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561A - 멈춤블록을갖춘신축자재한레일 - Google Patents

멈춤블록을갖춘신축자재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561A
KR20000064561A KR1019980707031A KR19980707031A KR20000064561A KR 20000064561 A KR20000064561 A KR 20000064561A KR 1019980707031 A KR1019980707031 A KR 1019980707031A KR 19980707031 A KR19980707031 A KR 19980707031A KR 20000064561 A KR20000064561 A KR 20000064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top block
rail
elastic
bal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리스 페트로넬라 마리아 스틴스
Original Assignee
토마스 리고우트 엔.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 리고우트 엔. 브이. filed Critical 토마스 리고우트 엔. 브이.
Priority claimed from PCT/NL1997/000008 external-priority patent/WO1998030130A1/en
Publication of KR2000006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5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2B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2Balls
    • A47B2210/0035Balls cages therefor, e.g. for telescopic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7Rollers
    • A47B2210/004Rollers cages therefor, e.g. for telescopic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51Guide position
    • A47B2210/0059Guide located at the side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64Guide 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 A47B2210/0081Telescopic drawer rails with stop blocks, e.g. synchronization buffers

Abstract

본 발명은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에 관한 것으로, 이 포개어 끼워질 수 있는 레일은 제 1구성부(1)가 제 2구성부(2)에 그 사이에 개재된 제 1볼베어링(3)을 매개로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된 대략 C자형으로 이루어진 구성부들을 갖추고서, 상기 제 2구성부에는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된 볼베어링의 앞쪽에 멈춤블록(5)이 위치되되, 이 멈춤블록은 레일이 연장될 때 상기 제 1구성부상의 안쪽으로 향한 제 1돌출부(18)와 접촉하게 될 수 있는 제 1볼베어링을 향하는 측면부근에 형성된 제 1탄성수단(9)과, 레일이 수축될 때 제 1구성부상의 안쪽으로 향한 제 2돌출부(17)와 접촉하게 될 수 있는 멈춤블록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 2탄성수단(8)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1돌출부(18)와 제 2돌출부(17)는 레일이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제 1볼베어링의 반대편에 위치하되, 상기 제 1돌출부는 상기 제 1볼베어링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
일반적으로 종래의 신축자재한 레일은 삽입된 볼베어링을 매개로 서로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제 1구성부와 제 2구성부로 이루어지는 바, 이 제 1구성부는 제 2구성부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완전히 연장된 제 1위치 또는 완전히 수축된 제 2위치 사이에서 레일을 연장 또는 수축시킨다. 이러한 두 개의 레일들은 예컨대 캐비넷 서랍을 지지하기 위해 한 쌍으로 사용되는데, 상기 레일 내지는 서랍 또는 캐비넷의 손상을 막고, 레일이 제 1위치 또는 제 2위치에 놓여 있을 때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볼베어링과 제 1,2구성부에는 완충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구성부는 이 구성부 전방과 후방 부근에 내부의 연장탭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2구성부는 그 선단 부근에 1개 이상의 내부의 외장탭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 2구성부의 후방탭에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된 완충부재가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베어링은 제 2완충부재로 각각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이 완전히 연장된 제 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구성부의 전방탭은 상기 볼베어링의 전방 완충부재와 접촉하며, 제 1구성부의 후방탭은 볼베어링의 후방완충부재와 접촉한다. 한편, 상기 레일이 완전히 수축된 제 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구성부의 후방탭은 제 2구성부의 후방 완충부재와 접촉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신축자재한 안내레일은 제 1볼베어링이 1개 이상의 탭뿐만 아니라 완충부재들을 구비해야만 하는데, 이와 같은 점들은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종래의 신축자재한 레일을 조립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레일을 사용하고 있는 중일 때 손이 닿지 않게 되어 있어서, 예컨대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 1구성부와 제 2구성부는 이 제 1,2구성부의 후방선단 부근과, 제 1탭으로부터의 볼베어링 반대편에 탭을 갖추기 위해 상대적으로 길어야 하고, 잠금부재가 구성부들의 후방선단에 위치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길어진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재료가 요구되며, 레일이 이동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바, 이는 레일이 상대적으로 무거우며 많은 제작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손실이 없도록 된 청구항 1에 기술된 종류의 포개어 끼워질 수 있는 레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술된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제 1구성부와 제 2구성부가 그 사이에 삽입된 볼베어링을 매개로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된 대략 그 단면이 C자형으로 이루어진 구성부들을 갖춘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에 관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이러한 안내레일은 네덜란드의 토마스 리고우트 비브이에 의해 판매용으로 제안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자재한 레일의 제 1실시예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멈춤블록의 뒷면에서 바라본 확대배면도,
도 4는 도 3의 멈춤블록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평면도,
도 5a는 도 5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자재한 레일의 한 구성부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6a는 신축자재한 레일의 첫 번째 선단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신축자재한 레일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제 2실시예의 멈춤블록을 뒷면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 9는 도 8의 멈춤블록의 측면도,
도 10은 특히 두 부분으로된 레일에 이용하기 위한 멈춤-완충-잠금블록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멈춤블록은 제 1구성부상에서 제 1,2돌출부와 협응하면서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와 같이 완전히 수축된 위치를 위해 그 자체로 완충부재의 역할도 하고 있다. 또한, 내부의 마주보는 제 1돌출부, 즉 레일의 후방에 가장 근접한 돌출부는 종래의 레일과 비교하여 유사한 연장길이로 제 1볼베어링의 길이를 넘어 전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구성부는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된다. 또, 두 완충기능을 얻기 위해서 제 2구성부내에 멈춤블록만이 위치되어야 한다. 상기 볼베어링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자재한 레일에서 완충기능 또는 멈춤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바, 볼베어링상의 완충부재는 탭의 완충부재와 마찬가지로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자재한 레일은 그 조립이 용이한데, 제 1구성부는 볼베어링과 함께 제 2구성부로 미끄러지고, 멈춤블록은 제 2구성부와 연결된다. 한편, 제 1돌출부는 조립이전에 형성될 수 있고, 제 2돌출부는 그 장착방식과 멈춤블록의 유연성에 따라 조립전 또는 조립후에 형성된다. 상기 멈춤블록이 충분히 유연할 때 상기 제 1구성부 상의 제 1탭은 멈춤블록을 밀어낼 수 있게 되며, 이 탭은 멈춤블록을 반대방향으로 통과할 수 없다. 어느 쪽이든 오직 조립단계만이 레일의 앞쪽 부근에서 이루어지고 이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베어링은 본 발명에서 각각의 레일구성부의 활주통로에 구비되는 베어링수단을 의미하는바, 이 볼베어링들은 예컨대 각각의 활주통로에 위치된 스트립에 삽입된 개별체의 일련의 볼로 구성되거나, 각 활주통로에 하나씩 2열의 볼들로 된 지지구에 삽입된 일련의 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열들은 연결부분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볼베어링은 볼 이외의 미끄럼수단을 갖출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신축자재한 레일은 청구항 3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각 안내돌출부는 특히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제 2구성부에 대해 제 1구성부를 지지하고 안정화시키며, 연장/수축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제 1구성부가 제 2구성부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들은 제 1구성부 또는 제 2구성부 또는 이들 모두에 대해 멈춤블록을 위한 안정화기능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멈춤블록은 두 개의 안내돌출부를 구비하는 바, 하나는 제 1구성부와 제 2구성부의 활주통로의 상부에, 다른 하나는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멈춤블록은 제 1구성부와 제 2구성부를 서로에 대해 중심에 위치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자재한 레일은 청구항 5의 특징부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공지된 3개의 구성부를 갖는 레일은 제 3구성부의 후방 부근뿐만 아니라 전방 부근에 안쪽으로 향한 탭을 갖추고 있으며, 적어도 후방 쪽의 탭은 탄성적인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된 완충부재를 구비한다. 이들 공지된 레일에서 상기 제 2구성부와 제 3구성부 사이의 제 2볼베어링은 그 전방과 후방쪽에 제 2완충부재를 갖추고 있다. 또, 상기 레일의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볼베어링의 전방 완충부재는 제 3구성부의 전방 탭과 접촉하는 한편, 제 2볼베어링의 후방 완충부재는 제 2구성부의 후방 탭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 공지된 신축자재한 레일에서 상기 제 2구성부가 제 3구성부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제 3구성부의 전방 탭과 후방 탭 사이의 거리와 상기 완충부재들 사이의 제 2볼어링이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구성부로 된 레일은 상대적으로 긴 거리로 연장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바, 상기 멈춤블록은 제 2구성부와 제 1구성부의 멈춤 및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한편,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서 상기 멈춤블록은 세 구성부 모두에 대해 멈춤 및 완충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제 2구성부를 통해 연장되고 레일 중간에 설치되어 제 3구성부를 위한 완충수단을 제공하는 완충부는 상기 제 3구성부의 후방선단 부근에 탭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 제 2구성부와 제 3구성부의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서 제 3구성부의 전방 부근에 위치한 제 3돌출부는 상기 완충부의 탄성수단과 접촉하게 되어 후방으로 수축방향으로 제 3구성부에 대한 제 2구성부의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제 3구성부는 유사한 연장가능길이를 갖는 종래의 신축자재한 레일의 제 3구성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상기 제 3구성부의 길이는 예컨대 제 2볼베어링의 이동경로의 길이와 제 2볼베어링 자체의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포개어 끼울수 있는 레일의 또 다른 이점은 그 조립이 매우 쉽게 이루어진다는 것인데, 이것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먼저 제 1구성부와 제 2구성부 및 제 3구성부는 제 1구성부 전방의 제 2돌출부를 제외하고는 개별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 2볼베어링과 제 2구성부는 제 3구성부 내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그 후 멈춤블록이 제 2구성부에 위치되어 제 2구성부를 제 3구성부에 체결하며,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제 2볼베어링의 전방쪽이 제 3돌출부와 접하게 되는 한편, 제 2구성부의 후방선단 부근의 탭은 볼베어링의 후방과 접하게 되어, 제 3구성부에 대한 제 2구성부의 연장방향으로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그 다음 제 1구성부와 제 1볼베어링은 후방에서부터 제 2구성부내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끝으로 제 1구성부의 전방의 제 2돌출부는 상기 제 1구성부가 제 2구성부에 대해 연장될 때 만들어져 제 2구성부에 제 1구성부를 체결한다. 따라서, 3개의 구성부가 조립될 때 단 하나의 돌출부만이 형성되어 조립작업중 구성부들이 다시 분리되어 버리는 위험이 줄어들고, 사용중 이러한 위험은 없어진다. 또한, 상기 구성부들이 서로의 내부에 위치된 후 단 한 번의 제작단계만이 요구되어 조작을 줄일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청구항 7의 특징부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것이 있다.
제 1구성부와 제 2구성부가 정상위치에 있을 때, 즉 하나가 다른 하나의 이동경로에 있을 때 제 2구성부에 대한 제 1구성부의 전방으로의 연장되는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 1후크수단과 제 2후크수단이 구비되는 바, 제 1구성부가 전진이동시 상기 제 1후크수단은 제 2후크수단에 결속되어 제 1구성부가 더 이상 앞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적어도 그 일부의 이동에 의해 제 2후크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그 결합부분에서 상기 제 2후크수단은 정상적인 이동경로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되어, 제 1구성부가 더 앞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제 1후크수단과 제 2후크수단은 서로 결합되지 않으며, 상기 제 1구성부는 전방으로 제 2구성부 밖으로 당겨져 나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자재한 레일은 연결해제형태로 될 수 있고, 상기 제 1,2후크수단은 이들이 서로 결합할 때 완충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수단을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청구항 9의 특징부에 제시된 것도 있다.
서로 상응하는 제 1탄성돌출부와, 상기 제 1,2구성부의 전방 부근의 제 1결합수단은 각각 거의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서 제 2구성부에 대해 제 1구성부를 잠그도록 되어 있고, 그 체결력은 제 1구성부를 결합함으로써 레일을 연장위치 쪽으로 당길 때 제 2구성부가 제 3구성부에 대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이동하며, 이러한 이동중 제 1구성부가 제 2구성부에 대해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정도이다. 또, 상기 제 2구성부가 제 3구성부에 대해 최대거리로 이동하고, 볼베어링이 제 3돌출부와 접하게 될 때에만 상기 제 1구성부는 이 제 1구성부가 전방으로 당기는 힘을 더 받아서 상기 체결력을 이기게 되면 제 2구성부에 대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자재한 레일은 다음과 같은 예정된 연장순서를 갖는데, 먼저 제 3구성부에 대해 제 2구성부가, 두 번째로 제 2구성부에 대해 제 1구성부가 연장된다. 두 구성부로 된 레일의 실시예에서는 멈춤블록이 잠금기구를 갖추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청구항 11의 특징부에 기재되어 있다.
완충부재의 제 2탄성돌출부와 제 3구성부의 제 2결합수단은 레일이 완전히 수축시 제 2구성부가 이 위치에서 잠겨진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제 3구성부에 대한 제 2구성부의 바람직하지 못한 이동이 쉽게 방지될 수 있고, 어떤 예상될 수 있는 전방으로 향한 힘이 상기 제 2탄성돌출부와 제 2결합수단을 해제하고 레일이 연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 2구성부에 가해져야한다. 그로써 상기 제 2구성부가 당겨질 때, 제 2탄성돌출부와 제 2결합수단의 협응에 의해 완전히 수축된 위치로 힘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이 청구항 9와 청구항 11의 특징부에 의해 특징지어질 때 특히 바람직한데, 제 1탄성돌출부와 제 1결합수단의 체결력은 제 2탄성돌출부와 제 2결합수단의 체결력보다 크다. 이러한 신축자재한 레일은 완전히 수축된 위치내에 체결되는 한편, 상기 예정된 연장순서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일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과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제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축자재한 레일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자재한 레일은 제 1구성부(1)와 제 2구성부(2)로 이루어지는 바, 이 구성부(1, 2)들은 제 1,2최종위치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제 1구성부(1)는 완전히 수축된 상태로 나타나 있고, 제 1최종위치는 점선으로 나타나 있으며, 연장/수축방향은 화살표(F)로 지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2구성부(1, 2) 사이에는 이미 공지된 형태의 볼베어링(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신축자재한 레일의 제 1,2구성부(1, 2)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체로 그 단면이 C자형이며, 볼베어링(3)의 볼들을 위한 활주통로(42)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 2구성부(2)의 앞쪽 선단 부근에는 도 3과 도 10에 더 자세히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멈춤블록(5)이 위치하고, 이 멈춤블록(5)은 몸체부(6)와, 이 몸체부(6)의 반대편에서부터 연장/수축방향(F)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날개부(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멈춤블록(5)에는 멈체부(6)의 반대편에서부터 연장/수축방향(F)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손가락 모양의 2쌍의 유연한 연장부(8)가 형성되어 있고, 멈춤블록(5)의 뒤쪽에는 그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제 2구성부(2)의 탭(111) 위에 위치될 수 있는 오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각 날개부(7)에는 파동형상의 연결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연결부(12)는 상기 제 1,2구성부(1, 2) 사이의 활주통로(14)에 위치된 막대형상부재(13)에서 종결되고, 이 막대형상부재(13)는 신축자재한 레일이 연장될 때 상기 제 1,2구성부(1, 2)를 위한 안내부재로서 역할을 함과 더불어, 연장/수축방향(F)에 수직한 두 방향에서 상기 제 2구성부(2)에 대해 제 1구성부(1)의 중심을 잡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상기 막대형상부재(13)가 연장/수축방향(F) 이외의 어떠한 방향으로도 상기 제 2구성부(2)에 대한 제 1구성부(1)의 이동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각 막대형상부재(13)는 상기 제 1구성부(1)의 활주통로(14)를 마주보는 측면에 연장/수축방향(F)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홈(15)을 갖추고 있는데, 이 홈(15)은 멈춤블록(5)과 제 1구성부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상기 신축자재한 레일의 연장 또는 수축시 제 1구성부(1)가제 2구성부(2)에 대해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요구되므로 상기 제 1구성부(1)의 활주통로(14)상에서 윤활유 통로수단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6)로부터 돌출된 손가락 형상의 탄성적인 연장부(8,9)는 각각 제 1,2최종위치에서 상기 제 1구성부(1)를 위한 완충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제 1구성부(1)의 제 1선단(16)에는 안쪽으로 향한 제 1탭(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구성부(1)가 제 2구성부(2)에 대해 레일의 수축된 위치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1탭(17)은 이 제 1탭(17)과 마주보는 손가락 형상의 연장부(8)와 마주치게 되고, 이렇게 상기 연장부(8)와 제 1탭(17)이 접촉하면 연장부(8)는 제 1구성부(1)의 이동력을 완충시키면서 약간 변형되게 되어 상기 제 1구성부(1)가 완전히 수축된 위치로 원활하게 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구성부(1)는 상기 멈춤블록(5)의 반대편에 볼베어링(3)을 지날 수 있는 안쪽으로 향하는 제 2탭(18)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상기 제 2탭(18)은 상기 멈춤블록(5)의 관련된 측면에 손가락형상의 제 2연장부(9)에 마주치게 되고, 이렇게 제 2탭(18)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탄성적인 제 2연장부(9)가 제 1구성부(1)를 완충시키면서 약간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구성부(1)는 부드럽게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일의 연장가능한 총길이는 제 1탭(17)과 제 2탭(18) 사이의 거리에서 상기 제 1연장부(8)와 제 2연장부(9) 사이의 멈춤블록(5)의 폭을 뺌으로써 결정된다. 또, 상기 안쪽으로 향한 제 1탭(18)이 볼베어링(3)을 위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구성부(1)의 총길이는 연장가능한 길이에 볼베어링(3)의 길이를 더한 길이보다 길 필요는 없다. 또, 상기 멈춤블록(5)은 제 2구성부(2)의 첫 번째 선단 부근에 위치하고, 제 2구성부(2)에 대한 제 1구성부(1)의 연장 및 수축을 위한 멈춤 및 완충기능 둘 다 이 멈춤블록(5)에서 통합되므로, 상기 제 2구성부(2)는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또, 상기 제 2구성부(2)의 길이는 레일의 연장 또는 수축 동안 볼베어링(3)의 안내부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길 필요는 없으며, 상기 볼베어링(3)의 이동가능한 거리는 제 1구성부(1)의 이동가능한 거리의 1/2이다.
한편, 상기 제 1구성부(1)는 예컨대 그 위에 서랍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19)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2구성부(2)는 예컨대 캐비넷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제 2장착수단(20)을 갖추고 있다.
또, 상기 멈춤블록(5)과, 2개의 안쪽으로 연장된 제 1,2탭(17, 18)이 레일의 멈춤수단과 완충수단 둘 다 갖추고 있으므로, 상기 완충 볼베어링(3)은 완충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작이 쉽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한편, 도 1과 도 2,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멈춤블록(5)은 몸체부(6)의 측면에 연장 및 신축방향(F)으로 각을 갖고서 둘러싼 2개의 외곽으로 향한 탄성적인 돌출부(108)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1구성부(1)는 그 앞쪽 선단부근에 활주통로(14)로 연장되는 안쪽으로 향한 노치(154)를 구비하는데, 상기 돌출부(108)는 활주통로(14) 내로의 상기 노치(154)의 이동경로 내로 뒤쪽으로 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구성부(1)가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왔을 때 상기 탄성적인 돌출부(108)는 노치(154)의 전방에 위치하여 수축된 위치에서 제 1구성부(1)를 둘러싸게 된다. 상기 레일이 연장될 때 상기 노치(154)는 탄성적인 돌출부(108)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지나게 되고, 다시 수축되게 될 때 상기 돌출부(108)는 노치(154)의 이동경로 밖으로 다시 구부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멈춤블록(5)은 앞에서 설명된 멈춤 및 완충기능 외에도 잠금기능까지 갖추게 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따른 신축자재한 레일은 다음과 같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 1,2구성부(1, 2)는 이 제 1구성부(1)의 안쪽으로 향한 제 1탭(17)을 굽히는 것을 제하고는 완전히 제작된다. 상기 멈춤블록(5)은 제 2구성부(2)에 위치하고, 그 후 볼베어링(3)과 제 1구성부(1)는 제 2구성부(2) 내로 미끄러지고, 마지막으로 상기 제 1탭(17)이 안쪽으로 향하는 형태로 굽어져서 제 2구성부(2) 내에 제 1구성부(1)를 체결하게 된다.
상기 멈춤블록(5)은 위쪽에 탄성력이 있는 탄성수단을 갖추어 상기 제 1탭(17)은 레일을 조립하기 전에 굽어지고 멈춤블록(5)을 조립된 위치내로 밀어낼 수 있지만 반대방향으로 멈춤블록(5)을 통과할 수는 없다. 따라서, 구성부들이 제 위치로 미끄러진 후 제작단계는 필요가 없게 된다. 이러한 탄성수단은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레일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신축자재한 레일(30)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바, 이 제 2실시예에서 레일(30)은 제 1구성부(31)와 제 2구성부(32) 및 제 3구성부(33)로 이루어지고 이들 모두는 대략 그 단면이 C자형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 제 1구성부(31)와 제 구성부(32) 사이에는 제 1볼베어링(42)이 설치되고, 상기 제 2구성부(32)와 제 3구성부(33) 사이에는 제 2볼베어링(43)이 설치되어, 상기 제 1구성부(31)는 제 2구성부(32)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제 2구성부(32)는 제 3구성부(33)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바, 이들 모두는 연장/수축방향(F)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 1구성부(31)와 제 2구성부(32)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 1실시예의 제 1,2구성부(1, 2)와 정확하게 유사하지는 않지만 이와 유사하다. 한편, 상기 제 2구성부(32)의 제 2선단(44)에는 상기 제 3구성부(33)제 3구성부(33)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탭(4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볼베어링(43)에는 그 전방과 후방 모두에 완충수단(4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볼베어링은 예컨대 유럽특허 제 0488471 또는 네덜란드 특허 제 83,04456,호에 공지된 것이 있는 바, 참조로 여기서는 이 둘 다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의 볼베어링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제 3구성부(33)에 대해 제 2구성부(32)가 연장되면, 제 3탭(45)이 제 2볼베어링(43)상의 후방의 완충부재(46)에 접하게 되어 제 2구성부(32)가 더앞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제 2볼베어링(43)상의 전방의 완충부재(46)는 그 제 1선단(48) 부근에서 제 3구성부(33)로부터 안으로 향한 제 4탭(47)에 대해 이동하여, 제 2구성부(32)가 제 3구성부(33)에 대해 더 앞으로 전진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 1구성부(31)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두 부분으로 된 레일과 유사하게 상기 제 1구성부(31)의 제 2탭(32)이 멈춤블록(105)상의 탄성력이 있는 연장부(9)에 접촉할 때까지 전진이동에 의해 제 2구성부에 대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구성부(32)는 제 3탭(45)이 제 2볼베어링(43)상의 후방 완충부재(46) 접촉하여 상기 전방 완충부재(46)가 제 3구성부(33)상의 제 4탭(47)에 접촉할 때까지 제 3구성부(33)에 대해 연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구성부(31)와 제 2구성부(32)가 제 3구성부(33)에 대해 수축하게 될 때, 상기 제 1구성부(31)상의 안쪽으로 향한 제 1탭(17)이 멈춤블록(105)의 탄성적인 제 1연장부(8)와 접촉하게 되어 제 1구성부(31)가 제 2구성부(32)에 대해 안쪽으로 더 나아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제 3구성부(33)에 대한 제 2구성부(32)의 수축이동은 제 3구성부(33)의 제 4탭(47)과 도 3에 도시된 멈춤블록(105) 뒤편의 완충부(10)에 의해 제한되고, 이 완충부(10)는 제 2구성부(32)의 구멍(11)을 통해 선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4탭(47)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완충부(10)의 이동경로에 있게 된다. 또, 상기 완충부(10)의 후방면 쪽에는 상기 멈춤블록(105)의 몸체부(6)상의 탄성적인 연장부(8, 9)에 평행하게 연장된 2개의 탄성적인 완충돌기(49)가 형성되는데, 이 완충돌기(49)와 연장부(8, 9)는 연장/수축방향(F)으로 각을 이루고 있다. 또, 상기 제 2구성부(32)가 연장된 위치로부터 수축될 때, 상기 탄성적인 완충돌기(49)는 제 4탭(47)의 앞쪽으로 향하는 부분과 접촉하여 완충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제 2구성부(32)가 제 3구성부(33)에 대해 더 수축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약간 변형된다.
또한, 상기 레일의 앞쪽으로 향하는 제 1선단(48) 부근의 완충부(10)와 그에 상응하는 제 4탭(47)은 제 2구성부(32)가 제 3구성부(33)에 대하여 수축 및 연장이동을 하도록 완충 및 멈춤수단을 제공하므로, 상기 제 3구성부(33)는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제 3구성부(33)의 후방선단(50) 부근에 위치한 멈춤부재는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구성부(33)의 길이는 제 2볼베어링(43)에 필요한, 즉 제 2구성부(32)가 제 3구성부(33)에 대해 완전히 수축된 위치와 완전히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그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활주통로를 제공하는 정도만 요구된다. 따라서, 이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축자재한 레일(30)은 상대적으로 가볍고 제작이 용이하다.
한편, 도 5에 나타내어진 제 2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 1구성부(31)와 제 2구성부(32) 및 제 3구성부(33)는 모두 제 1구성부(31)의 안쪽으로 향한 제 1탭(17)을 굽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제작된 다음, 상기 제 2볼베어링(43)과 제 2구성부(32)가 그 후방선단(50)으로부터 제 3구성부(33) 내의 위치로 미끄러져 들어간 다음, 상기 제 2구성부(32)는 구멍(11)이 상기 제 4탭(47)의 앞에 놓이도록 앞으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상기 멈춤블록(105)이 제 2구성부(32) 내에 위치하게 한 뒤, 제 1볼베어링(42)과 제 1구성부(31)는 그 후방선단으로부터 제 2구성부(32) 내의 위치로 미끄러져 들어가며, 상기 제 1구성부는 제 1탭(17)이 멈춤블록(105)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앞으로 미끄러지고, 그 후 이 제 1탭(17)이 안쪽으로 굽어지게 되어, 세 개의 구성부와 각각의 볼베어링을 소정위치내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의 전방선단(48)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바, 도 5의 제 2실시예와 같은 3개의 구성부로 이루어져 있고, 이 레일(30')은 완전히 수축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적어도 제 2구성부(32)가 제 3구성부(33)에 대해 바람직하지 못한 이동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멈춤블록(105)과 제 3구성부(33)상에 잠금수단(51)이 구비되는데, 이 잠금수단(51)은 완충부(10)의 뒤편에 형성된 탄성적인 제 1노치(52)와, 제 3구성부(33)의 안쪽으로 향하는 쪽에 형성된 제 2노치(53)를 갖추고 있다. 상기 제 4탭(47)과 제 2노치(53) 사이의 거리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서 상기 제 1노치(52)가 상기 제 4탭(47)과 상기 제 2노치(53) 사이에 위치되도록 된 정도이며, 상기 제 2노치(53)는 상기 제 1노치(52)의 이동경로에 있다. 또, 상기 제 2구성부(32)가 제 3구성부에 대해 연장 또는 수축하게 되면 상기 탄성적인 제 1노치(52)는 약간 변형되면서 제 2노치(53)를 지나가게 되고, 이에 따라 이러한 이동을 위해서 힘, 소위 제 1체결/해제력(L1)이 제 2구성부(32)에 가해져, 이 제 2구성부(32)가 도 6에 도시된 완전히 수축된 위치내에 잠겨지거나 이 위치로부터 잠금해제되게 되고, 상기 체결력은 손으로 쉽게 극복된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제 2실시예와 유사한 레일(30')의 전방선단(48)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그에 상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구성부(31)는 그 전방선단 부근에 2개의 제 3노치(54)를 갖추고 있는데, 이 제 3노치(54)는 제 1,2구성부(31, 32) 사이의 활주통로(14)로 연장된다. 상기 제 1탭(17)의 안쪽으로 향한 면과 제 3노치(54) 사이의 거리는 막대형상부재(13)의 길이와 연장/수축방향(F)으로 도시된 탄성적인 제 1연장부(8)의 길이를 더한 것과 대략 일치한다.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30')이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3노치(54)는 막대형상부재(13)의 후방쪽에 있게 되어, 제 1구성부(31)가 제 2구성부(32)에 대해 앞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상기 막대형상부재(13)는 도 8과 도 9에 더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홈(55)을 갖추고 있는데, 이 제 2홈(55)은 막대형상부재(13)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 2구성부(32)와 제 3구성부(33)에서부터 향하는 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막대형상부재(13)는 연장/수축방향(F)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게 되어, 활주통로(14) 내에서 막대형상부재(13)의 폭을 좁힐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제 1구성부(31)에 연장방향으로 어떤 힘, 소위 제 2잠금/해제력(L2)이 가해지면 제 3노치(54)가 막대형상부재(13)를 통과해 버릴 수 있게 되어, 제 1구성부(31)가 제 2구성부(32)에 대해 연장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 1구성부(31)가 제 2구성부(32)에 대해 수축되면 상기 제 3노치(54)는 다시 막대형상부재(13)를 통과해 버리게 되어 제 1구성부(31)를 수축된 위치내에 잠글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6a에 도시된 레일(30')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잠금수단(51)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상기 신축자재한 레일(30')은 힘이 가해지는 연장순서를 가지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구성부(32)를 제 3구성부(33)에 대해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서부터 연장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L1)은 제 1구성부(31)를 제 2구성부(32)에 대해 연장시키는데 요구되는 힘보다 작다. 이 경우, 포개어 끼울 수 잇는 레일(30')의 힘이 가해지는 순서는 다음과 같은데, 제 1구성부(31)에 연장력, 예컨대 제 2힘(L2)이 가해지면 먼저 제 2구성부(32)와 함께 제 1구성부(31)는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도달할 대까지 제 3구성부(33)에 대해 연장될 것이고, 그 후 제 1구성부(31)는 제 2구성부(32)에 대해 연장되어 레일(30')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신축자재한 레일(60)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바, 이 레일(60)은 제 1볼베어링(42)과 제 2볼베어링(43)이 개재된 제 1구성부(61)와 제 2구성부(62) 및 제 3구성부(63)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볼베어링은 도 7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상기 제 1구성부(61)와 제 2구성부(62) 및 제 3구성부(63)는 제 1구성부의 제 2탭(18)을 제외하고는 도 5에 도시된 제 1구성부(31)와 제 2구성부(32) 및 제 3구성부(33)와 유사하다. 여기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 2탭(18) 대신에 제 1구성부(61)내에 제 1후크수단(64)이 형성되고, 제 2후크수단(65)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제 3실시예의 멈춤블록(80)상에 위치되는 한편, 그에 상응하는 부분은 도 3과 도 4 및 도 10에 자세히 나타나 있는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의 멈춤블록(5, 105)에서와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상기 제 1후크수단(64)은 제 1구성부(61)의 후방선단 부근의 제 1선회점(66)에서 제 1구성부(61)의 내부에 장착된 대체로 편평한 몸체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 1선회점(66)으로부터 레버(67)와 탄성지주(68)가 전방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레버(67)는 그 정상적인 위치에서 연장/수축방향(F)과 대체로 평행하며, 상기 탄성지주(68)는 상기 레버(67)와 각을 이루는 한편, 이 탄성지주(68)의 자유단은 제 1구성부(61)의 일부분을 형성하면서 활주통로(14)의 내부에 대해 위치한다. 또, 결합수단(69)이 상기 탄성지주(68)로부터 레버(67)의 반대편으로 연장된다. 또, 상기 멈춤블록(80)상의 제 2후크수단(65)은 멈춤블록(80)의 몸체(6)를 따라 연장/수축방향(F)에 평행하고 멈춤블록(80) 몸체(6)의 표면(71)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융기부(70)를 갖추고 있다. 또, 상기 제 1후크수단(64)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상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후크수단(65), 특히 융기부(70)는 제 1후크수단(64)의 결합수단(69)의 이동경로에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구성부(61)가 제 2구성부(62)에 대해 연장되면, 이에 따라 상기 결합수단(69)은 융기부(70)에 접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 1구성부(61)가 제 2구성부(62)에 대해 더 앞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 1구성부(61)를 제 2구성부(62)에 대해 상기 연장방향으로 더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 1후크수단(64)과 제 2후크수단(65)이 서로 지나갈 수 있도록 상기 결합수단(69)이 융기부(70)에 대해 대신 들어설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 1구성부(61)의 연장된 위치에서 쉽게 조립될 수 있는 앞쪽으로 연장된 레버(67)는 상기 탄성지주(68)의 방향으로 힘을 받아 상기 결합수단(69)을 역시 탄성지주(68)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융기부(70)는 상대적으로 작은 폭(B)을 가지므로 상기 결합수단(69)은 단지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만을 이동할 것이고, 그 후 제 1후크수단(64), 특히 결합수단(69)은 융기부(70)를 지나서 제 2후크수단(65)을 지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제 1구성부(61)는 제 2구성부(62)에 대해 더 앞으로 진행하여 결합해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67)가 해제되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정상위치로 탄성적으로 수축되게 된다.
그리고, 제 1구성부(61)를 제 2구성부(62)내로 재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 1구성부의 후방선단이 제 2구성부(62)의 제 1선단(48)으로부터 미끄러져 들어가며, 자동적으로 레버(67)와 제 1후크수단(64)의 결합수단(69)은 융기부(70) 경로밖으로 굽어지게 되어 상기 제 1구성부(61)가 제 2구성부(62) 내에서 수축된 위치 쪽으로 더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후크수단(64)은 약간 탄성적으로 되어 제 1구성부(61)가 제 2구성부(62)에 대해 연장되기 위한 완충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멈춤블록(80)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직 앞쪽으로만 향한 탄성적인 연장부(8)를 갖추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7의 신축자재한 레일(60)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잠금수단(51) 또는 도 6a에 도시된 연장순서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 또는 이 모두를 구비하는바, 상기 후자의 도 6a에 도시된 수단이 도 1과 도2에 도시된 2구성부분으로 된 레일에 이용될 때, 이 수단은 제 1구성부(1)와 제 2구성부(2)를 위한 잠금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 또는 상세한 설명에 나타낸 포개어질 수 있는 레일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멈춤블록 또는 완중부 또는 이 두 부재상의 탄성적인 멈춤 및 완충수단은 상이한 각을 이루는 돌출부, 또는 변형가능한 체임버를 둘러싸는 변형가능한 부분, 또는 예컨대 멈춤블록의 한쪽에서 상대적으로 압축가능한 물체로 된 수단등의 상이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의 각 구성부들 사이의 볼베어링은 상이한 형태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트립형태의 볼베어링은 스트립들이 서로 연결될 필요가 없는 각 활주통로에 위치될 수있다. 또, 상이한 형태의 연결해제수단 또는 잠금수단이 임의의 구성부에 형성될 수 있는바, 일례로 1개 이상의 막대형상부재가 안쪽으로 연장된 노치를 구비하며, 제 1구성부는 상기 노치가 제 2구성부내에서 상기 제 1구성부를 수축된 위치에 잠그도록 형성될 수 있는 상응하는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그 뒤편에 오목부를 갖출 수 있고, 제 3구성부는 상기 제 2구성부가 그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오목부 내에 위치될 수 있는 노치를 갖추어, 상기 제 2구성부를 상기 제 3구성부 내의 수축된 위치에 잠글수 있게 된다. 또, 이와 유사한 수단이 연장된 위치에서 각 구성부를 잠그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된 모든 종류의 부재들의 조합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에 이용될 수 있고, 서랍 등의 장착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캐비넷 등에 장착하기 위한 모든 종류의 수단들이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자재한 레일의 구성부들은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멈춤블록은 임의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관련된 구성부의 전방선단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2개의 구성부로 된 실시예에 대해 어느 한 구성부는 소위 서랍부분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만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제 1구성부와 제 2구성부가 그 사이에 개재된 볼베어링을 매개로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된 대략 그 단면이 C자형으로 이루어진 구성부들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에 있어서,
    상기 제 2구성부에는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된 볼베어링의 앞쪽에 멈춤블록이 위치되고, 이 멈춤블록은 레일이 연장될 때 상기 제 1구성부상의 안쪽으로 향한 제 1돌출부와 접촉하게 될 수 있는 제 1볼베어링을 향하는 측면부근에 형성된 제 1탄성수단과, 레일이 수축될 때 제 1구성부상의 안쪽으로 향한 제 2돌출부와 접촉하게 될 수 있는 멈춤블록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 2탄성수단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1돌출부와 제 2돌출부는 레일이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제 1볼베어링의 반대편에 위치하되, 상기 제 1돌출부는 상기 제 1볼베어링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블록은 제 2구성부의 전방쪽 부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블록은 제 1구성부와 제 2구성부 사이에 1개 이상의 안내돌출부를 갖추고서 상기 제 1구성부와 제 2구성부의 활주통로와 접촉하여, 상기 제 1구성부가 제 2구성부에 대해 이동할 때 상기 구성부들이 상기 각 안내돌출부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각 안내돌출부는 레일의 연장/수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탄성수단 또는 제 2탄성수단 또는 이 두 수단 모두는 레일의 연장/수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1개 이상의 탄성력이 있는 돌출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제 3구성부를 갖추며, 상기 제 2구성부는 그 사이에 개재된 제 2볼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제 3구성부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됨과 더불어, 제 1구성부와 제 3구성부 사이에 위치되는 한편, 상기 멈춤블록은 상기 제 2구성부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완충부를 갖추고, 이 완충부는 제 1구성부에서부터 마주보는 제 2구성부 쪽에 제 3탄성수단을 갖추되, 이 제 3탄성수단은 레일이 수축될 때 상기 제 3구성부의 안쪽으로 향한 제 3탭과 접촉하게 될 수 있고, 이 제 3탭은 상기 제 3구성부의 앞쪽 부근에서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된 제 2볼베어링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블록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활주통로로 연장되는 1개 이상의 탄성부재를 갖추고서, 상기 제 1구성부 또는 제 2구성부 또는 이들 모두는 완전히 수축된 위치, 바람직하기로 완전히 수축된 위치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상기 제 1구성부와 제 2구성부를 잠그기 위한 상기 탄성부재와 협응하도록 상기 활주통로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블록은 제 1후크수단과, 제 1구성부에 위치되는 제 2후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후크수단은 레일이 연장되면 상기 제 2후크수단의 이동경로에 있게 되어, 상기 제 1후크수단과 제 2후크수단이 제 1구성부와 제 2구성부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제 2후크수단은 상기 이동경로 외부로 올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이 후크수단이 상기 제 1후크수단을 통과하여 제 1구성부와 제 2구성부가 연결해제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후크수단은 앞쪽으로 연장된 레버를 갖추되, 이 레버는 상기 제 1구성부가 제 2구성부에 대해 연장될 때 접근가능하고, 제 1구성부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
  9. 제 5항 내지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블록은 1개이상의 제 1탄성돌출부를 갖추되, 상기 제 1구성부는 그 앞쪽 부근에 상기 각각의 제 1탄성돌출부와 상응하기 위한 제 1결합수단을 갖추고, 이 제 1결합수단은 상기 각 제 1탄성돌출부의 이동경로에 있게 되어, 상기 제 1결합수단의 이동경로 밖으로 상기 각 제 1탄성돌출부가 탄성변형될 때 상기 제 1구성부가 제 2구성부에 대해서만 연장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
  10. 제 3항 및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내돌출부는 1개이상의 상기 제 1탄성돌출부를 갖추되, 상기 결합수단은 제 1구성부의 활주통로 부근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
  11. 제 5항 내지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블록은 완충부에 1개 이상의 제 2탄성돌출부를 갖추고, 상기 제 3구성부는 이 제 3구성부 전방부근에 제 2결합수단을 갖추며, 이 제 2결합수단이 상기 제 2탄성돌출부의 이동경로에 위치하여, 상기 제 2결합수단의 이동경로 밖으로 상기 제 2탄성돌출부의 탄성변형이 일어날 때 상기 제 2구성부가 오직 제 3구성부에 대해서만 연장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탄성돌출부는 제 1구성부로부터 마주보는 완충부 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 2결합수단은 제 3구성부로부터 안쪽으로 향하는 노치를 갖추되, 이 노치의 높이는 상기 제 2탄성돌출부가 변형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완충부의 측면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블록을 갖춘 신축자재한 레일.
KR1019980707031A 1997-01-08 1997-01-08 멈춤블록을갖춘신축자재한레일 KR200000645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NL1997/000008 WO1998030130A1 (en) 1997-01-08 1997-01-08 Telescopic rail with stop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561A true KR20000064561A (ko) 2000-11-06

Family

ID=1986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031A KR20000064561A (ko) 1997-01-08 1997-01-08 멈춤블록을갖춘신축자재한레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80086B1 (ko)
KR (1) KR200000645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66127U (en) * 2002-05-10 2003-12-11 King Slide Works Co Ltd Positioning track assembly for drawer
US6554338B1 (en) 2002-06-03 2003-04-29 Volvo Trucks North America, Inc. Grab handle
US7320508B2 (en) * 2003-05-13 2008-01-22 Grass America Inc. Roller and stopper mechanism for a drawer slide system
FR2874066A1 (fr) * 2004-08-04 2006-02-10 Andre Large Guidage a filtration vibratoire
GB0616733D0 (en) * 2006-08-23 2006-10-04 Accuride Int Ltd A sliding support assembly
KR101259457B1 (ko) * 2010-11-15 2013-04-30 (주)세고스 슬라이딩 장치용 완충 부재가 설치된 리테이너
CN102487597B (zh) * 2010-12-03 2016-04-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轨
CN102551378A (zh) * 2010-12-30 2012-07-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轨
CN102943427A (zh) * 2012-11-18 2013-02-27 苏州蓝王机床工具科技有限公司 摊铺机方向指示杆
CN204132846U (zh) * 2014-11-10 2015-02-04 广东泰明金属制品有限公司 三节同步隐藏滑轨
US9539948B1 (en) 2016-03-22 2017-01-10 Jac Products, Inc. Telescoping step assist system and method
US10723272B2 (en) 2017-12-04 2020-07-28 Jac Products, Inc. Step rail system for vehicle
US10694924B1 (en) * 2019-03-14 2020-06-30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guide rail
CN116241559A (zh) * 2020-08-03 2023-06-09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滑轨总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88557C (nl) 1979-02-22 1992-08-03 Regout Nv Thomas Telescopische railgeleiding.
AT375252B (de) 1982-08-16 1984-07-25 Fulterer Gmbh Schubladenauszugeinrichtung in teleskopbauart
DE19538101A1 (de) 1995-10-13 1997-04-17 Schock Metallwerk Auszugfüh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80086B1 (en) 2001-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4561A (ko) 멈춤블록을갖춘신축자재한레일
JP3590080B2 (ja) ラッチ装置
KR100211843B1 (ko) 가구류의 신축자재한 레일
US8132873B2 (en) Rail assembly
EP0955844B1 (en) Shock absorbing locking disconnect latch for ball bearing slides
US6254209B1 (en) Drawer slide floating bumper detent
EP1416828B1 (en) Slide with guide tab
US4469384A (en) Three part slide
US9237806B2 (en) Sliding track assembly
US6799817B1 (en) Auto-locking structure of a sliding track assembly for drawer
JP3803422B2 (ja) 引き出し滑り具用衝撃吸収切り離しラッチ
US5868479A (en) Drawer slide assembly
US6224178B1 (en) Multi-use snap-part body for slider
US20050017614A1 (en) Split lock arm for three-piece slide assembly
US6824233B2 (en) Track device for drawers
CA2345531C (en) File interlock system and mechanism
JP6870050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EP0355914B1 (en) Overextensible, three-piece telescopic guide
US20080191593A1 (en) Slide rail
US7159958B1 (en) Sliding rail assembly auto locking structure for drawer
KR940000559Y1 (ko) 래치장치
JP3234986B2 (ja) 止めまくらを有する入れ子式レール
US20020175605A1 (en) Positioning and push-in arrangement for a track device
WO2007139364A1 (en) Self closing device for a slide
JP2019187913A (ja) 自動引き込み装置付きスライドレ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