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402A - 체액 처리용 흡착재 및 체액 처리용 흡착기 - Google Patents

체액 처리용 흡착재 및 체액 처리용 흡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402A
KR20000068402A KR1019997001725A KR19997001725A KR20000068402A KR 20000068402 A KR20000068402 A KR 20000068402A KR 1019997001725 A KR1019997001725 A KR 1019997001725A KR 19997001725 A KR19997001725 A KR 19997001725A KR 20000068402 A KR20000068402 A KR 20000068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luid
substance
adsorbent
fluid treatment
porous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꾸야마쓰또무
Original Assignee
후루타 다케시
가네가후치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타 다케시, 가네가후치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타 다케시
Publication of KR20000068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40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42Shaped bodies; Monolithic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79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6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08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1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consisting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6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08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12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consisting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34Inorganic material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44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46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 B01J20/3248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type of heteroatom selected from a nitrogen, oxygen or sulfur,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44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46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 B01J20/3248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type of heteroatom selected from a nitrogen, oxygen or sulfur,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 B01J20/3253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type of heteroatom selected from a nitrogen, oxygen or sulfur,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comprising a cyclic structure not containing any of the heteroatoms nitrogen, oxygen or sulfur, e.g. aromatic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2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01J20/3274Proteins, nucleic acids, polysaccharides, antibodies o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흡착 용량과 흡착 속도를 갖고, 체외 순환법에 사용할 수 있는 체액 처리용 흡착재 및 체액 처리용 흡착기에 관한 것이다. 체액 처리용 흡착 재료는 독립된 복수의 관통된 유로를 갖는 다공질체로 이루어진다. 다공질체는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이나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을 고정시켜 얻어지는 물질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체액 처리용 흡착재 및 체액 처리용 흡착기 {ADSORBING AGENT FOR TREATING HUMOR AND ADSORBING DEVICE FOR TREATING HUMOR}
혈장 등의 체액중의 악성물질인 불필요한 성분을 흡착제거하기 위해, 종래부터 여러가지의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활성탄입자를 흡착기에 충전하거나, 혈액적합성이 비교적 우수한 재료로 표면을 피복한 활성탄입자를 흡착기에 충전하여, 이것에 직접 혈액을 흘려보내는 방법 등이 실시되어 왔다.
최근, 혈장분리기의 개량이 진전되어 실용화되어옴에 따라, 분리된 혈장으로부터 불필요한 성분을 흡착제거하기 위한 흡착기가 제안되어, 이와 같은 흡착기에 충전하는 흡착재의 연구가 실시되게 되었다.
체액중의 악성물질의 제거는, 질병을 가진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처리한 후에 혈액을 환자의 체내로 반환하는 소위 체외순환법으로 실시되는 일이 많다. 분리혈장을 대상으로 하는 흡착기를 이와 같은 체외순환법에 적용하면, 전혈을 분리하여 혈장만을 취출하여, 혈장관류에 의해 불필요한 성분을 흡착제거하는 공정을 수반하기 때문에, 체내에서 채취한 혈액량이 많아져, 환자의 부담이 큰 것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혈액 중의 불필요한 성분을 전혈에서 흡착제거할 수 있는 흡착재가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흡착재로서는, 이제까지 혈장관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입자형상의 흡착재로서 충전한 입자의 사이를 혈구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로 크게 한 입자형상 흡착재 ; 섬유형상 흡착재 ; 혈장분리막과 동일한 중공사 형상의 흡착재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흡착재가 입자형상이면, 보관이나 충전시에 입자끼리가 접촉됨으로써 미립자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전혈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입자의 사이가 좁으면 혈구성분이 막히는 일이 있어, 혈구가 지장없이 흐르도록 당해 입자의 입경을 일정 이상으로 크게 하지않으면 안되지만, 입경을 크게 하면 혈액과의 접촉면적이 감소되어 흡착효율이 저하되는 모순이 있는 것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흡착재가 섬유형상이면, 흡착기에 있어서의 흡착재의 충전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흡착기 단위체적당의 흡착재의 양이 적어져, 입자형상의 흡착재와 비교하여 흡착용량이 매우 낮아 실용적이지 않다.
중공사 형상의 흡착재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전되고 있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278503 에는, 중공사 내의 관형상 유로에 혈액을 흘려보내, 일부 혈장을 중공사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강제적으로 흘려보내 흡착시키는 여과흡착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중공사 형상의 흡착재에서는 혈장을 여과하기 위한 펌프가 필요하였다. 또, 중공사의 외측의 부분에, 유로도 아니고 흡착재도 없는 공간으로, 여과흡착된 체액이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것만의 소위 사공간 (死空間)이 존재하기 때문에, 흡착기에서의 흡착재의 충전율이 낮고, 결과적으로 흡착용량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중공사의 사이에 흡착재를 충전한 것도 제안되고 있는데, 흡착기내의 중공사나, 충전한 흡착재사이의 공극도 흡착에 관여하지 않으므로, 흡착기에서의 흡착재의 충전율이 낮아져 흡착용량의 저하는 불가피하였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61-113464 호 에는, 하니컴 (honeycomb) 형상의 활성탄을 이용하여 전혈을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로는, 흡착제거할 수 있는 물질은, 빌리루빈 (bilirubin), 크레아티닌 (creatinine), 아미노산, 그 외의 중분자량 ∼ 저분자량 물질이나 약독물 등의 활성탄에 흡착할 수 있는 것에 한정되어 있고, 또한 선택성이 없었다. 또, 이와 같은 하니컴형상의 활성탄을 이용하는 기술은, 공기중의 가스 제거 등의 용도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응용한 것에 불과하며, 흡착재의 충전율을 크게 하는 것이나 체액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는 것등의 검토는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체외순환법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흡착용량, 흡착속도를 갖는 것이 아니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우수한 흡착용량과 흡착속도를 가져, 체외순환법에 사용할 수 있는 체액 처리용 흡착재 및 체액 처리용흡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체액을 흘려보내기 위한 독립된 복수의 관통된 유로를 갖는 다공질체로 이루어지는 체액 처리용 흡착재로, 상기 다공질체는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 및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을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물질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인 체액 처리용 흡착재이다.
또, 본 발명은 체액이 유입되는 입구 및 체액이 유출되는 출구를 갖는 용기와, 상기 체액 처리용 흡착재로 이루어지는 체액 처리용 흡착기로, 상기 체액 처리용 흡착재의 유로의 양단이, 상기 용기의 입구 및 출구에 이어져 있는 체액 처리용 흡착기이다.
본 발명은 전혈이나 혈장 등의 체액 중의 악성물질을 피흡착물로서 흡착제거하기 위한 체액 처리용 흡착재 및 체액 처리용 흡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착재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면내의 파선은 유로가 관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착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면내의 화살표는 체액이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부호 1 은 다공질체를 나타낸다.
부호 2 는 관통된 유로를 나타낸다.
부호 3 은 용기를 나타낸다.
부호 4 는 체액입구를 나타낸다.
부호 5 는 체액출구를 나타낸다.
부호 6 은 포트(port)부를 나타낸다.
부호 a 는 체액 처리용 흡착재를 나타낸다.
부호 b 는 체액 처리용 흡착기를 나타낸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착재는 체액을 흘려보내기 위한 독립된 복수의 관통된 유로를 갖는 다공질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공질체는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 및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을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물질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 중, 상기 피흡착물이란, 체액중에 존재하는 악성물질 등의 불필요한 성분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혈액중의 빌리루빈, 크레아티닌, 아미노산, 그 외의 중분자량의 물질, 저분자량의 물질, 약독물, 저비중 리포단백질, 면역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다공질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리, 실리카겔, 활성탄 등의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것 ; 폴리술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산메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소수성의 것 ; 폴리아크릴산 등의 이온교환능을 갖는 것 ; 소수성모노머와 친수성모노머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공중합체 등의 합성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일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며, 2 종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다공질체로서는 비활성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다공질체로서는, 친수성의 것, 소수성의 것의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피흡착물 이외의 물질에 대한 선택성이 없는 흡착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다공질체는, 피흡착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피흡착물이 저비중 리포단백질인 경우에는, 폴리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피흡착물이 β-2-미크로글로부린인 경우에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 (PMMA) 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을 고정하여 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다공질체는,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을 다공질체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에 고정한 것이다.
상기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로서는, 피흡착물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을 일으켜 흡착할 수 있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미노산, 펩티드, 단백질, 항원, 항체, 포체, 혈액응고계 단백질, 효소, 단당, 올리고당, 다당, 당단백질, 지질, 핵산, 비단백 유기화합물, 무기물 등의 종래의 체액 처리용 흡착재에 사용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혈액 중에 용출되었다고 해도 항원성 및 독성이 약한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혈구와 접촉했을 때에 적혈구를 용혈시키지 않고, 백혈구를 항원에 대하여 민감한 반응을 하는 상태로 하지 않으며, 혈소판과 반응하여 점착시키거나 하지 않고, 응집시키거나 하지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아미노산, 펩티드, 단백질, 당단백질, 핵산, 비단백유기화합물, 무기물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은, 피흡착물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피흡착물이 저비중 리포단백질인 경우에는, 덱스트린황산, 헤파린, 폴리아미노산 등의 폴리애나이언 (polyanion) ; 아닐린, 아닐린 유도체 등의 방향족 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피흡착물이 β-2-마이크로글로불린인 경우에는, 세틸아민 등의 알킬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공질체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리, 실리카겔, 활성탄 등의 무기물 ; 가교폴리비닐알코올, 가교폴리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아크릴아미드, 가교폴리스틸렌 등의 합성고분자화합물 ; 결정성셀룰로스, 가교셀룰로스, 가교아가로스, 가교덱스트린 등의 다당류 등의 유기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공질체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서는, 비활성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질체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서 활성탄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을 고정하기 위해, 또, 다공질체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자체에 의한 선택성이 없는 흡착인 비특이흡착을 억제하기 위해, 활성탄에 친수성 폴리머를 코팅하여, 가교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질체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서는, 친수성의 것, 소수성의 것의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비특이흡착이 적으므로 친수성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공질체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서 예시되는 것 중, 기계적강도가 비교적 커 강인하고, 또한 친수성으로,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과의 결합에 이용할 수 있는 수산기가 다수 존재하여, 비특이흡착이 적어, 혈액적합성이 합성고분자에 비하여 높은 것 등의 이점을 갖고 있으므로, 셀룰로스 및 셀룰로스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을 상기 다공질체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유결합, 이온결합, 물리흡착, 포매(包埋), 다공질체표면에 대한 침전불용화 등의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고정하는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의 용출성을 고려하면, 공유결합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유결합에 있어서, 다공질체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을 미리 활성화시킴으로써,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의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에폭시드법, 할로겐화시안법, 과요드산법, 가교시약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성화의 방법은 사용하는 상기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을 고정할 때에, 필요에 따라 스페이서를 상기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과 상기 다공질체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과의 사이에 도입하여도 된다.
상기 스페이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정은 다공질체를 성형한 후에 실시하여도 되고, 상기 다공질체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을 활성화한 후, 다공질체를 성형하기 전에 실시하여도 된다.
상기 다공질체의 포아 (pore) 직경은 피흡착물의 크기,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데, 통상 0.005 ∼ 2 ㎛ 가 바람직하다. 0.005 ㎛ 미만이면 피흡착물이 다공질체의 내부에 들어가지 않기때문에 흡착성능이 저하되고, 2 ㎛ 를 초과하면 다공질체에 피흡착물을 흡착할 수 있는 장소가 적어져 단위체적당의 흡착량이 감소되어 버린다.
상기 다공질체의 포아 직경은, BET 식 표면적 측정장치, 수은압입법, SEM 관찰 등의 상기 다공질체의 성질에 따른 측정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다공질체는 체액이 접촉하는 부분의 포아 직경을 상술의 범위로 하고 있으므로, 피흡착물이 들어가는데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어, 중분자량물질이나 저분자량물질만이 아니라, 저비중 리포단백질이나 면역복합체 등의 고분자량 물질도 흡착할 수 있다.
상기 다공질체는, 체액이 접촉하는 부분의 포아 직경과 그 외 부분의 포아 직경이 동일한 전체 다공질체구조이어도 되며, 체액이 접촉하는 부분의 포아 직경이 그 외의 부분의 포아 직경과 비하여 작은, 소위 스킨구조이어도 된다.
상기 다공질체가 상기 스킨구조이면, 상기 다공질체의 피흡착물에 대한 선택성이 약간 낮은 경우이더라도, 체액이 접촉하는 포아 직경이 작은 부분에서 피흡착물보다 분자량이 큰 물질을 배제할 수 있어 유효하다. 또한, 체액으로서 전혈을 흘려보내는 경우, 상기 다공질체의 체액이 접촉하는 부분으로의 혈구성분의 침입을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
상기 다공질체는 체액을 흘려보내기 위한 독립된 복수의 관통된 유로를 갖고 있다. 상기 독립된 복수의 유로는, 상기 다공질체내를 관통하고 있으면 되어 배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독립된 복수의 유로는, 체액중의 불요성분의 흡착효율을 높이기 위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복수의 유로가 서로 교차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정확하게 평행이 아니더라도 거의 평행으로 서로 교차하는 일이 없는 경우도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평행에 포함된다.
상기 독립된 복수의 유로의 총용적 (A) 과, 독립된 복수의 관통된 유로를 제외한 부분의 총용적 (B) 과는, B/(A+B) 가 0.5 이상으로 0.9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B/(A+B) 는 체액 처리용 흡착기에서의 체액 처리용 흡착재의 충전율로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는, 상기 체액 처리용 흡착재의 충전율은, 상기 체액 처리용 흡착기가 갖고 있는 포트부라 불리는 체액의 출입구부근의 공간도 포함한 것인데, 상기 포트부는 어떠한 체액 처리용 흡착재를 사용하여도 필요하게 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체액 처리용 흡착재의 성질로서의 충전율은 상기 B/(A+B) 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B/(A+B) 가 0.5 미만이면, 체액 처리용 흡착기에서의 체액 처리용 흡착재의 충전율이 저하되므로 흡착용량이 저하되고, 0.95 를 초과하면 충전율은 높아지지만 유로의 수가 적어지기도 하고 유로의 지름이 작아지기도 하여 통액이 곤란해진다.
상기 B/(A+B) 는 상기 독립된 복수의 유로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유로에 직행하는 평면에서 체액 처리용 흡착재를 절단했을 때의 유로부분의 단면적을 A' 로 하고, 상기 유로부분을 제외한 체액 처리용 흡착재의 단면적을 B' 로 하면, B/(A+B) = B'/(A'+B') 가 되므로, 상기 유로의 단면적의 비율 B'/(A'+B') 를 구함으로써 상기 B/(A+B) 를 구할 수 있다.
상기 독립된 복수의 유로의 단면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사각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로의 단면형상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의 단면형상이 원형이면, 체액을 흘려보내는 경우에 체액 처리용 흡착재에 걸리는 부하가 적으므로 체액 처리용 흡착재로서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이란 꼭 둥근 원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타원 등의 각을 갖지않는 형으로 거의 원형인 것도 동일하게 체액 처리용 흡착재로서 바람직하므로 여기에서 말하는 원형에 포함된다.
상기 독립된 복수의 유로의 지름은, 단면형상이 원형인 경우, 직경 20 ∼ 500 ㎛ 이 바람직하다. 20 ㎛ 미만이면 흡착속도의 점에서는 체액과 접촉하는 유로의 면적이 커져 바람직하지만, 통액시의 압손이 상승되거나 체액중에 함유되는 각종의 단백질이 유로내에 부착되거나 응고되기도 하기 때문에, 막힘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막힘이 발생하면 체액으로서 전혈을 흘려보낸 경우에는, 적혈구의 파괴인 용혈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500 ㎛ 를 초과하면, 통액시의 압손은 낮아지고 막힘도 발생하지 않지만, 체액과 접촉하는 유로의 면적이 적어지기 때문에 흡착속도가 저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유로의 총용적 (A) 을 일정하게 하여, 직경을 2 배로 한 경우, 상기 유로 하나당의 체액과 접촉하는 유로의 면적은, 직경에 비례하여 2 배로 증가하지만, 상기 유로 하나 당의 용적이 직경의 2 승에 비례하여 4 배로 되기때문에, 상기 유로의 수가 1/4 로 되어, 전체적으로 체액과 접촉하는 유로의 면적이 감소된다. 특히, 피흡착물의 분자량이 큰 경우, 예를 들면, 저비중 리포단백질 등의 경우에는, 체액 중 및 체액 처리용 흡착재내에서의 확산계수가 적어지므로, 흡착속도를 크게 하기위해서는, 체액과 접촉하는 유로의 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 다공질체의 형상은 체액을 흘려보내기 위한 독립된 복수의 관통된 유로를 갖고 있고, 체액 처리용 흡착기에 장착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관통된 유로를 갖는 형상은, 하니컴 형상이라 불리는 일도 있다.
상기 다공질체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의 관통된 유로를 갖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 ; 유로를 갖고 있는 시트형상이나 봉형상의 다공질체를 제작하여, 얻어진 다공질체를 묶는 방법 ; 미리 필요로 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다공질체에 유로를 관통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된 유로를 갖는 형상으로 다공질체를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제작하고싶은 단면형상에 따른 노즐을 사용하여, 고점도용액 또는 점토형상으로 한 다공질체를 형성하는 제료를 상기 노즐로 부터 압출하여, 틱소트로피 (thixotropy) 효과를 이용하거나, 냉각하거나 하여 유동성을 저하시켜 성형체로 한다. 성형과 동시 또는 성형후, 가열소각이나 용제추출 등에 따라, 세공이 되는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복수의 관통된 유로를 갖는 다공질체로 한다.
상기 유로를 갖고 있는 시트형상이나 봉형상의 다공질체는,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관통된 유로를 갖는 형상으로 다공질체를 성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지만, 그 외에는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제작하고싶은 단면형상에 따른 다심용의 노즐을 이용하여, 내측의 노즐구멍으로 부터 기체 또는 액체를 압출함과 동시에, 외측의 노즐구멍으로부터 다공질체를 형성하는 물질을 용해한 용액을 압출한 후, 응고액에 침지하여 유동성을 저하시킨다. 상기 유동성을 저하시킬 때에, 소정의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유로를 갖고 있는 시트형상이나 봉형상의 다공질체로 한다.
상기 미리 필요로 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다공질체에 유로를 관통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성형후의 다공질체에 기계적으로 유로로 되는 부분을 여는 방법 ; 다공질체를 성형할 때에 유로가 되는 부분에 실을 배치하여 놓고, 성형후 상기 실을 제외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착재는, 체액의 유로를 제외하는 부분을 전부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다공질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종래의 중공사 형상의 흡착재와는 다르게, 사공간이 없이 충전율이 높으므로, 흡착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착재는, 미립형상의 흡착재와 같이 흡착기에 충전할 때나 보존하는 사이에 입자끼리가 접촉하여 미립자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착재는, 그 제조과정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직경 및 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기 유로의 용적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어, 흡착기에서의 충전율을 높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처리에 필요한 체액의 양이 적어도 되어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착재는, 미리 체액을 흘려보내기 위한 유로를 갖고 있으므로, 특히 혈구를 포함하는 전혈을 처리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착기는, 체액이 유입되는 입구 및 체액이 유출되는 출구를 갖는 용기와, 상기 체액 처리용 흡착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는, 상기 체액 처리용 흡착재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용기로서는, 체액이 유입되는 입구 및 체액이 유출되는 출구를 갖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착기는 상기 체액 처리용 흡착재의 유로의 양단이, 상기 용기의 입구 및 출구에 이어져 있는 것과 같이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착기를 체액을 순환시키는 장치에 접촉함으로써, 체액을 상기 체액 처리용 흡착재로 처리할 수 있어, 체액중의 불필요한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착기에는, 필요에 따라, 체액이 응고되지 않도록 항응고제를 지속주입하는 장치, 상기 체액 처리용 흡착재의 막힘 등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계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착재이 일 실시형태를 도 1 에 나타낸다. 체액 처리용 흡착재 (a) 는 체액을 흘려보내기 위한 복수의 유로 (2) 를 가진 다공질체 (1) 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유로 (2) 는 도 1 내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공질체 (1) 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착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 2 에 나타낸다. 체액 처리용 흡착기 (b) 는 체액 처리용 흡착재 (a) 의 유로의 양단이 용기 (3) 의 체액의 입구 (4) 및 출구 (5) 에 이어지도록 접합되어 있다. 상기 체액 처리용 흡착기 (b) 는, 도입된 체액을 효율적으로 체액 처리용 흡착재 (a) 에 흘려보내기 위한 포트부 (6) 라 불리는 체액의 입구 (4) 및 출구 (5) 부근의 공간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착재 및 체액 처리용 흡착기는 상술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체액으로 부터 불요성분인 피흡착물을 효율적으로 흡착제거할 수 있고, 특히 전혈 중의 불필요한 성분을 흡착제거하는 체외순환법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체액을 흘려보내기 위한 독립된 복수의 관통된 유로를 갖는 다공질체로 이루어지는 체액 처리용 흡착재로서,
    상기 다공질체는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 및 피흡착물에 친화성을 갖는 물질을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물질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처리용 흡착재.
  2. 제 1 항에 있어서, 독립된 복수의 관통된 유로가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체액 처리용 흡착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독립된 복수의 유로의 총용적 (A) 과, 독립된 복수의 관통된 유로를 제외한 부분의 총용적 (B) 과는, B/(A+B) 가 0.5 이상으로 0.95 미만인 관계에 있는 체액 처리용 흡착재.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독립된 복수의 관통된 유로는 그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그 직경이 20 ∼ 500 ㎛ 인 체액 처리용 흡착재.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다공질체는 비활성탄으로 이루어지는 체액 처리용 흡착재.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체액이 혈액인 체액 처리용 흡착재.
  7. 체액이 유입되는 입구 및 체액이 유출되는 출구를 갖는 용기와, 청구항 1 에 기재된 체액 처리용 흡착재로 이루어지는 체액 처리용 흡착기로,
    상기 체액 처리용 흡착재의 유로의 양단은 상기 용기의 입구 및 출구에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처리용 흡착기.
KR1019997001725A 1996-09-05 1997-09-05 체액 처리용 흡착재 및 체액 처리용 흡착기 KR200000684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57529A JPH1076004A (ja) 1996-09-05 1996-09-05 体液処理用吸着材及び体液処理用吸着器
JP96-257529 1996-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402A true KR20000068402A (ko) 2000-11-25

Family

ID=1730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725A KR20000068402A (ko) 1996-09-05 1997-09-05 체액 처리용 흡착재 및 체액 처리용 흡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10428A4 (ko)
JP (1) JPH1076004A (ko)
KR (1) KR20000068402A (ko)
CA (1) CA2264799A1 (ko)
WO (1) WO19980096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432B1 (ko) * 2002-04-25 2010-04-02 알테코 메디칼 아베 개선된 분리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2386B2 (en) 2001-03-06 2003-06-24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purpose, automated blood and fluid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DE20121877U1 (de) * 2001-09-27 2003-09-18 Leukocare Gmbh Leukozyten-Inaktivierungs-Modul (LIM)
WO2010073320A1 (ja) * 2008-12-24 2010-07-01 株式会社Reiメディカル 血液浄化処理装置
JP5308171B2 (ja) * 2009-01-20 2013-10-09 株式会社ルネッサンス・エナジー・インベストメント 体液浄化処理用吸着カラム
GB2487760B (en) 2011-02-03 2015-11-18 Univ Surrey Composite adsorbent material
JP5592450B2 (ja) * 2012-09-18 2014-09-17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自走細胞捕捉具
JP6658526B2 (ja) * 2014-08-01 2020-03-0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生体物質の選択的吸・脱着材
JP6834677B2 (ja) * 2016-03-30 2021-02-24 東レ株式会社 吸着カ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21307A (en) * 1982-12-02 1987-05-05 Nobutaka Tani Adsorbent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S6036061A (ja) * 1983-08-08 1985-02-25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JPS6145773A (ja) * 1984-08-07 1986-03-05 テルモ株式会社 体液浄化材
AU612777B2 (en) * 1988-01-07 1991-07-18 Hjl Projects & Developments Ltd Molecular sieve arrangement
JP2777604B2 (ja) * 1988-08-29 1998-07-23 旭メディカル株式会社 体液処理用吸着材
CA2095424A1 (en) * 1992-05-14 1993-11-15 Marc Ellous Parham Microporous polysulfone support suitable for removal of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432B1 (ko) * 2002-04-25 2010-04-02 알테코 메디칼 아베 개선된 분리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0428A2 (en) 2000-06-21
CA2264799A1 (en) 1998-03-12
WO1998009659A1 (fr) 1998-03-12
EP1010428A4 (en) 2000-08-09
JPH1076004A (ja) 1998-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635B2 (en) Low hydraulic resistance cartridge
US5855782A (en) Arrangement for removing substances from liquids, in particular blood
US7985337B2 (en) Device for removing leukocytes from blood
US6008040A (en) Procedures for efficient separation of cells, cellular materials and proteins
US6497675B1 (en) Device for extracorporeal treatment of physiological fluids of organism
US5286449A (en) Adsorber module for whole blood treatment and an adsorber apparatus containing the adsorber module
KR101256363B1 (ko) 혈액으로부터 백혈구의 제거방법
US5407581A (en) Filter medium having a limited surface negative charge for treating a blood material
JP5656871B2 (ja) エンドトキシン用着収剤
EP19220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immune cells
EP0341413B1 (en) An adsorber module and adsorber apparatus for whole blood treatment
AU2013349975A1 (en) Integrated device for liver support system
KR20000068402A (ko) 체액 처리용 흡착재 및 체액 처리용 흡착기
US20240066470A1 (en) Filtration media
JP4997770B2 (ja) 吸着器
JP2007222596A (ja) 白血球およびサイトカインの吸着器
JP3870468B2 (ja) 血漿又は血清分離フィルター
EP0046470B1 (en) Hemoperfusion device for specific modification or removal of components of whole blood
JPS59169532A (ja) C反応性蛋白の吸着材
JP3644169B2 (ja) 血漿あるいは血清分離フィルターおよび血漿あるいは血清分離方法
JPH10179732A (ja) 全血処理装置及び全血処理方法
RU2106155C1 (ru) Колонка для сорбции биологических жидкостей
JP2001204816A (ja) 直接血液灌流用体液処理器
JPH10248927A (ja) 体液浄化用吸着材
JPS6359967A (ja) 複合型血液浄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