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585A - 도체레일용 구분애자 - Google Patents

도체레일용 구분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585A
KR20000068585A KR1019997002288A KR19997002288A KR20000068585A KR 20000068585 A KR20000068585 A KR 20000068585A KR 1019997002288 A KR1019997002288 A KR 1019997002288A KR 19997002288 A KR19997002288 A KR 19997002288A KR 20000068585 A KR20000068585 A KR 20000068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es
rails
contact rail
rai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1060B1 (ko
Inventor
뉜리스트펠릭스
Original Assignee
펄러, 비이트
필러 앤드 프레이 에이지이 인제니오이르뷰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펄러, 비이트, 필러 앤드 프레이 에이지이 인제니오이르뷰로 filed Critical 펄러, 비이트
Priority to KR1019997002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060B1/ko
Publication of KR20000068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1)는 이동면에 일렬로 배치되어 거리(L1)만큼 분리된 두 개가 단단한 접촉레일(2, 2', 44)을 갖는다. 두 개의 연결뿔(6, 6', 45a, 45b)은 중간의 연결뿔 속으로 연장되는데, 하나의 연결뿔(6, 6', 45a, 45b)은 각각의 접촉레일(2, 2', 44)에 부착된다. 이행영역의 한 부분(L2)에는 거리(L3)만큼 분리되어 서로 평행하고 접촉레일(2, 2', 44)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루며 차량의 이동면에 평행한 연결뿔(6, 6', 45a, 45b)이 제공되며, 따라서 연결뿔(6, 6', 45a, 45b)의 폭이 접촉레일(2, 2', 44)의 폭보다 작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접촉레일(2, 2', 44)사이에 비교적 짧은 이행영역이 생길 수 있으며, 연결뿔(6, 6', 45a, 45b)의 하측면에 부착되어 이행영역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짧은 접촉와이어(21)의 간격(L3)이 마찬가지로 비교적 작게 된다. 이 접촉레일조립체(1)는 차량의 집전장치가 하나의 접촉레일(2, 2', 44)로부터 다른 접촉레일로 이행할 수 있게 하며, 한정된 전류공급이 보장된다(도 1).

Description

도체레일용 구분애자 {section insulator for conductor rails}
전기로 구동되는 차량은 전기전압하의 접촉라인으로부터 집전장치를 통하여 전력을 받는다. 접촉라인으로 사용되는 접촉와이어는 유럽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집전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접촉라인은 트랙 위의 현수와이어로서 배치되거나 접촉레일에 부착된다. 공간적으로 제한된 조건에서 전력이 제공되는 경우는 통상 접촉레일이 이용된다. 접촉레일과 비교하여, 현수방식의 와이어구조는 접촉와이어가 지지케이블로부터 짧은 간격으로 매달리는 현수와이어에 의해 매달리고 지지케이블의 지지점이 접촉와이어보다 약 30 - 180cm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큰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 필요로 하는 "구성공간"은 "시스템높이"의 개념으로 설명되며, 이 시스템높이는 지지점에서 트랙에 대한 수직거리와 동일하다. 재정상의 이유로 터널 및 고가도로, 예를 들어 보수 또는 조립창고에서 시스템높이는 반드시 매우 짧게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집전장치의 이동속도가 500km/h까지 이르게 하게 위해 접촉와이어와 지지케이블은 8 - 30kN까지 기계적으로 당겨진다. 이렇게 요구되는 텐숀장치는 부가의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특히 터널 내에서 설치하기 곤란한 복잡한 구조물이다. 다른 문제점은 차량에 장착된 집전장치가 70 - 300N의 힘으로 상부로 가압되어 부가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접촉레일을 사용하는 경우 지지케이블이 필요하지 않고 접촉와이어가 접촉레일에 부착되지 않아서 상부로 휘지 않기 때문에 터널이나 고가도로 아래의 거리 같이 제한된 공간관계를 갖는 이동구역에는 단단한 접촉레일이 사용된다. 따라서, 접촉레일을 사용할 때, 소망 시스템높이는 매달린 지지구조물의 경우보다 작다. 접촉레일은 한정된 길이로만(통상 12m)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주위온도에서의 변동의 결과로서 그리고 전기흐름에 의한 가열의 결과로서 팽창하기 때문에, 이 접촉레일은 예를 들어 터널 내에서 여러 부분으로 절단되고 서로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접촉레일은 또한 보수창고, 즉 선개교(swing bridge) 및 도개교(draw bridge)의 전화(electrification)과정에서 여러 부분으로 절단된다.
두 개의 접촉레일부분사이의 이행(연결)에는 문제가 생긴다. 길이 150cm이상의 비교적 긴 이행영역에 접촉레일부분들을 평행하게 연장시키는 것이 통상적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접촉레일과 부가의 지지구조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접촉레일을 일부 평행하게 연장시키는 것은 비용이 높다. 게다가 집전장치를 한 접촉레일로부터 다른 접촉레일로 이행시키는 것은 취급하기가 기술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접촉레일의 구조폭 때문에, 접촉레일에 부착된 평행한 접촉와이어는 서로에 대하여 10cm이상의 비교적 긴 거리로 연장되며, 길이 150cm이상에 걸쳐서 집전장치에 부착된 슬라이딩 스트립이 임의의 방식으로 교대로 하나 또는 두 개의 접촉와이어를 따라서 슬라이드한다.
접촉와이어가 일측면으로 슬라이딩한 결과는 접촉레일에 위치하는 접촉와이어가 정확히 동일한 높이로 연장되지 않음을 의미하는데, 이 것은 예를 들어 접촉레일의 제조시나 "현장조립"에서의 부정확에 기인할 수 있다. 이 접촉이 하나의 슬라이딩하는 접촉와이어를 따라서 이루어진다면 접촉하지는 않지만 역시 전압 하에 있는 슬라이딩접촉와이어와 집전장치사이의 작은 에어갭에서 전계가 형성되며, 이 전계는 에어갭의 크기가 감소할수록 증가한다. 이 부분에서의 높은 전계강도의 결과로서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 아크는 접촉와이어와 집전장치를 타게 하거나 마모시키며 차량의 전기모터를 손상시킬 수 있는 유도전압피크를 만들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아크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양측의 슬라이딩하는 접촉와이어가 접촉한다면, 서로 다른 접촉력에 의한 부정확에 기인하여 아크가 발생하여 접촉와이어와 집전장치사이의 두 개의 접촉위치에서 서로 다른 상당히 유동하는 이행저항이 발생하는데, 이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접촉와이어가 동일 높이에 정확히 위치하지 않는 것과 상술한 전기공학의 문제점 외에, 접촉와이어와 집전장치사이의 접촉점은 어떤 환경 하에서는 한 접촉와이어로부터 다른 접촉와이어로 "뛰어넘을" 수 있으며, 이는 매번 집전장치에 임펄스를 만든다. 이 임펄스가 커지면 이동속도가 커진다. 종래의 접촉레일조립체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접촉와이어의 비교적 큰 간격 때문에, 이 임펄스는 집전장치의 슬라이딩접촉중심에서 비교적 먼 외측에 가해져 이 발생임펄스는 집전장치에 바람직하지 못한 큰 토크충격을 일으키고 따라서 편향시킨다. 공지의 접촉레일조립체에서의 다른 문제점은 접촉레일의 단부가 집전장치의 연동장치 속에 나사결합되지 않아 파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접촉레일의 단부가 상부로 휘어져야 하는 것이다. 비교적 단단한 접촉레일을 위로 굽히는 것은 비교적 긴 부분을 휘는 경우에만 가능한 것이므로 상술한 긴 이행영역이 생길 것이다. 또한 비교적 단단한 접촉레일을 휘는 것은 작업장에서만 가능한 것이며, 대체로 12m의 기다란 접촉레일바가 어렵게 연결된다.
본 발명은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레일조립체의 평면도.
도 2는 접촉레일에 부착된 연결뿔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선 X를 따른 도 2의 연결뿔의 단면도.
도 4a는 텐숀요소의 영역에서의 도 2의 연결뿔의 단면도.
도 4b는 지지요소의 영역에서의 도 4a의 확대도.
도 5는 접촉레일측면의 단면도.
도 6은 이동면에 평행하고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동작하는 접촉레일조립체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피봇동작하는 접촉레일조립체의 평면도.
도 8a는 제 1위치에서 병진운동하는 접촉레일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제 2위치에서 도 8a의 접촉레일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연결뿔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레일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결점을 제거하고 높은 속도로 횡단되는 두 개의 접촉레일부 사이를 적은 노력으로 긴 수명으로 양호하게 연결하게 하며 유지비용이 적은 접촉레일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문제점은 청구항 1에 기재한 특성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구성과 개량점은 종속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기본원리는 이동방향으로 연속한 두 개의 접촉레일이 일렬로 그리고 서로로부터 비교적 짧은 거리로 배치되고, 접촉레일의 양단부에는 하나의 연결뿔이 제공되고 그 연결뿔의 자유단부는 이행영역 속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이다.
두 개의 연결뿔이 서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 1설계예에 있어서 두 개의 접촉레일 또는 이와 관련된 연결뿔은 서로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분리된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있어서, 두 개의 양측 연결뿔사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설계예에 따르면, 연결뿔은 적어도 하나의 별도의 접촉부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양 변형예에 있어서, 연결뿔은 상부에서 보아서 접촉레일에 대하여 비스듬히 이행영역의 한 부분에서 접촉레일조립체 속으로 연장되도록, 즉 그 자유단부가 측면을 지나 돌출하도록 그리고 연결뿔이 서로에 대하여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성 및 설계된다. 두 개의 연결뿔은 이 부분에서 곧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먼저 설명한 제 1변형예에 있어서, 두 개의 연결뿔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되기 때문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결뿔의 간격은 높은 습도에서도 연결뿔 사이에 스파크와 아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히 커야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연결뿔의 중간간격은 55mm인데, 이는 5kV의 동작전압에서 충분한 절연간격을 제공한다. 동일한 이유 때문에, 제 1변형예예 있어서는 연결뿔의 자유단부가 반대측 접촉레일로부터 대응하는 거리를 갖는다.
측면에서 보아서, 연결뿔은 연결뿔의 하측면에 부착된 접촉와이어가 대응하는 접촉레일 위를 원활하게 단일편으로서 통과하도록 그리고 다른 접촉레일의 하측면에 부착된 접촉와이어가 바람직하게는 이동면 위로 동일한 높이로 연장되도록 접촉레일에 대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이행영역은 접촉레일자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별개의 구성요소, 즉 연결뿔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이 것의 이점은 접촉레일이 상부로 휘어질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연결뿔은 매우 정확하게 제조, 조립 및 조정될 수 있다. 접촉레일과 비교하여 연결뿔은 짧고 따라서 취급하기가 매우 쉽다.
연결뿔의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한가지 중요한 이점은 접촉레일사이의 이행영역이 매우 짧게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연결뿔과 (두 개의 연결뿔의 하측면에 부착된) 접촉와이어가 평행하게 연장되는 이행영역의 부분이 마찬가지로 매우 짧다. 이 짧은 부분에서만 집전장치가 두 개의 접촉와이어와 슬라이딩접촉하게 한다. 연결뿔은 매우 정확하게, 즉 주로 동일한 높이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집전장치는 제 1연결뿔로부터 소정의 방식으로 이동방향으로 간단히 말해 양 연결뿔 상에서 통과하며, 대략 동일한 접촉력으로 연결뿔과 슬라이딩접촉하게 한다. 다음으로, 집전장치는 제 1연결뿔을 "떠나서" 이동방향으로 제 1연결뿔하고만 또는 다음의 접촉레일과 짧은 경로로 슬라이딩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크기의 접촉력으로 양 연결뿔과 슬라이딩접촉하게 때문에, 접촉점에서의 전이저항이 역시 동일하여 접촉점사이의 전압강하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매우 짧은 이행영역에 의해 그리고 연결뿔의 정확한 조립에 의해 집전장치와 접촉와이어 상의 스파크의 형성과 그에 따른 마모가 최소로 줄어든다. 연결뿔 중의 하나 그리고 양 연결뿔 그후 하나의 연결뿔과 접촉하면 집전장치와 연결뿔사이의 접촉점이 하나의 연결뿔로부터 다른 연결뿔로 뛰어넘어 스파크를 발생시키고 집전장치가 진동하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집전장치의 낮은 진동전파로 인하여 집전장치가 접촉와이어를 들어올리는 것이 방지되어 연속적인 전력공급이 보장되며, 집전장치와 접촉와이어상의 동적 마찰력에 의해 생기는 기계적 마모가 최소화된다. 이 접촉레일조립체의 다른 이점은 이행영역의 두 개의 연결뿔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어서 개발 및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동일한 구성과 배치의 연결뿔을 사용하면 접촉레일조립체는 이행영역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접촉레일의 중심선의 중심수직선과 접촉레일의 중심선과의 교차부에서 생기는 교차점에 대하여 점대칭이다.
본 발명의 개량에 따르면, 연결뿔의 폭은 이동면의 위에서 보아서 접촉레일의 폭보다 작다. 따라서, 연결뿔의 하측면에 부착된 접촉와이어사이에 비교적 작은 거리가 얻어질 수 있다. 접촉와이어가 위에서 보아서 연결뿔의 하측면에 중앙으로 연장된다면, 상술한 대칭상태의 접촉레일조립체의 두 개의 접촉레일의 간격은 (연결뿔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이행영역의 부분에서) 두 개의 연결뿔의 간격과 하나의 연결뿔의 폭의 합계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아크를 방지하고 또한 한 연결뿔로부터 다른 연결뿔로 집전장치가 진동 없이 또는 요동 없이 이행하기 위하여, 동작전압에 따라서 두 개의 연결뿔은 가능한 작게 선택된다. 따라서, 주어진 동작전압에서 두 개의 연결뿔의 하측면에 중앙으로 연장되는 접촉와이어의 간격이 작아지면 연결뿔의 폭이 작아진다. 따라서, 연결뿔의 폭이 작다면, 접촉와이어와 집전장치의 접점과 집전장치의 중앙사이의 간격(레버아암)이 비교적 작으므로, 접촉점에서 생기는 접촉력(정적 및 동적접촉력)이 아주 작은 토크를 만들고 집전장치가 매우 작게 휘어진다. 따라서 집전장치의 상승과 그 결과로서의 스파크형성이 방지되며 연속적인 전력공급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개량에 따르면, 위에서 보아서 이행영역의 연결뿔에서 접촉레일까지 휘어지므로, 접촉레일에 대하여 연결뿔의 단부가 중앙으로 변위하였다면 연결뿔의 중심선은 대응하는 접촉레일의 종축과 접하여 연결된다. 접촉레일의 하측면이나 연결뿔에 부착된 접촉와이어가 이런 방식으로 유연하고 연속적으로 이행하면 접촉와이어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집전장치가 접촉레일로부터 연결뿔로 이행함에 있어서, 연결뿔에 대한 집전장치의 슬라이드바의 측방향 상대가속이 돌발적이 아니라 점차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이 상대가속으로부터 생겨 집전장치의 측방휨을 야기하는 측방마찰력이 유연한 이행에 의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개량에 따르면, 연결뿔의 하측면이 자유단부와 접촉레일에 부착된 단부사이의 영역, 즉 연결뿔의 중간영역에서는 휘어지지 않고 연결뿔의 자유단부에서 상부로 휘어진다. 연결뿔의 자유단부에서의 이런 종류의 하측면의 곡률은 집전장치의 슬라이딩접촉이 연결뿔의 자유단부로부터 중간영역이나 인접한 접촉레일위로 원활하게 이행하게 한다. 집전장치의 수직가속에서의 피크와 집전장치의 접촉레일과 접촉와이어사이의 접촉력에서의 피크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연결뿔의 상부로 굽어진 자유단부 때문에, 접촉레일의 슬라이딩접촉이 연결뿔의 단부에서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거나, 연결뿔이 집전장치의 연동장치 속으로 나사결합하여 파괴하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량에 따르면, 연결뿔의 하측면의 곡률 및 특히 여기에 부착된 접촉와이어의 높이위치가 조정가능하다. 이 조정능력으로 연결뿔의 하측면의 곡률과 연결뿔의 하측면에 부착된 접촉와이어의 최적 높이셋팅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 조정은 연결뿔의 조립 시에 이루어지며 따라서 각각의 이행영역에 대하여 "현장"에서 각기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량에 따르면, 연결뿔의 하측면의 곡률은 연결뿔에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요소를 갖는 조정기구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클램핑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장력과 또한 압축력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자유단부에서 연결뿔의 하측면의 곡률이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즉 연결뿔의 자유단부가 필요에 따라서 상부나 하부로 굽어지고 초기값곡률에 의해 정해진 접촉와이어의 높이위치가 정확히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량에 따르면, 연결뿔은 측면에서 보아서 상술한 클램핑요소를 지나는 슬릿을 갖는다. 이런 종류의 슬릿은 이동면에 평행하고 차량의 이동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축에서 연결뿔의 휨강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연결뿔의 하측면의 곡률은 상대적으로 작은 장력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량에 따르면, 슬릿과 이 슬릿을 지나는 텐숀요소는 연결뿔의 상측에 위치한다. 연결뿔의 외곽, 예를 들어 그 상측에서의 슬릿 때문에, "개방측면"을 얻으므로, 연결뿔의 하측면에서의 조정 가능한 곡률에 필요한 장력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량에 따르면, 연결뿔의 텐숀요소의 영역 및/또는 자유단부의 영역에는 측면에서 보아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제공되어 상술한 슬릿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연결뿔의 개구와 연결된다. 이는 연결뿔의 "측면내부"를 만들기 때문에, 연결뿔의 단면적 및 특히 휨저항이 감소된다. 예를 들어, 연결뿔은 그 중간영역에서 폭이 다른 수개의 기다란 구멍형 오목부를 가지며, 이 오목부는 일렬로 정렬되며 종방향으로 연결뿔의 강성을 견실하게 변화시킨다. 이런 개구들의 한가지 확실한 부수적인 효과는 중량이 감소하는 것이다. 연결뿔의 하측면의 곡률을 조정할 때 연결뿔에서의 기계적응력의 피크를 방지하기 위해, 이행부는 예를 들어 각각의 개구 즉 둥근 개구 사이의 "유연한" 설계로 된다. 연결뿔의 중간영역에서의 개구 외에도 자유단부의 영역에는 주로 중량을 줄이는 예를 들어 둥근구멍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개량에 따르면, 중간이행영역을 규정하는 접촉레일 중의 적어도 하나와 이 접촉레일에 부착된 이행영역은 다른 접촉레일과 그 연결뿔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된 보수창고, 선개교(swing bridge) 및 도개교(draw bridge)에 대하여 접촉레일의 부분에 대한 간단한 분리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런 타입의 분리장치는 회전디스크를 둘러싸는 트랙의 접촉레일을 확실하게 장착하기 위해 레일차량용의 하나의 회전디스크의 접촉레일의 이행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분리장치는 예를 들어 짧은 접촉레일과 그 단부에 부착된 연결뿔을 가지며, 이 짧은 접촉레일과 함께 연결뿔이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량에 따르면, 이 짧은 접촉레일의 이동은 이동방향을 가로질러 차량의 이동면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동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수평피봇축은 지지장치, 예를 들어 보수창고의 벽이나 천장, 지지기둥 등을 통하여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량에 따르면, 접촉레일과 여기에 부착된 연결뿔은 이동방향으로, 구체적으로는 이동면에 평행한 면에서 이동방향으로 접촉레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 접촉레일이 다른 접촉레일에 대하여 상대이동하기 때문에, 접촉레일의 단부에 부착된 연결뿔이 서로에 대하여 진퇴이동할 수 있다. 이동된 접촉레일이나 그 연결뿔이 다른 접촉레일이나 그 연결뿔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된 연결뿔을 다른 연결뿔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이동시키는 제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동된 접촉레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접촉레일이 대응하여 이동하게 하는 유지장치가 부착된다.
본 발명의 개량에 따르면, 연결뿔에 적어도 하나의 부착요소가 제공되는데 이 부착요소는 접촉와이어가 부착되며, 따라서 접촉와이어가 접촉레일로부터 연결뿔로 단일편으로서 이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타입의 부착요소는 예를 들어 두 개의 측면으로부터 클램프엣지를 따라서 나사접속에 의해 접촉와이어를 클램프하는 텐숀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텐숀요소는 연결뿔자체를 분해하거나 교체하지 않고도 마모된 접촉와이어를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개량에 따르면, 연결뿔의 단부에는 연결뿔의 부착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부착격실이 제공된다. 부착격실은 연결뿔의 단부와 접촉레일이 확실하게 결합되게 하고, 접촉레일측면과 이 접촉레일측면 속에 삽입된 연결뿔의 단부를 통과하는 관통볼트에 의해 간단하게 부착되게 한다. 따라서, 연결뿔과 접촉레일의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이 보장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뿔의 단부가 중앙에 부착되면 좁은 연결뿔을 부착할 수 있게 하여 이행영역에서의 접촉레일의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게 한다. 연결뿔이 접촉레일에 결합되는 것은 예를 들어 접촉레일측면의 내부에 일측이 접속되어 이루어진다. 일측접속부는 예를 들어 쐐기형 단면이나 경사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개량에 따르면, 두 개의 상호 반대측의 연결뿔이나 이와 관련된 접촉레일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수개의 접촉레일부분이 각각 "하나의" 기다란 전기적으로 결합된 접촉레일부 속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전기적인 접속은 하나이상의 탄성접속요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렬로 정렬된 두 개의 접촉레일(2, 2')을 갖는 접촉레일 조립체(1)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접촉레일의 단부(3, 3')는 거리(L1)만큼 분리되어 있다. 이 거리(L1)는 예를 들어 600mm가 될 수 있다. 접촉레일(2, 2')의 단부에는 부착격실이 제공된다. 이 부착격실(4, 4')은 접촉레일(2, 2')의 종축(5, 5')과 동축상태로 정렬된다. 부착격실(4, 4')속에는 연결뿔(6, 6')의 일단부(6a)가 삽입된다. 연결뿔(6, 6')의 중간선(7, 7')은 접촉레일(2, 2')의 종축과 접촉상태로 또는 동축상태로 연결되며 연결뿔의 자유단부(6b, 6b')의 방향으로 접촉레일(2, 2')의 단부의 영역에서 굽어있으며 연결뿔의 중간영역과 단부영역(6b, 6b')에서는 굽어 있지 않다. 연결뿔(6, 6')의 상부측에는 자유단부(6b, 6b')의 영역에서 연결뿔(6, 6')의 하측면의 곡률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구(8, 8')가 제공된다(도 2참조). 이 조정기구(8, 8')는 연결뿔의 상측에 부착되어 텐숀요소(11, 1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 1벤딩요소(9, 9')와 제 2벤딩요소(10, 10')를 갖는다. 텐숀요소(11, 11')는 장력과 압축력을 지탱할 수 있다. 텐숀요소(11, 11')는 두 개의 벤딩요소(9, 9')와 (10, 10')사이의 연결뿔(6, 6')의 상측에 위치하는 슬릿(12)에 걸쳐 놓여 있다.
두 개의 연결뿔(6, 6')의 폭은 접촉레일(2, 2')의 폭보다 작다. 연결뿔의 중간에서 두 개의 연결뿔(6, 6')은 스파크와 아크발생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큰 간격(L3)을 갖는다. 따라서 간격(L3)은 두 개의 연결뿔과 각각의 접촉레일이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게 하는 "절연갭"이다. 두 개의 연결뿔의 중간영역에서 연결뿔들은 서로 평행한 부분(l2)을 따라서 접촉레일(2, 2')의 종축(5, 5')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연장된다. 연결뿔(6, 6')의 하측면에서 각각의 연결뿔은 대응하는 중간선(7, 7')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접촉와이어(도 1에서 보이지 않음)를 갖는다. 부분(L2)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접촉와이어의 간격은 간격(L3)과 연결뿔(6, 6')의 폭의 합계가 되며 예를 들어 55mm이다.
도 2는 도 1이 접촉레일(2)의 단부(3)와 여기에 부착된 연결뿔(6)을 나타낸다. 연결뿔(6)의 상측에서 빗금친 영역은 벤딩요소(9, 10)가 연결뿔(6)의 구멍 속에 삽입되어 지지요소(13, 14)에 의해 부착된 것을 나타낸다. 지지요소로서는 예를 들어 분할핀,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연결뿔(6)의 자유단부(6b)는 그 상측에 경사면(6c)을 가지며 자유단부의 휨저항을 줄이고 연결뿔(6)의 단면적과 중량을 줄이기 위해 내부영역에 원형오목부(16a, 16b, 16c)를 특징으로 한다. 자유단부(6b)의 하측면은 거리(L4)만큼 상부로 휘어져 있다. 이 거리(L4)는 예를 들어 21mm이다. 하측부(6d)의 굴곡영역의 길이(L5)는 예를 들어 177mm가 될 수 있다. 연결뿔의 중간영역에서 특히 텐숀요소(11)의 영역에서 연결뿔은 여러 가지 폭을 갖는 기다란 구멍형 오목부(17a, 17b, 17c)를 갖는다. 이들 기다란 구멍형 오목부(17a, 17b, 17c)의 폭은 연결뿔(6)의 자유단부의 방향으로 증가하여 연결뿔(6)의 휨강도를 감소시킨다. 슬릿(12)은 연결뿔(6)의 상측으로부터 기다란 구멍형 오목부(17b)에 연결된다. 연결뿔(6)의 하측면을 따라서 나사구멍(19a, 19b, 19c, 19d)을 갖는 텐숀요소(18a, 18b, 18c, 18d)가 제공된다(도 4a 및 도 4b참조). 부가의 텐숀요소가 이 나사구멍과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접촉레일(2)의 하측으로부터 접촉레일(6)의 하측(6d)으로 단일편으로서 통과하는 접촉와이어(21)가 조여질 수 있다. 연결뿔(6)의 단부(6a)는 접촉레일(2) 속에 삽입되며 그리고 나사구멍(20a, 20b, 20c, 20d) 속에 나사결합된 부착나사에 의해 접촉레일(2)에 부착된다. 접촉레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뿔의 부분은 길이(L6)를 갖는다. 이 길이(L6)는 예를 들어 477mm이다.
도 3은 나사구멍(20b, 20d)을 통하는 선 X를 따라서 도 2의 연결뿔을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이 영역에서 연결뿔(6)을 통과하는 단면은 중심선(23)(2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대칭이다. 연결뿔의 측면(22a, 22b)은 중심선(23)에 대하여 그 영역에서 일정 각도로 연장된다. 상측영역에서 연결뿔(6)은 두 개의 경사면(22c, 22d)을 갖는다. 경사측면(22a, 22b)과 경사면(22c, 22d)은 본질적으로 부착격실의 영역에서 접촉레일(2)의 내부형상에 대응하며 접촉레일(2)을 갖는 연결뿔(6)이 확실하게 결합되게 한다.
도 4a는 텐숀요소(11)의 영역에서 연결뿔(6)을 통과하는 단면을 나타낸다. 연결뿔(6)의 직립측면(22a, 22b)은 단부(6a)의 영역에서 인식할 수 있다. 도 4b에서 보다 용이하게 알 수 있듯이, 접촉와이어(21)를 조이기 위하여 나사통공(19c)을 갖는 지지요소(18c)가 사용된다. 지지요소(18c)는 이 목적으로서 클램핑엣지(24)와 클램핑면(25)을 갖는다.
도 4b는 텐숀요소(18c)의 영역에서 도 4a의 확대부를 나타낸다. 접촉와이어(21)는 클램핑요소(18)의 클램핑엣지(24) 및 클램핑면(25)에 의해 그리고 반대측의 클램핑요소(26)의 대응하는 클램핑엣지 및 클램핑면에 의해 조여진다. 반대측 클램핑요소(26)는 나사클램핑요소(18c)용의 통공을 갖는다.
도 5는 접촉레일(2)을 통과하는 단면을 나타내는데, 연결뿔의 단부(6a)(도 1참조)는 부착격실(4)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 속에 삽입될 수 있다. 접촉레일은 하측면에서 개방되며, 클램핑엣지(31a, 31b)를 갖는 두 개의 다리(30a, 30b)를 갖는다. 접촉와이어(21)는 이들 다리(30a, 30b)의 약간의 상부로의 휨에 의해 조여진다.
도 6은 하측면에 접촉와이어(21, 21')가 각각 부착된 접촉레일(2, 2')을 갖는 접촉레일조립체(1)를 나타낸다. 두 개의 접촉레일(2, 2')의 사이에는 분리장치(40)가 제공된다. 접촉레일(2')은 지지기둥, 건물 등 같은 구조물(도시하지 않음)에 절연체(42a, 42b)에 의해 접촉레일(2')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 지지장치(41)에 의해 부착된다. 분리장치(40)는 짧은 접촉레일(44)을 가지며 각각의 단부에는 하나의 연결뿔(45a, 45b)이 부착된다. 접촉레일(44)과 그 연결뿔(45a, 15b)의 하측면에는 접촉와이어(21a)가 부착된다. 접촉레일(2)의 연결뿔(6)과 함께 연결뿔(45a)은 제 1이행영역을 형성하고 접촉레일(2')의 연결뿔(6')과 함께 연결뿔(45b)은 제 2이행영역을 형성한다. 접촉레일(44)이나 여기에 부착된 연결뿔(45a, 45b)을 차량(도시하지 않음)의 이동면에 평행하게 이동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이동방향피봇축(47)을 중심으로 피봇동작시킴으로써, 연결뿔(45a, 45b)의 자유단부는 피봇축(47)을 중심으로 동심원(46a, 46b)을 따라서 이동한다.
도 7은 도 6의 접촉레일조립체를 위에서 본 것을 나타내는데, 분리장치(40)가 절연체(42d)와 접촉레일(44)사이의 영역에서 절제되어 있다. 연결뿔(6, 45a, 6', 45b)은 서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도 8a는 주로 병진운동할 수 있는 접촉레일조립체(1)를 나타낸다. 접촉레일(2)과 여기에 부착된 연결뿔(6)은 제자리에 고정되며, 이동방향으로 인접한 접촉레일(2')은 접촉레일(2)에 대하여 연결뿔(6')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접촉레일(2')에는 연속하여 배치되고 로드형 커플링요소(57)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세 개의 직렬가이드조립체(52a, 52b, 52c)를 갖는 가이드조립체가 부착된다. 이 경우, 커플링요소(57)를 갖는 "외측"의 두 개의 가이드조립체(52a, 52b)는 그 사이에 위치하며 접촉레일(2')에 연결된 가이드조립체(52b)를 중심으로 접촉레일(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조립체는 접촉레일(2)과 연결뿔(6)에 대하여 제자리에 고정된 두 개의 가이드요소(53a, 53b)사이로 연장된다. 가이드요소(53a, 53b)는 서로에 대하여 가이드조립체(52a, 52b, 52c)의 직경보다 약간 큰 거리(L1)를 두고 배치되므로, 가이드조립체장치는 가이드요소(53a, 53b)사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다. 접촉레일(2')과 대면하는 제 1부분(58)에서 가이드요소(53a, 53b)는 접촉레일(2, 2')에 평행하다. 접촉레일(2, 2')사이의 영역(59)에서 가이드요소는 접촉레일(2, 2')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룬다. 접촉레일(2)과 대면하는 인접하는 비교적 짧은 부분(60)에서 가이드요소(53a, 53b)는 다시 접촉레일(2)에 평행하게 되며, 그 자유단부(53a, 53b)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굽어져 있다. 접촉레일(2')은 이동면에 평행하고 접촉레일(2)에 평행하게 이동하는 지지장치(54)에 연결되며 가이드요소(53a, 53b)를 따라서 반대측 접촉레일(2)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장치(54)는 지지장치(54)를 이동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요소(도시하지 않음)에 절연체(53)를 통하여 연결된다. 접촉레일(2')과 여기에 부착된 연결뿔(6')의 이동 후에 가이드조립체(52a, 52b, 52c)는 서로 거리(L1)를 두고 배치된 가이드요소(53a, 53b)사이에서 슬라이드하여 접촉레일(2')이 접촉레일(2)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어긋나게 한다.
도 8b는 접촉레일(2')이 이동하여 접촉레일(2)에 대하여 측방으로 어긋나있는 접촉레일(1)의 제 2상태를 나타낸다. 접촉레일(2')의 이동 후에 지지장치(54)는 접촉레일(2)에 평행하게 이동하고 절연체(53)와 접촉레일(2)사이의 측방간격은 변함없이 유지된다. 접촉레일(2')이 측방으로 어긋나게 하기 위하여, 접촉레일(2')이 접촉레일(2)을 가로질러 외측으로 스윙하게 하는 평행사변형연동장치(55)에 의해 접촉레일(2')이 절연체(53)에 연결된다. "평행사변형"의 변은 로드형 연결요소(61, 62, 63, 64)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 연결요소(61, 62, 63, 64)는 쌍으로 관절연결된다. 즉 이들은 이동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이들 연결부중의 하나는 접촉레일(2')에 연결된 중간가이드조립체(52b)에 의해 형성된다. 가이드조립체(52b)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평행사변형 연동장치(55)의 연결부(56)는 절연체(53)에 부착되며, 평행사변형의 변을 형성하는 연결요소(61, 62) 또는 (63, 64)를 관절연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부가의 연결부(65, 66)가 사용된다. 또한, 접촉레일(2')에 연결되어 평행사변형 연동장치의 연결부로서 작용하는 가이드조립체(52b)는 가이드요소(67)에 의해 평행사변형 연동장치(55)의 반대측 연결부(56)에 연결된다. 접촉레일(2')의 외측으로 스윙운동 중에, 이 가이드요소(67)는 접촉레일(2')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이드조립체(52b)를 이동시키며, 가이드조립체(52b)가 접촉레일(2)의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한 이동된 상태에서, 가이드조립체(53c)와 이동된 지지장치(54)는 가이드요소(53a, 53b)의 자유단부(53a, 53b)에 위치하며, 평행사변형 연동장치(55)는 내측으로 스윙운동하고 가이드조립체(52b)는 상대적으로 연결부(56)근처로 이동된다.
도 9는 연결뿔(6, 6')과 각각의 접촉레일(2, 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많은 용도에 요구되는 접촉레일조립체(1)를 나타낸다. 연결뿔(6, 6')과 이와 관련된 접촉레일(2, 2')의 구조 및 공간적배치는 본질적으로 도 1에 도시한 접촉레일조립체(1)에 상응한다. 예를 들어 본 구체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두 개의 연결뿔(6, 6')은 거리(L3)만큼 분리되어 있다. 즉, 이들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거리(L3)가 주로 전기적 "절연"거리인 상술한 구체예와는 대조적으로 본 구체예에서 두 개의 연결뿔(6, 6')사이의 거리(L3)는 기계적인 분리를 나타낸다. 이 기계적인 분리에 의해 연결뿔(6, 6')과 이와 관련된 접촉레일(2, 2')이 다른 접촉레일(2, 2')과 다른 연결뿔(6, 6')에 대하여 각각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레일조립체(1)는 피봇운동하거나(도 6 참조) 병진운동할 수 있다(도 8a 및 도 8b참조).
연결뿔(6)과 각각의 접촉레일(2)과 다른 연결뿔(6')과 각각의 접촉레일(2')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판스프링처럼 작용하는 탄성접촉요소(75, 76)에 의해 이루어진다. 두 개의 접촉요소(75, 76)는 "S형"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설계되며, 접촉요소(75)는 접촉레일(2)과 그 연결뿔(6)에 연결되고, 접촉요소(76)는 다른 접촉레일(2')과 그 연결뿔(6')에 연결된다. 또한, 접촉요소(75, 76)는 접촉레일(2, 2')과 각각의 연결뿔(6, 6')과 동일한 방식으로 공간적으로 배치되므로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의 접촉레일조립체(1)는 위에서 보아서 점대칭을 이룬다.
접촉요소(75, 76)의 각 부분은 그 구조에 따라서 구별된다. 제 1부분(77, 78)에 있어서, 접촉요소(75, 76)는 접촉레일(2, 2')의 부착격실(4, 4') 속으로 연장되어 접촉레일(2, 2')과 연결뿔(6, 6')과 접촉한다. 이 제 1부분(77, 78)은 다른 연결뿔(6, 6')의 반대측으로 향하는 연결뿔(6, 6')의 외측(96, 97)에 위치한다. 또한, 접촉요소(75, 76)는 이 부분(77, 78)에서 접촉레일(2, 2')에 나사결합되고 점선구멍으로 나타낸 부착격실(4, 4')의 영역 내의 연결뿔(6, 6')에 나사결합된다.
제 2부분(82, 83)은 연결뿔(6, 6')의 자유단부의 방향으로 부착격실(4, 4')로부터 연결뿔(6, 6')로부터 연장된다. 비교적 짧고 제 2부분(82, 83)에 대하여 오목한 제 3부분에서 접촉요소(75, 76)는 연결뿔(6, 6')의 외측(96, 97)으로부터 연장된다. 연결뿔(6, 6')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4부분(86, 87)은 제 3부분(84, 85)과 인접한다.
인접한 제 5부분(88, 89)은 제 4부분(86, 87)에 수직하며 종방향 오목부(17c)(도 2참조)의 영역 내의 연결뿔(6, 6')을 통과한다. 제 4부분(86, 87)과 제 5부분(88, 89)사이의 연결부는 둥글게 되어 있으며, 제 5부분(88, 89)과 인접한 제 6부분(90, 91)사이의 연결부도 마찬가지이다.
제 6부분(90, 91)은 다른 연결뿔(6, 6')과 대면하는 자유단부의 방향으로 연결뿔(6, 6')의 외측면(98, 99)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 6부분(90, 91)은 위에서 보아, 즉 반대측 연결뿔(6, 6')의 방향으로 볼록하며 판스프링처럼 부풀어 있거나 굽어져 있다. 이들 부분(90, 91)은 서로 가압하여 접촉요소(75, 76)와 연결뿔(6, 6')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제 6부분(90, 91)의 다음에는 연결뿔(6, 6')의 외측면과 직접 접촉하는 제 7부분(92, 93)이 있다. 접촉요소(75, 76)는 나사연결부(92, 93)에 의해 연결뿔(6, 6')에서 제 7부분(92, 93)의 영역에 부착된다. 접촉요소(75, 76)의 제 1부분(77, 78)과 제 7부분(92, 93)을 연결뿔(6, 6')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접촉요소(75, 76)와 연결뿔(6, 6')사이의 전기접속이 이루어진다.
접촉요소(75, 76)의 탄성 때문에, 접촉요소(75, 76)와 사이의 충분히 큰 접촉력과 이에 따른 작은 전기저항이 얻어진다. 또한, 피봇동작하는 접촉레일조립체(1)(도 6, 도 7참조) 또는 병진운동하는 접촉레일조립체(1)(도 8a, 도 8b참조)와 함께 접촉요소(75, 76)를 사용할 수 있다. 피봇동작하는 접촉레일조립체(1)에서 피봇동작할 때, 접촉요소(75, 76)는 먼저 비대칭접촉을 이룬 후 도시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 가압한다.
접촉요소(75, 76)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시이트금속 또는 동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을 제거하고 높은 속도로 횡단되는 두 개의 접촉레일부 사이를 적은 노력으로 긴 수명으로 양호하게 연결하게 하며 유지비용이 적은 접촉레일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Claims (16)

  1. 두 개의 단단한 접촉레일(2, 2', 44)가 일렬로 배치되고, 이 접촉레일(2, 2', 44)의 양단부(3, 3')는 거리(L1)만큼 분리되며, 이 단부(3, 3')에는 각각 연결뿔(6, 6', 45a, 45b)이 제공되며, 이 연결뿔(6, 6', 45a, 45b)은 접촉레일(2, 2', 44)사이에 위치하는 이행영역으로 연장되는데, 이 연결뿔은 이행영역의 일 부분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거리(L3)만큼 분리되며, 차량의 이동면에 평행하고 접촉레일(2, 2')의 종축(5, 5')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1).
  2. 제 1항에 있어서, 이동면의 상부에서 보아서 연결뿔(6, 6')의 폭은 접촉레일(2, 2')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이동면의 상부에서 보아서 연결뿔(6, 6', 45a, 45b)는 그 중심선(7, 7')이 접촉레일의 종축(5, 5')에 접하여 연결되도록 굽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서 이동면과 대향하는 연결뿔(6, 6', 45a, 45b)의 하측면은 그 자유단부(6b, 6b')가 상부로 휘어지고, 그 자유단부(6b, 6b')와 제 1단부(6a, 6a')사이의 영역에서 이동면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연결뿔(6, 6', 45a, 45b)의 하측면의 곡률은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연결뿔(6, 6', 45a, 45b)의 하측면의 곡률은 연결뿔(6, 6', 45a, 45b)에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텐숀요소(11, 11')를 갖는 조정기구(8)에 의해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서 연결뿔(6, 6', 45a, 45b)은 텐숀요소(11, 11')를 통과하는 슬릿(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텐숀요소(11, 11') 및 슬릿(12)은 연결뿔(6, 6')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텐숀요소(11, 11')의 영역 및/또는 자유단부(6b, 6b')의 영역의 연결뿔(6, 6', 45a, 45b)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6a, 16b, 16c, 17a, 17b, 17c)가 제공되고, 상기 슬릿(12)은 상기 개구(16a, 16b, 16c, 17a, 17b, 17c)중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접촉레일(2, 2', 44)과 이와 관련된 연결뿔(6, 6', 45a, 45b)은 다른 접촉레일(2, 2', 44)과 이와 관련된 연결뿔(6, 6', 45a, 45b)에 대하여 상대 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접촉레일(2, 2', 44)과 이와 관련된 연결뿔(6, 6', 45a, 45[원문대로는 45b])은 이동방향을 가로질러 차량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피봇축(47)을 중심으로 피봇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1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접촉레일(2, 2', 44)과 이와 관련된 연결뿔(6, 6', 45a, 45b)은 다른 접촉레일(2, 2', 4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으며, 그 연결뿔(6, 6', 45a, 45b)은 이동면에 평행한 면에서 병진운동슬라이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연결뿔(6, 6', 45a, 45b)에서 접촉와이어(21, 21', 21a)의 부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부착요소(18a, 18b, 18d, 18d, 26)가 제공되며, 이 접촉와이어(21, 21', 21a)는 접촉레일(2, 2', 44)로부터 단일편으로서 연결뿔(6, 6', 45a, 45b)까지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14.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일단부(6a, 6a')를 갖는 연결뿔(6, 6', 45a, 45b)은 접촉레일(2, 2', 44)의 단부(3, 3')의 부착격실(4, 4')속으로 연장되어 접촉레일(2, 2', 44)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연결뿔(6, 6', 45a, 45b)는 그 연결뿔(6, 6', 45a, 45b)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형상의 탄성접촉요소(75, 76)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뿔(6, 6', 45a, 45b)에는 하나의 접촉요소(75, 76)가 제공되는데, 이 접촉요소(75, 76)는 각각 개구(17a, 17b, 17c)의 영역에서 연결뿔(6, 6', 45a, 45b)을 통과하는 부분(88, 89)을 가지며, 접촉요소(75, 76)는 각각 연결뿔사이에 위치하는 부가의 부분(90, 91)을 가지는데, 이 부분은 볼록하며 이 볼록부(90, 91)는 두 개의 접촉요소(75, 76)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KR1019997002288A 1999-03-17 1997-07-18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KR100331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2288A KR100331060B1 (ko) 1999-03-17 1997-07-18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2288A KR100331060B1 (ko) 1999-03-17 1997-07-18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585A true KR20000068585A (ko) 2000-11-25
KR100331060B1 KR100331060B1 (ko) 2002-04-06

Family

ID=5475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288A KR100331060B1 (ko) 1999-03-17 1997-07-18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996B1 (ko) * 2011-03-29 2015-02-23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전기 기관차용 가공 전선로 시스템의 서로 이어지는 급전 레일의 팽창 연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996B1 (ko) * 2011-03-29 2015-02-23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전기 기관차용 가공 전선로 시스템의 서로 이어지는 급전 레일의 팽창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1060B1 (ko) 200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2936A (zh) 分段绝缘器
CA2887016C (en) Device with two rigid conductor rails and a section insulator
CA2625194A1 (en) Section insulator for a rigid catenary
KR101746285B1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GB2415176A (en) Conductor rail for holding a contact wire
US6206156B1 (en) Section insulator for conductor rails
TWI445638B (zh) 一傳導器軌道配置
KR100331060B1 (ko) 전동차용 접촉레일조립체
RU2518116C2 (ru) Система воздушной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KR101900512B1 (ko) 강체전차선 지지시스템
KR20130087778A (ko) 신축이음장치
KR20170035193A (ko) 강체전차선 연결구조
KR100503025B1 (ko) 가공 송전 선로 철탑용 점퍼선 고정장치
US5810137A (en) Double-beam cut-out section insulator
CN1154586C (zh) 用于导电轨道的分段绝缘体
KR20170058766A (ko) 강체전차선 및 그 연결구조
US4029182A (en) Overhead electric traction systems
EP2613962B1 (de) Streckentrenneinrichtung für eine stromschienen-oberleitungsanlage
JPS6271117A (ja) 耐雷ホ−ン碍子装置
ES2795882T3 (es) Dispositivo de aislamiento de sección y uso del mismo
EP3766730B1 (en) System for carrying contact wires
KR20170039432A (ko) 강체전차선
GB2402373A (en) Neutral section for overhead power conductor
Gabbott Catenary and pantograph design and interface
GB2201133A (en) Space saving overhead power supply for electric railways in tun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