받침철심(23)을 고정지지하는 상단연결철심(21)(21')과, 상기 받침철심(23)의 양측 중단부와 중단부를 따라 용접 설치되어 상기 받침철심(23)을 고정지지하는 중단연결철심(22)(22')과, 상기 상단연결철심(21)(21')과 상단연결철심(21)(21') 및 중단연결철심(22)(22')과 중단연결철심(22)(2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A cable tray}
본 발명은 다량의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주변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케이블배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하는데 사용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를 경량의 강선을 이용하여 구성을 간단하면서도 경량화하여 제작단가를 줄이는 한편,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 설치가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는 공장이나 선박 및 대형건물 등에서 다량의 케이블이 배치되는 경로를 사전에 확보하여 케이블을 배치하는데 따른 배치공간과 배치시간을 줄이고 배치된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미리 설치한 후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의 경로를 따라 케이블을 차례대로 배치하게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하단이 절곡된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11')을 소정 간격 이격시켜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 후, 상기 측면프레임(11)과 측면프레임(11')사이에 등간격으로 막대(bar)형태의 연결프레임(12)을 설치하여 사다리형태로 제작하고, 상기 각각의 연결프레임(12)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결속공(12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공장이나 선박 및 대형건물 등에서 케이블(40)이 배치될 경로에 미리 설치한 후, 다량의 케이블(40)을 측면프레임(11)과 측면프레임(11')사이에 결합된 연결프레임(12)의 상부에서 원하는 위치로 배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프레임(12)에 다량의 케이블(40)을 배치시킨 후에는 연결프레임(12)에 형성된 결속공(12a)에 결속타이(30)로 케이블(40)을 고정시켜서 연결프레임(12)에서 케이블(40)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케이블(40)과 케이블(40)이 서로 꼬여서 엉키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 케이블(40)의 노후나 파손 등으로 케이블(40)을 교체하거나 점검할 경우에 쉽게 어떤 케이블(40)인지 판별할 수 있어 케이블(40)의 관리를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측면프레임(11)(11')과 연결프레임(12)이 판재형의 금속으로 길게 제작되므로 하중이 과다하게 무거워지게 된다.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에서 양 측면에 위치한 측면프레임(11)(11')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2)은, 하중이 무거운 측면프레임(11)(11)이 양측방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충분한 강성을 지닐 수 있도록 굵기가 굵은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측면프레임(11)과 측면프레임(11')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측면프레임(11)(11')과 함께 케이블 트레이의 전체적인 하중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40)이 배치되는 장소까지 케이블(40)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과 함께 케이블(40)과 케이블(40)이 서로 꼬여서 엉키지 않도록 하여 배치된 케이블(40)을 관리하는데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므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처럼 하중이 과다하게 무거울 필요가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케이블 트레이의 하중이 많이 나가므로, 케이블 트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측면프레임(11)(11')과 연결프레임(12)의 하역작업과 운반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측면프레임(11)(11')과 연결프레임(12)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제작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측면프레임(11)(11')의 상하단부가 절곡되어 각각 '['와 ']'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면프레임(11)(11')을 상,하,좌,우로 굽히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케이블(40)이 곡선형으로 굽어서 배치되는 곳이나 단차가 진 곳 또는 다른 쪽으로 갈라져 분기되도록 배치될 경우에 케이블 트레이를 휘고 굽혀서 제작하거나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고 그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길이가 긴 케이블 트레이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다수 개의 측면프레임(11)(11')을 서로 맞대어서 연결하여야 하는 바, 종래에는 각각의 측면프레임(11)(11')을 용접으로 연결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작업장소에 용접기구가 배치되어 여러 곳을 이동하게 되므로 작업장소가 협소해지고 작업에 방해가 되어 작업능률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케이블을 원하는 목적지까지 안내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을 최소한으로 경량화하여 운반과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케이블이 곡선형으로 굽어서 배치되는 곳이나 단차가 진 곳 또는 다른 쪽으로 갈라져 분기되도록 배치될 경우에도 케이블 트레이를 상황에 맞게 휘고 굽혀서 제작하거나 설치하는 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 트레이간에 서로 연결부재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연결하도록 구성하여 용접기구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업장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U자형으로 절곡되어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받침철심과, 상기 받침철심의 양측 상단부와 상단부를 따라 용접 설치되어 상기 받침철심을 고정지지하는 상단연결철심과, 상기 받침철심의 양측 중단부와 중단부를 따라 용접 설치되어 상기 받침철심을 고정지지하는 중단연결철심과, 상기 상단연결철심과 상단연결철심 및 중단연결철심과 중단연결철심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케이블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곡선경로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단차경로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분기경로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1' : 측면프레임 12 : 연결프레임
12a : 결속공 21, 21' : 상단연결철심
21a : 요철부 22, 22' : 중단연결철심
23 : 받침철심 25 : 연결부재
26 : 연결판 27a : 상부장공
27b : 하부장공 28 : 고정단
28a : 고정공 28b : 경사부
29a : 결합볼트 29b : 결합너트
30 : 결속타이 40 : 케이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곡선경로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단차경로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분기경로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U자형으로 절곡되어 케이블(40)이 내측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받침철심(23)을 일정 간격으로 세워서 배치한 후, 상기 받침철심(23)의 양측 상단부와 상단부를 잇도록 받침철심(23)이 배치된 길이방향으로 상단연결철심(21)(21')을 받침철심(23)의 상단부에 스폿용접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철심(23)의 양측 중단부와 중단부를 잇도록 받침철심(23)이 배치된 길이방향으로 중단연결철심(22)(22')을 받침철심(23)의 중단부에 스폿용접으로 설치하여 전체적인 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단연결철심(21)(21')과 중단연결철심(22)(22')은 받침철심(23)의 외측방에서 용접되도록 하여 받침철심(23)의 내부공간을 침해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는, 사각형의 연결판(26)의 상부와 하부의 적소에 각각 한 쌍의 상부장공(27a)과 하부장공(27b)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상,하부장공(27a)(27b)에는 중앙에 고정공(28a)이 형성되고 상하단부는 45°로 절곡된 경사부(28b)를 형성한 고정단(28)이 결합볼트(29a)와 결합너트(29b)로 결합되어 전체적인 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장공(27a)과 하부장공(27b)은 결합볼트(29a)와 결합너트(29b) 및 고정단(28)이 결합될 때 겹치거나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소정 간격 어긋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과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상기 상단연결철심(21)(21')에 일정 간격으로 요철부(21a)를 형성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요철부(21a)는 받침철심(23)과 받침철심(23)사이에 1개 내지 3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하중이 가벼운 경량의 철심으로 상단연결철심(21)(21')과 중단연결철심(22)(22') 및 받침철심(23)을 구성하여 전체적인 케이블 트레이의 하중이 가벼워지므로 케이블(40)이 설치될 경로를 따라 설치하기가 종래에 비해 매우 용이하고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상단연결철심(21)(21')이 받침철심(23)과 받침철심(23)의 상단 외측에서 1차로 연결하여 지지하고 중단연결철심(22)(22')이 받침철심(23)의 중단 외측에서 2차로 연결하여 지지하여 받침철심(23)이 양측방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지 않도록 강하게 지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의 U자형으로 절곡된 받침철심(23)의 내측으로 다량의 케이블(40)을 케이블 트레이의 경로를 따라서 깔아서 배치하면 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결속타이(도시 않음)로 케이블(40)을 구분하여 케이블(40)의 노후나 파손에 따른 케이블(40)의 교체나 점검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결속타이는 다수 개의 케이블(40)끼리 묶어 두기도 하지만, 케이블(40)과 받침철심(23) 또는, 케이블(40)과 상,중단연결철심(21)(22)을 함께 묶어 케이블(40)이 받침철심(40)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케이블(40)과 케이블(40)이 서로 꼬여서 엉키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40)이 배치된 상태에서 케이블(40)을 점검하여야 할 경우, 받침철심(23)과 받침철심(23)사이에는 공간이 많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에서 뿐만 아니라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방에서도 케이블(23)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케이블(23)의 점검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철심은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든지 휘거나 굽히는 작업이 용이하므로 케이블(40)이 곡선형으로 굽어서 배치되는 곳(도 4a)이나 상하로 높낮이에 단차가 진 곳(도 4b) 또는 다른 쪽으로 갈라져 분기되도록 배치될 경우(도 4c)에도 케이블 트레이를 상황에 맞게 휘고 굽혀서 제작하거나 설치하는 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부재는 케이블 트레이와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길이가 긴 케이블 트레이는 구간 구간마다 소정의 길이씩 각각 따로 케이블 트레이를 제작하여 케이블 트레이와 케이블 트레이를 서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케이블 트레이를 제작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연결작업을 용접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용접을 하지 않고 별도로 제작된 연결부재(25)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작업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한 쌍의 상,하부장공(27a)(27b)이 형성된 사각형의 연결판(26)에 케이블 트레이의 상단연결철심(21)(21')과 중단연결철심(22)(22')을 결합볼트(29a)와 결합너트(29b)로 조이기만 하면 작업이 완료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상단연결철심(21)(21')의 끝단을 상부장공(27a)의 상측방에 위치시키고 중단연결철심(22)(22')의 끝단은 하부장공(27b)의 하측방에 각각 위치시킨 후, 상하단부가 각각 45°로 절곡된 경사부(28b)를 형성하고 중앙에 고정공(28a)을 형성한 고정판(28)을 각각의 상부장공(27a)과 하부장공(27b)에 결합볼트(29a)와 결합너트(29b)로 결합시킨다.
상기에서 고정판(28)의 경사부(28b) 내측으로 각각의 상단연결철심(21)(21')과 하단연결철심(22)(22')이 수용되도록 한 후, 결합볼트(29a)와 결합너트(29b)로 고정판(28)을 연결판(26)에 강하게 고정시키면, 고정판(28)의 경사부(28b)에 수용된 상단연결철심(21)(21')과 중단연결철심(22)(22')이 고정판(28)과 연결판(26)사이에서 강하게 압착되면서 연결부재(25)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45°로 절곡된 경사부(25)는 상단연결철심(21)(21')과 중단연결첨심(22)(22')이 연결판(26)과 고정판(28)사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연결판(26)과 고정판(28)사이에서 더욱 강하게 압착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 연결판(26)에 형성된 상부장공(27a)과 하부장공(27b)은 상단연결철심(21)(21')과 중단연결철심(22)(22')이 연결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측의 상단연결철심(21)(21')과 중단연결철심(22)(22')의 길이가 어느 정도 짧아도 상,하부장공(27a)(27b)의 결합되는 부위를 조절하면 연결할 수 있어 연결작업을 한층 더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케이블 트레이와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부재(25)로 연결하면 전체적인 케이블 트레이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와 전체적인 작용은 같으나 다만, 상단연결철심(21)(21')에 요철부(21a)를 형성하여 상단연결철심(21)(21')을 휘거나 굽히는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한다.
상기 요철부(21a)는 상단연결철심(21)(21')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요철부(21a)를 휘거나 굽히면 일정한 규격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중단연결철심(22)(22')에도 요철부(21a)를 형성할 수 있으나, 상단연결철심(21)(21')과 중단연결철심(22)(22')에 모두 요철부(21a)가 형성되면, 외부의 충격에 상단연결철심(21)(21')과 중단연결철심(22)(22')이 함께 요철부(21a)에서 변형이 일어나 케이블 트레이의 전체적인 형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단연결철심(22)(22')에는 요철부(21a)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을 원하는 목적지까지 안내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을 종래와 같은 하중이 무겁고 단가가 비싼 철판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하중이 가볍고 가격이 싼 소정 굵기의 철심으로 제작하여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며, 케이블이 곡선형으로 굽어서 배치되는 곳이나 단차가 진 곳 또는 다른 쪽으로 갈라져 분기되도록 배치될 경우에도 케이블 트레이를 상황에 맞게 휘고 굽혀서 제작하거나 설치하는 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와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부재로 용이하게 연결하도록 구성하여 용접기구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업장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U자형으로 절곡되어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받침철심(23)과,
    상기 받침철심(23)의 양측 상단부와 상단부를 따라 용접 설치되어 상기 받침철심(23)을 고정지지하는 상단연결철심(21)(21')과,
    상기 받침철심(23)의 양측 중단부와 중단부를 따라 용접 설치되어 상기 받침철심(23)을 고정지지하는 중단연결철심(22)(22')과,
    상기 상단연결철심(21)(21')과 상단연결철심(21)(21') 및 중단연결철심(22)(22')과 중단연결철심(22)(2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5)는, 적소에 각각 한 쌍의 상부장공(27a)과 하부장공(27b)이 형성된 사각형의 연결판(26)과,
    상기 각각의 상,하부장공(27a)(27b)에 결합볼트(29a)와 결합너트(29b)로 결합되도록 중앙에는 고정공(28a)이 형성되고 상,하단부는 45°로 절곡된 경사부(28b)를 형성한 고정단(2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연결철심(21)(21')에 다수 개의 요철부(21a)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000-0053788A 2000-09-09 2000-09-09 케이블 트레이 KR100386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788A KR100386311B1 (ko) 2000-09-09 2000-09-09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788A KR100386311B1 (ko) 2000-09-09 2000-09-09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567A true KR20000072567A (ko) 2000-12-05
KR100386311B1 KR100386311B1 (ko) 2003-06-02

Family

ID=1968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788A KR100386311B1 (ko) 2000-09-09 2000-09-09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3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175Y1 (ko) * 2011-02-11 2012-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케이블 트레이
KR200474132Y1 (ko) * 2014-03-19 2014-08-27 다모아산업주식회사 메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6393B1 (fr) * 1992-01-20 1994-04-22 Mavil Chemin de cables en treillis soude.
FR2687207B1 (fr) * 1992-02-11 1995-05-24 Mavil Eclisses pour treillis en fils soudes.
EP0818862B1 (de) * 1996-07-10 2001-10-17 Zurecon Ag Gitterkanal zur Aufnahme von Kabeln und Leitungen
FR2751723B1 (fr) * 1996-07-26 1998-09-11 Metal Deploye Sa Eclisse d'assemblage pour troncons de chemins de cables et troncons de chemins de cables obten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175Y1 (ko) * 2011-02-11 2012-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케이블 트레이
KR200474132Y1 (ko) * 2014-03-19 2014-08-27 다모아산업주식회사 메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6311B1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8918B2 (en) Cable guiding fins
RU2321934C1 (ru) Аксессуар для повышения уровня и стык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роволочных кабель-каналов
RU2416139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деления и/или подкрепления проволочного короб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го для прокладки кабелей
EP1012937B1 (en) Flexible cable management system
JP2003533955A (ja) ライン案内装置の条片及び繊維強化条片の製造方法
KR101339609B1 (ko) 강박스 트러스 거더
KR102174773B1 (ko) 횡좌굴 방지 클립부재를 구비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KR20190052532A (ko) 케이블 트레이
KR100386311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0193752B1 (ko) 호스체인
KR102622224B1 (ko) 변류기
JP5103202B2 (ja) 梁上端主筋の受け架台および梁鉄筋の組立て方法
KR101724437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KR20140005495U (ko) 케이블 트레이
KR101855412B1 (ko)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
JP2005171728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梁接合部における配筋構造
JP2020018038A (ja) セパレータ装置
EP1114226B1 (en) Modular h-beam
KR100376103B1 (ko) 케이블 가설용 행거
EP0050346B1 (en) An anchoring head for strands or cables for tensioning metal or concrete structures
KR20190119427A (ko) 경량형 케이블 트레이
JPWO2014041632A1 (ja) 鉄骨の開口補強構造
JP5274734B1 (ja) 鉄骨のウエブ開口補強構造
JP4558990B2 (ja) バスダクト支持装置
RU177136U1 (ru) Монтажная скоба, снабженная направляющими вырез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