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022A -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022A
KR20000066022A KR1019990012843A KR19990012843A KR20000066022A KR 20000066022 A KR20000066022 A KR 20000066022A KR 1019990012843 A KR1019990012843 A KR 1019990012843A KR 19990012843 A KR19990012843 A KR 19990012843A KR 20000066022 A KR20000066022 A KR 20000066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output
level value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한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1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6022A/ko
Publication of KR20000066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0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의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자동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동일한 수화음량의 오디오 음을 출력시켜 주는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수화음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수화음량이 설정된 수화음량과 동일한가를 판단하고, 동일하지 않을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수화음량 레벨을 일정한 수화음량 레벨로 조절한 후 사용자에게 출력시켜 줌으로써 음량 업/다운 스위치를 통해 정확한 음량 조절이 이루어 지게 되며, 사용자가 항상 일정한 음량으로 수화음을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 중간기지국의 오디오 편차로 인해 수화음량이 변화되는 현상을 휴대전화기 자체에서 막아줄 수 있기 때문에 각 서비스 회사에서 관리하는 중간 기지국에 적합한 휴대전화기를 별도로 생산하지 않아도 되므로 별도의 생산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DEVICE FOR REGULATING AUTOMATICALLY AUDIO SIGNAL LEVEL OF MOBIL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의 수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된 오디오(Audio) 신호의 레벨(Level)을 자동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동일한 수화음량의 오디오 음을 출력시켜 주는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휴대전화기를 통해 수화음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주위 환경에 따라 음량 업/다운(Up/Down) 스위치(Switch)를 조절하여 원하는 볼륨(Volume)에 맞추어 사용하였다.
그런데, 사용자가 주위 소음이 너무 커서 휴대전화기의 음량 업/다운 스위치를 통해 수화음량을 최대로 높이는 경우, 수화음량을 최대로 높였음에도 불구하고 수화음량이 최대 출력만큼 커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때가 많았고, 반대로 사용자가 조용한 장소에서 수화음이 너무 크게 들려서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을 최소로 낮추는 경우, 수화음량을 최소로 낮췄음에도 불구하고 수화음량이 최소 출력으로 작아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종래 교환기와 휴대전화기를 연결해 주는 중간기지국에서 휴대전화기로 송신해 주는 오디오 편차가 각각의 회사별 중간기지국마다 차이가 심하기 때문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운용자가 각 서비스 회사에서 관리하는 중간 기지국에 적합한 휴대전화기를 별도로 생산해야 되기 때문에 별도의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 중간기지국의 오디오 출력 편차로 인해 수화음량이 변화되는 현상을 막아주고, 이로인해 사용자가 일정한 음량으로 수화음을 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는, 설정된 오디오 레벨값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부와; 안테나(Antenna)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함.) 변조하여 적정 레벨로 조정한 후 출력하는 RF 시스템(System)과; 상기 RF 시스템에서 출력한 RF 신호를 입력받아 캐리어(Carrier)에 실린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Analog Audio Data) 및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복조시키고, 이후 복조된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디지털(Digital)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며, 오디오 레벨값인 직류(Direct Current; 이하 DC라 칭함.) 전압을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레벨값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오디오 레벨 설정값과 비교하고, 검출한 디지털 오디오 레벨값과 설정된 오디오 레벨값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두 신호의 레벨을 맞춰주기 위해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 이하 MSM이라 칭함.)과; 상기 MSM내에 장착되어,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보코딩(Vocoding)시켜 출력하고, 이때 상기 MSM에서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통해 오디오 신호의 이득을 조절해 줌으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설정된 레벨로 조절하는 보코더(Vocoder)와; 상기 보코더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고, 이때 상기 MSM에서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통해 오디오 신호의 이득을 조절해 줌으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설정된 레벨로 조절하는 CODEC부와; 상기 CODEC부에서 출력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신호 입력단 및 상기 증폭기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레벨값을 검출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한 후 상기 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오디오 검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의 제어방법은, 신호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복조시켜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1 단계와; MSM내에 장착된 보코더에서 복조된 오디오 데이터를 보코딩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보코더를 통해 보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인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 3 단계와; 오디오 검출부에서 오디오 신호의 레벨값을 검출하여 DC 전압값으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MSM이 오디오 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디지털 오디오 레벨값과 메모리부에 저장된 오디오 레벨 설정값이 동일한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에서 오디오 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디지털 오디오 레벨값과 메모리부에 저장된 오디오 레벨 설정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MSM에서 상기 두 신호의 레벨을 맞춰주기 위해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를 보코더 및 CODEC부로 출력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보코더 및 CDDEC부에서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의 이득을 조절해 줌으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설정된 레벨로 조절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보코더 및 CODEC부를 통해 설정된 레벨값으로 조절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인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 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모리부 200 : RF 시스템
300 : 베이스밴드 아날로그 처리부 400 : MSM
410 : 보코더 500 : CODEC부
600 : 증폭기 700 : 스피커
800 : 오디오 검출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의 제어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는 메모리부(100), RF 시스템(200), 신호 처리부(300), MSM(400), 보코더(410), CODEC부(500), 증폭기(600), 스피커(700) 및 오디오 검출부(8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부(100)는 설정된 오디오 레벨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이고, 상기 MSM(400)의 신호 입/출력단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RF 시스템(200)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RF 변조하여 적정 레벨로 조정한 후 상기 신호 처리부(3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300)는 상기 RF 시스템(200)에서 출력한 RF 신호를 입력받아 캐리어에 실린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복조시키고, 이후 복조된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MSM(40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 처리부(300)는 상기 오디오 검출부(800)에서 검출한 오디오 레벨값인 DC 전압을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MSM(40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MSM(400)은 상기 신호 처리부(300)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레벨값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100)에 저장된 오디오 레벨 설정값과 비교하고, 검출한 디지털 오디오 레벨값과 설정된 오디오 레벨값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두 신호의 레벨을 맞춰주기 위해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를 상기 보코더(410) 및 CODEC부(5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MSM(400)내에 장착된 보코더(410)는 상기 신호 처리부(300)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보코딩하여 상기 CODEC부(5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MSM(400)내에 장착된 보코더(410)는 상기 MSM(400)에서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통해 오디오 신호 보코딩시 오디오 신호의 이득을 조절해 줌으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설정된 레벨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CODEC부(500)는 상기 MSM(400)내에 장착된 보코더(410)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증폭기(6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CODEC부(500)는 상기 MSM(400)에서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통해 오디오 신호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시 오디오 신호 이득을 조절해 줌으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설정된 레벨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증폭기(600)는 상기 CODEC부(500)에서 출력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7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스피커(700)는 상기 증폭기(600)를 통해 증폭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검출부(800)는 상기 증폭기(600)에서 출력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레벨값을 검출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한 후 상기 신호 처리부(3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300)의 신호 입력단 및 상기 증폭기(600)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나타낸다.
먼저, 상기 RF 시스템(200)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입력하여 적정 레벨로 조정한 후 상기 신호 처리부(30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300)는 상기 RF 시스템(200)에서 출력한 RF 신호를 입력받아 캐리어에 실린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복조시키고, 이후 복조된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MSM(400)으로 출력한다(S1).
그러면, 상기 MSM(400)내에 장착된 보코더(410)는 상기 신호 처리부(300)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보코딩하여 상기 CODEC부(500)로 출력한다(S2).
한편, 상기 CODEC부(500)는 상기 MSM(400)내에 장착된 보코더(410)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증폭기(60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증폭기(600)는 상기 CODEC부(500)에서 출력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700)로 출력하며, 상기 스피커(700)는 상기 증폭기(600)를 통해 증폭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발신자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S3).
이때, 상기 오디오 검출부(800)는 상기 증폭기(600)에서 출력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레벨값을 검출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한 후 상기 신호 처리부(30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신호 처리부(300)는 상기 오디오 검출부(800)에서 검출한 오디오 레벨값인 DC 전압을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MSM(400)으로 출력한다(S4).
한편, 상기 MSM(400)은 상기 신호 처리부(300)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레벨값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100)에 저장된 오디오 레벨 설정값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
그런데, 상기 MSM(400)은 상기 베이스밴드 아날로그 처리부(300)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레벨값과 상기 메모리부(100)에 저장된 오디오 레벨 설정값이 동일하지 않으면(NO), 상기 두 신호의 레벨을 맞춰주기 위해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를 상기 보코더(410) 및 CODEC부(500)로 출력한다(S6).
또한, 상기 MSM(400)내에 장착된 보코더(410)는 상기 MSM(400)에서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통해 오디오 신호 보코딩시 오디오 신호의 이득을 조절해 줌으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설정된 레벨로 조절한 후 상기 CODEC부(500)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CODEC부(500)는 상기 MSM(400)에서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통해 오디오 신호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시 오디오 신호 이득을 조절해 줌으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설정된 레벨로 조절한 후 상기 증폭기(600)로 출력한다(S7).
그러면, 상기 증폭기(600)는 상기 CODEC부(500)를 통해 설정된 레벨값으로 조절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입력한 후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700)로 출력하고, 상기 스피커(700)는 상기 증폭기(600)를 통해 증폭된 일정한 레벨값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발신자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S8).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동작은 시스템 종료시까지 계속해서 반복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수화음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수화음량이 설정된 수화음량과 동일한가를 판단하고, 동일하지 않을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수화음량 레벨을 일정한 수화음량 레벨로 조절한 후 사용자에게 출력시켜 줌으로써 음량 업/다운 스위치를 통해 정확한 음량 조절이 이루어 지게 되며, 사용자가 항상 일정한 음량으로 수화음을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 중간기지국의 오디오 편차로 인해 수화음량이 변화되는 현상을 휴대전화기 자체에서 막아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각 중간기지국의 오디오 편차로 인해 수화음량이 변화되는 현상을 휴대전화기 자체에서 막아줄 수 있기 때문에, 각 서비스 회사에서 관리하는 중간 기지국에 적합한 휴대전화기를 별도로 생산하지 않아도 되므로 별도의 생산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휴대전화기의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설정된 오디오 레벨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RF 변조하여 적정 레벨로 조정한 후 출력하는 RF 시스템과; 상기 RF 시스템에서 출력한 RF 신호를 입력받아 캐리어에 실린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복조시키고, 이후 복조된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며, 오디오 레벨값인 DC 전압을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레벨값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오디오 레벨 설정값과 비교하고, 검출한 디지털 오디오 레벨값과 설정된 오디오 레벨값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두 신호의 레벨을 맞춰주기 위해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MSM과; 상기 MSM내에 장착되어,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보코딩시켜 출력하고, 이때 상기 MSM에서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통해 오디오 신호의 이득을 조절해 줌으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설정된 레벨로 조절하는 보코더와; 상기 보코더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고, 이때 상기 MSM에서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통해 오디오 신호의 이득을 조절해 줌으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설정된 레벨로 조절하는 CODEC부와; 상기 CODEC부에서 출력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신호 입력단 및 상기 증폭기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레벨값을 검출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한 후 상기 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오디오 검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
  2. 신호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복조시켜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1 단계와; MSM내에 장착된 보코더에서 복조된 오디오 데이터를 보코딩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보코더를 통해 보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인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 3 단계와; 오디오 검출부에서 오디오 신호의 레벨값을 검출하여 DC 전압값으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MSM이 오디오 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디지털 오디오 레벨값과 메모리부에 저장된 오디오 레벨 설정값이 동일한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에서 오디오 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디지털 오디오 레벨값과 메모리부에 저장된 오디오 레벨 설정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MSM에서 상기 두 신호의 레벨을 맞춰주기 위해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를 보코더 및 CODEC부로 출력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보코더 및 CDDEC부에서 오디오 이득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의 이득을 조절해 줌으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설정된 레벨로 조절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보코더 및 CODEC부를 통해 설정된 레벨값으로 조절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인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 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조절방법.
KR1019990012843A 1999-04-12 1999-04-12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66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843A KR20000066022A (ko) 1999-04-12 1999-04-12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843A KR20000066022A (ko) 1999-04-12 1999-04-12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022A true KR20000066022A (ko) 2000-11-15

Family

ID=1957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843A KR20000066022A (ko) 1999-04-12 1999-04-12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60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253B1 (ko) * 2014-03-26 2014-12-26 주식회사 삼미무선정보시스템 마을 공지사항 무선디지털 안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253B1 (ko) * 2014-03-26 2014-12-26 주식회사 삼미무선정보시스템 마을 공지사항 무선디지털 안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5918B2 (ja) 携帯端末装置
JPH10304030A (ja) 携帯電話装置
JPH07131268A (ja) 電話機
US20060023870A1 (en)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a dual use speaker for sensing background noise and generating sound, and rela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6205217B1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00061403A (ko) 자동이득 조절을 위한 무선주파수 중계 증폭장치
KR20000066022A (ko) 휴대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 이득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223268A (ja) 音声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H11239093A (ja) 移動体無線通信装置
KR100225358B1 (ko) 수신음량 자동조정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1006689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볼륨 조정장치와 방법
KR20000056077A (ko) 음성 증폭기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KR19980041437A (ko) 소음레벨에 따른 수신음량 자동조정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JP3416469B2 (ja) 基地局
JPH08265893A (ja) マイクロホン感度調整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通信機
KR2000004190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음량 조정방법
KR19980041438A (ko) 사용자 음성레벨에 따른 수신음량 자동조정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100604583B1 (ko)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대역 레벨 특성 변환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JPH0730482A (ja) 送信出力制御装置
JPH08163209A (ja) 携帯無線装置
JP3033700B2 (ja) 携帯電話機
KR20000066588A (ko) 휴대전화장치의 송수신 음량 조절장치
KR100294463B1 (ko) 호착신음녹음이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및호착신음지정방법
JP2000151315A (ja) 無線通信機の自動音量設定方式
KR20070063828A (ko) 자동 음량레벨 보정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