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7625A - 대형 도자조형물용 흙, 대형 도자조형물용 가마 및 그 가마를 이용한 대형 도자조형물 소성방법 - Google Patents

대형 도자조형물용 흙, 대형 도자조형물용 가마 및 그 가마를 이용한 대형 도자조형물 소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7625A
KR20000067625A KR1019990015605A KR19990015605A KR20000067625A KR 20000067625 A KR20000067625 A KR 20000067625A KR 1019990015605 A KR1019990015605 A KR 1019990015605A KR 19990015605 A KR19990015605 A KR 19990015605A KR 20000067625 A KR20000067625 A KR 20000067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ln
ceramic
soil
sculpture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8904B1 (ko
Inventor
김구한
Original Assignee
김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구한 filed Critical 김구한
Priority to KR10-1999-001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904B1/ko
Publication of KR20000067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2Waste materials; Refuse; Resid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016Chamber type furnaces
    • F27B17/0041Chamber type furnaces specially adapted for burning bricks or pott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형 도자조형물용 흙은 산청토 50.6∼51.9중량%, 연탄재 5.1∼5.4중량%, 샤모트 B6 3.8∼3.9중량%, 샤모트 B1 3.5∼3.8중량%, 분청토 20.7∼25.3중량%, 고령토 7.6∼10.4중량%, 및 톱밥 3.8∼4.2중량%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흙으로 제작된 대형 도자조형물은 대형 도자조형물용 가마에서 하기와 같이 소성된다. 가마(4)에 버너(3)를 사용하여 대형 도자조형물을 1000℃까지 산화불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대형 도자조형물을 1000℃부터 1350℃까지는 환원염으로 불을 지피고; 그리고 상기 산화불 및 환원염은 열 조절장치인 댐퍼(2)로 조절한다. 대형 도자조형물을 굽기위한 가마는 하기와 같이 제작된다. 콘크리트 기초(9)를 만들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 위에 흙을 쌓고; 상기 흙 위에 구들장(6)을 받치기 위한 기둥(7)을 설치하고; 상기 기둥 위에 구들장을 설치하고; 대형 도자조형물을 상기 구들장 위에 설치하고; 상기 대형 도자조형물의 주위에 수직벽을 쌓고; 상기 수직벽 위에 타원형으로 원추형 도자 벽돌을 옆으로 뉘어가면서 나선형으로 쌓아올라가고; 그리고 나선형으로 쌓아올린 후 꼭지점에서 남게되는 구멍 하나는 역원추형 도자 벽돌 하나로 막아 버리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연통은 가마의 구들장 하부와 연결되고, 댐퍼는 연통에 설치된다.

Description

대형 도자조형물용 흙, 대형 도자조형물용 가마 및 그 가마를 이용한 대형 도자조형물 소성방법 {Clay for a large ceramic ware, Kiln for a large ceramic ware and Method of calcining a large ceramic ware}
본 발명은 대형 도자조형물용 흙, 대형 도자조형물용 가마 및 소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 도자기 제조에 사용되는 흙보다 가볍고 수축률이 적고 그리고 두께가 두꺼운 도자조형물의 건조가 가능한 흙 및 이를 사용하여 제작된 대형 도자조형물을 굽기 위한 가마 및 그 가마를 사용하여 대형 도자조형물을 소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어느 곳을 가나 도자기 산업에 필요한 원료가 많이 매장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지하자원의 80% 가량이 요업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도자기 산업에 사용되어온 흙으로는 고령토, 점토, 내화토, 일반 백토, 분청용 흙, 청자용 흙, 본차이나용 흙 등이 있으며, 보조재료로는 석회석, 규석, 장석, 도석 등이 있으며, 상기 원료를 적절히 배합하여 도자기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통상 도자기 굽는데 사용되는 흙은 소형 및 중형 도자기를 제작하는데 적합한 것으로서 대형 도자조형물 제작에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흙의 무게로 인하여 무너져 내리거나, 건조시 균열이 발생하거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열을 가하여 인위적으로 건조시킬 경우 파열될 수가 있으므로 대형 도자조형물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다.
도자기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작업은 도자기를 빚는 일과 도자기를 굽는 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도자기 굽는 일이 더 중요하다. 도자기를 굽는대 사용되는 전통가마는 승염식 가마, 단가마, 너구리 가마 등이 있다.
전통가마의 불때는 방법은 봉통(큰아궁이)에서 굵은 장작으로 12시간 정도를 때주고 나면 첫째칸의 온도가 약 1200℃ 정도에 도달한 후, 큰아궁이 불을 끄고 첫째칸의 작은 아궁이에 가는 장작으로 2∼3시간 정도 불을 땐다. 이런과정을 반복하면서 셋째, 넷째, 다섯째칸으로 불을 때어 이어 올라간다. 이와 같은 방법은 소형 및 중형 도자기를 굽는데 사용되는 방법이며, 대형 도자조형물을 굽는데는 적합하지 않다.
통상 도자기를 굽는데 사용되는 승염식 가마, 단가마 또는 너구리 가마는 가마를 제작하기 위하여 타원형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위에 사다리꼴 벽돌을 맞물려 쌓고, 그 후에 거푸집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마를 제작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대형 도자조형물을 위한 가마를 제작할 경우 무너져 내리므로, 상기 시공방법은 소형 및 중형 도자기에 적합한 가마를 제작하는 방법이다. 대형 도자조형물을 굽기 위해서는 통상 사용되는 전통가마 시공방법으로 대형 도자조형물용 가마를 제작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대형 도자 조형물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흙, 대형 도자조형물용 가마 및 대형 도자조형물의 소성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른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도자조형물을 제작하기 위한 흙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 도자조형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가벼운 흙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축률이 적은 도자조형물 제작용 흙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볍고 수축률이 적은 흙을 사용하여 제작된 도자조형물을 소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형 도자조형물을 소성시킬 수 있는 가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흙을 사용하여 제작된 대형 도자조형물을 소성시키기 위한 가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은 본 발명의 흙을 사용하여 제작된 대형 도자조형물을 소성시키기 위한 가마 내부의 열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가마의 상부를 원추형 도자 벽돌을 사용하여 나선형으로 쌓아 올라가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연통 2: 댐퍼
3: 버너4: 가마
5: 도자조형물 6: 구들장
7: 받침대8: 흙
9: 콘크리트 기초10: 구멍
11: 구멍
본 발명은 대형 도자조형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가볍고 수축률이 적은 흙, 대형 도자조형물을 굽기위한 가마 및 그 가마를 사용하여 대형 도자조형물을 소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흙은 산청토 50.6∼51.9중량%, 연탄재 5.1∼5.4중량%, 샤모트 B6 3.8∼3.9중량%, 샤모트 B1 3.5∼3.8중량%, 분청토 20.7∼25.3중량%, 고령토 7.6∼10.4중량%, 및 톱밥 3.8∼4.2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구성성분을 우선 채로 걸러낸 후, 상기의 배합비율로 배합된 원료들을 물에 풀어 그 앙금을 일으켜 다른 통에 붓고 앙금이 갈아 앉으면 맑은 물을 다시 앙금을 일으키는 통에 넘기고 다시 앙금을 일으켜 그 앙금을 통에 넘겨 갈아 앉히는 반복작업을 계속하여 앙금을 갈아 앉힌 후 물기를 건조시켜 흙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흙은 통상 도자기 제작에 사용되는 흙과 장력은 같으면서 약 1/4 정도 무게가 가벼워진다. 상기 통상 도자기 제작에 사용되는 흙은 일반 백토, 분청용 흙, 청자용 흙, 본차이나용 흙 등이다.
또한, 본 발명의 흙으로 도자조형물을 두껍게 제작하여도 자연 건조시에 균열이 생기거나 뒤틀림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가마에 넣고 인위적으로 건조를 시켜도 파열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흙은 45㎝의 두께로 제작되어도 자연 건조시킬 수 있으며, 건조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인위적인 건조가 가능하다. 이에 반해 일반적인 흙은 10㎝의 두께만 되어도 자연 건조시에 많은 균열이 생기거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열을 가하여 인위적으로 건조시킬 경우 파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45㎝의 두께의 흙을 자연 건조시키는 것은 불가능 하지만 만약 자연 건조를 시킬경우 약 1년 정도가 소요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흙은 인위건조가 가능하므로 약 7일 정도로 건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흙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다공질의 재료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흙은 소성시에 발생하는 수축률을 줄일 수 있다. 즉, 일반적인 흙은 건조시킨 후에 18%∼18.7% 정도로 수축하지만, 본 발명의 흙은 14% 정도로 수축한다. 이는 당 분야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흙을 사용하여 제작된 대형 도자조형물을 본 발명에 따른 가마에서 소성시키는 방법을 도2와 함께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가마(4)에 버너(3)를 사용하여 1000℃까지 산화불로 가열하고, 1000℃ 부터 1350℃까지는 환원염으로 불을 지핀다. 상기 산화불과 환원염은 열 조절장치인 댐퍼(2)로 조절한다. 상기 가열된 열기류는 가마 상층부로 이동하여, 도자조형물(5)에 형성된 구멍(10)을 통하여 도자조형물 내부로 들어가 조형물 내부를 소성시킨다. 상기 도자조형물 내부로 유입된 열기는 도자조형물 하부로 하강하여 상기 도자 조형물을 받치고 있는 구들장(6)에 형성된 구멍(11)을 통하여 구들장 하부를 통하여 상기 구들장과 연결된 연통(1)에 부착된 댐퍼(2)에 의해 열기가 배출된다.
대형 도자조형물을 구워내기 위한 가마는 도1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9)를 만들고, 그 위에 흙을 쌓고, 그 위에 구들장(6)을 받치기 위한 기둥(7)을 설치하고, 구들장을 설치하고, 그리고 본 발명의 흙으로 제작된 대형 도자조형물을 상기 구들장 위에 설치하고, 상기 대형 도자조형물의 주위에 수직벽을 쌓고 적당한 높이에서부터 원추형 도자 벽돌을 옆으로 뉘어가면서 나선형으로 쌓아올라간다. 그리고 꼭지점에서 남게되는 구멍 하나는 역원추형 도자 벽돌 하나로 막아 버린다. 상기 가마에서 연통은 구들장 하부와 연결되며, 열기를 조절하는 댐퍼는 연통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흙은 현재 도자기 제작에 사용되고 있는 흙보다 가볍고 수축률이 작기 때문에 대형 도자조형물 제작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소형 및 중형 도자조형물 제작에도 사용될 수 있는 흙이며, 본 발명의 가마를 사용하여 대형 도자조형물을 굽을 경우 균열, 뒤틀림 또는 파열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대형 도자조형물의 내부 및 외부가 함께 구워짐으로써 두께가 두꺼운 도자조형물의 소성이 가능하며, 또한 도자조형물 내부에 그림을 새겨 넣어 실내장식을 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산청토 50.6∼51.9중량%, 연탄재 5.1∼5.4중량%, 샤모트 B6 3.8∼3.9중량%, 샤모트 B1 3.5∼3.8중량%, 분청토 20.7∼25.3중량%, 고령토 7.6∼10.4중량%, 및 톱밥 3.8∼4.2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도자조형물용 흙.
  2. 가마에 버너를 사용하여 대형 도자조형물을 1000℃까지 산화불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대형 도자조형물을 1000℃부터 1350℃까지는 환원염으로 불을 지피고; 그리고
    상기 산화불 및 환원염은 열 조절장치인 댐퍼로 조절하며, 상기에서 버너에 의하여 가열된 열기류는 상기 가마 상층부로 이동하여, 상기 대형 도자조형물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도자조형물 내부로 들어가 조형물 내부를 소성시키고, 상기 대형 도자조형물 내부로 유입된 열기는 상기 대형 도자조형물 하부로 하강하여 상기 대형 도자조형물을 받치고 있는 구들장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구들장 하부와 연결된 연통에 부착된 댐퍼에 의해 열기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도자조형물용 가마를 이용한 소성방법.
  3. 콘크리트 기초를 만들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 위에 흙을 쌓고;
    상기 흙 위에 구들장을 받치기 위한 기둥을 설치하고;
    상기 기둥 위에 구들장을 설치하고;
    대형 도자조형물을 상기 구들장 위에 설치하고;
    상기 대형 도자조형물의 주위에 수직벽을 쌓고;
    상기 수직벽 위에 타원형으로 원추형 도자 벽돌을 옆으로 뉘어가면서 나선형으로 쌓아올라가고; 그리고
    나선형으로 쌓아올린 후 꼭지점에서 남게되는 구멍 하나는 역원추형 도자 벽돌 하나로 막아 버리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도자조형물용 가마 시공방법.
  4. 제3항에서, 연통은 가마의 구들장 하부와 연결되고, 댐퍼는 연통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도자조형물용 가마 시공방법.
  5. 제3항의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도자조형물용 가마.
KR10-1999-0015605A 1999-04-30 1999-04-30 대형 도자조형물용 흙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작된 대형 도자조형물 소성방법 KR100458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605A KR100458904B1 (ko) 1999-04-30 1999-04-30 대형 도자조형물용 흙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작된 대형 도자조형물 소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605A KR100458904B1 (ko) 1999-04-30 1999-04-30 대형 도자조형물용 흙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작된 대형 도자조형물 소성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787A Division KR100516000B1 (ko) 2004-05-24 2004-05-24 대형 도자조형물용 가마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625A true KR20000067625A (ko) 2000-11-25
KR100458904B1 KR100458904B1 (ko) 2004-12-03

Family

ID=1958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605A KR100458904B1 (ko) 1999-04-30 1999-04-30 대형 도자조형물용 흙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작된 대형 도자조형물 소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029B1 (ko) 2008-08-19 2008-12-09 이장수 천연 소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KR101056996B1 (ko) 2009-02-26 2011-08-16 경기도 도자기용 무유소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102400785B1 (ko) 2021-07-01 2022-05-20 김용광 카빙 방식 기반 조형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조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8904B1 (ko) 200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142B1 (ko)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KR101607061B1 (ko) 장작 가마
KR100458904B1 (ko) 대형 도자조형물용 흙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작된 대형 도자조형물 소성방법
KR100516000B1 (ko) 대형 도자조형물용 가마 시공방법
JP4488404B2 (ja) 多孔質焼結舗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Mishulovich et al. Ceramic tiles from high-carbon fly ash
JP2002187784A (ja) 多孔質セラミックス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セラミックスからなる舗装材、屋上敷設材、外壁材及び植物生育容器材
Momčilović-Petronijević et al. Architecture and ceramic materials, development through time: Adobe and brick
Guo Tile and Brick Making in China: a Study of the" Yingzao Fashi"
CN1320800A (zh) 一种保温砖和耐火砖及砌筑回转窑的新方法
JP2003020265A (ja) 多色性煉瓦の製造方法
CN110790578A (zh) 一种耐火材料及利用该耐火材料筑窑的方法
CN217459264U (zh) 一种牛腿式双膛石灰窑的耐火材料内衬
KR100230123B1 (ko) 제지슬러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벽돌의 제조방법
Austerberry et al. Using borates in brick and roofing tile
KR950000692B1 (ko) 건축용 토제품의 제조방법
Ćurĉić Ana Momĉilović-Petronijević, Gordana Topliĉić-Ćurĉić
Hauck et al. REDUCING THE RISK OF PREHEATING CRACKS IN LARGE-SIZE CLAY MASONRY BLOCKS
CN116496072A (zh) 全固废环保型砖的轻质与强度联动调节方法
Aghanya et al. Ceramic Clay: Meaning, Preparation and Methods of Production
Bustillo Revuelta et al. Ceramic Products
US285776A (en) laemmle
CN2514290Y (zh) 制硫燃烧炉
JPH1067553A (ja) 焼成物
Hauck et al. Prevention of preheating cracks and reduction phenomena with regard to the fast firing of large-size masonry bricks and bl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