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142B1 -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 Google Patents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142B1
KR101549142B1 KR1020130086159A KR20130086159A KR101549142B1 KR 101549142 B1 KR101549142 B1 KR 101549142B1 KR 1020130086159 A KR1020130086159 A KR 1020130086159A KR 20130086159 A KR20130086159 A KR 20130086159A KR 101549142 B1 KR101549142 B1 KR 101549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ing
kiln
prese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1192A (ko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김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필 filed Critical 김종필
Priority to KR102013008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142B1/ko
Publication of KR2015001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4Casings; Linings; Walls; Roofs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shape of the bricks or blocks used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 분리 운반 가능한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은 각각 단위 규격의 받침판 유닛을 쌓아올려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받침대 상에 벽돌로 쌓아올린 외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벽에 살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망댕이 흙벽돌로 이루어진 지붕을 구비하는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Prefabricated Kiln For Ceramic Ware Firing}
본 발명은 망댕이 흙벽돌을 이용한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시대는 웰빙과 힐링문화의 붐으로 건강한 문화를 즐기려는 사람이 증가됨에 따라 전통에 대해서도 재인식을 하고 있으며, 차(茶) 생활을 즐기기 위한 차인(茶人)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전통에 기초를 둔 전통 차 도구와 전통 가마를 이용한 기타 창작활동 등 전통 도자기를 전공하는 작가들은 장작가마 축조의 경제적 부담과 전통 장작가마를 축조할 수 있는 기술자의 노령화와 장작가마에 관한 전문적 지식을 갖춘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전통 가마를 제작한다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전통 가마들은 경사진 지반 위에 기초를 두고 축조한다. 가마를 축조하기 전 미리 2 ~ 3개월 동안 망댕이(23 ~ 25cm 정도의 원뿔모양의 흙덩이)를 수천 개 만들어 그늘에서 서서히, 완전하게 건조시켜 놓은 후, 상기 건조된 망댕이들을 돔 형태로 쌓아 가마를 축조할 수 있었다.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망댕이를 이용하여 가마를 축조할 경우 축조과정에서 가마가 무너져 버리며, 겨울에는 야외에서 축조 작업을 하기에 춥고, 흙이 얼기 때문에 축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힘들며, 여름에는 장마나 잦은 비로 인해 망댕이 건조가 힘들어 가마의 지붕을 견고하게 축조할 수 없어 가마 축조에 있어 계절 및 날씨의 제약을 많이 받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환경적 제약을 피해 망댕이 장작가마를 축조하더라도 가마의 경사도를 제대로 설정하지 못한 경우에는 1,300의 고온으로 온도를 끌어올리지 못해 전통 도자기를 소성할 수 없게 되어 축조한 가마가 무용지물이 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숙련된 사기장들도 경사도가 잘 못 설정된 경우 가마에 불을 때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종래의 전통적인 방식의 장작가마는 지반위에 축조되는 형태이므로, 작업장 이사 시에는 가마를 이동시킬 수 없어 부셔버리고, 새로운 작업장에 새로이 장작가마를 축조해야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 소모가 크며, 새로이 축조된 가마에서 질적으로 동등 수준의 도자기 작품을 제조할 수 있다고 장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장작가마의 경사도를 가마 축조 후에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가마 축조에 있어서 계절 및 날씨의 제약을 받지 않는 장작가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원하는 장소에 용이하게 운반 설치할 수 있는 장작가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 분리 운반 가능한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은 각각 단위 규격의 받침판 유닛을 쌓아올려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받침대 상에 벽돌로 쌓아올린 외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벽에 살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망댕이 흙벽돌로 이루어진 지붕을 구비하는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칸 유닛은 굴뚝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굴뚝은 굴뚝의 일영역에 통풍조절판(damper)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대를 이루는 받침판 유닛은 철골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벽을 이루는 벽돌은 내화벽돌일 수 있으며, 상기 외벽에 형성되어 있는 살창의 높이는 내화벽돌 3 내지 5 장을 쌓아올린 높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살창의 폭은 같은 열의 중앙에 위치하는 살창에서 양측 방향에 위치한 살창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성칸 유닛은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쪽의 측면의 일 영역에 불보기 구멍이 하나 위치하고, 이와 맞은 편 쪽 측면의 일영역에 불보기 구멍이 하나 더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이 분리형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의 하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어 각 유닛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마 설치시는 물론 가마를 설치한 후에도 임의로 도자기 소성용 가마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는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 각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도자기 소성용 장작가마와 같이 계단 형태로 경사진 지대가 필요하지 않으며, 평평한 땅에도 가마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는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을 각각 실내에서 제조한 후 외부 설치장소로 운반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도자기 소성용 가마를 축조함에 있어 종래에 문제시 되던 계절이나 기후의 영향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으며, 가마의 설치 후 작업장의 이사가 필요한 경우에도 기존과 같이 가마를 부셔버릴 필요가 없이 새로운 이사 장소에 분리 가능한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을 각각 운반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통유닛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성칸 유닛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칸 유닛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의 평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본 발명에서 전방은 장작 투입구 쪽 방향을 뜻하고, 후방은 장작 투입구 쪽의 반대 방향인 굴뚝 쪽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외벽 중 전면부는 장작 투입구 쪽 방향에 위치하는 외벽을 의미하고, 후면부는 장작 투입구 쪽 방향의 반대방향인 굴뚝 쪽 방향에 위치하는 외벽을 의미한다. 또한, 살창의 높이는 살창 공간의 수직방향의 길이를 의미하고, 살창이 폭은 살창 공간의 수평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 분리 운반 가능한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은 각각 단위 규격의 받침판 유닛을 쌓아올려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받침대 상에 벽돌로 쌓아올린 외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벽에 살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망댕이 흙벽돌로 이루어진 지붕을 구비하는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봉통 유닛은 전체 가마를 예열하기 위하여 장작을 넣고 불을 올리기 시작하는 곳으로서, 전방에는 장작을 넣을 수 있는 장작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외벽 중 후면부에는 살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성칸 유닛은 도자기의 소성이 이루어지는 곳으로서, 불이 지나갈 수 있도록 외벽 중 전면부 및 후면부에 살창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는 설치되는 소성칸 유닛의 개수가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소성칸 유닛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공칸 유닛은 가마 소성시 고온의 열이 쉽게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공칸 유닛의 공칸의 부피는 소성칸 유닛의 소성칸의 부피보다 작으며, 일반적으로 소성칸의 부피의 1/2 정도의 부피를 가진다. 상기 공칸 유닛의 외벽의 전면부에는 소성칸 유닛을 통과한 불을 받기 위해 살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의 후면부에는 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칸 유닛은 굴뚝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굴뚝은 공칸 유닛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굴뚝의 높낮이는 소성칸 유닛의 개수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뚝의 일 영역에는 가마 내의 압력 변화에 따른 불길을 조절하기 위해 굴뚝의 내부 통로를 좁히거나 넓힐 수 있는 통풍조절판(damper)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는 가마를 이루는 각각의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이 분리가 가능하여, 원하는 설치 장소에 상기 각각의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을 개별적으로 운반하여 각각의 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살창이 통하도록 순서대로 위치시킴으로써 가마를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은 각각 실내에서 제조한 후 외부 설치장소로 운반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도자기 소성용 가마를 축조함에 있어 종래에 문제시되던 계절이나 기후의 영향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대는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 각각의 하부를 받쳐줘 유닛 단위로 각 유닛의 기반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는 단위 규격의 받침판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받침대는 단위 규격의 받침판 유닛을 적절히 쌓아올려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므로, 가마의 설치시는 물론 가마의 설치 후에도 가마의 경사도를 상황에 맞게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는 상기와 같이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 각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도자기 소성용 장작가마와 같이 계단 형태로 경사진 지대가 필요하지 않으며, 평평한 땅에도 가마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 유닛은 규격이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며, 넓이는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 각각의 밑 부분의 크기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침판 유닛의 두께는 얇을수록 보다 섬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 유닛은 특별히 소재가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내구성이 우수하여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의 하중을 견뎌낼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받침판 유닛의 소재로 철골 구조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받침판 유닛의 소재로 철골 구조물을 사용할 경우, 가마의 조립 및 분해 시 볼트 조립 등에 의한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의 결속 및 분리가 용이하고, 받침대의 높이 조절 시에도 역시 볼트 조립 등에 의한 상하 받침판 유닛 간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받침대 전체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에 적절한 경사를 주는 이유는 불의 흐름이 위쪽으로 향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가마 내에서 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가마의 복수의 소성칸에서 골고루 고온 소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의 경사는 지면을 기준으로 12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의 외벽을 이루는 벽돌은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나, 1300℃ 이상의 고온의 소성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내화벽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화벽돌은 내화성 원료로 제조된 것으로, 용해점이 높아 고열에 잘 견디는 특성을 지닌다. 내화벽돌은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이 있으나, 한국산업규격(KS)에는 보통형 벽돌(230×114×65mm)과 사용상 이와 관계가 많은 가로형세로형쐐기형 벽돌의 표준치수가 규정되어 있다. 상기 내화벽돌은 내화도가 높고 강도나 열충격저항이 크며, 화학적 침식에 강해야 하는 등의 구비조건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조건은 사용하는 원료와 제조공정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상기 내화벽돌은 주원료와 제조공정에 따라 종류가 구별될 수 있으며, 주원료의 종류에 따라 규석벽돌, 점토질벽돌, 고알루미나벽돌, 크로뮴-마그네시아벽돌, 마그네시아질벽돌 등이 있다. 또한 제조공정에 따라, 원료를 분쇄혼련(混練)성형건조소성의 공정을 거쳐 만든 소성벽돌(燒成煉瓦), 열적으로 안정한 원료에 화학적 결합제를 가하여 고압으로 성형한 다음 소성을 하지 않은 불소성벽돌, 원료를 전기로에서 용융시켜 성형틀에 주입하여 만든 전주벽돌(電鑄煉瓦)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종류의 내화벽돌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살창은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의 경계면에서 불이 지나가는 통로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살창은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의 외벽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봉통 유닛은 살창이 외벽 중 소성칸 유닛과 접하는 후면부에 위치하며, 소성칸 유닛은 전면부에서 유입되는 불이 다음 차례의 소성칸 유닛 또는 공칸 유닛으로 지나갈 수 있도록 살창이 외벽 중 전면부 및 후면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칸 유닛은 소성칸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불이 유입될 수 있도록 외벽 중 전면부에 살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살창의 높이는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나, 내화벽돌 3 내지 5 장을 쌓아올린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화벽돌 4장을 쌓아올린 높이일 수 있다. 이는 살창의 높이가 내화벽돌 3장 미만의 높이에 형성될 경우, 살창의 높이가 지나치게 낮아 가마 내 불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각 소성칸의 온도를 고르게 올리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상기 살창의 높이가 내화벽돌 5장의 높이를 초과할 경우에는, 살창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아 불이 가마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지나치게 짧아지기 때문에 가마내 온도를 목표 소성온도까지 올리기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살창의 폭은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나, 같은 열에 위치한 살창들의 폭을 모두 동일하게 할 경우, 같은 열의 중앙에 위치한 살창으로 불이 집중되어 소성칸 유닛 내의 도자기 전체에 대해 고르게 소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같은 열에 위치한 살창의 폭은 중앙에 위치하는 살창에서 양측 방향에 위치한 살창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같은 열에 형성되어 있는 살창 중 중앙에 위치하는 살창의 폭은 10㎝이고, 양측 방향에 위치한 살창으로 갈수록 1㎝ 씩 폭이 증가한다. 같은 열에 형성되는 살창의 수는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며, 가마의 크기 및 살창의 폭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의 살창을 형성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의 외벽 중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살창은 위치가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나, 살창의 밑변이 받침대로부터 내화벽돌 2장 높이의 간격을 가지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살창이 받침대에 상에 붙어 있을 경우에는 살창을 통과하는 열에 의해서 받침대의 내구성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소성칸 유닛의 외벽 중 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살창은 위치가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나, 가마 전체의 바람직한 경사도를 고려한 다면, 소성칸 유닛의 외벽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살창의 위치를 기준으로 경사각 12 내지 20°에 해당하는 후면부의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성칸 유닛의 일 영역에는 작업자가 출입할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성칸 유닛의 일 영역에는 소성칸 유닛 내의 도자기의 유약이 녹았는지 여부 등 소성 상황을 살필 수 있도록 불보기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불보기 구멍은 특별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소성칸 유닛의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쪽의 측면의 일 영역에 하나 위치하고, 이와 맞은 편 쪽 측면의 일영역에 하나 더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한 쪽 면에만 불보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 불보기 구멍을 통해 작업자가 도자기의 소성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시야가 한정적이므로, 양 쪽면에 볼보기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시야가 미치지 않는 곳에 위치한 도자기 까지 포함하여 소성칸 유닛 내의 소성 중인 도자기 전체에 대해 소성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망댕이 흙벽돌로 이루어진 지붕은 망댕이 흙벽돌과 상기 망댕이 흙벽돌 사이에 매지를 채워 돔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망댕이 흙벽돌은 산청점토와 사질의 고령토를 1 : 1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흙벽돌이며, 상기 매지는 망댕이흙과 황토를 5 : 1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망댕이 흙벽돌로 이루어진 지붕은 가마 내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망댕이 흙벽돌의 끝부분이 올록볼록 도드라져 계란판 형상으로 보이며, 도자기 소성시 상기 도드라진 부분이 불에 계속 닿아서 기존의 평면 형상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가마에 비해 단열이 뛰어나며, 이로 인해 복사열에 의한 가마 내부의 온도 상승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일어나 도자기 소성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망댕이 흙벽돌로 이루어진 지붕은 내화벽돌 지붕에 비해 복사열의 각도가 넓고 다양하기 때문에 불길의 변화가 많고 요변이 많은 도자기 작품 생산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는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을 원하는 설치장소에 설치한 후, 상기 망댕이 흙벽돌로 이루어진 지붕의 외부 표면에 건등을 추가로 덮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등은 가마 소성시 팽창으로 지붕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지붕으로부터 망댕이 흙벽돌이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건등은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을 한 몸으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의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를 다른 장소를 이전할 경우에는 상기 건등을 제거한 후,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 각각을 분리하여 운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통유닛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통유닛(10)은 받침판 유닛(110) 1개로 이루어진 받침대(100) 상에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외벽(200)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에 장작을 넣을 수 있는 장작 투입구(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200) 중 후면부에는 살창(3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봉통유닛(10)의 상부는 망댕이 흙벽돌로 이루어진 지붕(5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통 유닛(10)의 받침대(100)는 경사도에 따라 받침판 유닛(110)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성칸 유닛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성칸 유닛(20)은 받침판 유닛(110) 2개로 이루어진 받침대(100) 상에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외벽(2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벽(200) 중 전면부 및 후면부에는 살창(3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성칸 유닛(20)의 상부는 망댕이 흙벽돌로 이루어진 지붕(5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성칸 유닛(20)의 받침대(100)는 경사도에 따라 받침판 유닛(110)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칸 유닛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칸 유닛(30)은 받침판 유닛(110) 5개로 이루어진 받침대(100) 상에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외벽(2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벽(200) 중 전면부에는 살창(3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200) 중 후면부에는 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0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칸 유닛(30)의 배출구(400)에는 굴뚝(600)이 결합되어 있으며, 공칸 유닛(30)의 상부는 망댕이 흙벽돌로 이루어진 지붕(5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칸 유닛(30)의 받침대(100)는 경사도에 따라 받침판 유닛(110)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통 유닛(10) 1개, 소성칸 유닛(20) 3개 및 공칸 유닛(30) 1개를 각 유닛의 경계면상의 살창(300)이 통하도록 연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를 구성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의 평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5에 의하면 같은 열에 위치한 살창(300)의 폭은 중앙에 위치하는 살창(300)에서 양측 방향에 위치한 살창(300)으로 갈수록 폭이 커진다. 또한, 각각의 소성칸 유닛(20)의 일 영역에는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구(70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가마 소성시 작업자가 소성칸 유닛(20) 내의 도자기의 소성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불보기 구멍(80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불보기 구멍(800)은 각 소성칸 유닛(20) 마다 각 소성칸 유닛(20) 중 출입구(700)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의 일영역에 하나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와 마주보는 쪽의 측면에도 하나 형성되어 있어, 각 소성칸 유닛(20)의 양 측면에서 도자기의 소성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굴뚝(600)의 내부 통로 중 측면의 일영역에는 통풍조절판(900)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통풍조절판(900)을 통해 굴뚝의 내부 통로를 좁히거나 넓힐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가 가마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불길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봉통 유닛 20 : 소성칸 유닛
30 : 공칸 유닛 100 : 받침대
110 : 받침판 유닛 120 : 장작 투입구
200 : 외벽 300 : 살창
400 : 배출구 500 : 지붕
600 : 굴뚝 700 : 출입구
800 : 불보기 구멍 900 : 통풍조절판(damper)

Claims (8)

  1. 각각 분리 운반 가능한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봉통 유닛, 소성칸 유닛 및 공칸 유닛은 각각 단위 규격의 받침판 유닛을 쌓아올려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받침대 상에 벽돌로 쌓아올린 외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벽에 살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망댕이 흙벽돌로 이루어진 지붕을 구비하고,
    상기 살창의 폭은 같은 열의 중앙에 위치하는 살창에서 양측 방향에 위치한 살창으로 갈수록 폭이 1cm 씩 커지는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칸 유닛은 굴뚝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굴뚝은 굴뚝의 일영역에 통풍조절판(damper)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 유닛은 철골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을 이루는 벽돌은 내화벽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창의 높이는 내화벽돌 3 내지 5 장을 쌓아올린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칸 유닛은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쪽의 측면의 일 영역에 불보기 구멍이 하나 위치하고, 이와 맞은 편 쪽 측면의 일영역에 불보기 구멍이 하나 더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KR1020130086159A 2013-07-22 2013-07-22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KR101549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159A KR101549142B1 (ko) 2013-07-22 2013-07-22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159A KR101549142B1 (ko) 2013-07-22 2013-07-22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192A KR20150011192A (ko) 2015-01-30
KR101549142B1 true KR101549142B1 (ko) 2015-09-03

Family

ID=5248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159A KR101549142B1 (ko) 2013-07-22 2013-07-22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0117A (zh) * 2019-04-08 2019-06-18 广东恒洁卫浴有限公司 一种陶瓷可位移锻烧托板应用技术
KR102358086B1 (ko) * 2021-07-26 2022-02-08 문한조 적색 바탕에 비취색 돌담 무늬가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358079B1 (ko) * 2021-07-26 2022-02-08 문한조 적색 바탕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녹갈색 점박 무늬가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358085B1 (ko) * 2021-07-26 2022-02-08 문한조 적색 바탕에 회색 구름무늬가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358083B1 (ko) * 2021-07-26 2022-02-08 문한조 황색 바탕에 해초 무늬가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334Y1 (ko) * 2006-08-14 2006-11-13 천경희 도자기 소성용 장작 가마
KR101122522B1 (ko) 2009-05-12 2012-03-15 유길수 장작 가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334Y1 (ko) * 2006-08-14 2006-11-13 천경희 도자기 소성용 장작 가마
KR101122522B1 (ko) 2009-05-12 2012-03-15 유길수 장작 가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192A (ko) 2015-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142B1 (ko) 도자기 소성용 조립식 가마
KR101457987B1 (ko) 도자기 소성용 장작 가마
KR101607061B1 (ko) 장작 가마
KR101839097B1 (ko) 장작 가마의 구조체
JPWO2015011828A1 (ja) 炭化物生成窯
KR101738410B1 (ko) 벽난로 겸용 구들방을 갖는 황토방 및 그 제조방법
CN205209258U (zh) 高温炉窑挂件结构
CN102706159A (zh) 碳素焙烧炉底部耐火材料结构
CN111575026A (zh) 一种焦炉基础顶板新型隔热结构
JP3142404U (ja) 屋外用パン窯
CN101498552B (zh) 一种用耐火预制块砌筑的熔铝炉熔池工作层
CN203462068U (zh) 炼铁热风炉烘烤器装置
KR100458904B1 (ko) 대형 도자조형물용 흙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작된 대형 도자조형물 소성방법
CN202522076U (zh) 碳素焙烧炉底部耐火材料结构
CN109762579B (zh) 一种预制浇筑块砌筑的干熄焦料位计安装座
KR100955069B1 (ko) 돌가마의 축조 방법
CN211233940U (zh) 一种炭素焙烧炉横墙顶部结构
US3669426A (en) Furnaces
CN202558779U (zh) 立式夹层旋流支烧石灰窑
US285776A (en) laemmle
CN102747177A (zh) 一种高炉热风炉及其建造方法
CN209778738U (zh) 一种预制浇筑块砌筑的干熄焦料位计安装座
KR100516000B1 (ko) 대형 도자조형물용 가마 시공방법
CN210070590U (zh) 一种多孔耐火材料砌筑砖
CN210340761U (zh) 一种焦炉烘炉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