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974A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974A
KR20000069974A KR1019997006189A KR19997006189A KR20000069974A KR 20000069974 A KR20000069974 A KR 20000069974A KR 1019997006189 A KR1019997006189 A KR 1019997006189A KR 19997006189 A KR19997006189 A KR 19997006189A KR 20000069974 A KR20000069974 A KR 20000069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ontact
contact
fixed
movable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5246B1 (ko
Inventor
이토히로야스
나리타히사시
Original Assignee
기사키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사키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기사키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0006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60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no contacts
    • H01H19/635Contacts actuated by rectilinearly-movable member linked to operating part, e.g. by pin and sl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0Contact mounted so that its contact-making surface is flush with adjoining insulation
    • H01H1/403Contacts forming part of a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2Application transmission, e.g. for sensing the position of a gear selector or automa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공통고정접점과 이와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수를 순차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다이오드를 이용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제 1기판(20)에 제 1공통고정접점(B1), 제 1, 제 3고정접점(E1)(E3)을 갖는 제 1고정접점군(2)을 배치하고, 제 2기판(21)에 제 2공통고정접점(B2), 제 2, 제 4고정접점(E2)(E4)을 갖는 제 2고정접점군(23)을 배치하며,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2공통고정접점(B2)을 접속한다. 레버조작을 기초로 제 1, 제 2가동접촉자(26)(28)는 동기하여 화살표시 (다)방향 및 (라)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제 2가동접촉자(26)(28)가 화살표시(다) 및 (라)방향으로 이동할 때 마다 공통고정접점(B1)(B2)과 이와 접속되는 고정접점(E1∼E4)의 수가 순차로 증가해 간다.

Description

스위치장치{SWITCH DEVICE}
도 7에는 4단 연속접속회로의 접속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것은 제 1작동상태(I)에서는 공통고정접점(B)과 제 1고정접점(E1)이 접속되고, 제 2작동상태(II)에서는 공통고정접점(B)과 제 1 및 제 2고정접점(E1) 및 (E2)이 각각 접속되고, 제 3작동상태(III)에서는 공통고정접점(B)과 제 1∼제 3고정접점(E1∼E3)이 각각 접속되며 그리고 제 4작동상태(IV)에서는 공통고정접점(B)과 제 1∼제 4고정접점(E1∼E4)이 각각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접속관계가 되는 스위치장치를 극히 작은 스페이스로 성립시키는 구성으로서 종래는 예를들어 도 8에 도시하는 구성의 것이 있다. 이 것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기판(1) 뒷면에 있어 좌측부에 공통고정접점(B)과, 제 1∼ 제 4의 고정접점(E1∼E4)을 갖는 고정접점군(2)이 배치된다. 이 고정접점군(2)은 공통고정접점(B)과, 제 1 및 제 3고정접점(E1) 및 (E3)과, 제 2 및 제 4고정접점(E2) 및 (E4)이 가동접촉자(3)의 이동방향인 화살표시 (가)방향을 따라 3열이 되도록 배치된다. 가동접촉자(3)는 그 3열의 고정접점에 대응하여 3개의 접점부(3a)(3b)(3c)를 가지고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재의 조작에 기초하여 OFF위치와 제 1∼제 4의 작동위치(I∼IV)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기판(1)의 우부에 있어 뒷면측에 제 1고정접점(E1)과 제 2고정접점(E2)사이 및 제 2고정접점(E2)과 제 3고정접점(E3)사이에는 각각 도 9에 도시하는 극성의 다이오드(4a)(4b)가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가동접촉자(3)가 OFF위치에서 제 1작동위치(I)로 이동되면 접점부(3a)(3b)가 공통고정접점(B)과 제 1고정접점(E1)에 접촉하여 이들 사이를 접속한 상태가 된다(도 9의 제 1작동상태(I) 참조).
가동접촉자(3)가 제 2작동위치(II)로 이동되면 접점부(3a)(3c)가 공통고정접점(B)과 제 2고정접점(E2)에 접촉하여 이들 사이를 접속한 상태가 된다(도 9의 제 2작동상태 II참조). 이 때 제 1 고정접점(E1)과 제 2고정접점(E2)사이는 다이오드(4a)에 의해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공통고정접점(B)과 제 1 및 제 2고정접점(E1) 및 (E2)이 접속된 상태가 되고, 도 7의 제 2작동상태(II)와 같은 상태가 된다.
또 가동접촉자(3)가 제 3작동위치(III)로 이동되면 접점부(3a)(3b)가 공통고정접점(B)과 제 3고정접점(E3)에 접촉하여 이들 사이를 접속한 상태가 된다(도 9의 제 3작동상태(III) 참조). 이 때 제 1고정접점(E1)과 제 2고정접점(E2) 사이 및 제 2고정접점(E2)과 제 3고정접점(E3)사이는 다이오드(4a)(4b)에 의해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공통고정접점(B)과 제 1∼제 3고정접점(E1∼E3)이 접속된 상태가 되고, 도 7의 제 3작동상태(III)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가동접촉자(3)가 제 4작동위치(IV)로 이동되면 접점부(3a)(3b)(3c)가 공통고정접점(B)과 제 3 및 제 4고정접점(E3) 및 (E4)에 접촉하여 이들 사이를 접속한 상태가 된다(도 9의 제 4작동상태(IV) 참조). 이 때도 제 1고정접점(E1)과 제 2고정접점(E2) 사이 및 제 2고정접점(E2)과 제 3고정접점(E2) 사이는 다이오드(4a)(4b)에 의해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공통고정접점(B)과 제 1∼제 4의 고정접점(E1∼E4)이 접속된 상태가 되고 도 7의 제 4작동상태(IV)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는 2개의 다이오드(4a)(4b)를 필요로 하고, 이들 다이오드(4a)(4b)는 고정접점군(2)과는 별도로 기판(1)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공통고정접점과 이와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수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구성의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기판부분의 평면도.
도 2는 기판의 종단측면도.
도 3은 스위치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중 X-X선을 따르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3중 Y-Y선을 따르는 종단면도.
도 6은 각 상태에 있어 접속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필요로 하는 각 상태에 있어 접속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종래예를 도시하는 도 1상당도.
도 9는 종래예에 있어 각 상태의 접속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통고정접점과 이와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수를 순차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다이오드를 이용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공통고정접점과 이와의 접속순서가 설정된 여러개의 고정접점을 가지고, 공통고정접점이 서로 접속된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과,
여러단계로 조작되는 하나의 조작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을 기초로 동기하여 소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대응하는 공통고정접점을 대응하는 고정접점으로 설정된 접속순서에 따라 순차로 접속하는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과 상기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는 이들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가 소정방향으로 이동할 때 마다 공통고정접점과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합계 수를 순차로 증가시키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 조작부재의 조작을 기초로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를 이동시키면, 그 이동에 따라 제 1가동접촉자는 제 1고정접점군에 있어 공통고정접점을 대응하는 고정접점으로 설정된 접속순서를 따라 순차로 접속하고, 또 제 2가동접촉자는 제 2고정접점군에 있어 공통고정접점을 대응하는 고정접점으로 설정된 접속순서를 따라 순차로 접속하게 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가 이동될 때 마다 공통고정접점과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합계 수가 순차로 증가 하게 된다.
상기한 수단에 의하면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과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에 의해 공통고정접점과 이와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수를 순차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이오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고정접점군을 제 1고정접점군과 제 2고정접점군으로 나누고 있기 때문에 한곳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도 있다.
다음 본 발명을 자동차의 배기브레이크 스위치에 적용한 일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있어서 스위치케이스(11)에 조작부재를 구성하는 레버(12)가 축부(13)를 중심으로 하여 도 3중 화살표시 (나)방향 및 화살표시 (나)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레버(12)는 OFF위치와 제 1∼제 4의 작동위치(I∼IV)사이의 5단계로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어있고, 이 레버(12)와 스위치케이스(11) 사이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각도조절기구에 의해 각 위치에 고정되도록 되어있다. 또 레버(12)에는 제 1 및 제 2암부(14)(15)가 일체로 회동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위치케이스(11)의 윗면측에는 제 1 및 제 2암부(14)(15)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원호형상을 이루는 제 1 및 제 2삽입공(16)(17)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 1 및 제 2삽입공(16)(17)에 제 1 및 제 2암부(14)(15)의 선단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또 스위치케이스(11)에는 제 1 및 제 2삽입공(16)(17)의 아래쪽에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좌우방향으로 뻗는 제 1 및 제 2콘택트 홀더 수용부(18)(19)가 배치된다.
스위치케이스(11)의 뒤쪽에는 도 1 및 도 2에도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 1 기판(20)과 제 2 기판(21)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 경우 상측의 제 2 기판(21)은 하측의 제 1기판(20)보다도 길이방향으로의 길이가 짧으며,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측에 가깝게 배치된다.
제 2기판(21)에서 돌출한 제 1기판(20)의 윗면측에 있어서, 제 1콘택트 홀더 수용부(18)에 대응하는 부위에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고정접점(E1)과, 제 3고정접점(E3)을 갖는 제 1고정접점군(22)이 배치된다. 이 제 1고정접점군(22)은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 및 제 3고정접점(E1) 및 (E3)이 도 1의 좌우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된다.
또 제 2기판(21)의 윗면측에 있어서, 제 2콘택트 홀더 수용부(19)에 대응하는 부위에 제 2공통고정접점(B2)과 제 2고정접점(E2)과 제 4고정접점(E4)을 갖는 제 2고정접점군(23)이 배치된다. 이 제 2고정접점군(23)도 제 2공통고정접점(B2)과, 제 2 및 제 4고정접점(E2) 및 (E4)이 도 1의 좌우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2공통고정접점(B2)은 회로상에서 접속선(24)(도 6참조)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다른 제 1∼제 4의 각 고정접점(E1∼E4)은 각각 독립하고 있다. 또한 제 1기판(20) 및 제 2기판(21)의 도 1 및 도 2의 하측에는 외부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부(25a)(25b)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 1콘택트 홀더 수용부(18)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 1가동접촉자(26)를 갖는 제 1콘택트 홀더(27)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또 제 2콘택트 홀더 수용부(19)내에도 도 5와 같이 제 2가동접촉자(28)를 갖는 제 2콘택트 홀더(29)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1가동접촉자(26)는 도 1과 같이 3개의 접점부(26a)(26b)(26c)가 3각형상의 배치를 이루고 또 제 2가동접촉자(28)도 3개의 접점부(28a)(28b)(28c)가 3각형상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제 1콘택트 홀더(27)의 윗면부에는 제 1삽입공(16)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직선형상의 가이드홈(30)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30)에 제 1암부(14)의 선단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또 제 2콘택트 홀더(29)의 윗면부에도 제 2삽입공(17)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직선형상의 가이드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31)에 제 2암부(15)의 선단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하여 이 경우 레버(12)를 화살표시 (나)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제 1암부(14)를 통해 제 1콘택트 홀더(27)가 화살표시 (다)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이와 동기하여 제 2암부(15)를 통해 제 2콘택트 홀더(29)가 화살표시 (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또 이와는 역으로 레버(12)를 화살표시 (나)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제 1암부(14)를 통해 제 1콘택트 홀더(27)가 화살표시 (다)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이와 동기하여 제 2암부(15)를 통해 제 2콘택트 홀더(29)가 화살표시 (라)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은 상기 구성의 작용을 각 상태에 있어 접속관계를 도시하는 도 6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레버(12)가 도 3에 도시하는 OFF위치에 있을 때 제 1콘택트 홀더(27)는 도 3의 우측에 가까운 곳에 위치함과 동시에 제 2콘택트 홀더(29)는 도 3의 좌측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게 된다. 또 이 상태에서 제 1가동접촉자(26) 및 제 2가동접촉자(28)는 각각 도 1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OFF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제 1가동접촉자(26)가 OFF위치에 있을 때는 이 접점부(26b)가 제 1고정접점(E1)에 접촉하고 또 제 2가동접촉자(28)가 OFF위치에 있을 때는 이 접촉부(28b)가 제 2고정접점(E2)에 접촉하게 되지만, 제 1 및 제 2공통고정접점(B1) 및 (B2)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 상태는 모두 OFF상태이다.
OFF위치에 있는 레버(12)를 제 1작동위치(I)로 조작하면 제 1암부(14)를 통해 제 1콘택트 홀더(27)가 화살표시 (다)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가동접촉자(26)가 제 1작동위치(I)에 이르고, 또 제 2암부(15)를 통해 제 2콘택트 홀더(29)가 화살표시 (라)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2가동접촉자(28)도 제 1작동위치(I)에 이르게 된다.
이 중 제 1가동접촉자(26)가 제 1작동위치(I)에 이르는 것에 의해 이들 접점부(26a)(26c)가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고정접점(E1)에 접촉하고 이들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고정접점(E1)이 접속된 상태가 된다. 한편 제 2가동접촉자(28)가 제 1작동위치(I)에 이르러도 접점부(28b)가 제 2고정접점(E2)에 접촉한 상태 그대로이며 OFF위치일 때와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고정접점(E1)이 접속된 상태이며(도 6의 제 1작동상태(I)참조), 도 7의 제 1작동상태(I)와 같은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레버(12)를 제 2작동위치(II)로 조작하면 제 1가동접촉자(26) 및 제 2가동접촉자(28)가 동기하여 제 2작동위치(II)에 이른다.
이 중 제 1가동접촉자(26)가 제 2작동위치(II)에 이르러도 접점부(26a)(26c)가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고정접점(E1)에 접촉한 상태 그대로이며, 제 1작동위치(I)일 때와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한편 제 2가동접촉자(28)가 제 2작동위치(II)에 이르는 것에 의해 이 접점부(28a)(28c)가 제 2공통고정접점(B2)과 제 2고정접점(E2)에 접촉하고, 이들 제 2공통고정접점(B2)과 제 2고정접점(E2)이 접속된 상태가 된다(도 6의 제 2작동상태(II)참조).
이 때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2공통고정접점(B2)은 접속선(24)에 의해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 1, 제 2공통고정접점(B1)(B2)과, 제 1 및 제 2고정접점(E1) 및 (E2)이 접속된 상태가 되며, 도 7의 제 2작동상태(II)와 같은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레버(12)를 제 3작동위치(III)로 조작하면 제 1가동접촉자(26) 및 제 2가동접촉자(28)가 동기하여 제 3작동위치(III)에 이른다.
이 중 제 1가동접촉자(26)가 제 3작동위치(III)에 이르는 것에 의해 이들 접점부(26a)(260b)(26c)가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 및 제 3의 고정접점(E1)(E3)에 접촉하고, 이들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 및 제 3고정접점(E1)(E3)이 접속된 상태가 된다(도 6의 제 3작동상태(III)참조). 한편 제 2가동접촉자(28)가 제 3작동위치(III)에 이르러도 접점부(28a)(28c)가 제 2공통고정접점(B2) 및 제 2고정접점(E2)에 접촉한 상태 그대로이며 제 2작동위치(II) 일 때와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2공통고정접점(B2)이 접속선(24)에 의해 접속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 1, 제 2공통고정접점(B1)(B2)과 제 1∼제 3의 고정접점(E1∼E3)이 접촉된 상태가 되고 도 7의 제 3작동상태(III)와 같은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레버(12)를 제 4작동위치(IV)로 조작하면 제 1가동접촉자(26) 및 제 2가동접촉자(28)가 동기하여 제 4작동위치(IV)에 이른다.
이 중 제 1가동접촉자(26)가 제 4작동위치(IV)에 이르러도 접점부(26a)(26b)(26c)가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 및 제 3고정접점(E1) 및 (E3)에 접촉한 상태 그대로이며, 제 3작동위치(III)일 때와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한편 제 2가동접촉자(28)가 제 4작동위치(IV)에 이르는 것에 의해 이들 접점부(28a)(28b)(28c)가 제 2공통고정접점(B2)과 제 2및 제 4고정접점(E2)(E4)에 접촉하고, 이들 제 2공통고정접점(B2)과 제 2 및 제 4고정접점(E2)(E4)이 접속된 상태가 된다(도 6의 제 4작동상태(IV) 참조).
이 상태에서는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2공통고정접점(B2)이 접속선(24)에 의해 접속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 1, 제 2공통고정접점(B1)(B2)과 제 1∼제 4의 고정접점(E1∼E4)이 접촉된 상태 그대로이며, 도 7의 제 4작동상태(IV)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22) 및 (23)과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26) 및 (28)에 의해 제 1 및 제 2공통고정접점(B1)(B2)과 이와 접속되는 고정접점(E1∼E4)의 수를 순차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필요로 했던 다이오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고정접점군을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22) 및 (23)으로 나누고 있기 때문에 한곳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며 또 본 실시예와 같이 그들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22) 및 (23)을 제 1 및 제 2기판(20)(21)으로 나눌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고정접점군(22)은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이와 대응하는 2개의 고정접점(E1)(E3)을 제 1가동접촉자(26)의 이동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함과 동시에 제 1가동접촉자(26)는 제 1고정접점군(22)의 제 1공통고정접점(B1) 및 2개의 고정접점(E1)(E3)에 대해 접촉하는 접점부(26a)(26b)(26c)를 3개 갖는 구성으로 하고 또 제 2고정접점군(23) 및 제 2가동접촉자(28)도 상기 제 1고정접점군(22) 및 제 1가동접촉자(26)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고정접점군 및 가동접촉자를 2조로 나누는 구성으로 하면서 필요로 하는 스페이스는 극히 작게할 수 있다.
즉 고정접점군을 2조로 나눌 경우, 공통고정접점과 2개의 고정접점을 가동접촉자의 이동방향을 따라 3열로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같은 경우에는 그 3열의 나열방향으로 필요로 하는 스페이스가 커지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한 것과 같이 2열로 하는 것에 의해 필요로 하는 스페이스를 극히 작게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22) 및 (23)을 개개의 기판(20)(21)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22) 및 (23)을 한층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이 변형 또는 확장할 수 있다.
각 고정접점군(22)(23)에 있어 공통고정접점(B1)(B2) 이외의 고정접점의 수로서는 3개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제 1가동접촉자(26)와 제 2가동접촉자(28)의 이동방향은 동일방향으로 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26)(28)가 이동할 때 마다 공통고정접점(B1)(B2)과 접속되는 고정접점수가 제 1 고정접점군(22)측과 제 2고정접점군(23)측에서 번갈아 증가하는 데 한정되지 않고 한쪽이 연속하여 증가한 후 다른쪽이 연속하여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과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에 의해 공통고정접점과 이와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수를 순차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이오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고정접점군을 제 1고정접점군과 제 2고정접점군으로 나누고 있기 때문에 한곳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도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접점군 및 가동접촉자를 2조로 나누어 구성하면서도 필요로 하는 스페이스를 극히 작게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을 따로 기판에 배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그들 고정접점군을 한층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공통고정접점과 이와의 접속순서가 설정된 여러개의 고정접점을 갖고 공통고정접점이 서로 접속된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과,
    여러단계로 조작되는 하나의 조작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을 기초로 동기하여 소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대응하는 공통고정접점을 대응하는 고정접점으로 설정된 접속순서에 따라 순차로 접속하는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과 상기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는 이들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가 소정방향으로 이동할 때 마다 공통고정접점과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합계수를 순차로 증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은 각각 공통고정접점과 이와 대응하는 2개의 고정접점이 대응하는 가동접촉자의 이동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고,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는 대응하는 고정접점군의 공통고정접점 및 2개의 고정접점에 대해 접촉하는 접점부를 각각 3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1고정접점군과 제 2고정접점군은 따로 기판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KR1019997006189A 1997-01-09 1999-07-08 스위치장치 KR100305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858 1997-01-09
JP00185897A JP3512966B2 (ja) 1997-01-09 1997-01-09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974A true KR20000069974A (ko) 2000-11-25
KR100305246B1 KR100305246B1 (ko) 2001-11-03

Family

ID=1151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189A KR100305246B1 (ko) 1997-01-09 1999-07-08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12966B2 (ko)
KR (1) KR100305246B1 (ko)
WO (1) WO1998031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890B1 (ko) * 1995-06-29 2003-01-06 변상복 터어보컴파운드환상실린더엔진
DE19902639A1 (de) * 1999-01-23 2000-07-2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altsystem
DE102009056283A1 (de) * 2009-11-30 2011-06-01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chalter und Schaltungsanordnung zur Auswertung von mindestens zwei Schaltzuständen eines Schalte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6622Y2 (ko) * 1975-08-22 1977-06-17
JPS6226892Y2 (ko) * 1979-01-31 1987-07-10
JPS57182842U (ko) * 1981-05-15 1982-11-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5246B1 (ko) 2001-11-03
JP3512966B2 (ja) 2004-03-31
JPH10199372A (ja) 1998-07-31
WO1998031031A1 (fr) 199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7602A (en) Slidable contact switch for card module
KR960043348A (ko) 납작 케이블용 무삽입력 전기 커넥터
US4504101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ion arrangement
KR940002514A (ko) 밸브장치
JPS60189881A (ja) ゼロ插入力エツジ・コネクタ
KR100305246B1 (ko) 스위치장치
US4505528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ion arrangement
US4591217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ion arrangement
KR100589881B1 (ko) 중간기판 전기커넥터
KR100443042B1 (ko) Fpc/ffc용 커넥터
JPS61256516A (ja) 電気スイツチ
US4505527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ion arrangement
EP0361971A2 (en) Electrical connector
US3737604A (en) Single switch with multiple transverse actuators
US4591219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ion arrangement
US5038004A (en) Miniature switch
KR20010032252A (ko) 핸들 하부의 제어 장치인 전기 전환 방식 레버
USRE33604E (en) Connector mechanisms
US3170049A (en) Electric sliding-contact switch with non-tilt operation of sliding contact
US4591218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ion arrangement
JP2601157B2 (ja) Dipスイッチ付コネクタ
JP4019371B2 (ja) Fpc中継器
JP2590312Y2 (ja)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
JPH04291614A (ja) コネクタケーブル
KR19990036184A (ko) 커플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