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354A - 노안 및 다른 시각 장애의 치료를 위해 분할된 공막밴드 - Google Patents

노안 및 다른 시각 장애의 치료를 위해 분할된 공막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354A
KR20000069354A KR1019997005061A KR19997005061A KR20000069354A KR 20000069354 A KR20000069354 A KR 20000069354A KR 1019997005061 A KR1019997005061 A KR 1019997005061A KR 19997005061 A KR19997005061 A KR 19997005061A KR 20000069354 A KR20000069354 A KR 20000069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egment
sclera
scleral
expansion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1058B1 (ko
Inventor
샤카르로날드에이.
Original Assignee
마크 에이. 콕스
라스 홀딩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946,975 external-priority patent/US6007578A/en
Priority claimed from US09/032,830 external-priority patent/US6197056B1/en
Application filed by 마크 에이. 콕스, 라스 홀딩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크 에이. 콕스
Publication of KR2000006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7Implants to be inserted in the stroma for refractive correction, e.g. ring-like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81Apparatus for modifying intraocular pressure, e.g. for glaucoma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눈의 모양체 외측에 인접하게 놓인 눈의 공막의 세그먼트내에 이식하거나 또는 체결되는 분할된 공막팽창밴드는 눈알의 곡률과 일치되도록 구부려져 있고, 완성된 공막팽창밴드를 형성하기 위해 각 단부들이 서로 결합된 다수의 궁형 분할로 형성된다. 원주방향 터널들을 형성하고, 그 터널들을 통해 밴드 세그먼트들을 삽입하며, 완전한 공막팽창밴드를 형성하기 위해 세그먼트의 단부들을 결합함에 의해 눈의 공막에 밴드가 이식된다. 공막팽창밴드는 노안 및 다른 시각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Description

노안 및 다른 시각 장애의 치료를 위해 분할된 공막밴드{SEGMENTED SCLERAL BAND FOR TREATMENT OF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다른 거리에 있는 대상물들을 사람의 눈으로 명확하게 볼 수 있기 위해서는, 대상물의 이미지를 망막상에 가능한한 뚜렷이 초점이 맺어진채 유지되도록 눈의 유효 초점 거리가 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효 초점 거리의 변화는 원근 조절로 알려져 있고 수정체의 형상 변화에 의해 눈에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원근 조절이 안된 정시안(emmetropic)에서, 수정체의 곡률은 떨어져 있는 대상물들이 망막상에 뚜렷하게 상이 맺히도록 한다. 원근 조절이 안된 눈에서 근접한 대상물들은 그들의 상들이 망막 표면의 뒤에 형성되므로 망막상에 뚜렷이 초점이 맞추어 지지 않는다. 근접한 대상물을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수정체의 곡률이 증가되어, 그의 굴절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근접한 대상물의 상을 망막상에 맺히도록 한다.
수정체의 형상 변화는 눈의 안구 또는 눈알내의 어떤 근육 및 구조물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정체는 눈의 앞쪽 부분, 동공 바로 뒤에 위치한다. 수정체는 일반적인 양쪽 볼록 광학 렌즈의 형상, 즉 2개의 볼록 굴절면을 가진 원형 단면을 가지며, 광학 렌즈상에 배치되는 것과 같은 형상, 즉 수정체는 2개의 볼록 굴절면을 가진 원형 단면의 형상이고, 눈의 안구 축, 즉 각막의 중심에서 눈알의 뒤쪽 부분의 망막의 유리체로 이어진 직선상에 위치한다. 원근 조절이 안된 사람의 눈에서, 수정체의 뒤쪽면, 즉 유리체에 인접한 표면의 곡률은 앞쪽 표면의 곡률보다 다소 크다. 수정체는 지지체의 중간 구조물로서 작용하는 홍채 피막에 의해 근접하게 둘러싸여 있다. 수정체 및 그의 피막은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매우 많은 탄성 섬유, 내측 단부들이 수정체 피막에 부착되고 외측 단부들은 모양체 근육에 부착된 모양 소대(毛樣 小帶)(zonule), 눈의 외측 지지체내에 위치한 조직의 근육 링, 및 공막의 원형 조립체에 의해 동공 뒤쪽의 안구 축상에 걸쳐 있다. 모양체 근육은 원근 조절이 안된 눈에서 이완되어 있고 따라서 최대 직경을 취하게 된다.
통상의 원근 조절 이론에 따르면, 헬름홀츠의 이론에서 유래하는 바대로, 이 상태에서의 비교적 대직경의 모양체 근육은 모양 소대상에 장력을 발생시켜서 모양 소대를 수정체 피막상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수정체의 이퀘이터 직경을 약간 증가시키고 안구 축에서의 수정체의 앞쪽-뒤쪽 치수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수정체 피막상의 장력이 수정체를 편평한 상태로 되게 하며 뒤쪽 표면에 대해 앞쪽 표면의 곡률이, 장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비해 어느 정도 작게 된다. 이 상태에서, 수정체의 굴절력은 비교적 작고 떨어져 있는 대상물들을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눈의 초점이 맞게 된다.
근접한 대상물상에 눈이 초점을 맞추려할 때, 모양체 근육이 수축된다. 통상의 이론에 의하면, 이 수축에 의해 모양체 근육이 앞쪽 및 안쪽으로 이동되어, 수정체 피막의 이퀘이터상의 모양 소대의 바깥쪽으로의 당김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모양 소대의 장력이 감소되면 수정체의 탄성 피막이 수축되어 수정체의 앞쪽-뒤쪽 직경이 증가됨으로써(즉, 수정체가 타원형으로 됨) 수정체의 안구 힘이 증대된다. 수정체 피막 두께의 국소 해부학적인 차이 때문에, 곡률의 중앙의 앞쪽 반경이 뒤쪽 반경보다 감소하게 된다. 이때가 인접한 대상물들의 상이 망막상에 뚜렷하게 형성되는 눈의 원근이 조절된 상태이다.
노안은 40세 이상의 개인들에게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원근 조절 정도의 전체적인 감소 현상이다. 정상 시력을 가진 사람에서는, 즉 정시안을 가진 사람에게는, 근접한 대상물들에 초점을 맞추는 능력이 점차 소실되고, 독서 등의 근접한 시력을 요구하는 임무들에서는 안경을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의 관점에 따르면, 노화된 눈의 원근 조절 정도는 수정체 피막의 탄성의 상실 및/또는 노화된 수정체의 경화증 때문에 감소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양 소대의 반경방향 장력이 모양체 근육의 수축에 의해 완화되는 경우에도, 수정체는 더 큰 곡률을 취하지 않게 된다. 상기 종래의 관점에 따르면, 노안에 대한 원근 조절 능력을 회복시키기 위한 어떠한 치료도 불가능하다. 수정체 및 피막의 탄성의 손실은 불가피한 것이고, 노안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들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은 근거리 작업에 대한 보정 렌즈를 사용하거나, 또는 원거리 시력에 대해서도 보정 렌즈가 요구되어 진다면, 원시 근시 양용 렌즈를 사용하는 것 뿐이다.
여러 가지 목적으로 눈 수술에 어떤 링 및/또는 원형 호 형태의 세그먼트(segment)가 사용되었다. 가요성 및/또는 탄성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재료의 스트립들의 단부들을 눈알의 뒤쪽 부분, (각막상의) 동일 평면의 뒤쪽 둘레에 결합함에 의해 원래 위치에 부착 또는 마련된 링 및/또는 세그먼트는 공막을 뒤쪽 영역에서 누르도록 사용된다. 공막의 외형에 맞추어지기에 적합한 금속 지지링이 눈알의 처치중에 일시적인 지지 구조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노안의 외과적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그러한 장치들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노안의 치료에 사용되는 인공 기관의 특수한 필요에 적합한 것도 없는 실정이다.
모양체의 영역으로 공막을 팽창시켜서 모양체 근육의 작동거리를 증가시키도록 모양체의 영역에서 눈의 공막에 체결되는 공막밴드는 본 발명에 참조된 미국 특허 출원 제 5,354,331 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 특허의 공막밴드는 공막의 표면상에 위치되고, 예컨대, 봉합에 의해 공막에 체결된 단일 유닛으로서 제조된다. 상기 밴드가 유효한 것이지만, 공막밴드를 설치함에 있어 더 큰 융통성을 제공하는 이와 다른 설계가 가능하다.
따라서, 외과의사가 밴드를 설치하거나 이식하는 다른 방법의 기회를 부여하는 노안 및 다른 시각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공막밴드의 존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은 노안, 원시안, 초기 오픈 앵글 녹내장 및 시각상의 고혈압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모양체 근육의 유효 작동거리를 증가시킴에 의해 이들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모양체 근육의 유효 작동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눈의 원근 조절 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원근 조절을 증대시키기 위한 인공 기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막팽창밴드가 이식된 눈의 정면도;
도 2는 2-2선을 따라 취해진, 도 1에 도시된 눈의 단면도;
도 3은 원 3으로 나타낸 영역의 도 4의 단면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할된 공막밴드의 정면도;
도 5는 밴드의 측면도;
도 6은 밴드의 등척도;
도 7은 밴드의 세그먼트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의 밴드 세그먼트의 단부도;
도 9는 도 7의 9-9선의 밴드 세그먼트의 단부도;
도 10은 도 7의 10-10선의 밴드 세그먼트의 단면도; 및
도 11은 도 4의 11-11선의 분할된 공막밴드의 융합된 텅(tongue) 및 홈 부분의 단면도이다.
노안 및 다른 시각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이식될 수 있는 공막밴드의 다른 설계는 공막밴드가 눈위에서 조립되어 완전한 공막밴드를 형성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밴드에서 실현된다. 본 발명은 모양체 위의 영역에서 공막에 터널을 형성하고, 터널내로 분할된 밴드의 세그먼트들을 삽입하며, 세그먼트들의 단부들을 결합하여 단일의 공막밴드를 형성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분할된 밴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안의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안의 모양체 근육의 유효 작동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노안에 대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정체의 이퀘이터와 모양체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노안에 대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양체의 영역에서 공막이 팽창됨에 의해 단단한 밴드를 모양체 위의 영역에서 공막에 이식함으로써 노안에 대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단한 밴드를 제공하기 위해 눈위에 조립될 수 있는 분할된 공막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막에 준비된 터널로 삽입되어 후에 단단한 밴드를 제공하도록 조립되는 세그먼트들을 가진 분할된 공막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시안에 대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기 오픈 앵글 녹내장에 대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각 고혈압에 대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눈의 원근조절 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전형적인 헬름홀쯔의 이론과 다른 노안의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범위가 발명자의 이론에 의해 비약되거나 제한되지 않더라도, 노안의 원근조절의 손실이 모양체 근육의 감소된 작동거리에 기인한다는 것이 발명자의 관점이다. 이 이론은 본 발명에 참조된 미국 특허 제 5,354,331 호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노안은 모양체 근육의 유효 작동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치료된다. 이는 모양체 영역에서의 공막의 직경을 증가시킴에 의해 모양체 근육과 수정체 이퀘이터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성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양체 근육의 유효 작동거리는 복수의 공막밴드 세그먼트인 눈의 공막의 조직내에 외과용으로 형성된 터널 또는 포켓에 이식함으로써 증가된다. 상기 세그먼트는 눈의 공막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식된 완벽한 공막팽창밴드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다. 완성된 공막팽창밴드는 모양체 영역의 공막보다 크기가 다소 커지게 된다. 따라서, 공막팽창밴드는 공막상에 외측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발휘하여, 수정체의 평면에서 공막을 다소 팽창시킨다. 공막팽창은 또한 팽창, 즉, 공막의 내부 또는 하부에 놓인 모양체의 직경을 증가시키고 해부학적으로 공막에 부착시킨다.
본 발명의 공막팽창밴드의 동작의 이해 및 공막 포켓을 위치시키기 위한 눈의 관련된 해부학을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막팽창밴드가 제공된 눈(100)을 나타낸다. 눈(100)의 외부 층은 대부분의 눈알 및 투명한 각막(104)을 둘러싸는 희고 단단한 공막(102)을 포함하고, 외부 막(coat)의 앞쪽 세그먼트를 구성한다. 각막 및 공막의 원형 결합부는 가장자리 부분(106)이다. 눈알내에서는, 도 1의 2-2선을 따라 취해진 도 2의 단면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정체(108)는 얇은 막으로 된 피막으로 둘러싸이고 홍채(112) 바로 뒤에 배치되며, 홍채는 눈의 안구축상의 동공(114) 뒤의 중앙에 걸쳐있다. 수정체(108)는 수정체(108)의 이퀘이터(110)에서의 수정체 피막과 모양체(116) 사이에서 확장하는 모양 소대(115)에 걸쳐있다. 모양체(116)는 공막(102) 아래에(즉, 공막(102)의 안쪽) 놓이고, 공막(102)의 내측 표면에 부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양체(116)는 수정체(108)의 이퀘이터(110)에 의해 한정된 평면(130)에 놓인다. 평면(130)은 또한 공막(102)과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가장자리 부분(106)의 약 2mm 뒤에 위치된 원형 교차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외측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모양체의 영역의 공막(102)을 팽창시키기 위해 모양체의 영역의 공막상에 기해진다. 공막(102)의 팽창은 부착된 모양체(116)의 대응하는 팽창을 발생시키고 수정체(108)의 이퀘이터(110)의 평면(130)에서, 모양체(116)를 수정체(108)의 이퀘이터으로부터 외측으로이동시킨다. 공막(102)은 수정체(108)의 이퀘이터의 평면에서 팽창된다. 그러나, 모양체(116)의 영역 즉, 수정체(108)의 이퀘이터(110)의 평면에 대해 앞쪽 또는 뒤쪽으로 어느 정도 연장하는 공막의 영역 또는 구역에서의 공막(102)의 팽창은 본 발명의 범위내이며, 이러한 공막(102)의 팽창은 수정체(108)의 이퀘이터(110)로부터 모양체(116)를 멀어지게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공막의 팽창은 수정체(108)의 이퀘이터의 평면(130)의 앞쪽 약 1.5mm로부터 그 평면의 뒤쪽 약 2.5mm까지, 즉, 가장자리 부분(106) 뒤쪽 약 0.5mm로부터 4.5mm까지의 영역 또는 구역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막 포켓 또는 터널(120)이 공막의 영역 또는 구역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공막밴드(200)는 복수의 세그먼트(202)로부터 조립된다. 조립된 밴드(200)는, 도 1, 4,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 테두리(226), 뒤쪽 테두리(228) 및 두 개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웹 구조(230)를 갖는다. 모양체의 영역에서 공막상에 원하는 외측으로의 견인력을 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밴드의 원주의 일부분, 즉, 앞 테두리(226), 뒤 테두리(228), 또는 접속 웹 구조중 하나는, 밴드가 조립될 때, 밴드가 이식되는 장소에서 공막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도록 설계된다. 물론, 전체 밴드는 공막보다 다소 크다. 이식된 본 발명의 공막밴드(200)를 가진 눈의 단면을 나타낸 도 2와, 도 2의 점선 원(3)에 의해 나타낸 눈의 세부 단면을 나타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막상의 외향 장력이 모양체의 영역에 인가된다. 베이스(126), 외측 플랩(128), 전방 마진(122) 및 후방 마진(124)을 갖는, 공막 터널(120)내에 공막팽창밴드(200)가 도시되어 있다. 밴드가 이식된 구역에서 공막보다 밴드가 일반적으로 직경이 더 크기 때문에 터널 또는 포켓(120)내의 공막밴드(200)가 공막포켓(120)의 외측 플랩(128)상에 외향 힘을 가한다. 외측 플랩(128)은 전방 마진(122) 및 후방 마진(124)에서 공막의 나머지 부분으로의 연결부를 통해 외향 견인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공막은 모양체(116) 주변의 구역에서 팽창되어 부착된 모양체(116)의 직경을 더욱 증가되게 한다. 따라서, 공막팽창밴드가 형성되게 하는 벨트 루프와 유사한 공막 포켓 또는 터널(120)은, 모양체의 영역에 위치되고, 일반적으로 수정체의 이퀘이터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근접해 있다. 따라서, 공막팽창밴드는 눈알의 전후방향 축에 대해 위치되어, 공막 하부 또는 내부에 위치된 모양체의 반경방향 팽창을 발생시키도록 공막상에 견인력을 가한다.
공막밴드 및 그의 세그먼트들은 도면들중 도 4 내지 11에서 설명된다. 공막밴드(200)는 복수의 세그먼트(202)들을 포함한다. 공막에 공막 포켓 또는 터널을 형성한 후, 각 터널들을 통해 세그먼트(202)를 통과시키고 세그먼트들의 단부를 함께 체결함에 의해 완성된 밴드를 형성하여 눈의 공막에 적용되도록 밴드(200)가 설계된다.
따라서, 각 세그먼트(202)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에지(204), 후방 에지(206), 외측 표면(208), 내측 표면(210), 및 두 개의 측면 단부(212,214)를 갖는다. 세그먼트의 도시된 실시예가 전방 에지(204) 및 후방 에지(206)를 연결하는 재료의 연속적인 웹(230)을 나타내고 있지만, 연결 구조(230)가 이러한 연속적인 구조일 필요는 없다. 연결 구조가 조합된 밴드(200)에 대해 필요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그들의 상대적인 위치들에 전방 에지(204) 및 후방 에지(206)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는 임의의 구조, 예컨대, 틈을 가진 웹, 또는 격자 구조 등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세그먼트(202)의 하나의 측면 단부(212)에 텅(tongue)(216)이 제공되고, 다른 측면 단부(214)에는 대응하는 홈(218)이 제공된다. 세그먼트들이 공막 터널을 통해 삽입된 후, 단부(212,2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다. 그 후, 각 텅(216)은 대응하는 홈(218)에 삽입되고, 텅(214)들은 도 1,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공막 밴드를 형성하기 위해 홈(218)내의 제위치에 체결된다. 세그먼트(202)들을 체결하도록 임의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세그먼트들은 서로 접착제 또는 용접 또는 융합, 또는 세그먼트(202)들의 단부를 체결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나사 또는 리벳 등의 기계적인 체결구로써 결합된다. 세그먼트(202)들을 체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세그먼트들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 질 때에 초음파 용접에 의해 홈(220)의 바닥(222)에 텅(216)의 더 낮은 표면(218)을 용접 또는 융합시키는 것이다. 초음파 용접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텅(216)은 첫째로 홈(220)에 위치된 후, 지지용 슈(shoe)가 세그먼트(202)의 단부(214) 하부에 삽입되고 초음파 용접 공구가 융합 용접 영역(224)(도 11)을 형성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동안 텅(216)에 적용된다.
세그먼트(202)들은 공막 터널에 적합하게 맞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세그먼트는 약 2mm의 폭과 약 0.25mm의 두께를 갖는다. 세그먼트(202)의 주요 몸체의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원주를 따라 측정된, 세그먼트의 길이는 약 13mm가 된다. 텅은 길이가 약 3mm이다. 숙련된 종사자는 상기 치수들이 공막밴드가 이식되는 특별한 눈에 채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길이의 구분은 외과 의사에게 유용하게 되며, 눈알상에 조립될 때, 완성된 공막팽창밴드가 공막 및 모양체상에 원하는 외향 견인력을 가할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세그먼트들이 선택될 수 있다. 세그먼트(202)들이 예컨대, 합성수지 등의 재료표면에 수직한 가용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다면, 세그먼트들은 밴드가 이식될 때 눈알의 곡률과 일치되도록 편평하지만 구부려질 수 있게 제조될 수 있다. 밴드가 더 단단한 재료로 제조된다면, 삽입전에 근접한 곡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세그먼트는 약 8.3mm의 전방 테두리의 곡률반경, 및 약 10.3mm의 후방 테두리의 대응하는 곡률반경을 갖는다. 테두리의 반경들은 밴드가 이식되는 눈의 특정한 치수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가 공막밴드(200)를 형성하는 세그먼트(202)들의 결합용의 텅-앤드-홈 설계를 나타내고 있지만, 숙련된 종사자라면 다른 설계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접착성 결합 또는 용접에 의한 간단한 맞대기 이음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랩 조인트 또는 테이퍼 스카프 조인트가 이용될 수 있다. 다시 세그먼트(202)의 일 단부는 인접한 세그먼트의 단부의 요흠 또는 구멍에 맞는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부들은 장난감 퍼즐의 조각들과 같이 서로 맞는 보완적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가장자리 부분의 후방 약 2.0mm의 거리를 측정하여 팽창되도록 공막의 적당한 영역 또는 세그먼트 또는 구역을 외과의사가 지정한다. 공막 터널 또는 포켓은 다음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눈의 각 45°경선으로부터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2.5mm에, 및 가장자리 뒤쪽 2mm에, 부분적인 공막 두께의 반경방향 절개부, 즉, 전후방향의 절개부가, 길이 2mm 및 깊이 350 미크론으로 형성된다. 라멜라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부분적인 두께의 절개부가 연결될 때까지 공막이 절개되어, 4개의 공막 포켓 또는 벨트 루프가 전방 길이 5mm, 및 일반적으로 눈의 안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2mm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각 포켓 또는 벨트 루프는 눈의 45°경선을 넘어 중앙에 위치된다. 터널이 정확히 수정체의 이퀘이터 평면에 있을 필요는 없더라도, 수정체의 이퀘이터의 평면과 공막의 교차부에 의해 한정된 원에 대해 각 터널은 원주방향으로 배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막밴드(200)의 세그먼트(202)는 각 포켓에 삽입되어 세그먼트(202)들의 단부(212,214)가 포켓들 사이의 공간에서 마주친다. 그 후 세그먼트(202)들의 단부(212,214)가 결합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인접한 세그먼트의 홈(220)에 하나의 세그먼트(202)의 텅(216)을 맞추고 초음파 용접 또는 다른 결합 기술에 의해 텅을 홈에 체결함으로써 단부들이 결합된다. 완성된 공막밴드는 모양체 근육의 유효 작동거리를 증가시키는 원하는 결과를 발생시키는 대칭적인 공막 팽창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는 4개의 공막 터널 및 4개의 공막밴드 세그먼트를 이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외과의사의 선택에 따라 더 적은 또는 더 많은 터널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밴드의 세그먼트들이 적당한 절개부를 통해 결합된 상태로 단일 터널을 이용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요구되는 반경방향의 팽창을 발생하기에 충분한 힘을 공막상에 가하기에 충분히 단단하고, 생리학적으로 장기간 이식을 허용하거나 눈의 조직에 접촉하는 재료로 본 발명의 공막밴드는 제조된다. 이러한 재료들은 외과적인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고 적절한 금속, 세라믹, 및 합성수지를 포함한다. 적합한 금속들로는 티탄, 금, 백금, 스테인리스강, 탄탈, 형상기억 합금, 및 외과적으로 수용가능한 다양한 합금 등을 포함한다. 적합한 세라믹들로는 자기, 알루미나, 실리카, 탄화규소, 고강도 유리 등의 유리 및 수정 재료를 포함한다. 적합한 합성재료로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실리콘 수지 등의 생리학적인 비활성 재료를 포함한다. 유리섬유, 보론 섬유 등 고강도 재료의 섬유로 보강된 다른 매트릭스 또는 합성수지를 결합한 합성 재료로 세그먼트가 또한 제조된다. 따라서, 세그먼트는 유리섬유 보강 에폭시수지, 탄소섬유 보강 에폭시수지, 탄소섬유 보강 탄소(탄소-탄소) 등으로 제조된다. 세그먼트(202)에 대한 바람직한 재료는 외과적 등급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공막밴드의 세그먼트는 이용되는 재료에 기계가공, 사출성형, 가열성형, 압축성형 등의, 적당한 종래의 기술에 의해 제조된다.
모양체의 영역에서 공막을 팽창시켜서 모양체 근육의 작동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공막밴드의 이용은 환자에 있어 원시의 치료에도 유익할 수 있다. 젊은 원시환자들은 자연적인 눈의 원근조절 능력을 통해 원시에 대해 보정을 함으로써 비교적 정상적인 시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능력은 나이가 들면 쇠퇴함으로써, 노안의 개시에 대해 보통보다 더 낮은 연령에서, 상기 방법에 의해 정상적인 시각을 얻는 것이 더 어렵게 되고, 두통 및 다른 징후를 경험하기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원근조절의 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노안에 대해 보정하기 위한 환자들의 능력을 회복시키는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초기 오픈-앵글 녹내장의 치료에도 유용하며, 일부 개인들에서는 나이와 연관 관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눈내압(IOP)은 나이를 먹음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말리 엠. 에프.,의 안과학 문서, 볼륨 73, 페이지 11-18, (1965년) 편평화 압력의 분포 I. 녹내장의 연령, 성별 및 가족 병력의 통계적 특징 및 효과 : 참조). 일반 인구중에는 세상에서 실명의 가장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인 질병인, 초기 오픈 앵글 녹내장의 결과로서 비정상적으로 눈내압이 올라가는 사람들의 그룹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이론에 따르면, 나이 증가에 따른 눈내압(IOP)의 선형적인 증가는 렌즈 이퀘이터와 모양체 근육 사이의 거리의 감소의 직접적인 결과이고 모양체 근육의 유효한 당김의 선형적인 감소를 초래한다. 모양체 근육이 육주(肉柱) 망(meshwork)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당김의 감소는 육주 및/또는 배액(排液) 포어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나이가 들면 눈내압을 선형적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이 점에서, 초기 오픈 앵글 녹내장이 발생된 환자들은 좁아진 포어, 포어내의 단백질 축적, 및/또는 더 작은 육주 망에 대해 선천적으로 편애하게 되어, 40세 근방의 연령대 후에, 힘을 발휘하는 모양체 근육의 능력이 저하될 때, 눈내압(IOP)이 과도하게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모양체 근육의 유효 작동 거리를 증가시켜서, 수축될 때 가할 수 있는 힘을 증가시키고, 모양체 근육이 육주 망상에 가하는 힘의 레벨을 더 젊은 사람의 눈의 특성치로 회복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방법으로, 노화됨에 따라 초기 오픈 앵글 녹내장이 발생되려 하는 눈의 이상을 극복하게 되고 이러한 질병의 시작이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늦추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 또는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들은 모두 설명을 위한 것으로 그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내용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의 범위와 동등한 의미 및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경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30)

  1. 눈의 모양체 외측에 인접하게 놓인 눈의 공막의 구역내에 이식용 또는 체결용으로 채용되는 분할된 공막팽창밴드로서,
    각각, 밴드로 조합될 때, 각각, 상기 밴드의 전방 테두리 및 후방 테두리를 형성하는, 구부려진 전방 에지 및 구부려진 후방 에지 및 상기 전방 에지와 후방 에지 사이에서 연장하며 상기 에지 부분들을 확실하게 떨어져 있도록 하는 구조적 간격 유지 수단과 밴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인접한 세그먼트들의 단부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측면 단부들을 가지며, 상기 밴드의 상기 전방 테두리가 상기 공막 구역의 전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의 외측에 놓이고 상기 후방 테두리가 상기 공막 구역의 후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의 외측에 놓이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복수의 인접한 궁형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테두리, 상기 후방 테두리, 및 간격유지수단중 적어도 하나는 인접한 상기 공막 구역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공막팽창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인접한 세그먼트상의 오목한 부분과 결합되는 텅을 포함하는 공막팽창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부분이 홈인 공막팽창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공막팽창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실리콘수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공막팽창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보강된 합성재료로 제조되는 공막팽창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된 합성재료가 유리섬유로 보강된 합성수지인 공막팽창밴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된 합성재료가 탄소섬유로 보강된 재료인 공막팽창밴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된 합성재료가 탄소섬유로 보강된 탄소인 공막팽창밴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생리학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공막팽창밴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티탄, 백금, 금, 탄탈, 스테인리스강, 형상기억 합금, 및 생리학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합금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으로 제조되는 공막팽창밴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세라믹 재료로 제조되는 공막팽창밴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이 자기, 알루미나, 실리카, 탄화규소, 및 고강도 유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공막팽창밴드.
  14. 공막팽창밴드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되는 공막팽창밴드의 세그먼트로서,
    구부려진 전방 에지 및 구부려진 후방 에지 및 상기 전방 에지와 상기 후방 에지의 사이로 연장되며 상기 에지 부분들을 확실하게 떨어져 있도록 하는 구조적 간격 유지 수단, 및
    밴드를 형성하기 위해 인접한 세그먼트들의 상기 단부들을 체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측면 단부들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이 상기 측면 단부들중 하나상의 텅 및 상기 측면 단부들중 다른 하나상의 홈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에지가 약 8.0 내지 8.5mm의 곡률반경을 갖는 세그먼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에지가 약 8.3mm의 곡률반경을 갖는 세그먼트.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에지가 약 10.0 내지 10.5mm의 곡률반경을 갖는 세그먼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에지가 약 10.3mm의 곡률반경을 갖는 세그먼트.
  20. 제 14 항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세그먼트.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세그먼트.
  22. 제 14 항에 있어서, 보강된 합성재료로 제조되는 세그먼트.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된 합성재료가 유리섬유로 보강된 합성수지인 세그먼트.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된 합성재료가 탄소섬유로 보강된 재료인 세그먼트.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된 합성재료가 탄소섬유로 보강된 탄소인 세그먼트.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생리학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세그먼트.
  27. 제 26 항에 있어서, 티탄, 백금, 금, 탄탈, 스테인리스강, 형상기억 합금, 및 생리학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합금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으로 제조되는 세그먼트.
  28. 제 14 항에 있어서, 세라믹 재료로 제조되는 세그먼트.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이 자기, 알루미나, 실리카, 탄화규소, 및 고강도 유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세그먼트.
  30. 눈의 모양체 외측에 놓인 공막의 원주방향 구역의 눈의 공막의 조직에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터널을 형성하는 단계, 공막팽창밴드의 세그먼트를 상기 터널 세그먼트에 삽입하는 단계, 및 공막팽창밴드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그먼트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눈의 원근조절 정도를 회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각, 공막팽창밴드로 조합될 때, 각각, 상기 밴드의 전방 테두리 및 후방 테두리를 형성하는, 구부려진 전방 에지 및 구부려진 후방 에지 및 상기 전방 에지와 후방 에지 사이에서 연장하며 상기 에지 부분들을 확실하게 떨어져 있도록 하는 구조적 간격 유지 수단과 밴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인접한 세그먼트들의 단부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측면 단부들을 가지며, 상기 밴드의 상기 전방 테두리가 상기 공막 구역의 전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의 외측에 놓이고 상기 후방 테두리가 상기 공막 구역의 후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의 외측에 놓이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상기 공막팽창밴드의 각 상기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테두리, 상기 후방 테두리, 및 간격유지수단중 적어도 하나는 인접한 상기 공막 구역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눈의 원근조절 정도를 회복하기 위한 방법.
KR1019997005061A 1997-10-08 1998-05-21 노안 및 다른 시각 장애의 치료를 위해 분할된 공막밴드 KR100541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46,975 1997-10-08
US08/946,975 US6007578A (en) 1997-10-08 1997-10-08 Scleral prosthesis for treatment of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US08/946,975 1997-10-08
US09/032,830 1998-03-02
US9/032,830 1998-03-02
US09/032,830 US6197056B1 (en) 1992-07-15 1998-03-02 Segmented scleral band for treatment of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PCT/US1998/010431 WO1999017684A1 (en) 1997-10-08 1998-05-21 Segmented scleral band for treatment of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354A true KR20000069354A (ko) 2000-11-25
KR100541058B1 KR100541058B1 (ko) 2006-01-10

Family

ID=2670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061A KR100541058B1 (ko) 1997-10-08 1998-05-21 노안 및 다른 시각 장애의 치료를 위해 분할된 공막밴드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EP (2) EP1021142B1 (ko)
JP (1) JP3688722B2 (ko)
KR (1) KR100541058B1 (ko)
CN (1) CN1259853A (ko)
AT (1) ATE357887T1 (ko)
AU (1) AU728981B2 (ko)
BR (1) BR9806306A (ko)
CA (1) CA2274163C (ko)
DE (1) DE69837444T2 (ko)
EA (1) EA001612B1 (ko)
ES (1) ES2283058T3 (ko)
HK (1) HK1030738A1 (ko)
HU (1) HUP0003879A3 (ko)
ID (1) ID21886A (ko)
IL (1) IL130299A (ko)
NO (1) NO992754L (ko)
NZ (1) NZ336062A (ko)
TW (1) TW453873B (ko)
WO (1) WO19990176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970B1 (ko) * 2000-06-09 2002-12-12 정영택 각막 그라프트 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1650B2 (en) 1997-10-08 2006-01-31 Refocus Ocular, Inc. Scleral expansion device having duck bill
FR2787991B1 (fr) * 1998-12-31 2001-05-25 Medicale De Prec S M P Sa Soc Dispositif pour traiter la presbytie ou autre affection oculaire
FR2794965B1 (fr) * 1999-06-21 2001-07-20 Ioltechnologie Production Anneau de tension intraoculaire pour la correction de la presbytie
FR2795630B1 (fr) * 1999-07-01 2002-02-01 Les Jardins Solange Le Leroux Anneau de distension sclerale pour le traitement de la presbytie
US7008396B1 (en) 1999-09-03 2006-03-07 Restorvision, Inc. Ophthalm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ES2271220T3 (es) 2001-02-23 2007-04-16 Refocus Ocular, Inc. Sistema para hacer incisiones para implantes oculares en la esclerotica.
US20040254641A1 (en) * 2001-08-31 2004-12-16 Waldock Terence Arnold Ophthalmic devices and procedures
AU2003241530A1 (en) 2002-05-20 2003-12-12 Refocus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osition for a scleral pocket for a scleral prosthesis
FR2843015B1 (fr) * 2002-08-01 2005-06-10 Laredo Fernand Implant pour le traitement de la presbytie
EP1525860A1 (fr) * 2003-10-24 2005-04-27 Bernard Gambini Insert d'expansion sclerale
JP5390862B2 (ja) * 2006-01-17 2014-01-15 ミナス, セオドア コロネオ, 嚢切開によって形成された開口の形状および/または位置を維持するための嚢インプラント
CA2908298C (en) * 2006-07-11 2017-10-03 Refocus Group, Inc. Scleral prosthesis for treating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8911496B2 (en) 2006-07-11 2014-12-16 Refocus Group, Inc. Scleral prosthesis for treating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BRPI0715467A2 (pt) 2006-07-11 2013-03-12 Refocus Group Inc pràtese escleral para tratamento de presbiopia e outras doenÇas oculares e dispositivo e mÉtodos relacionados
US8201942B2 (en) 2008-04-02 2012-06-19 Refocus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position to insert a scleral prosthesis into an eye
CN101732126B (zh) * 2010-01-09 2011-04-27 杨东生 斜视矫正器
US8597318B2 (en) 2011-08-08 2013-12-03 Refocus Grou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incisions in ocular tissue
CN102525729B (zh) * 2012-02-02 2013-12-04 温州医学院附属眼视光医院 一种高度近视后巩膜加固术生物膜材料条带及其制作方法
EP2830552A4 (en) * 2012-03-27 2015-11-25 Univ Duke DEVICE FOR RELEASING AN OPHTHALMIC MEDICAMENT AND USE METHOD
US9486311B2 (en) 2013-02-14 2016-11-08 Shifamed Holdings, Llc Hydrophilic AIOL with bonding
BR112015024156A2 (pt) 2013-03-21 2017-07-18 Shifamed Holdings Llc lente intraocular de acomodação
US10195018B2 (en) 2013-03-21 2019-02-05 Shifamed Holdings, Ll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JP5528600B1 (ja) * 2013-03-29 2014-06-25 株式会社Frontier Vision 瞳孔拡張器
JP5528599B1 (ja) * 2013-03-29 2014-06-25 株式会社Frontier Vision 瞳孔拡張器
CN103948469B (zh) * 2014-04-25 2016-09-14 薛安全 生物型巩膜收缩带及其制备方法
EP3185818A4 (en) 2014-08-26 2018-04-11 Shifamed Holdings, LL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MD977Z (ro) * 2015-08-03 2016-07-31 ОП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НИКОЛАЯ ТЕСТЕМИЦАНУ РЕСПУБЛИКИ МОЛДОВА Proteză oftalmologică
CN105125341B (zh) * 2015-09-08 2018-02-27 中山大学中山眼科中心 一种用于眼科手术的手术装置
US11141263B2 (en) 2015-11-18 2021-10-12 Shifamed Holdings, Llc Multi-piece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JP6146727B1 (ja) * 2016-03-10 2017-06-14 株式会社大木工藝 健康腕バンド
CN107411875B (zh) * 2016-08-22 2020-06-02 深圳硅基仿生科技有限公司 无绑带的人工视网膜的植入装置
KR101713055B1 (ko) * 2016-10-27 2017-03-07 이동호 안구의 미용을 위한 눈동자 확대부재 및 그 확대부재를 사용한 미용성형시술방법 및 그 시술기구
US10350056B2 (en) 2016-12-23 2019-07-16 Shifamed Holdings, Llc Multi-piece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RU2649449C1 (ru) * 2017-05-04 2018-04-03 Антон Алексеевич Тучин Многослойный глазной протез на основе диоксида кремния
WO2018222579A1 (en) 2017-05-30 2018-12-06 Shifamed Holdings, Llc Surface treatments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nd associated methods and devices
JP7082822B2 (ja) 2017-06-07 2022-06-09 シファメド・ホールディングス・エルエルシー 調整可能な屈折力の眼内レンズ
MX2020002058A (es) 2017-08-23 2020-07-13 Refocus Group Inc Herramienta quirurgica para formar incisiones en el tejido ocular con una punta que proporciona visibilidad y aparato y metodo relacionado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4331A (en) 1992-07-15 1994-10-11 Schachar Ronald A Treatment of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US5300118A (en) * 1992-09-21 1994-04-05 Keravision Adjustable devices for corneal curvature adjustment
US5323788A (en) * 1992-09-21 1994-06-28 Keravision Overlapping split ring device for corneal curvature adjustment
WO1995003755A1 (en) * 1993-08-02 1995-02-09 Keravision, Inc. Segmented preformed intrastromal corneal inse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970B1 (ko) * 2000-06-09 2002-12-12 정영택 각막 그라프트 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1886A (id) 1999-08-05
HK1030738A1 (en) 2001-05-18
NO992754D0 (no) 1999-06-07
IL130299A (en) 2004-12-15
JP2002510236A (ja) 2002-04-02
DE69837444T2 (de) 2008-01-24
IL130299A0 (en) 2000-06-01
ES2283058T3 (es) 2007-10-16
AU728981B2 (en) 2001-01-25
ATE357887T1 (de) 2007-04-15
JP3688722B2 (ja) 2005-08-31
EP1021142B1 (en) 2007-03-28
CA2274163C (en) 2006-12-19
NZ336062A (en) 2001-07-27
AU7690998A (en) 1999-04-27
EA001612B1 (ru) 2001-06-25
WO1999017684A1 (en) 1999-04-15
CA2274163A1 (en) 1999-04-15
DE69837444D1 (de) 2007-05-10
HUP0003879A3 (en) 2001-05-28
CN1259853A (zh) 2000-07-12
EA199900524A1 (ru) 1999-12-29
EP1021142A1 (en) 2000-07-26
KR100541058B1 (ko) 2006-01-10
HUP0003879A2 (en) 2001-03-28
BR9806306A (pt) 2001-09-18
EP1772117A1 (en) 2007-04-11
NO992754L (no) 1999-08-06
TW453873B (en) 200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058B1 (ko) 노안 및 다른 시각 장애의 치료를 위해 분할된 공막밴드
US6579316B2 (en) Segmented scleral band for treatment of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KR100525498B1 (ko) 노안 및 다른 안과 질환의 치료를 위한 공막의 인공 기관
US8123803B2 (en) System and device for correcting hyperopia and presbyopia
AU2004201931B2 (en) Segmented scleral band for treatment of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AU2002301111B2 (en) Scleral prosthesis for treatment of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MXPA99005264A (en) Segmented scleral band for treatment of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CZ20001270A3 (cs) Členěný rozpínavý pásek bělimy, úsek členěného pásku bělimy a jejich použití při výrobě pásku bělimy pro léčbu presbyopie a dalších onemocnění oka
MXPA99005261A (en) Scleral prosthesis for treatment of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CZ20001271A3 (cs) Oční protéza bělimy a její použití pro výrobu protézy bělimy pro léčbu presbyopie a jiných onemocnění ok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