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5085A - 사용시자기형상화가능한일회용흡수제품 - Google Patents

사용시자기형상화가능한일회용흡수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5085A
KR20000065085A KR1019980708670A KR19980708670A KR20000065085A KR 20000065085 A KR20000065085 A KR 20000065085A KR 1019980708670 A KR1019980708670 A KR 1019980708670A KR 19980708670 A KR19980708670 A KR 19980708670A KR 20000065085 A KR20000065085 A KR 20000065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absorbent
absorbent article
sanitary napkin
absorbent core
top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비오 치암마이켈라
이탈로 코르차니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00065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0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61F13/4722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for interlab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6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ctivating means, e.g. elastic, heat or chemical activatable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방향 및 측방향을 한정하는 종방향 중심선(O-O) 및 그에 수직인 횡방향 중심선(A-A)을 갖는, 체액 배출 구역에 인접하여 착용하기 위한 일회용 흡수 제품(20)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흡수 제품은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24), 이 상면시이트에 연결된 배면시이트(26) 및 이들 배면시이트와 상면시이트의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28)를 포함한다. 흡수 제품은 사용하기 전에는 실질적으로 편평하다. 일회용 흡수 제품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어 있는 동안 흡수 제품이 3차원 구조로 형상화되거나 구부러지게 유도하기 위한 수단(46)을 포함한다. 수단(46)은 체액 또는 체온에 의해 활성화된다.

Description

사용시 자기형상화가능한 일회용 흡수 제품
기본적인 형태로, 일회용 흡수 제품은 투과성 신체-접촉 요소(또 다르게는 상면시이트 또는 오버랩(overwrap)으로도 불림) 및 불투과성 보호 차단재(또 다르게는 배면시이트로도 불림)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 코어를 포함한다. 이 흡수성 요소는 물론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수용하고 함유하기 위한 것이다. 신체-접촉 요소는 신체면과 편안하고 건조감있게 접촉하도록 하면서 유체가 흡수성 요소내로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호 차단재는 흡수성 요소로부터 배출되거나 빠져나온 유체가 사용자의 가멘트를 더럽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3가지 기능성 요소 외에, 일회용 흡수 제품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움직일 때도 소기의 기능을 가장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의 가랑이 구역에 인접하게 흡수 장치를 지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전형적으로, 생리대로서 흡수 제품은 흡수 장치를 사용자의 언더가멘트의 안쪽 가랑이 구역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 부착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흡수 제품이 착용자의 신체와 밀접되면 유체 차단이 개선될 수 있다.
기존에 공지된 흡수 제품도 소기의 기능을 실행하지만, 종래의 각 디자인은 체액의 흡수성, 사용자의 가멘트가 더러워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신체적 편안함의 제공 중 하나 이상을 더 개선시킬 수 있다.
일회용 생리대에 있어서, 착용자와의 신체 접촉을 개선시켜 유체를 배출시에 흡수함으로써, 해부학적 형태의 구조, 특히 착용되었을 때 외음부 영역 근처에 있거나 그와 접촉되도록 위로 들리거나 또는 구부러진 구조를 갖는 생리대를 제공하여 더럽힘을 최소화하는 몇가지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생리대는 생리혈이 여성 사용자의 질 전정을 나오자마자 그와 접촉하여 흡수한다.
미국 특허 제 5,300,055 호에는 굴곡저항성 변형 요소를 구비한 생리대가 기술되어 있다. 이 변형 요소는 제품이 착용될 때 사용자의 대퇴부에 의해 측방향 압축력이 가해지면 실질적으로 위로 볼록한 구조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으며, 이것은 착용되는 동안 위로 볼록한 구조를 취하도록 변형 요소가 하나 이상의 종방향 굴곡 힌지(hinge)를 따라 소정의 원하는 방식으로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구조는 생리대의 적어도 중앙 영역에서 W형 또는 거꾸로 된 V형 단면을 갖는다. 또 다르게는, 생리대는 전방 영역에서는 컵 모양이고 후방 영역에서는 위로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 실시양태는 제품이 착용될 때 유효한 3차원의 위로 볼록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지만, 이 구조는 변형 요소에 각인된 굴곡 힌지의 패턴에 따라 실질적으로 단 하나의 예정의 방식으로만 달성된다는 단점을 여전히 가질 수 있다. 게다가, 변형 요소는 생리대에 포함되는 명확한 구조를 구성하며 비교적 딱딱하고 귀찮을 수 있다.
생리대에 3차원 구조를 부여하는 또 다른 시도는 WO 95/17148 호로서 공개된 PCT 특허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출원에는 적어도 바람직하게 흡수 코어의 아래에 위치하여 그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 요소에 의해 위로 볼록한 구조를 갖는 생리대가 기술되어 있으며, 탄성 요소는 흡수 코어의 종방향 중심선에 걸쳐 있고, 수축되면 생리대를 측방향으로 축소시켜 원하는 구조가 얻어질 수 있다. 생리대가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용이하도록 생리대에는 종방향의 약화선(line of weakness)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구조는 사용자의 신체에 더 밀접된 채로 있을 수 있지만, 다양한 해부학적 구조에의 일치성이 불량하다는 단점을 가질 수 있고,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법으로, 흡수 코어의 부위에 따라 상이한 수축력을 갖는 다양한 탄성 요소에 의해 해부학적 구조에 정합되도록 변형되는 더 복잡한 구조가 기술되어 있다.
어떤 경우에서나 전술한 구조는 사용하기 전에 디자인되어 획득한 예비성형된 구조를 가지며, 게다가 3차원의 생리대는 종래의 편평한 패드보다 가공하고 포장하기가 더 어렵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사용하기 전에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신체 배출 구역에 인접하여 착용되는 일회용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편평한 일회용 흡수 제품은 종방향 중심선 및 그와 수직인 측방향 중심선을 가지며, 이들은 각각 종방향 및 측방향을 한정한다. 일회용 흡수 제품은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이 상면시이트에 연결된 배면시이트(바람직하게는 액체 불투과성) 및 이들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의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실질적으로 편평한"이란 용어는 형상화되어 있지만 한면에서 주로 연장되는 제품을 지칭한다. 이 흡수 제품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3차원의 구조로 형상화되거나 구부러지게 유도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 수단은 체액 또는 체온에 의해 활성화된다.
본 발명은 일회용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흡수 제품은 사용자 신체의 외부에 착용되어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수용하도록 고안된 흡수 장치로 간주된다. 특히, 본 발명은 흡수 제품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어 있는 동안 3차원의 구조로 형상화되거나 구부러지도록 유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일회용 흡수성 생리대, 생리용품, 요실금자용 삽입물, 팬티라이너 및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이 수단은 체액 또는 체온에 의해 활성화되어 사용시 제품에 자기형상화 능력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분명하게 청구하는 청구의 범위로 결론지어지지만, 본 발명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하기의 도면과 함께 보면 더 잘 이해될 것으로 생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의 한 실시양태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2-2를 따라 취한 생리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착용시 활성화된 후 생리대를 구부러지게 유도하는 수단을 도시하는, 도 2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의 다른 실시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착용시 활성화된 후 생리대를 구부러지게 유도하는 수단을 도시하는, 도 4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체액에 대한 흡수성, 사용자의 가멘트가 더러워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 사용자에 대한 신체적 편안함을 개선하는 것 및 제조와 포장이 용이함을 나타내는 일회용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생리대 또는 생리용품을 참조하여 일회용 흡수 제품을 기술한다. 본원에 사용된 "생리대"란 용어는 여성이 외음부에 인접하게 착용하여 신체로부터 배출된 각종 유체(예컨대, 질 분비물, 생리혈 및/또는 뇨)를 흡수 및 함유하고, 1회 사용 후 폐기할 목적의 제품을 말한다. 일회용 흡수 제품은 사용하기 전에는 실질적으로 편평하다.
본원에 사용된 "실질적으로 편평한"이란 용어는 형상화되어 있지만 한면에서 주로 연장되는 제품을 지칭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실질적으로 편평한 제품은 일정한 두께의 흡수 코어를 가지거나 또는 적어도 흡수 코어 자체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형상화되지 않는 흡수 코어를 가질 것이다. 여기서, 흡수 코어의 전체적인 굴곡을 배제시키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제품이 절대 편평한 형태로부터 어느 정도까지 벗어날 수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사용하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형상화의 이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탄성화될 수 있는 종방향 측면 커프스를 갖는 생리대, 및 적당한 굴곡을 갖는 생리대는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며, 단 흡수 코어는 사용하기 전에 흡수 코어 자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상화되지 않아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사용"이란 용어는 흡수 제품이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접촉될 때부터 시작하는 기간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연결" 또는 "고정"이란 용어는 제 1 부재가 제 2 부재에 직접 연결되는 구조 및 제 1 부재가 중간 부재에 연결되고 이 중간 부재가 다시 제 2 부재에 연결됨으로써 제 1 부재가 제 2 부재에 간접 연결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는 착용자의 질 전정내에 있고 일부는 착용자의 질 전정 외부에 있는 음순간 장치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외음부"란 용어는 외부에서 보이는 여성의 성기를 말하는데, 대음순, 소음순, 클리토리스 및 전정에 한정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생리대(20)의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생리대(20)의 구성을 더 분명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구조의 일부를 잘라내고, 착용자에 면하거나 접촉되는 생리대(20)의 일부가 관찰자를 향하도록 나타낸, 사용하기 전의 펼쳐진 상태의 본 발명의 생리대(20)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24), 이 상면시이트(24)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26), 이들 상면시이트(24)와 배면시이트(26)의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28), 및 상면시이트(24)와 흡수 코어(28)의 사이에 위치한 포획층(29)(때때로 제 2 상면시이트라고 함)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다수의 약화선(52,53,54)이 코어(28)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생리대(20)가 착용되는 동안 3차원의 구조로 형상화되거나 구부러지게 유도하는 수단(46)이 코어(28)의 안쪽에 플라스틱 네트(plastic net)(45)를 지나 그에 연결되어 있다.
생리대(20)는 두 표면, 즉 신체 접촉면 또는 신체 대향면 및 가멘트 대향면 또는 가멘트 접촉면을 갖는다. 흡수 코어(28)는 상응하는 신체 대향면 및 가멘트 대향면을 갖는다. 생리대(20)는 두 중심선, 즉 종방향 중심선 O-O 및 그와 수직인 횡방향 중심선 A-A를 갖는다. 본원에 사용된 "종방향"이란 용어는 전체적으로 생리대(20)를 착용하고 서 있는 착용자를 좌우로 이분하는 수직면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예를 들어, 수직면에 거의 평행한) 생리대(20) 면의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 본원에 사용된 "횡방향" 또는 "측방향"이란 용어는 바꿔 사용할 수 있으며, 생리대(20) 면내의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하고, 전체적으로 종방향에 수직이다. Z-방향은 생리대(20)의 종방향과 측방향 모두에 수직이며, 종방향 중심선 O-O 및 측방향 중심선 A-A에 의해 한정되는 생리대(20) 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종방향 배향된"이란 용어는 종방향의 ±45도 방향을 말하며, "측방향"이란 용어는 마찬가지로 생리대(20) 면의 임의의 다른 방향을 말한다.
종방향 중심선 O-O를 따라 정렬되는 생리대(20)의 긴 가장자리는 생리대(20)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이다.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들을 연결하는 생리대(20)의 말단은 생리대(20)의 횡방향 말단이다. 집합적으로 생리대(20)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와 횡방향 말단은 생리대의 둘레를 한정한다. 유사하게, 생리대(20)의 흡수 코어(28)는 다르게 배치된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와 횡방향 말단에 의해 한정되는 둘레를 갖는다.
생리대(20)의 3차원 구조는, 사용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더 가깝게 일치하도록, 생리대 구조를 예를 들어 구부림으로써 Z-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는 구조이다. 생리대(20)의 가멘트 대향면으로부터 신체 대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팽창이 일어난다. 적합한 3차원 구조는 측면 커프스가 있거나 없는, 위로 오목한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W형 및 거꾸로 된 U형 또는 거꾸로 된 V형을 포함하는(이에 한정되지 않음) 위로 볼록한 구조를 갖는 3차원 구조가 특히 바람직하다. W형 구조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한데, 이는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그안에 종방향 댐(dam)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W형 구조에서 생리대의 중앙 부분의 횡단면 윤곽은 전형적인 착용자의 음순에 더욱 가깝게 일치한다.
상면시이트(24)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감촉을 가지며,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성이다. 또한, 상면시이트(24)는 액체 투과성이어서 그 두께를 통하여 액체를 쉽게 투과시킨다. 적합한 상면시이트(24)는 직물 및 부직물; 천공성형된 열가소성 필름,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및 하이드로포밍(hydroforming)된 열가소성 필름과 같은 중합체 물질; 다공성 발포체; 망상 발포체; 망상 열가소성 필름; 및 열가소성 스크림(scrim)과 같은 광범위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직물 및 부직물은 천연 섬유(예컨대, 목질 또는 면 섬유), 합성 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와 같은 중합체 섬유), 또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상면시이트는 천공성형된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천공성형된 필름이 상면시이트에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들이 체액에 대해 투과성이지만 비흡수성이고, 액체가 역으로 통과하여 착용자의 피부를 재습윤시키는 경향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체와 접촉되는 천공된 필름의 표면이 건조한 상태로 남게 됨으로써, 신체가 더러워지는 것을 감소시키고 착용자에게 더 편안한 감촉을 준다.
적합한 성형 필름은 톰슨(Thompson)에게 1975년 12월 30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29,135 호; 뮬란(Mullane) 등에게 1982년 4월 13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24,246 호; 라델(Radel) 등에게 1982년 8월 3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42,314 호; 아르(Ahr) 등에게 1984년 7월 31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63,045 호; 및 베어드(Baird)에게 1991년 4월 9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06,394 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상면시이트는 상기 특허들 중 하나 이상에 기술된 성형 필름이고,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에 의해 생리대 분야에서 "드라이-위브"(DRI-WEAVE)로서 시판중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서, 상면시이트의 신체 표면 또는 노출 표면은 친수성이어서 친수성이 아닐 때보다 더 빨리 액체가 상면시이트를 통해 전달되어 생리혈이 흡수코어로 흘러들어가 흡수되기 보다는 상면시이트에서 흘러내리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생리대(20)는 상면시이트(24)와 흡수 코어(28)의 사이에 위치된 포획층(29)을 포함할 수 있다. 포획층(29)은 흡수 코어(28)로 체액이 흡상되는 것을 개선하는 것을 비롯한 몇가지 기능을 할 수 있다. 체액의 흡상을 개선함으로써 포획층(29)은 체액이 흡수 코어(28)를 통해 더 고르게 분배되도록 한다. 포획층(29)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비롯한 합성 섬유; 면 또는 셀룰로즈를 비롯한 천연 섬유; 이들 섬유의 블렌드; 또는 임의의 등가의 물질들 또는 물질들의 조합물의 부직 웹 또는 직조 웹을 비롯한 몇가지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포획층 및 상면시이트를 갖는 생리대의 예는 오스본(Osbor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50,264 호 및 크리(Cree) 등의 명의로 1991년 12월 17일자로 출원된 "Absorbent Article Having Fused Layers"란 명칭의 미국 특허출원 제 07/810,774 호에 더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상면시이트(24), 포획층(29) 및 흡수 코어(28)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회합될 수 있다. 적합한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상면시이트(24), 포획층(29) 및 흡수 코어(28)를, 상면시이트(24)와 포획층(29)의 사이 및/또는 포획층(29)과 흡수 코어(28)의 사이에 접착제의 선 또는 점을 분무-접착시키거나 도포하는 방식 등으로 접착제에 의해 회합하는 것이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이들 층의 회합은 섬유 인탱글먼트(entanglement) 또는 다수의 별개의 융착에 의해 이룰 수도 있다.
특히, 상면시이트(24)와 포획층(9) 사이에서의 적절한 유체 전달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면시이트(24)가 그 아래의 포획층(29)에 그들의 공통 계면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시이트(24)가 그 아래의 포획층(29)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상면시이트(24)는 사용하는 동안 포획층(29)으로부터 분리되는 경향이 감소될 것이다. 상면시이트(24)와 포획층(29)이 분리되면, 상면시이트(24)로부터 그 아래의 포획층(29)을 지나 흡수 코어(28)로의 유체 전달이 억제될 수도 있다.
흡수 코어(28)는 일반적으로 압축성이고, 인체의 외형에 잘 따르며, 탄성이 있고,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비자극성이고, 체액을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는 임의의 흡수 수단일 수도 있다. 흡수 코어(28)는 통상적으로 일회용 생리대 및 그밖의 일회용 흡수 제품에 사용되는 다양한 액체 흡수성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적합한 흡수성 물질의 예로는 분쇄된 목재펄프(일반적으로 에어펠트(airfelt)라고 불림), 크레이핑된(creped) 셀룰로즈 와딩(wadding), 개질된 가교결합 셀룰로즈 섬유(예: 1993년 6월 8일자로 영(Young)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17,445 호에 기술된 것), 모세관 섬유(즉, 1993년 4월 6일자로 톰슨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00,248 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섬유간 모세관을 갖는 섬유), 흡수성 발포체(예: 1993년 11월 9일자로 데스마라이스(DesMarai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60,345 호 및 1993년 12월 7일자로 데스마라이스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68,244 호에 기술된 것), 열접착된 공기적층 물질(예: 1993년 10월 21일자로 리챠드스(Richards) 등의 명의로 출원된 "Catamenial Absorbent Structures Having Thermally Bonded Layers For Improved Handling of Menstrual Fluids and Their Use In Catamenial Pads Having Improved Fit and Comfort"이란 명칭의 미국 특허출원 제 08/141,156 호(P&G 사건번호 제 5051 호)에 기술된 물질), 흡수성 스폰지, 합성 스테이플 섬유, 중합체 섬유,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겔화제, 물이끼(peat moss), 또는 이와 동등한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 있다. 발포체를 포함하는 적합한 흡수 코어는 유럽 특허출원 제 0 598 833 호, 제 0 598 823 호 및 제 0 598 834 호에 기술되어 있다.
흡수 코어(28)의 흡수능은 생리대(20)에 대한 소정의 체액 하중에 상응하여야 한다. 또한, 흡수 코어(28)의 흡수능은 예상되는 체액의 체적을 갖는 착용자에게 맞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시간용 생리대와 밤시간용 생리대에 대하여 상이한 흡수능을 사용할 수 있고, 10대 여성용 생리대와 더 성숙한 여성용 생리대에 대하여 상이한 흡수능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 코어(28)로서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유연하고, 부드러우며, 인체의 외형에 잘 따르고, 압축성이고, 인체 정합성 및 흡수 코어(28)의 편안함을 증진하도록 탄성이다. 바람직하게는, 흡수 코어(28)는 압축성이어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 겪는 비교적 작은 힘에 의해서도 변형될 것이다. 압축성인 것 외에, 흡수 코어(28)의 재료는 착용시에 3차원 구조가 형성될 때 흡수 코어(28)가 음순과 회음부 주위에 잘 들어맞도록 가요성이고 인체의 외형에 잘 따라야 한다. 해부학적 구조의 형태를 따르는 능력은 생리대가 여성 사용자의 노출된 성기에 밀접되도록 할 것이다. 노출된 여성 성기에 밀접되면 사용자로부터 흡수 코어(28)로의 유체 전달이 향상된다. 이러한 흡수 코어(28)의 특징은 정합성을 증진시키면서 제품이 부드럽고 착용자에게 편안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흡수 코어(28)는 종방향으로 자체에 2번 접힌 열접착된 공기적층 물질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흡수성 겔화 물질의 입자(명료함을 위해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흡수층(30)으로 구성된다.
흡수 코어(28)는 생리대(20)가 착용되어 있는 동안 원하는 3차원의 구조로 형상화되거나 구부러지게 유도하는 수단(46)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수단(46)을 구성하고, 착용중에 체액 또는 체온에 의해 활성화되는 물질이 수축 또는 줄어듬으로써 생리대(20)가 3차원의 구조로 구부러지고 최종 형상화된다.
이러한 수단(46)을 구성하는 수축성 물질은 필름, 스트립(strip), 얀(yarn) 또는 임의의 기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단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생리대(20)의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횡방향에서 전형적으로 일어나는 자체의 수축 또는 줄어듬을 방해하지 않고, 물질의 물리적 특징 및 형태가 원하는 3차원 구조의 형성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수축력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적합한 수축율은 5%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일 수 있다.
적합한 물질은 물 또는 물을 함유하는 체액과 접촉될 때 수축하는 것일 수 있다. 체액과 접촉하면 용해되거나 약화되는 비탄성적인 딱딱한 물질에 대하여 연신된 상태로 적층된 탄성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물질을 사용하여, 착용시 수축하여 제품에 원하는 3차원의 구조를 부여하는 탄성재료의 탄성 장력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체온에 의해 활성화되면 수축하거나 줄어드는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28 내지 37℃의 온도, 즉 인체와 밀접될 때의 온도에서 수축하는 열수축성 물질이 수단(46)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과 유사한 열활성화가능한 적층된 구조는, 신장된 상태의 탄성재료에 적층되는 딱딱한 물질로서, 전술한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 온도에서 이들은 딱딱하고 단단한 상태로부터 부드럽고 변형가능한 상태로 변하여 흡수 제품이 착용되는 동안 관련된 탄성재료의 탄성 장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흡수 코어(28)는 강화 요소(45)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강화 요소(45)는 생리대(20)의 구조보다 딱딱하고 사용시 원하는 3차원 구조를 이룰 수 있게 하는 가요성의 액체 투과성 물질이다. 강화 요소(45)로 바람직한 강도는 표준 시험 방법인 ISO 2493-1992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0.002N 내지 0.15N, 더 바람직하게는 0.005N 내지 0.08N일 수 있음이 밝혀졌다.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강화 요소는 플래스틱 네트(plastic net)(45),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흡수 코어(28)의 가멘트 대향면 반대쪽의 층(30)의 내면에 연결된, 약 0.01N의 강도를 나타내는 폴리프로필렌 네트를 포함하고, 도 1에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플래스틱 네트(45)는 흡수 코어(28)와 거의 폭이 같고 흡수 코어(28)보다 짧으며, 흡수 코어(28)의 총 길이의 약 3분의 1이고, 플래스틱 네트(45)는 횡방향 중심선 A-A와 종방향 중심선 O-O에 중심을 두고 있다. 흡수 코어(28)는 생리대(20)가 착용되어 있는 동안 원하는 3차원의 구조로 생리대(20)를 형상화하고 구부러지게 유도하는 수단(46)을 추가로 포함한다. 수단(46)은 체액에 의해 활성화될 때 수축할 수 있는 물질로 된 두 직사각형 요소(47)를 포함하며, 각 요소(47)는 생리대(20)의 종방향 중심선 O-O에 걸쳐 있고, 전체적으로 횡방향 중심선 A-A에 평행하다. 각 요소(47)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플래스틱 네트(45)의 폭에 상응하며, 종방향의 폭은 통상적으로 더 작다.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각 요소(47)의 폭은 약 1cm이고, 흡수 코어(28) 및 플래스틱 네트(45)의 길이는 각각 약 22cm 및 약 7cm이고, 흡수 코어의 폭은 플래스틱 네트(45) 및 각 요소(47)의 공통의 횡방향 치수에 거의 상응하게 약 6cm이다.
각 요소(47)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스티칭(stitching) 또는 접착(gluing)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플래스틱 네트(45)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에 상응하는 횡방향 말단에서 플래스틱 네트(45)의 하부 표면에 연결된다.
요소(47)에 적합한 한 물질은 체액과 접촉될 때 거의 용해되지 않고 수축되도록 배향된,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된 폴리비닐 알콜 조성물일 수도 있고, 특히 니티비 캄파니 리미티드(Nitivy Co., Ltd.)에서 제조하여 상표명 솔브론(SOLVRON)으로 시판중인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솔브론은 얀, 연속 필라멘트, 스테이플 섬유 또는 직물 형태로 이용가능하다. 유용한 직물은 100% 솔브론 섬유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 예를 들어 면, 나일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솔브론 섬유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표명 GFX 5788로 시판되는 적합한 직물은 100% SX급, 56데니어의 솔브론 섬유로 제조되고, 이 직물은 체액과 접촉되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약 35% 수축한다.
생리대(20)는 하나 이상의 종방향 배향된 약화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20)는 예를 들어 흡수 코어(28)를 양각세공함으로써 각인된 종방향 배향된 약화선들(52,53,54)을 포함한다. 약화선(52)은 바람직하게는 생리대(20)의 종방향 중심선 O-O를 따라 존재하고, 약화선(53) 및 (54)는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중심선 O-O의 주위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약화선들은 전체적으로 직선이고,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거나, 또는 생리대(20)가 원하는 3차원의 구조를 취하도록 임의의 다른 적합한 패턴을 따를 수도 있다. 약화선들은 흡수 코어(28)를 양각세공함으로써 성형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상면시이트(24) 및/또는 포획층(29)에 걸쳐 더 양각세공될 수도 있다.
생리대(20)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편평한 제품으로 제조되어 포장된다. 생리대(20)가 착용된 후에는, 흡수된 체액이 한 요소(47)의 물질과 접촉하게 되면 곧 그 요소는 두 방향으로 수축하게 되는데, 종방향 중심선 O-O에 평행한 각 요소(47)의 치수가 횡방향 중심선 A-A에 평행한 각 요소(47)의 치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각 요소(47)가 종방향으로 수축하는 전체적인 영향은 무시될 수 있다. 도 3은 요소(47)가 횡방향으로 수축하는 영향을 도시한다. 요소(47)가 수축함에 따라, 플래스틱 네트(45)를 거쳐 흡수 코어(28), 그리고 생리대(20)도 횡방향으로 단축된다. 생리대(20)의 구조보다 더 딱딱한 플래스틱 네트(45)는 흡수 코어(28), 포획층(29) 및 상면시이트(24)의 겹쳐진 층들을 수축성 요소(47)의 작용하에 사용자의 해부학적 구조를 향해 미는 것을 돕는다. 흡수 코어(28)는 약화선들(52,53,54)을 따라 구부러지게 유도되어, 도 3에 도시된 거꾸로 된 V형 3차원 구조를 형성한다.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흡수 코어(28)가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하기 위하여, 구부러지길 원하는 쪽에 양각세공을 할 수도 있다. 도 3의 실시양태에서, 중앙의 약화선(52)은 바람직하게는 흡수 코어(28)의 가멘트 대향면에 양각세공되어 있고, 측부의 약화선(53,54)은 바람직하게는 흡수 코어의 신체 대향면에 양각세공된다. 약화선들은 양각세공이 아닌, 당업계에 공지된 그밖의 수단에 의해 만들 수도 있다.
각 요소(47)를 형성하는 물질의 수축은 체액에 의해서 활성화될 때만 일어난다. 즉, 생리대(20)가 착용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밀착될 때만 일어난다. 따라서 3차원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더 잘 정합될 수 있다. 게다가, 상이한 요소들(47)은 한 요소가 유체와 닿는대로 곧, 상이한 시점에서 수축을 시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3차원 구조의 형성은 다양한 사용자에 의해 유체가 방출되는 방식이 상이해도 그에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리대는 사용하기 전에는 편평하므로 통상의 탄성화된 제품이나 예비성형된 제품보다 제조 및 포장이 더 용이할 수도 있다. 3차원 구조는 사용시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생리대는 착용하기가 더 용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로, 25%의 전술한 솔브론 섬유 및 75%의 나일론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비닐 알콜 섬유가 직물의 씨실의 적어도 일부만을 구성하고, 날실이 나일론만으로 구성된다면, 직물은 체액에 의해 활성화될 때만 씨실 방향으로 수축할 것이다. 따라서, 직물은 횡방향만을 따라 수축되도록 배향된 생리대에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혼합 직물은 100% 폴리비닐 알콜 조성물보다 기재에 결합되기가 더 쉽다(예를 들어, 공지의 접착 수단 또는 열접착에 의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생리대(20)는 흡수 코어의 측부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그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플랩(도시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플랩은 가랑이 영역에서 착용자 팬티의 가장자리에 걸치는 형태를 가져 플랩이 착용자 팬티의 가장자리와 착용자의 대퇴부 사이에 위치된다. 플랩은 적어도 두가지의 목적을 갖는다. 첫째, 플랩은 바람직하게는 팬티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중벽 차단재를 형성함으로써 생리혈에 의해 착용자 신체와 팬티가 더럽혀지지 않도록 한다. 둘째, 플랩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가멘트 대향면에 부착 수단이 제공되어, 플랩이 언더가멘트 아래로 역으로 절첩되어 팬티의 가멘트 대향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랩은 생리대를 팬티에 적당하게 위치시키는 작용을 한다.
플랩은 상면시이트(24), 배면시이트(26), 이들의 조합물에 사용되는 물질을 비롯한 각종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중앙에 티슈를 갖는 라미네이트일 수도 있다. 또한, 플랩은 생리대(20)의 본체에 부착된 별개의 요소이거나 또는 상면시이트(24) 및/또는 배면시이트(26)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플랩은 플랩에 닿는 체액이 착용자 팬티의 가장자리를 더럽히지 않도록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를 구비할 것을 권하는 바이다.
본 발명의 생리대(20)에 적당하거나 적합화될 수 있는 바람직한 플랩은 1987년 8월 18일자로 반 틸부르크(Van Tilburg)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87,478 호; 1986년 5월 20일자로 반 틸부르크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69,876 호; 및 1986년 8월 26일자로 매팅리(Mattingl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08,047 호에 개시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생리대(20)는 착용자 팬티의 측부를 자연적으로 감싸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리대(20)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착용자 팬티의 측부를 자연적으로 감싸는 구성요소를 갖는 생리대는 1993년 7월 22일자로 라바쉬(Lavash) 등의 명의로 출원된 "Absorbent Article having Panty Covering Components that Naturally Wrap the Sides of Panties"란 명칭의 미국 특허출원 제 08/096,121 호 및 1994년 7월 20일자로 와인버거(Weinberger) 등의 명의로 출원된 "Absorbent Articles having Undergarment Covering Components with Zones of Extensibility"란 명칭의 미국 특허출원 제 08/277,73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생리대(20)가 착용되는 동안 3차원 구조로 형상화하거나 구부러지게 유도하는수단(46)은 원하는 3차원 구조가 얻어지도록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위치 및/또는 방향으로 생리대(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수단(46)은 생리대(20)에서 흡수 코어(28)의 아래에 위치된다.
도 4에 있어서, 플래스틱 네트(45)는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은 형태와 치수를 가지지만, 흡수 코어(28)의 아래에 위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두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흡수 코어에 연결된다. 수단(46)은 플래스틱 네트(45)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플래스틱 네트(45)의 하부 포면에 연결되고, 각 요소(147)는 흡수 코어(28)와 플래스틱 네트(45)의 공통의 횡방향 치수보다 긴 횡방향 치수를 가지며, 각 요소(147)의 두 자유 말단(148)은 흡수 코어(28) 위에 절첩된다. 생리대(20)는 통상의 편평한 제품으로서 착용되고, 체액이 포획층(29)에 수용됨에 따라, 그를 통하여 확산되어 흡수 코어(28)로 흡상되고, 동시에 한 요소(147)의 자유 말단(148)에 도달하면, 물질의 수축을 활성화하여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20)가 위로 볼록한 바람직한 3차원 구조로 구부러진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바람직한 3차원 구조의 형상화를 유도하는 수축성 수단은 생리대내의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고 선택적으로는 상이한 수축성을 갖는 상이한 물질을 포함하여,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비대칭일 수 있는 3차원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비대칭적인 3차원 구조의 예는 소위 음순형 생리대로 공지되어 있는데, 이 생리대는 생리대의 후방 부분에서 위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고, 전방 부분에서는 실질적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진다.

Claims (10)

  1. 종방향과 측방향을 한정하는 종방향 중심선과 그에 수직인 횡방향 중심선을 가지고,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이 상면시이트에 연결된 배면시이트 및 이들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의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으로서, 사용하기 전에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있는 동안 3차원의 구조로 형상화되거나 구부러지게 유도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 수단은 체액 또는 체온에 의해 활성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배출 구역에 인접하여 착용하기 위한 일회용 흡수 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유도 수단에 의해 실질적으로 위로 볼록한 형태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도 수단이, 종방향 중심선의 반대쪽에 있고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수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어, 유도 수단이 활성화될 때 일회용 흡수 제품을 실질적으로 측방향으로 단축시켜 3차원의 구조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 수단이, 체액과 접촉될 때 수축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 수단이, 체온에 의해 활성화될 때 수축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
  6. 제 4 항에 있어서,
    물질이 수수축성(water shrinkable) 폴리비닐 알콜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
  7. 제 6 항에 있어서,
    물질이 수수축성 폴리비닐 알콜 섬유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배치된 1개 이상의 종방향 배향된 약화선(line of weakness)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성 요소에 연결되고 또한 흡수 제품을 3차원 구조로 형상화하거나 구부러지게 유도하기 위한 수단에 연결된 강화 요소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리대 또는 팬티라이너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
KR1019980708670A 1996-04-29 1997-04-28 사용시자기형상화가능한일회용흡수제품 KR200000650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106722.0 1996-04-29
EP96106722A EP0804914A1 (en) 1996-04-29 1996-04-29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self-shaping in use
PCT/US1997/007670 WO1997040798A1 (en) 1996-04-29 1997-04-28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self-shaping in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085A true KR20000065085A (ko) 2000-11-06

Family

ID=822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670A KR20000065085A (ko) 1996-04-29 1997-04-28 사용시자기형상화가능한일회용흡수제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04914A1 (ko)
JP (1) JPH11510421A (ko)
KR (1) KR20000065085A (ko)
AU (1) AU728245B2 (ko)
CA (1) CA2256313A1 (ko)
WO (1) WO1997040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9636A (en) 1998-06-29 2000-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rticle having proactive sensors
US6186991B1 (en) 1998-06-29 2001-0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rticle having a responsive system including a mechanical actuator
US7772455B1 (en) 1997-11-14 2010-08-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rticle providing improved management of bodily exudates
JP3983376B2 (ja) 1998-04-28 2007-09-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6160198A (en) * 1998-06-29 2000-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rticle having a discontinuous responsive system
US6372951B1 (en) 1998-06-29 2002-04-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rticle having sensor to detect impending elimination of bodily waste
US6342037B1 (en) 1998-06-29 2002-0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vice having fecal component sensor
KR20010083076A (ko) 1998-06-29 2001-08-31 데이비드 엠 모이어 프로액티브 센서를 갖는 일회용 제품
ATE266991T1 (de) 1998-06-29 2004-06-15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r wegwerfartikel mit einem reagierenden system mit einem elektrischen antrieb
US6359190B1 (en) 1998-06-29 2002-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vice for measuring the volume of a body cavity
CZ20004852A3 (cs) 1998-06-29 2001-08-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Zařízení pro manipulaci a odstranění odpadních látek
US6433244B1 (en) 1998-06-29 2002-08-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treatment article having a responsive system
AU748568B2 (en) * 1998-08-25 2002-06-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increased wet breathability
AR027842A1 (es) * 1999-08-23 2003-04-16 Kimberly Clark Co Un articulo absorbente el cual mantiene o mejora la salud de la piel
AR025300A1 (es) 1999-08-23 2002-11-20 Kimberly Clark Co Un articulo absorbente descartable con capacidad para respirar en humedo incrementada.
US6492574B1 (en) * 1999-10-01 2002-12-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enter-fill absorbent article with a wicking barrier and central rising member
US6660903B1 (en) 1999-10-01 2003-12-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enter-fill absorbent article with a central rising member
US6486379B1 (en) 1999-10-01 2002-11-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entral pledget and deformation control
US6764477B1 (en) 1999-10-01 2004-07-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enter-fill absorbent article with reusable frame member
US6613955B1 (en) 1999-10-01 2003-09-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wicking barrier cuffs
US7314967B2 (en) 2004-05-26 2008-0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isture responsive sealing members i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8507746B2 (en) 2008-12-16 2013-08-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eakage-signaling absorbent article
US8225729B2 (en) 2008-12-16 2012-07-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ree-dimensional wiping substrate and method therefor
US8882735B2 (en) 2008-12-16 2014-1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cle with fluid-activated barriers
US7858055B2 (en) 2008-12-18 2010-12-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oisture sensitive auxetic material
US8480387B2 (en) 2010-08-12 2013-07-09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 Saude Ltda. Apparatus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having a three dimensional profile
US8398915B2 (en) 2010-08-12 2013-03-19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l Saude Ltda. Rodovia Method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US8388329B2 (en) 2010-08-12 2013-03-05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 Saude Ltda. Rodovia Apparatus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US8394316B2 (en) 2010-08-12 2013-03-12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 Saude Ltda. Rodovia Method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JP5711492B2 (ja) * 2010-09-29 2015-04-3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708988B2 (en) * 2010-12-03 2014-04-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configured for controlled deformation
US8847002B2 (en) 2011-05-19 2014-09-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apertures arranged in registration with an embossed wave pattern
US9044356B2 (en) 2011-05-19 2015-06-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enhanced leakage 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2451A (en) * 1962-09-13 1966-07-26 Johnson & Johnson Nonplanar absorbent fibrous pads
US3236238A (en) * 1963-01-30 1966-02-22 Johnson & Johnson Sanitary napkin and method of making
US3736931A (en) * 1971-06-09 1973-06-05 J Glassman Catamenial napkin
US4041950A (en) * 1976-07-23 1977-08-16 Jones Sr John L Fluffed pulp urine trap diaper
US5149332A (en) * 1982-06-30 1992-09-22 Richard R. Walton Absorbent and cushioning products and their manufacture
SE465107B (sv) * 1989-09-20 1991-07-29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saasom en dambinda eller ett inkontinensskydd
US5397316A (en) * 1993-06-25 1995-03-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litted absorbent members for aqueous body fluids formed of expandable absorbent materials
AU698734B2 (en) * 1993-12-22 1998-11-05 Procter & Gamble Company, The Sanitary napkin having convex upward shaped cross s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04914A1 (en) 1997-11-05
WO1997040798A1 (en) 1997-11-06
CA2256313A1 (en) 1997-11-06
AU2934297A (en) 1997-11-19
JPH11510421A (ja) 1999-09-14
AU728245B2 (en) 200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5085A (ko) 사용시자기형상화가능한일회용흡수제품
KR0131763B1 (ko) 흡수대의 제품
KR100257440B1 (ko) 개선된 신체 맞춤성을 갖는 복합형 일회용 흡수제품
EP0804913B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expanding topsheet and being capable of self-shaping in use
US6175056B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expanding topsheet and being capable of self-shaping in use
US6958430B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expandable fibers and being capable of self-shaping in use
US6702796B2 (en)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having an improved tab
EP0768072B1 (en) Compou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hump forming element
KR100235694B1 (ko) 해부학적으로 성형된 컴파운드 생리대
KR20000065117A (ko) 흡수구조물에절개부를갖고사용시자가-형상화될수있는일회용흡수제푸뮤
KR100312853B1 (ko) 팽창가능한섬유를포함하는사용시자기형상화가능한일회용흡수제품
JP2001509402A (ja) 体に適用される使い捨て吸収体の為の取扱い補助具の使用法
AU734652B2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pertured layer and being capable of self-shaping in use
JP3459260B2 (ja) 解剖学的に形作られた混合衛生ナプキン
AU726531B2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expanding and shrinking elements and being capable of self-shaping in use
AU2002310371B2 (en) Interlabial pad having a tab
MXPA99003008A (en)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self-shaping in use
MXPA00000047A (en) Handling aid for a body appli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