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7740A - 자체적으로 블라인드기능을 갖는 창호(칸막이, 벽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체적으로 블라인드기능을 갖는 창호(칸막이, 벽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7740A
KR20000067740A KR1019990019653A KR19990019653A KR20000067740A KR 20000067740 A KR20000067740 A KR 20000067740A KR 1019990019653 A KR1019990019653 A KR 1019990019653A KR 19990019653 A KR19990019653 A KR 19990019653A KR 20000067740 A KR20000067740 A KR 20000067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indow
transmissive
patterne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병주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홍 filed Critical 박재홍
Priority to KR101999001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7740A/ko
Publication of KR20000067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74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자체에 블라인드 기능을 가진 창호
[ 발명의 목적 ]
.창호에 있어서 주요 구성 부재인 유리면 자체에 적절한 무늬면을 처리하고 또 상기 유리면을 최단 폭 이동시켜 블라인드 기능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발명의 구성 ]
창호의 주요 구성 재료인 광(光)투과성부재(예:유리)에 있어서 둘이상의 상기 부재가 서로 마주보도록 창호를 구성하되 중첩하는 광투과성무늬면과 비(非)광투과성무늬면을 가지도록 상기 부재에 처리하는 방법
상기 처리된 부재를 재료로 구성한 창호에 있어서
상기부재 자체를 최단 폭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장치를 창호에 설치하고 상기 부재 자체를 이동시켜 중첩된 무늬면의 상대면이 달라져 투과성질이 변하게 하여 블라인드기능이 창호 전체에 나타나도록 하는 방법
[ 발명의 효과 ]
부가적인 블라인드의 설치가 없이 광투과성부재의 자체의 최단 폭이동만으로 창호 전체에 동일한 블라인드 기능을 얻을 뿐만 아니라 방음, 단열의 효과도 증가된다..

Description

자체적으로 블라인드기능을 갖는 창호( 칸막이, 벽체 )의 제조방법과 그 기능의 구현방법 {A method of making a self-blinding window(door, partition, wall) and realizing a self-blinding effect}
[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
본 발명은 블라인드(가리개)기능을 자체에 내재한 창호, 칸막이 또는 벽체에 관한 것이다.
[ 종래기술 ]
유리판재 또는 그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광투과성부재로 이루어진 창호를 가리는 방법으로는 창호에 블라인드, 커튼을 설치하거나 유리판재 자체에 반투명하게 에칭처리 또는 불투명한 물질을 피막하여 이면이 가려지도록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액정을 이용한 창호도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다.{Varilite Vision Panel. Taliq company U.S.A)
.상기의 여러 기술 중에서 본 발명이 구현하려는 창호 자체에 블라인드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과 유사한 것으로는 유리판재 자체에 반영구적으로 에칭 또는 피막처리를 하는 것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일단 처리가 완료되면 그 상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하여 사용자의 선택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 은 같은 성질의 무늬가 마주 보도록 한 실시례의 사시도
도 2 는 도1의 창호 형성시 정면도
도 3 은 도1의 상태에서 부재이동 후의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도3의 창호 형성시 정면도
[ 도면 부호의 용어 설명 ]
(1) : 광투과성부재 (2) : 광투과성무늬면
(3) : 비광투과성무늬면 (4) : 왕복이동 폭
(5) : 창호형성 틀
본 발명은 이러한 블라인드 기능의 선택성에 중점을 두었다.
먼저 본원의 가장 간단한 실시례로서 이해를 돕고자 한다.(단편적인 '예'에 불과함)
일반적인 창호를 구성할 둘 이상의 광투과성부재(1)는 투명한 유리판재를 사용하고 상기 부재 각각에 동일한 방식으로 광투과성무늬면(2)은 투명유리 그대로 하여 이면이 보이도록 하고, 비광투과성무늬면(3)은 불투명한 물질로 피막하여 이면이 가리워 지도록 처리 한다(도 1 참조)
이 때 상기 서로 다른 성질의 무늬면(2,3)을 도1과 같이 교대로 배열되도록 상기 부재(1) 각각에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한 후에 서로 면과 면이 마주보도록 창호를 구성하면 전체는 투명한 면(2)과 불투명한 면(3)으로 구분되어 나타난다.(도2)
그리고 도1과 같은 상태에서 한 쪽의 광투과성부재(1)는 고정시키고 다른 부재 자체를 도3과 같이 마주보는 상태를 유지하며 무늬면이 교대로 배열한 방향과 같은 방향의 무늬면(2,3)의 최단 폭(4) 하나의 크기 만큼만 이동시키면 비광투과성무늬면(3)이 나열되어 도 4와 같이 창호 전체가 불투명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반대로 이동시키면 창호에는 투명한 면이 나타나 이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부재(1)의 왕복운동에 의해 블라인드 기능이 선택 구현되는 것이다. 특히 만일 무늬면의 폭을 1Cm로 처리하면 창호 전체에 블라인드 기능이 구현되도록 하는 데에는 단지 1Cm의 부재 이동만이 필요한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이하 본원의 구성과 방법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유리판재와 같은 재료로 형성된 창호,칸막이 또는 벽체(이하 '창호'로 대표한다)의 상기 유리판재와 같은 역할을 하는 둘 이상의 광투과성부재(光透過性部材)로 창호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기의 창호 형성용 광투과성부재(1)의 각각의 면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투명하거나(transparent) 반투명한(translucent) 광투과성무늬면(2)과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한 비광투과성무늬면(3)을 형성하되 성질이 다른면이 서로 이웃 하도록 교대로 배열 처리한다.(도1의 무늬면 배열참조)
이때 광투과성무늬면(2)의 성질은 서로 마주보는 광투과성부재들의 동일한 광투과성무늬면이 겹쳐질 경우에 전체적으로 광투과성을 유지하여 이면이 보이는 것을, 비광투과성무늬면(3)의 성질은 광투과성무늬면과 겹쳐질 경우에 전체적으로 비광투과성질이 유지되어 이면이 가려지는 정도를 의미한다
. 그리고 무늬면(2,3)의 교대 배열 방향은 광투과성부재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하여 만일 하나 이상의 상기부재(1)가 이동하면 하나의 무늬면 폭 만큼 서로 마주보는 상대 부재(1)의 무늬면(2)과 무늬면(3)이 달라져 교대로 겹쳐지도록 처리한다 (도 1의 무늬면 배열 방식)
또 무늬면에는 편광부재( Polaroid material )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의 광투과성무늬면과 비광투과성무늬면 대신에 편광부재로 무늬면을 처리하되 투과축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거나 직각에 근접하는 상이한 투과축을 지닌 편광부재를 교대로 배열하여 블라인드 기능을 유도할 수도 있다.( 예: 횡투과축 편광부재와 종투과축 편광부재의 교대 배열 )
이러한 경우 각각의 광투과성부재에 형성된 편광부재면( polarroid-sheet ) 중에서 투과축이 교차하는 편광부재면이 서로 겹치면 빛이 모두 흡수되어 창호가 어두워지고 반대로 같은 방향의 투과축을 지닌 편광부재면이 겹치면 빛이 투과하여 창호의 이면이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하 구성 및 구현은 동일함 )
상기와 같이 처리된 둘이상의 광투과성부재(1)로 창호를 형성하되 면과 면이 마주보도록 하고 또 상기 하나 이상의 광투과성부재(1)가 마주보는 상태를 유지하며 왕복 이동 할 수 있는 적절한 장치를 설치하여 창호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왕복 이동 방향은 상이한 투과성을 지닌 무늬면이 교대로 배열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고, 이동 폭(4)은 한번의 왕복 이동에 의하여 서로 마주보는 무늬면(2,3)의 겹쳐지는 상대가 달라져 겹쳐진 무늬면(2+3 또는 2+2,3+3)의 성질 또한 교대로 변하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편광부재면인 경우에는 서로 교차하는 투과축을 지닌 면이 겹치거나 동일한 투과축을 지닌 면이 교대로 겹치도록 )
이렇게 형성된 창호에서 사용자가 수동 또는 구동장치에 의해 하나 이상의 광투과성부재(1)를 배열된 무늬면의 최단 폭(4) 만큼만 이동시키면 창호 전체의 무늬면들이 서로 상대를 바꿔 가며 겹쳐지는 현상(도2,도4)이 나타나 블라인드기능이 구현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투과성부재(1) 자체를 무늬면(2,3)의 최단 폭 만큼만 이동시켜도 창호 전체에 동일한 블라인드 효과가 나타나며 만일 무늬면의 폭을 창호 형성틀의 폭 보다 작게 하면 최초 창호의 모양을 유지한 채 블라인드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창호의 면을 이루는 부재(1)를 둘 이상 사용하므로 단열 및 방음의 효과가 부가된다.

Claims (2)

  1. 서로 마주보는 둘 이상의 광투과성부재(1)로 형성되고 상기부재 중에서 하나 이상을 최단 폭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장치하여 형성한 창호,칸막이 또는 벽체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부재(1) 각각의 면에 동일한 방식으로 광투과성무늬면(2)과 비광투과성무늬면(3)을 교대로 배열 처리하되(도1참조) 무늬면(2,3)의 배열 방향은 광투과성부재(1)의 이동방향과 같도록 하고 상기왕복 이동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무늬면(2,3)의 상대가 달라져 겹쳐진 무늬면(2+2,3+3 또는 2+3)의 광투과 성질 또한 교대로 변하도록 처리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와 같이 무늬면이 처리된 둘이상의 광투과성부재(1)로 형성된 창호,칸막이 또는 벽체에서 최소 하나 이상의 광투과성부재 자체를 설치된 장치에 의하여 무늬면의 최단폭 만큼 왕복 이동시키면 블라인드 효과가 구현되는 것을 중요한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의 광투과성부재(1)에 성질이 다른 무늬면을 교대로 형성하는데 있어서, 무늬면에 서로 교차하거나 직각에 근접하는 상이한 투과축을 지닌 편광부재(Polaroid material)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19653A 1999-04-20 1999-05-29 자체적으로 블라인드기능을 갖는 창호(칸막이, 벽체)의 제조방법 KR20000067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653A KR20000067740A (ko) 1999-04-20 1999-05-29 자체적으로 블라인드기능을 갖는 창호(칸막이, 벽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092 1999-04-20
KR19990014092 1999-04-20
KR1019990019653A KR20000067740A (ko) 1999-04-20 1999-05-29 자체적으로 블라인드기능을 갖는 창호(칸막이, 벽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740A true KR20000067740A (ko) 2000-11-25

Family

ID=26634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653A KR20000067740A (ko) 1999-04-20 1999-05-29 자체적으로 블라인드기능을 갖는 창호(칸막이, 벽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77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962B1 (ko) * 2006-10-27 2007-07-1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이지알 부품이 통합된 이지알 연결장치
WO2012044535A3 (en) * 2010-10-01 2012-06-21 Hanoch Shalit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image characteristics of a window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962B1 (ko) * 2006-10-27 2007-07-1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이지알 부품이 통합된 이지알 연결장치
WO2012044535A3 (en) * 2010-10-01 2012-06-21 Hanoch Shalit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image characteristics of a wind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63401B (zh) 光源设备和立体显示设备
CN102203370A (zh) 多窗格动态窗户及其制造方法
TWI696865B (zh) 多功能調光玻璃
CN104656294A (zh) 后视镜
KR20000067740A (ko) 자체적으로 블라인드기능을 갖는 창호(칸막이, 벽체)의 제조방법
US20140355115A1 (en) Dimming Device
US10295837B2 (en) Variable transmission window with blackout bars
KR20000075195A (ko) 자체적으로 블라인드기능을 갖는 창호(칸막이, 벽체)의 제조방법
JP6418488B2 (ja) 調光装置および調光装置の設置方法
JP6578640B2 (ja) 調光装置、設置方法および区画部材
JP2019511820A (ja) 局所的に調光可能な導光板およびそれを含む表示装置
CN205259520U (zh) 一种玻璃背景墙装饰结构
KR101782855B1 (ko) 화면 방향전환 구현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037765A (ja) 光制御装置及び光制御装置の設置方法
CN114280840B (zh) 一种调光玻璃和玻璃模组
JP2019194646A (ja) 表示装置
JP2015174810A (ja) 複層ガラス
JP7021903B2 (ja) 調光パネルおよび該調光パネルを連接した連接パネル装置
JPS61186691A (ja) ブラインド部材
WO2017175805A1 (ja) 調光装置、調光フィルム、調光フィルム付基材、調光装置キット及び調光フィルムの貼付方法
CN110794571B (zh) 透光组件
JPH0356632Y2 (ko)
JPH07305448A (ja) 建物の窓、扉または仕切り板
KR20150007676A (ko) 인테리어 유리판재
JPH03121414A (ja) 調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