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0684A - 회전 전기 기계 및 회전 전기 기계를 위한 브레이싱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전기 기계 및 회전 전기 기계를 위한 브레이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0684A
KR20000070684A KR1019997006933A KR19997006933A KR20000070684A KR 20000070684 A KR20000070684 A KR 20000070684A KR 1019997006933 A KR1019997006933 A KR 1019997006933A KR 19997006933 A KR19997006933 A KR 19997006933A KR 20000070684 A KR20000070684 A KR 20000070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electric machine
layers
radial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스 린드그렌
마츠 레이존
벵트 괴란
올레 트롸스크만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9700368A external-priority patent/SE9700368D0/xx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에이비 filed Critical 에이비비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00070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68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5Machines characterised by cable windings, e.g. high-voltage cables, ribbon cables

Abstract

하나의 회전 전기 기계의 고정자 권선은 하나의 브레이싱 장치(120)를 구비한다. 고정자(106)는, 권선 케이블(101)들을 지지하기 위한 방사형 슬롯홈(111)을 갖는다. 권선은 회전자(107)와 고정자(106) 사이의 에어 갭(108)으로부터 상이한 방사상 거리를 두고 층들을 형성한다. 서로 다른 층들 사이에서 고정자(106)를 앞뒤로 통과하는 하나의 케이블(101)이, 고정자(106)의 단부 표면(114)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의 아크형상의 코일 단부를 구비한 하나의 코일(113)을 형성한다. 케이블은 고전압 케이블(101)로 이루어진다. 코일들(113) 사이에 존재하는 실질적으로 방사상 및 축방향 스페이스들(118, 119 각각)은 전기적으로 절연성의 브레이싱 장치(120)를 포함한다. 후자는 코일(113)들사이의 축방향 스페이스(119)들을 통과하여 확장하는 비도전성 물질의 플레이트(121)들로 이루어지고, 비도전성 물질의 볼트(122)들에 의해 코일(113)들에 방사상으로 클램프된다. 볼트(122)들은 방사상 스페이스(118)들을 통과하여 확장되고, 예를 들어 고정자 몸체(124)로부터 나오는 하나의 브레이싱물(123)으로 고정된다.

Description

회전 전기 기계 및 회전 전기 기계를 위한 브레이싱 장치{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A BRACING DEVICE FOR SUCH A MACHINE}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문(preamble)에 정의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계(rotating electric machine) 및 그러한 기계를 위한 브레이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기 기계(synchronous machines) 및 복식-급송 기계(dual-fed machines)와 같은 회전 전기 기계의 영역에 속하며, 비동기 정전류 컨버터 카스케이드(asynchronous static current converter cascades), 외측 회전 기계(outer pole machines) 및 동기 흐름 기계(synchronous flow machines)에 적용되며, 고전압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여기서, 고전압이 우선 10㎸ 이상의 전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계에 대한 전형적인 동작 범위는 36∼800㎸일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본래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소의 발전기와 같은 고전압 전기 교류 기계(high-voltage electric alternating current machine)에서 두드러진 것이었다. 유사한 기계들은 보통 6∼30㎸ 범위의 전압으로 설계되었고, 30㎸가 보통 상한선으로 인식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발전기(generator)가, 전압을 전력 네트워크(power network) 수준, 즉 대략 130∼400㎸ 범위로 높이는 변압기를 통하여 전력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대형 발전기는 보통 같은 사이즈의 이층 권선들(two-layer windings)과 코일들을 구비한다. 각 코일은 일측이 첫 번째 층에, 타측이 두 번째층에 위치한다. 따라서, 모든 코일들은 코일 단부들에서 서로 교차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고정자 권선들은 상대적으로 경직되고(stiff) 코일 단부들에서 연결된다.
미국특허 제5,036,165호에는, 반전도성 열분해 유리섬유(semiconducting pyrolized glassfiber)로 된 하나의 내부층 및 하나의 외부층이 절연부에 형성된 하나의 도선이 기술되어 있다. 동력-전기 기계(dynamo-electric machine)의 도선에 그러한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066,881호에는 반도전성 열분해 유리섬유층이 도선을 형성하는 두 개의 평행 로드(parallel rods)와 접촉되어 있고, 고정자 슬롯홈내의 절연부는 반도전성 열분해 유리섬유의 외부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열분해 유리섬유는, 주입 처리(impregnating treatment)한 후에도 여전히 고유저항(resistivity)을 유지하기 때문에 적합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전압용 회전 전기 기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권선은 고전압 케이블들로 이루어진다.
고전압 기계에 있어서, 코일들이 놓여지는 고정자 슬롯홈들은 상당히 깊어, 권선층이 통상 10∼12 또는 18에 이르며, 어떤 경우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코일 단부의 수는 매우 많고, 많은 교차점을 갖는다. 이것은, 권취 동작을 혼란시키고,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에어 갭으로 돌출될 수 있는 코일-단부 패키지를 거대하게 만들 뿐 아니라 동작시에 코일들이 진동하기 때문에, 코일들 사이의 모든 교차점(intersection points)에서의 마모의 위험성도 증가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거대해지는 코일-단부 패키지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권선 코일들사이의 마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자 권선에 청구항 1항의 특징부에 기술된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달성된다.
브레이싱 수단에 의해, 고전압 케이블의 코일 단부 아크를 충분히고정(fixation)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 단부 아크들이 고정자의 가장 깊은 곳의 바깥에 지지되도록 고정(fixation)이 이루어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회전자를 고정자내에 축방향으로 설치함에 있어, 코일 단부 아크가 장애물을 형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레이싱 장치는 도전성이거나 절연성이다.
브레이싱 수단을 구성하는데 따른 다른 이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종속항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종속항들도 또한, 아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고 있다.
아래에서 고전압 케이블로 칭하며, 전력 송전을 위한 케이블(예를 들어, XLPE 케이블)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고체 절연부를 가지는 고전압 절연 전기 도선(high-voltage insulated electric conductors)을 사용함으로써, 기계가 하나의 중간 변압기(intermediate transformer) 없이도 전력 네트워크로 직접 연결될 수 있는 그러한 수준으로 기계의 전압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승압 변압기(step-up transformer)와 고-전류 차단기(high-current breaker)가 생략될 수 있어, 총 설비 비용이 낮아진다.
본 발명은 우선적으로, 다수의 소선들을 가지는 하나의 코어, 그 코어를 둘러싸는 하나의 내부 반도전층, 상기 내부 반도전층을 둘러싸는 하나의 절연층, 상기 절연층을 둘러싸는 하나의 외부 반도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형태의 고전압 케이블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20∼200㎜ 범위(interval)의 직경, 80∼3000㎟ 범위의 도전영역을 갖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본 발명의 적용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권선들은, 예를 들어 XLPE-케이블 또는 EPR-절연부를 가지는 케이블과 같이 배전을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체형 압출성형 절연부를 구비한 형태의 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케이블은 하나이상의 소선부를 갖는 하나의 내부 도선과, 도선을 둘러싸는 하나의 내부 반도전층과, 이 반도전층을 둘러싸는 하나의 고체 절연층 및 절연층을 둘러싸는 하나의 외부 반도전층을 포함한다. 그와 같은 케이블은 유연성을 가지며,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기술이 본래, 조립시에 휘어지는 도선들로 형성되는 권선 시스템에 바탕을 두고 있어, 이러한 관계에서 유연성이 하나의 필수적인 특성이다. XLPE-케이블의 유연성은 통상, 직경이 30㎜인 케이블에 대하여 대략 20㎝의 곡률반경 및 직경이 80㎜인 케이블에 대하여 대략 65㎝의 곡률반경에 해당한다. 본 출원에서, "유연성"이란 용어는, 권선이 케이블 직경의 4배,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직경의 8배 내지 12배 정도의 곡률반경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권선은, 구부려졌을 때 그리고 동작하는 동안 열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 때가지도 그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관계에서, 층들은 서로에 대한 점착력(adhesion)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층들의 재질 특성, 특히 신축성 및 상대적 열팽창계수(relative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가 결정적이다. XLPE-케이블에서, 예를 들어, 절연층은 가교(cross-linked)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며, 반도전층은 혼합된 유연(soot)과 금속 입자를 갖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다. 온도 변화에 따른 부피의 변화는 케이블의 반경이 변함에 따라 완전히 흡수되며, 이 재료들의 신축성에 대한 층들내의 열팽창계수들의 차이가 비교적 근소하므로, 층들사이에 있어서의 점착력의 손실없이 방사형 팽창이 일어날 수 있다.
위에 설명한 재료의 결합은 단지 예를 든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상술한 조건들 및 반도전성이 되는 조건, 즉 10-1∼106ohm-㎝ 범위이내의 고유저항(resistivity)을 갖는 조건, 예를 들어 1∼500 ohm-㎝ 또는 10∼200 ohm-㎝인 조건을 충족시키는 또 다른 결합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절연층은,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PB), 폴리메틸펜텐(PMP), 가교 폴리에틸렌(XLPE)과 같은 가교 물질 및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 또는 실리콘 고무등의 고무와 같은 고체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및 외부 반도전층들은 동일한 기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혼합된 유연 또는 금속 분말과 같은 도전성 물질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재료의 기계적인 성질, 특히 열팽창계수들은, 유연 또는 금속 분말이 혼합되든 혼합되지 않든, 적어도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요건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비율(proportions)내에서는, 상대적으로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절연층과 반도전층들은 대체로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갖는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니트릴 고무(EVA/NBR), 부틸 그라프트 폴리에틸렌(butyl graft polyethylene),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EBA) 및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도 반도전층에 적합한 폴리머에 속한다.
다른 형태의 재질이 여러 층에서 베이스로서 사용되더라도, 그 물질의 열팽창계수가 대체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위에 열거된 물질이 결합된 경우이다.
위에 열거된 물질은, E<500MPa의 E-계수(E-modulus), 바람직하게는 <200MPa의 E-계수를 갖는 비교적 양호한 신축성을 갖는다. 그 신축성은, 층들내의 재질들의 열팽창계수들 사이에 작은 차이가 있더라도 방사 방향의 신축성에 의해 흡수되기에 충분하며, 그에 따라 갈라진 틈 또는 다른 손상이 생기지 않으며 층이 서로 떨어지지 않는다. 층들내의 물질은 신축성을 가지며, 층들사이의 점착력은 적어도, 그 재료들 중에서 가장 약한 것과 동일한 수준이다.
두 반도전층의 도전율은 각 층의 전위차를 대체로 균일하게 하기에 충분하다. 외부 반도전층의 도전성은 케이블내에 전기장을 에워쌀(enclose) 정도로 충분히 크지만, 층의 길이 방향으로 유도된 전류에 의한 중대한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는데 충분할 만큼 작다.
따라서, 두 반도전층은 각각 하나의 등전위면을 필수적으로 구성하며, 이 층들을 가지는 권선은 그 안의 전기장을 대체로 에워싼다.
물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적인 반도전층들이 절연층내에 배치되는 것을 막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케이블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단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코일 단부를 구비한 하나의 고정자의 일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그러한 코일의 몇 개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고정자 권선을 구비한 교류 발전기의 절반에 대한 방사형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싱 장치가 사용된 하나의 코일-단부 패키지를 에어 갭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고정자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본 도 4의 코일-단부 패키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싱 장치에 있어서의 코일 단부 패키지에 대한 축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브레이싱 장치 내에 포함된 하나의 플레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기계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9은, 도 6과 유사한 도면이지만, 변형된 예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케이블(101)의 횡단면도이다. 케이블(101)은, 예를 들면, 구리로 만들어지고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다수의 소선부분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도선(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도선(102)은 케이블(101)의 중앙에 배치되며, 도선의 주위에는 하나의 제1 반도전층(103)이 있다. 제1 반도전층(103) 주위에는 예를 들어 XLPE-절연부와 같은 하나의 절연층(104)이 있고, 절연층(104) 주위에는 하나의 외부 반도전층(105)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케이블은, 통상 배전용 케이블을 감싸는 외곽의 보호 외장(outer protective sheath)을 구비하지 않는다. 케이블은 도입부에 설명된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도 3은, 하나의 고정자(106), 하나의 회전자(107) 및 그들 사이에 하나의 에어 갭(108)을 구비한 고전압 발전기의 절반을 직경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에어 갭(108)에 면한 고정자의 내부 표면(109)을 나타낸 것이다. 고정자(106)는, 권선 케이블(101)들을 수용하기 위해 그들사이에 방사형 슬롯홈(111)들을 구획하는 내향(inwardly directed) 고정자 톱니부(110)를 갖는다. 따라서, 권선은 깊은 슬롯홈(111)들에 걸쳐 다수의 층들을 형성하며, 그들에는 도시된 예와 같이, 슬롯홈(111)들 내에 각각 고유의 크기로 된 12개의 케이블이 자리잡고 있다. 여기서, "권선의 층들(layers)"이란 용어는, 고정자의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사상의 거리(radial distance)를 두고 있는 층들을 말한다. 그러나, "계층(stratum)"은 고정자의 단부 표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축상거리(axial distance)를 두고 있는 권선의 계층을 말한다.
도 2는, 고정자(106)를 축방향으로 앞뒤로 통과하며, 고정자의 단부 표면(114) 바깥에 아크형상의 코일 단부를 형성하는 코일(113)을, 케이블(101)이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코일은 고정자를 통과하는 하나의 권회선(a turn)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코일 그룹은 단상용(for one phase) 권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나의 동일한 권선층에 위치하며, 그 코일단부들이 서로 다른 계층들에 위치하는 하나의 코일 그룹의 부분을 여기서 "코일그룹부(coil group part)"라고 한다.
이미 알려진 다층(multi-strata) 고정자 권선과는 반대로, 본 발명에 의한 코일들(113)은 코일들이 같은 코일그룹부내에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도 2는, 대체로 일치하는 중심을 가지며 하나의 코일이 다른 코일의 바깥쪽에 축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된 네 개의 코일(113a, 113b, 113c, 113d)로 된 하나의 코일그룹부를 나타낸다. 코일(113a)이 코일(113b)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코일(113b)은 다시 코일(113c)보다 큰 직경을 가질 뿐만 아니라, 코일(113c)은 다시 코일(113d)보다 큰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이 코일들은 교차하거나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자에 다시 들어가지 전에 각 코일에 의해 걸쳐진(bridged) 슬롯홈(111)들의 수는 코일 그룹부내에서도 변한다(다르다). 즉 코일(113d)은 가장 적은 수의 슬롯홈을 건너 뛰고, 코일(113a)이 가장 많은 수의 슬롯홈을 건너뛴다.
더욱이, 일방의 첫 번째 슬롯홈으로부터 반대방향의 두 번째 슬롯홈으로 이전하는 곳의(at transition) 코일내의 케이블은 그 바깥의 층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권선층으로 슬롯홈내의 위치를 바꾼다. 그러한 상황은 첫번째 슬롯홈으로 되돌아오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그러한 권선의 하나의 예가,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의 에어 갭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본 코일-단부 패키지를 나타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코일 그룹부들은, 엇갈리는 코일 그룹부(116)들이 다음의 인접하는 코일 그룹(117) 내부로 방사상으로 통과하도록 배열되어 있음이 잘 나타나 있다. 징검다리식 권선(stepped lap winding)으로 알려진 이 권선은, 코일-단부 패키지의 방사상의 연장부(axial extension)를 크게 감소시킨다. 더욱이,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사상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코일-단부 패키기의 축단부(axial end)를 나타내는 도 5는, 또한 축방향 스페이스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 방사상 및 축방향 스페이스는 동작시 진동을 방지하고, 따라서 단부 패키지의 케이블들 사이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코일-단부 패키지를 지지(brace)하는데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다.
코일-단부 패키지의 축단면도인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브레이싱 장치(120)를 나타낸다. 그것은 코일(113) 사이의 축방향 스페이스를 통하여 삽입된 플레이트(121)들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121)들은, 코일(113)들 사이의 방사상 스페이스내로 삽입된 두 개의 볼트(113)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된다. 플레이트(121)와 볼트(122)는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질로 만들어지며, 예를 들어 고정자 몸체(124) 또는 고정자 위의 압력 플레이트(pressure plate)로부터 나오는 하나의 브레이싱 고정구(bracing fixture)(123)에 의해 고정된다. 플레이트(121)는, 볼트(122)를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홈(125,126)을 구비한다. 이 홈들은, 각각의 볼트(122) 둘레에 고정되도록 플레이트의 가장자리(edge)로부터 개방되어 있다. 상기 홈(125,126)들이 대체로 서로 직각을 이루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다. 플레이트(121)는, 볼트(122)와 나사결합된 너트(127)의 도움으로 교대로 코일(113)에 압착된다.
케이블들이 케이블 대 케이블 또는 케이블 대 플레이트의 과도한 표면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케이블들사이 및 케이블과 플레이트사이에 몰드하기 쉬운 화합물이 삽입된다. 그 화합물은 그렇게 경화되어, 압력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진동에 의한 마모를 막는 하나의 요소를 형성한다. 그 화합물은 또한, 케이블을 절연하기 위해 또는 그와 반대로 케이블들간의 특별한 전기적인 접촉을 가지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물론, 상술한 징검다리식 권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축방향 및 방사상 스페이스를 갖는 여하한 권선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회전자(R)를 고정자(S)내로 어떻게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코일 단부 아크는 도면에서 A로 표시되어 있다. 코일단부들이 도면의 선(h)의 오른쪽 방향의 영역(X)내로 확장되는 것은 브레이싱 장치에 의해 억제되어, 왼쪽에만 머물게 된다. 따라서, 회전자는 코일 단부(A)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축방향 화살표(P) 방향으로 고정자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하나의 연질 완충 층 (a soft dampening layer)(221)이 어떻게 플레이트(121)의 표면에 설치되고, 어떻게 케이블(101)과 접하는지를 나타낸다. 층(221)은 도전성이고, 예를 들어, 접지 블레이드(grounding braid)에 의해 접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23)

  1. 회전자, 고정자(106) 및 고정자 권선들(101)을 가지며, 상기 고정자 권선이 상기 고정자(106)의 축단부에서 코일 단부 아크(113)를 형성하는 회전 전기 기계에 있어서, 상기 권선이 고전압 케이블(101)을 포함하고, 브레이싱 수단들이, 코일 단부 아크(113)를 고정하도록 상기 고정자(106)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있는 코일 단부 아크(113)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코일 단부 아크(113)들이, 상기 고정자(106)의 가장 깊은 곳의 바깥에 방사상으로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싱 수단(120)들이, 코일 단부 아크(113)들 사이에 축방향 및 방사상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싱 수단(120)들이,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비도전성 재질의 플레이트(121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싱 수단(120)들이,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재질로 이루어지며, 플레이트(121)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21)들이, 상기 코일 단부 아크(113)들 사이의 축방향 스페이스(119)들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방사상 스페이스(118)들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방사형 볼트(122)들에 의해 코일 단부 아크에 방사상으로 클램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122)들이 비도전성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122)들이 도전성 물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9.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122)들이, 상기 고정자 몸체(124)로부터 시작되는 하나의 브레이싱 고정구(123)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10. 제6항, 제7항,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21)들이, 상기 볼트(122)들을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홈(125, 126)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125, 126)들의 수가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125, 126)들이, 각각의 볼트(122) 둘레에 고정되도록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개방되며,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기 홈(125,126)들이 대체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13.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106)가, 상기 회전자(107)와 회전자(106) 사이의 에어 갭(108)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사상 거리를 두고 층들내에 권선의 도선(101)들을 수용하도록 방사형 슬롯홈(111)들을 가지며, 서로 다른 층들 사이에서 고정자(106)를 앞뒤로 통과하는 하나의 도선(101)의 부분이, 고정자(106)의 각 단부 표면(114)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의 아크형상의 코일 단부를 구비한 하나의 코일(113)을 구성하며, 대체로 축방향 및 방사상인 스페이스(118, 119, 각각)들이 상기 코일(113)들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14.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01)들 사이와 상기 케이블(101)들과 상기 플레이트(121)들 사이의 압력 분포, 파손 방지를 위한 경화 성 화합물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15.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케이블(101)이, 다수의 소선부들을 가지는 하나의 코어(102), 상기 코어(102)를 둘러싸는 하나의 내부 반도전층(103), 상기 내부 반도전층을 둘러싸는 하나의 절연층(104) 및 상기 절연층을 둘러싸는 하나의 외부 반도전층(10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케이블(101)이, 20∼200㎜ 범위의 직경, 80∼3000㎟ 범위의 도전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유연성인 상기 권선이, 하나의 내부 반도전층에 의해 둘러싸인 하나의 도전성 코어, 상기 내부 반도전층을 감싸는 하나의 고체 물질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하나의 외부 반도전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층들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이, 동작시의 온도 변화에 따른 층들내에서의 부피의 변화가 케이블의 직경변화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어, 동작시에 발생하는 온도변화에 대하여 서로의 점착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그러한 신축성 및 그 층들의 열팽창계수 사이의 관계를 갖는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의 재질이, 고신축성, 바람직하게는 500MPa 이하의 신축계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MPa 이하의 신축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7항,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의 재질의 열팽창계수가 대체로 동일한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 사이의 점착력은, 적어도 가장 약한 재질과 동일한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7항,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각 반도전층들이 필수적으로 하나의 등전위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상기 브레이싱 장치가 청구범위의 브레이싱 장치의 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제16항, 제17항, 제18항, 제19항, 제20항, 제21항 또는 제22항의 회전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브레이싱 장치.
KR1019997006933A 1997-02-03 1998-02-02 회전 전기 기계 및 회전 전기 기계를 위한 브레이싱 장치 KR20000070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0368A SE9700368D0 (sv) 1997-02-03 1997-02-03 Uppstagningsanordning för statorlindningen i en roterande elektrisk maskin samt maskin med en dylik uppstagningsanordning
SE9700368-5 1997-11-28
SE9704432A SE9704432D0 (sv) 1997-02-03 1997-11-28 Uppstagningsanordning för statorlindningen i en roterande elektrisk maskin med dylik uppstagningsanordning
SE9704432-5 1997-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684A true KR20000070684A (ko) 2000-11-25

Family

ID=2666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933A KR20000070684A (ko) 1997-02-03 1998-02-02 회전 전기 기계 및 회전 전기 기계를 위한 브레이싱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016194A1 (ko)
JP (1) JP2001510020A (ko)
KR (1) KR20000070684A (ko)
CN (1) CN1246978A (ko)
AU (1) AU725113B2 (ko)
BR (1) BR9807138A (ko)
PL (1) PL335030A1 (ko)
SE (1) SE9704432D0 (ko)
WO (1) WO1998034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104097D0 (sv) * 2001-12-06 2001-12-06 Alstom Switzerland Ltd Rotating electric machine with bracing means
SE0104096D0 (sv) * 2001-12-06 2001-12-06 Alstom Switzerland Ltd Rotating electric machine with bracing means
EP2132859B1 (de) * 2007-03-30 2013-02-27 Alstom Technology Ltd Rotor einer elektrischen maschine
JP7354782B2 (ja) * 2019-11-11 2023-10-03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8339A (en) * 1978-11-27 1980-12-09 Fridman Vladimir M Arrangement for supporting stator end windings of an electric machine
US4510077A (en) * 1983-11-03 1985-04-09 General Electric Company Semiconductive glass fibers and method
US4488079A (en) * 1984-03-30 1984-12-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Dynamoelectric machine with stator coil end turn support system
US5036165A (en) * 1984-08-23 1991-07-30 General Electric Co. Semi-conducting layer for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s
US5355046A (en) * 1989-12-15 1994-10-11 Klaus Weigelt Stator end-winding system and a retrofitting set for same
DE4218969A1 (de) * 1992-06-10 1993-12-16 Asea Brown Boveri Verfahren zur Fixierung von Wickelköpfen elektrischer Maschinen und Mittel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AT399790B (de) * 1992-09-10 1995-07-25 Elin Energieversorgung Hochspannungswick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893098A (en) 1998-08-25
EP1016194A1 (en) 2000-07-05
AU725113B2 (en) 2000-10-05
WO1998034327A1 (en) 1998-08-06
BR9807138A (pt) 2000-01-25
JP2001510020A (ja) 2001-07-24
PL335030A1 (en) 2000-03-27
SE9704432D0 (sv) 1997-11-28
CN1246978A (zh) 200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01705B1 (en) Insulated conductor for high-voltage windings
KR20000070684A (ko) 회전 전기 기계 및 회전 전기 기계를 위한 브레이싱 장치
AU734205B2 (en) An arrangement for cable joints and a rotating electric machine including said arrangement
JP2001510010A (ja) 端 板
EA002171B1 (ru) Обмотка в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е с неподвижными частями
WO1998034326A2 (en) A rotating electric machine
KR20000070683A (ko) 회전 전기 기계의 고정자 장치
JP2001510016A (ja) 回転電気機器
JP2001525655A (ja) 回転電気機械用の接合部を有するステータの製造方法、ステータ、及び、回転電気機械
CN1279838A (zh) 高压电机绕组用的绝缘导线
KR20010049158A (ko) 회전 전기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CN1096735C (zh) 旋转电机定子中的一种装置
MXPA99006970A (en) A rotating electric machine
CZ9902740A3 (cs) Rotační elektrický stroj
WO1999017428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arthing a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a rotating electric machine
MXPA99006969A (en) A device in the stator of a rotating electric machine
CZ9902736A3 (cs) Rotační elektrický stroj
CZ20001971A3 (cs) Kabel pro vinutí na vysoké napětí v elektrických strojí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