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742A - 전자동 세탁기 - Google Patents

전자동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742A
KR20000062742A KR1020000010843A KR20000010843A KR20000062742A KR 20000062742 A KR20000062742 A KR 20000062742A KR 1020000010843 A KR1020000010843 A KR 1020000010843A KR 20000010843 A KR20000010843 A KR 20000010843A KR 20000062742 A KR20000062742 A KR 20000062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washing
input shaft
shaft portion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024B1 (ko
Inventor
에구찌사또루
오오까와도모히로
시까모리다모쯔
오오스기히로시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5852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859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5852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1013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0006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겸 탈수조 및 교반 날개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의 가역 회전 전동기를 전동기 하우징을 함께 이용하여 유도 전동기 또는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를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복수 기종의 전자동 세탁기를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동 세탁기{FULL AUTOMATIC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전자동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동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외부 프레임 내에 현수봉 등의 방진 지지 장치에 의해 현수 지지한 외조 내에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이 세탁겸 탈수조 내의 바닥부에 교반 날개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외조의 바닥의 외측에 부착한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교반 날개를 회전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동 장치는 전동기의 회전을 감속 기어 기구를 거쳐서 교반 날개에 전달하여 상기 교반 날개를 저속으로 정역 회전시켜 세탁하거나, 클러치 기구를 거쳐서 세탁겸 탈수조에 전달하여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시켜 탈수 구동하거나 하는 것이다.
전자동 세탁기는 세탁물에 따른 다양한 세탁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세탁물의 양이나 질 또는 오염 정도에 따라서 세탁수량이나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세탁겸 탈수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세탁하는 원심력식의 세탁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전자동 세탁기는 사용자의 상이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상이한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기종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복수의 기종을 생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단기종 생산에 비교하여 가격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복수 기종의 전자동 세탁기를 비교적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구동 장치는 감속 기어 기구와 클러치 기구와 전동기를 동축 상에 배치하는 배열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닛화를 실현하도록 하고 있으나, 전동기로서 유도 전동기를 사용하도록 하면 고정자 철심과 회전자 철심 사이의 에어 갭에 높은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므로, 회전자축을 양측으로부터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조로 하면 지지 부재 등에 의해 축방향의 치수가 증가하여 외조의 하측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세탁겸 탈수조와 교반 날개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소형으로 유닛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감속 기어 기구로부터 돌출하는 입력축에 의해 전동기의 회전자 철심을 고정밀도로 지지함으로써, 유도 전동기를 조립한 구동 장치를 소형으로 유닛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클러치 기구의 구성을 연구함으로써 구동 장치의 축방향의 치수 증가를 경감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기본 구성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며, 그 일부를 전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구동 회전축계의 종단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외측 출력축부와 내측 출력축부의 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외측 출력축부와 내측 출력축부를 조합한 출력축부에 기어 케이스를 조합한 출력축부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출력축부에 기어 케이스를 조합한 조립체의 결합 가공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외측 입력축부와 내측 입력축부를 조합한 입력축부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구동 회전축계의 마무리 가공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전동기의 회전자 철심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상면도, (b)는 일부 종단 측면도, (c)는 저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전동기의 회전자 철심에 바구니형 2차 도체 및 냉각 날개를 다이캐스트 성형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상면도, (b)는 일부 종단 측면도, (c)는 저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전동기의 회전자의 외관도이며, (a)는 상면도, (b)는 종단 측면도, (c)는 저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맞물림 클러치 기구의 맞물림 결합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적인 종단 측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맞물림 클러치 기구의 맞물림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맞물림 클러치 기구의 외측 회전축계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미끄럼 이동 소자와 전자 철심의 맞물림 결합부의 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17은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세탁 탈수 모드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가 실행하는 제어 처리 흐름도.
도18은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를 사용한 구동 장치의 종단 측면도.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세탁겸 탈수조
4 : 교반 날개
5 : 외조
6 : 구동 장치
7 : 부착 베이스
32a, 32b : 감속 기구 외부 케이스
34 : 구동 회전축계
35 : 외측 회전축계
36 : 내측 회전축계
40a, 40b : 볼 베어링
42 : 부착 나사
43 : 전동기 하우징
44 : 고정자
44a : 고정자 철심
45 : 회전자
47 : 맞물림 클러치 기구
47a : 전자 코일
47b : 전자 철심
47c : 미끄럼 이동 소자
47d : 코일 스프링
47e : 흡착자
47f : 맞물림 돌기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세탁겸 탈수조 및 교반 날개의 구동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감속 기어 기구와 클러치 기구와 전동기를 직렬로 배열하고, 전동기를 감속 기어 기구의 외부 케이스에 부착한 전동기 하우징과, 전동기 하우징 내로 돌출하는 회전축에 유도 전동기 또는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를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전동기의 회전자를 부착하는 내측 입력축부를 외측 입력축부의 내측에 외륜을 압입한 구름 베어링으로 부착하여 회전자를 일측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점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기본 구성의 개략을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다. 도면 부호 1은 내부 기구를 내포하는 프레임 부재이다. 도면 부호 2는 세탁겸 탈수조이며, 그 상부 모서리부에 유체 밸런서(3)를 구비하고, 바닥부의 내측에는 회전 가능하게 교반 날개(4)를 구비한다. 도면 부호 5는 상기 세탁겸 탈수조(2)를 회전 가능하게 내포하는 외조로써, 바닥부의 외측에는 구동 장치(6)를 강판으로 된 부착 베이스(7)에 의해 부착하고, 외부 프레임(1)의 상단부 네 구석으로부터 방진 지지 장치(8)에 의해 현수 지지된다. 구동 장치(6)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의류 투입 개구(9a)를 설치한 상면 커버(9)는 프레임 부재(1)의 상부 개구를 덮도록 상기 개구 단부 모서리에 끼워 맞추고, 전방 패널(10) 및 후방 패널(11)과 함께 부착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프레임 부재(1)에 부착한다.
상면 커버(9)와 전방 패널(10) 사이에 형성되는 전방 패널 상자(12)에는 전원 스위치(13)와 입력 스위치군(14)과 표시 소자군(15)과 외조(5) 내의 수위에 따른 수위 신호를 발생하는 수위 센서(16)와 제어 유닛(17)을 내장한다.
상면 커버(9)와 후방 패널(11) 사이에 형성되는 후방 패널 상자(18)에는 입수(入水)측을 수도 꼭지(19)에 접속하고, 출수(出水)측을 주수구(20)에 접속하는 급수 전자 밸브(21)를 내장한다. 주수구(20)는 세탁겸 탈수조(2)의 개구를 향해 방수하도록 형성한다.
상면 커버(9)에 형성된 의류 투입 개구(9a)는 덮개(2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한다.
외조(5)의 바닥부에 형성된 배수구(5a)는 배수 전자 밸브(23)를 거쳐서 배수 호스(24)에 접속하고, 에어 트랩(5b)은 에어 튜브(25)를 거쳐서 상기 수위 센서(16)에 접속한다.
프레임 부재(1)의 하단부 모서리에는 네 구석에 다리(26)를 부착한 합성 수지제의 베이스(27)를 장착한다.
도2는 이 전자동 세탁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며, 그 일부는 전개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 전자동 세탁기는 구체적으로는 도1에 도시한 전자동 세탁기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도1에 도시한 전자동 세탁기의 구성 부품에 상응하는 구성 부품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3 내지 도15는 상기 구동 장치(6)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3은 구동 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며, 도4는 그 구동 회전축계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5 내지 도9는 구동 회전축계의 조립 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5는 외측 출력축부와 내측 출력축부의 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6은 외측 출력축부와 내측 출력축부를 조합한 출력축부에 기어 케이스를 조합한 출력축부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7은 출력축부에 기어 케이스를 조합한 조립체의 결합 가공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8은 외측 입력축부와 내측 입력축부를 조합한 입력축부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9는 구동 회전축계의 마무리 가공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다.
도10 내지 도12는 회전자(45)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10은 회전자 철심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상면도, (b)는 일부 종단 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11은 회전자 철심에 바구니형 2차 도체 및 냉각 날개를 다이캐스트 성형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상면도, (b)는 일부 종단 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12는 회전자의 외관도이며, (a)는 상면도, (b)는 종단 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13 내지 도15는 맞물림 클러치 기구(47)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13은 맞물림 결합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적인 종단 측면도, 도14는 맞물림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15는 외측 회전축계(35)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미끄럼 이동 소자와 전자 철심의 맞물림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이 구동 장치(6)는 세탁겸 탈수조(2) 및 교반 날개(4)의 구동 회전축을 축심으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감속 기어 기구와 맞물림 클러치 기구와 가역 회전 전동기를 동심적으로 직렬로 배열한 구성이다.
감속 기어 기구는 결합 플랜지를 맞추어 부착 나사(31)에 의해 부착 베이스(7)에 부착한 2개로 나뉘어진 감속 기구 외부 케이스(32a, 32b)의 내측에 볼 베어링(33a, 33b)에 의해 내외 2중 구조의 구동 회전축계(34)를 지지한다.
이 구동 회전축계(34)는 도4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외측 회전축계(35)와 그 중공 내에 배치한 내측 회전축계(36)를 구비한다.
외측 회전축계(35)는 전동기의 회전을 바로 세탁겸 탈수조(2)에 전달하여 상기 세탁겸 탈수조(2)를 구동하는 회전축계이며, 외부 케이스(32a)의 외측으로 연신되어 외조(5)를 관통한 선단부에 세탁겸 탈수조(2)를 결합하는 외측 출력축부(35a)와, 외부 케이스(32b)의 외측으로 연신된 통부에 맞물림 클러치 기구에 결합하는 톱니부(35b)를 형성하고 내측 단부에 플랜지(35c)를 형성한 외측 입력축부(35d)와, 그 중간에 위치하여 유성 기어 감속 기구를 수용하는 기어 케이스부(35e)를 구비한다. 기어 케이스부(35e)의 내주에는 유성 기어 감속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환형 기어(35f)를 고정 부착한다.
이 외측 회전축계(35)의 내측에 설치하는 내측 회전축계(36)는 전동기의 회전을 감속하여 교반 날개(4)에 전달하여 상기 교반 날개(4)를 구동하는 회전축계이며, 상기 외측 출력축부(35a) 내에 밀봉부(37)와 메탈 베어링(38a, 38b)과 그립 고정륜(푸시 너트)(39)에 의해 수밀봉 및 빠짐 방지 상태로 설치되고, 외측 출력축부(35a)의 선단부로부터 세탁겸 탈수조(2) 내로 돌출하여 교반 날개(4)가 부착되는 외측 단부 부분에 부착 나사(36a)가 형성되고, 내측 단부로부터 기어 케이스부(35e) 내로 돌출하여 유성 기어 감속 기구와 결합하는 내측 단부 부분에 톱니부(36b)가 형성된 내측 출력축부(36c)와, 외측 출력축부(35d)의 내측에 볼 베어링(40a, 40b)에 의해 지지되고, 이 외측 입력축부(35d)의 외측 단부로부터 일측 지지 상태로 연장 돌출된 외측 단부 부분에 전동기 회전자 끼움 부착부(36d)와 고정 나사(36e)가 형성되고, 기어 케이스부(35e) 내로 연신된 내측 단부측 부분에 태양 기어(36f)가 형성된 내측 입력축부(36g)와, 기어 케이스부(35e) 내에 있어서 상기 내측 출력축부(36c)의 톱니부(36b)에 끼워 맞춘 캐리어(36h)에 저어널되어 상기 기어(35f, 36f)에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캐리어(36h)에 감속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유성 기어(36i)를 구비한다.
볼 베어링(40a, 40b)은 전동기의 회전자축이 되는 내측 입력축부(36g)를 고정밀도로 지지하기 위해, 외측 입력축부(35d) 내에 외륜 압입 상태로 부착한다. 내측 입력축부(36g)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를 일측 지지 상태로 지지하게 되므로, 이 내측 입력축부(36g)를 지지하는 베어링은 손실이 적고 또한 직경 방향의 큰 하중을 지지하는 데 적합한 구름 베어링의 대표적인 볼 베어링(40a, 40b)을 사용하였으나, 롤러 베어링으로 치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동 회전축계(34)는 그 외측 회전축계(35)의 구성 부품을 아연 전기 도금한 강판을 냉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우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출력축부(35a) 내에 내측 출력축부(36c)를 끼워 넣어 메탈 베어링(38a, 38b)으로 지지하고, 밀봉부(37)에 의해 수밀봉 상태로 하여 그립 고정륜(39)에 의해 임시 압박한 출력축부를 구성한다. 다음에,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출력축부(35a)의 내측 단부에 기어 케이스부(35e)를 끼워 부착하여 임시 조립한다.
이와 같이 외측 출력축부(35a)에 기어 케이스부(35e)를 끼워 부착한 임시 조립체를,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기에 장착한 다이스(101, 102, 103)에 의해 포위하도록 지지하고, 펀치(104)에 의해 그립 고정륜(39)을 압입하는 동시에 외측 출력축부(35a)의 단부를 밀어 넓히도록 가공함으로써 상기 외측 출력축부(35a)와 기어 케이스부(35e)의 끼워 맞춤부를 메탈 플로우 결합한다.
한편, 입력축부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입력축부(35d) 내에 볼 베어링(40a, 40b)에 의해 내측 입력축부(36g)를 조립 부착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출력축부(35a)와 기어 케이스부(35e)의 끼워 맞춤부를 메탈 플로우 결합하여 프레스 가공기에 장착한 다이스(101, 102)에 의해 포위하도록 지지한 부분 조립체의 기어 케이스(35e) 내로 돌출한 톱니부(36b)에 캐리어(36h)를 끼워 부착하고, 이 캐리어(36h)에 유성 기어(36i)를 지지시키고, 환형 기어(35f)를 끼워 넣어 그 상부로부터 입력축부를 반대로 하여 기어 케이스부(35e)의 개구 모서리를 플랜지(35c)로 덮도록 끼워 부착하고, 그 상부로부터 기어 케이스부(35e)의 개구 단부를 잘라서 상기 플랜지(35c)의 외주 모서리를 둘러 싸도록 내측으로 절곡하는 환형의 절삭날(105a)을 갖는 펀치(105)를 압입함으로써 기어 케이스부(35e)에 입력축부를 결합한다.
전동기는 외부 케이스(32b)의 하측 단부면에 절연 부재(41)를 개재시켜 부착 나사(42)에 의해 절연 상태로 부착한 전동기 하우징(43)을 하향으로 개구시키고, 개구 단부로부터 고정자(44)를 끼워 넣어 복수개의 절곡 돌기(43a)와 절곡 갈고리(43b)에 의해 협지하도록 고정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자(44)는 가역 회전 유도 전동기를 구성하도록, 고정자 철심(44a)에 6극 구성의 고정자 권선(44b)을 권취하고, 고정자 철심(44a)의 외주면을 전동기 하우징(43)에 끼워 넣어 고정하고, 그 후에 이 전동기 하우징(43)을 외부 케이스(32b)의 하측 단부면에 부착한다. 이 고정자(44)에 장착하는 회전자(45)는 내측 입력축부(36g)에 형성한 회전자 끼움 부착부(36d)에 끼워 부착하고, 고정 나사(36e)에 나사 부착한 고정 너트(46)에 의해 고정한다.
회전자(45)는 우선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자 철심(45a)으로서 외측 철심(45a1)과 내측 철심(45a2)을 적층한다. 외측 철심(45a1)과 내측 철심(45a2)은 그 사이에 절연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간극(45a3)을 발생하는 치수로 한다. 외측 철심(45a1)은 그 외주 모서리에 바구니형 2차 도체를 다이캐스트하는 슬롯(45a4)을 구비하고, 토오크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 스큐 상태로 적층한다. 내측 철심(45a2)은 그 중심에 내측 입력축부(36g)의 단부에 형성한 회전자 끼움 부착부(36d)를 끼워 넣는 회전축 끼워 맞춤 구멍(45a5)과, 그 주위에 4개의 스트레이트 원형 구멍(45a6)을 구비하고, 스트레이트 상태로 적층한다.
또, 내측 철심(45a2)의 회전축 끼워 맞춤 구멍(45a5)은 내측 철심(45a2)의 정밀도 확보와 회전 방지를 위해, 적층 두께의 약 80%를 진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약 20%를 각형 구멍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외측 철심(45a1)의 내주면과 내측 철심(45a2)의 외주면은 요철면의 조합으로 함으로써, 간극(45a3)에 절연 수지층을 주입하여 결합한 때에 회전 방지가 되도록 한다. 또한, 외측 철심(45a1)과 내측 철심(45a2)의 적층 두께는 코어 적층 매수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치수차를 작게 하고, 그 후의 다이캐스트나 몰드 성형시의 버어 발생을 억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한 회전자 철심(45a)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철심(45a1)에 대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45b)에 의해 바구니형 2차 도체(45b1)와 냉각 날개(45b2, 45b3)를 일체적으로 성형한다.
계속해서,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수지를 외측 철심(45a1)과 내측 철심(45a2) 사이의 간극(45a3)에 주입하여 양자를 결합하는 절연 수지층(45c1)을 형성하는 동시에 하측 단부면으로 연신되어 회전 검출 센서용의 회전 자석 받침부(45c2)를 형성하고, 이 회전 자석 받침부(45c2)에 영구 자석(45d)을 끼워 부착한다. 그리고, 이 절연 수지층(45c1)은 회전자 철심(45a)의 상측 단부면으로 연신되어 상기 단부면에 후술하는 맞물림 클러치 기구의 미끄럼 이동 소자를 맞물림/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맞물림 요철부(45c3)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한 회전자(45)는 내측 입력축부(36g)에 형성한 전동기 회전자 끼움 부착부(36d)에 끼워 부착하고, 고정 너트(46)를 체결하여 전동기 회전자 끼움 부착부(36d)에 고정 부착한다. 회전자(45)의 원형 구멍(45a6)은 이 체결 작업에 있어서의 회전 방지에 이용한다.
맞물림 클러치 기구(47)는 그 일부를 도13 내지 도15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회전축계(35)를 전동기의 회전자(45)에 맞물림 결합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외측 회전축계(35)에 회전자(45)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거나, 또는 맞물림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외측 회전축계(35)를 회전 방지하도록 걸어 고정한다.
이 맞물림 클러치 기구(47)는 구동 장치(6)의 축방향의 전체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해, 환형의 전자 코일(47a)을 내포하는 환형의 전자 철심(47b)을 상기 부착 나사(42)에 의해 전동기 하우징(43)의 내측에 함께 체결하여 부착하고, 고정자 권선(44b)의 단부 코일에 의해 둘러싸여진 내측 공간에 외측 입력축부(35d)를 권취하도록 설치한다. 외측 입력축부(35d)에 형성한 톱니부(35b)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절연 수지로 된 미끄럼 이동 소자(47c)는 코일 스프링(47d)에 의해 상기 회전자(45)의 맞물림 요철부(45c3)에 결합하도록 밀어 내리고, 상기 전자 코일(47a)의 전자력에 의해 코일 스프링(47d)의 밀어 내림력에 거슬려 미끄럼 이동 소자(47c)를 끌어 올림으로써 맞물림을 해제하여 전자 철심(47b)에 흡착하여 회전 방지한다.
미끄럼 이동 소자(47c)는 상기 전자 철심(47b)에 의해 흡인하는 철로 된 흡착자(47e)를 일체적으로 수지 성형하여 설치하고, 상기 맞물림 요철부(43c3)에 끼워 넣어 맞물리게 하는 맞물림 돌기(47f)를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미끄럼 이동 소자(47c)의 흡착자(47e)를 전자 철심(47b)에 흡착한 때에 상기 미끄럼 이동 소자(47c)를 걸어 고정하여 회전 방지하기 위해, 도15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철심(47b)의 흡착면에는 복수개의 방사형의 걸림 고정 홈(47b1)을 형성하고, 흡착자(47e)에는 상기 걸림 고정 홈(47b1)에 끼워 넣는 복수개의 방사형의 걸림 고정 돌조(47e1)를 형성한다. 걸림 고정 홈(47b1)은 걸림 고정 돌조(47e1)를 걸어 고정하는 측벽면이 안쪽 방향으로 1 내지 2도의 경사로 넓어지도록 형성하고, 걸림 고정 돌조(47e1)는 걸림 고정 홈(47b1)의 측벽면에 접촉하는 측면이 선단부 방향으로 1 내지 2도의 경사로 넓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맞물림 결합시킨 때에 빠짐 방지 방향의 분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전동기 하우징(43)의 하단부는 커버(48)를 끼워 부착하여 덮는다. 그리고, 이 커버(48)에 회전 검출 센서의 회전 검출 소자[감자(感磁) 소자](49)를 부착하고, 이 회전 검출 소자(49)를 상기 회전자(45)의 영구 자석(45d)의 회전 궤도에 대응시켜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는 부착 베이스(7)를 부착 나사(50)에 의해 외조(5)의 바닥의 외측에 부착한다. 그리고, 이 구동 장치(6)의 외측은 상기 부착 나사(50)에 의해 이 구동 장치(6)와 함께 부착한 외부 커버(51)에 의해 덮도록 한다.
도16은 이 전자동 세탁기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 유닛(17)은 마이크로 컴퓨터(17a)를 중심으로 하여 구성하고, 전원 회로(17b)와, 제로 크로스 신호 발생 회로(17c)와, 리셋 회로(17d)와, 전원 릴레이(17e)와, 급수 전자 밸브(21)와 배수 전자 밸브(23)와 맞물림 클러치 기구의 전자 코일(47a)과 전동기의 고정자 권선(44b)으로의 급전을 제어하는 반도체 교류 스위칭 소자(FLS)군이나 다이오드군으로 구성된 구동 회로(17f)와, 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 회로(17g)와, 부저(17h)를 구비한다.
전원 회로(17b)는 제어 회로용의 저압 직류 전압을 생성하고, 제로 크로스 신호 발생 회로(17c)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 신호를 발생하고, 리셋 회로(17d)는 전원 투입시에 마이크로 컴퓨터(17a)를 소정의 초기 상태로 리셋하는 리셋 신호를 생성하고, 발신 회로(17a)는 마이크로 컴퓨터(17a)를 동작시키는 클록 신호를 생성한다.
구동 회로(17f)는 전동기의 고정자 권선(44b)으로의 급전 제어에 관해서는 가역 회전 제어용의 2개의 반도체 교류 스위칭 소자(FLS)(17f1, 17f2)와, 직류 제동을 위한 FLS(17f3)와 다이오드 브릿지(17f4)를 구비한다. FLS(17f1)는 정회전 급전 제어용의 반도체 교류 스위칭 소자, FLS(17f2)는 역회전 급전 제어용의 반도체 교류 스위칭 소자이다. 그리고, 전자 코일(47a)로의 급전 제어에 관해서는 큰 전자력을 발생하는 데 적합한 직류 구동 전류를 흘리기 위한 다이오드 브릿지(17f5)와 구동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위상 제어용 FLS(17f6)를 구비한다. 전자 코일 구동 전류는 흡착자(47e)를 흡인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큰 전자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큰 전류로 하고, 흡착 후는 전류를 작게 하여 발열을 경감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7a)는 이미 짜넣은 제어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서 전원 스위치(13), 입력 스위치군(14), 수위 센서(16) 및 회전 검출 소자(49)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취입하고, 표시 소자군(15)과 전원 릴레이(17e)와 구동 회로(17f)와 부저(17h)를 제어한다.
제어 유닛(17)의 마이크로 컴퓨터(17a)는 전원 스위치(13)가 투입되면, 전원 릴레이(17e)를 온하여 대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입력 스위치군(14)으로부터 세탁 개시가 지시되면, 입력 스위치군(14)에 의해 설정된 세탁 탈수 모드를 확인하고, 설정된 세탁 탈수 모드의 세탁 탈수 공정으로 들어간다.
도17은 기본적인 세탁 탈수 모드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7a)가 실행하는 제어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스텝 1701〉
전자 급수 밸브(21)를 개방하여 외조(5) 내에 소정의 수위까지 급수한다. 이 소정 수위는 다음의 스텝에서의 세탁물량 검출에 적합한 수위이며, 그 수위 검출은 수위 센서(16)로부터 출력되는 수위 검출 신호를 감시하여 행한다.
〈스텝 1702〉
세탁물량의 검출을 행한다. 이 세탁물량 검출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교반 날개(4)를 회전시킨 때의 세탁물의 저항력의 크기에 의거하여 행한다. 그로 인해, 맞물림 클러치 기구(47)의 전자 코일(47a)을 압박하여 흡착자(47e)를 전자 흡인함으로써, 미끄럼 이동 소자(47c)를 코일 스프링(47d)에 거슬려 끌어 올려 상기 미끄럼 이동 소자(47c)의 맞물림 돌기(47f)를 전동기의 회전자(45)의 맞물림 요철부(45c3)로부터 분리하고, 흡착자(47e)를 전자 철심(47b)에 흡착하여 도면 부호 47e1, 47b1에 결합함으로써 외측 회전축계(35)[세탁겸 탈수조(2)]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걸어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전동기의 고정자 코일(44b)을 압박하여 회전자(45)를 회전시키고, 내측 입력축부(36g)로부터 유성 기어(36i)를 거쳐서 감속한 후에 내측 출력축부(36c)로 전달하여 교반 날개(4)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구동을 정지한 때의 관성 회전 속도를 회전 검출 소자(49)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검출하고, 그 감쇄 특성에 의거하여 세탁물량을 검출한다. 이 검출 처리는 수위를 변경하면서 행함으로써, 세탁물의 질의 검출도 가능해진다.
〈스텝 1703〉
세탁물의 양 및 질에 따라서 세탁 수위를 결정하고, 이 세탁 수위까지 급수를 실행한다.
〈스텝 1704〉
세탁물의 양 및 질에 따른 세탁 공정을 실행한다. 이 세탁 공정은 교반 날개(4)를 정역 회전시켜 행하는 세탁 방법과 세탁겸 탈수조(2)를 정역 회전시켜 행하는 세탁 방법과 세탁겸 탈수조(2)를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행하는 세탁 방법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교반 날개(4)를 정역 회전시켜 행하는 세탁 방법은, 예를 들어 면직물의 속옷이나 양말 등의 세탁물을 강하게 교반하여 세탁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세탁겸 탈수조(2)를 정역 회전시켜 행하는 세탁 방법은, 예를 들어 셔츠나 목욕 수건 등의 큰 세탁물을 교반하여 얽힘 및 세탁 얼룩을 경감하도록 세탁하는 데 적합하다. 그리고, 세탁겸 탈수조(2)를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행하는 세탁 방법은, 예를 들어 드라이 마크 의류 등의 세탁물을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세탁하는 데 적합하다.
교반 날개(4)를 정역 회전시키는 세탁 방법은 맞물림 클러치 기구(47)의 전자 코일(47a)을 압박하여 미끄럼 이동 소자(47c)를 끌어 올려 상기 미끄럼 이동 소자(47c)와 회전자(45)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흡착자(47e)를 전자 철심(47b)에 흡착하여 걸림 고정 돌조(47e1)를 걸림 고정 홈(47b1)에 결합시켜 외측 입력축부(35d)를 회전 방지하여 세탁겸 탈수조(2)를 정지 상태로 하고, 회전자(45)를 정역 회전하도록 고정자 코일(44)을 압박함으로써, 이 회전을 내측 입력축부(36g), 유성 기어(36i), 내측 출력축부(36c)를 거쳐서 교반 날개(4)에 전달하여 행한다.
세탁겸 탈수조(2)를 정역 회전시키는 세탁 방법은 맞물림 클러치 기구(47)의 전자 코일(47a)의 힘을 사라지게 하여 미끄럼 이동 소자(47c)를 코일 스프링(47d)에 의해 밀어 내려 상기 미끄럼 이동 소자(47c)의 맞물림 돌기(47f)를 회전자(45)의 맞물림 요철부(45c3)에 끼워 넣어 맞물리게 해 상기 회전자(45)와 연결 상태로 하고, 전동기의 회전자(45)를 정역 회전하도록 고정자 코일(44b)을 압박함으로써, 이 회전을 외측 입력축부(35d), 기어 케이스부(35e), 외측 출력축부(35a)를 거쳐서 세탁겸 탈수조(2)에 전달하여 행한다. 이 때는 유성 기어 기구는 감속 기능을 잃으므로, 교반 날개(4)는 세탁겸 탈수조(2)와 동기하여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세탁겸 탈수조(2)를 일방향으로 연속 회전시켜 행하는 세탁 방법은 수위를 낮게 설정하고, 맞물림 클러치 기구(47)를 맞물리게 한 연결 상태에 있어서 전동기를 일방향으로 연속 회전시키도록 고정자 코일(44b)을 압박함으로써 실행한다.
이와 같은 3종류의 세탁 방법의 선택은 마이크로 컴퓨터(17a)가 세탁물의 양이나 질 혹은 입력 스위치군(14)에 의해 설정된 세탁 모드에 따라서 결정하고, 맞물림 클러치 기구(47)의 전자 코일(47a)을 제어하여 상기 맞물림 클러치 기구(47)의 단속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이들을 조합한 세탁 방법으로 할 수도 있다.
〈스텝 1705〉
헹굼 공정을 실행한다. 이 헹굼 공정은 샤워 탈수 헹굼과 불림 헹굼을 조합하여 실행하도록 하면 좋다. 조합 방법은 우선 샤워 탈수 헹굼을 행하고, 그 후에 불림 헹굼을 행하도록 하면 좋다.
샤워 탈수 헹굼은 배수 전자 밸브(23)를 개방하여 배수 상태로 하고, 교반 날개(4) 및 세탁겸 탈수조(2)를 고속 회전시켜 탈수 운전으로 한 상태에서 급수 전자 밸브(21)를 개방하여 상기 세탁겸 탈수조(2) 내에 주수하도록 하여 행한다.
이 때의 세탁겸 탈수조(2)의 고속 회전시키는 탈수에서는 맞물림 클러치 기구(47)는 전술한 세탁겸 탈수조(2)를 회전시키는 세탁 방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자 코일(47a)의 힘을 사라지게 하여 미끄럼 이동 소자(47d)를 전동기의 회전자(45)에 연결 상태로 하여 상기 전동기를 소정의 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실현한다.
불림 헹굼은 교반 날개(4) 및 세탁겸 탈수조(2)를 정지 상태로 하여 배수 전자 밸브(23)를 개방하여 외조(5)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고, 세탁겸 탈수조(2)를 고속 회전시켜 탈수하고, 이어서 배수 전자 밸브(23)를 폐쇄하고 급수 전자 밸브(21)를 개방함으로써 세탁겸 탈수조(2)에 주수하여 외조(5) 내에 헹굼수를 저장하고, 교반 날개(4) 또는 세탁겸 탈수조(2)를 회전시켜 세탁물을 교반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행한다.
〈스텝 1706〉
탈수 공정을 실행한다. 이 탈수 공정은 전술한 헹굼 공정에 있어서의 탈수와 마찬가지로 하여 행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7a)는 이들의 각 스텝에 있어서, 설정 상태 및 공정 진행 상태를 표시 소자군(15)을 제어하여 표시하고, 이상이 발생한 때나 세탁 종료시에는 부저(17h)를 울리게 해 알리도록 한다.
도18은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를 사용한 구동 장치(6)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는 하나의 전동기 하우징에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 철심과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의 고정자 철심을 선택적으로 끼워 부착하도록 함께 이용하고, 내측 입력축부를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와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의 회전자에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 형태에 대한 이 실시 형태의 특징은 전동기의 구성에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 형태와 공통인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는 고정자(52)를 고정자 철심(52a)에 고정자 권선(52b)을 권취 장착하여 구성하고, 고정자 철심(52a)을 전동기 하우징(43)에 끼워 넣어 절곡 돌기(43a)와 절곡 갈고리(43b)에 의해 협지하도록 고정한다. 간격 부재(53)는 이 고정자 철심(52a)의 축방향의 치수와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 철심(44a)의 치수의 차를 보충하는 것이다.
회전자(54)는 회전자 철심(요크)(54a)의 외주에 영구 자석 자극(54b)을 부착하고, 이들과 일체적으로 성형한 절연 수지제의 부착 보스(54c)에 의해 내측 입력축부(36g)에 있어서의 전동기 회전자 끼움 부착부(36d)에 부착한다. 맞물림 클러치 기구(47)의 미끄럼 이동 소자(47d)에 형성한 맞물림 돌기(47f)를 끼워 넣는 맞물림 요철부(54d)는 부착 보스(54c)의 상면에 상기 부착 보스(54c)와 일체적으로 수지 성형한다. 부착 보스(54c)는 전동기 회전자 끼움 부착부(36d)에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45)와 마찬가지로 끼워 부착하여 부착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하고, 내측 단부측의 체결 단부에는 회전자 철심(54a)을 노출시키고, 외측 단부측의 체결 단부에는 금속 링(54e)을 매설한다.
또, 회전자의 부착 보스(54c)는 전동기 회전자 끼움 부착부를 짧게 한 전용의 내측 입력축부를 사용함으로써, 짧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영구 자석 자극(54b)은 고정자 권선(52b)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하고, 이 돌출부의 회전 궤도에 대향시켜 자극 검출 소자(55)를 설치함으로써, 회전자(54)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한다. 이 자극 검출 소자(55)는 커버(48)에 부착한다.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고정자 권선(52b)의 각 상(相)에 대한 회전자(54)의 자극(54b)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고정자 권선(52b)의 각 상에 흘리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를 사용한 전자동 세탁기에서는 상기 구동 회로(17f)에는 전동기용 직류 전원을 위한 정류 회로와, 고정자 권선(52b)의 각 상의 전류를 PAM 제어하는 인버터 회로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를 사용해도 전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전자동 세탁기를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는 다양한 회전 제어를 행할 수 있으므로, 더욱 세밀한 세탁 공정 및 탈수 공정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전동기 하우징(43) 및 내측 입력축부(63g)를 함께 이용하여 유도 전동기 또는 브러시리스 전동기를 선택적으로 조립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구성하는 고정자 및 회전자의 외곽 및 끼워 맞춤부의 치수를 고려해야만 한다.
동일 출력을 얻기 위한 외곽 치수는 일반적으로는 유도 전동기 쪽이 커진다. 그래서,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44) 및 회전자(45)에 대해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동 회전축계(34)를 축심으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유성 감속 기어 기구와 맞물림 클러치 기구와 전동기를 동심적으로 직렬로 배열한 구성의 구동 장치(6)는 전자동 세탁기의 전체 구성을 고려하면, 외조(5)의 바닥면으로의 부착면으로부터 하방으로의 돌출량이 160㎜ 이내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리고, 이 구동 장치(6)는 구동 회전축계(34)의 상단부에 세탁겸 탈수조(2) 및 교반 날개(4)를 부착하여 지지하게 되므로, 이 구동 회전축계(34)를 지지하는 볼 베어링(33a, 33b)은 축방향으로 가능한 한 큰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이 볼 베어링(33a, 33b)을 설치하는 감속 기구 외부 케이스(32a, 32b)는 볼 베어링(33a, 33b)의 축방향 간격에 상당하는 축방향 치수가 된다.
이들의 치수 배분으로부터, 전동기의 축방향의 치수는 맞물림 클러치 기구(47)를 포함하여 90㎜ 정도가 된다. 유도 전동기는 필요한 출력 특성(250W 정도)을 유지하면서 축방향의 치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고정자(44) 및 회전자((45)의 직경을 크게 하면 좋다. 그러나, 고정자(44) 및 회전자(45)의 철심(44a, 45a)을 철판을 펀칭하여 적층하여 구성하도록 하면, 직경이 큰 철심(44a, 45a)은 고가가 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맞물림 클러치 기구(47)를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 권선(44b)의 단부 코일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을 활용하여 외측 입력축부(35d)를 권취하도록 설치하게 연구하여 상기 맞물림 클러치 기구(47)에 의한 축방향의 치수의 제약을 완화함으로써, 고정자 철심(44a)의 외경 치수를 160㎜, 내경 치수를 98㎜, 축방향 치수를 25㎜로 소형으로 했다.
고정자 철심(44a)의 내경 치수는 고정자(44)를 전동기 하우징(43)에 끼워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전동기 하우징(43)을 외부 케이스(32b)의 하측 단부면에 부착 나사(42)에 의해 부착할 때의 센터링 지그의 접촉 기준면을 제공하고, 또한 부착 나사(42)가 내경 치수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나사 체결 공구 삽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수반하여, 이 고정자 철심(44a)을 협지하기 위해 전동기 하우징(43)을 설치하는 절곡 돌기(43a)의 위치는 이 전동기 하우징(43)의 부착면으로부터의 축방향 치수를 34㎜로 했다.
이와 같은 유도 전동기 대신에 부착하는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는 그 고정자(52)를 구성하는 고정자 철심(52a)의 외형 치수와 내경 치수를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 철심(44a)과 같게 하고, 축방향 치수를 작게 구성한다. 그리고, 회전자(54)는 이와 같은 고정자 철심(52a)을 사용하여 구성한 고정자(52)에 상응하는 외경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생산 설비를 함께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유도 전동기 또는 브러시 리스 전동기를 선택적으로 조립하기 위해, 특히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44) 또는 브러시리스 전동기(52)를 끼워 부착한 전동기 하우징(43)을 부착 나사(42)에 의해 외부 케이스(32b)의 하측 단부면에 센터링한 상태로 부착할 때에 고정자 철심(44a, 52a)의 내경면에 지그를 접촉하여 센터링할 수 있다. 게다가, 부착 나사(42)는 내경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센터링한 상태에서 공구를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동기의 고정자를 부착하는 전동기 하우징을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 및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의 고정자에 함께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유도 전동기를 사용한 구동 장치를 구비한 전자동 세탁기와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를 사용한 구동 장치를 구비한 전자동 세탁기의 2기종을 비교적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 장치는 전동기의 회전자를 부착하는 내측 입력축부를 외측 입력축부의 내측에 외륜을 압입한 구름 베어링으로 부착하여 회전자를 일측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내측 입력축부의 부착 정밀도가 높아져 유도 전동기를 사용하는 구동 장치를 소형으로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전동기 하우징 내의 공간을 이용하여 클러치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구동 장치의 축방향의 치수 증가를 경감할 수 있다.

Claims (18)

  1.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 내에 현수 지지되는 외조와, 이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겸 탈수조와, 이 세탁겸 탈수조의 바닥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교반 날개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교반 날개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와, 이 전동기를 구성하는 회전자에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외측 입력축부와, 상기 회전자에 접속되어 상기 교반 날개를 회전 구동하는 내측 입력축부를 갖고, 상기 외측 입력축부와 상기 내측 입력축부를 구름 베어링에 의해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상기 교반 날개의 구동 회전축의 수직 방향으로 감속 기어 기구와 클러치 기구와 상기 전동기를 직렬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3. 프레임 부재와, 이 프레임 부재 내에 현수 지지되는 외조와, 이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의 바닥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교반 날개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상기 교반 날개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와, 이 전동기를 구성하는 회전자에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 구동하는 외측 입력축부와, 상기 회전자에 접속되어 상기 교반 날개를 회전 구동하는 내측 입력축부를 갖고,
    상기 내측 입력축부를 상기 외측 입력축부 내에 외륜을 압입한 구름 베어링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전동기의 회전자를 일측 지지 상태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는 상기 감속 기어 기구의 외부 케이스에 부착한 전동기 하우징과, 이 전동기 하우징 내에 끼워 부착한 고정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전동기 하우징 내의 고정자의 고정자 권선의 단부 코일에 둘러싸여진 공간에 위치시켜 상기 전동기 하우징 내로 돌출하는 상기 외측 입력축부를 권취하도록 배치한 환형의 전자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입력축부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회전자와 결합하도록 스프링력을 작용시킨 미끄럼 이동 소자를 전자 코일의 전자력에 의해 흡인하여 결합을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어 기구의 상기 외부 케이스로의 상기 전동기 하우징의 부착 나사는 상기 전동기의 고정자 철심의 내경보다 내측에 위치시켜 상기 회전자의 설치 공간을 통해 체결 조작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7. 프레임 부재와, 이 프레임 부재에 현수 지지된 외조와, 이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교반 날개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 및 상기 교반 날개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세탁겸 탈수조 및 교반 날개의 구동 회전축의 높이 방향으로 감속 기어 기구와 클러치 기구와 전동기를 직렬로 배열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전동기는 상기 감속 기어 기구의 외부 케이스에 부착한 전동기 하우징과, 상기 전동기 하우징 내로 돌출하는 회전축에 유도 전동기 또는 브러시리스 전동기를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전동기 및 브러시리스 전동기는 그 고정자의 고정자 철심의 외경 치수를 같게 하여 상기 전동기 하우징 내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전동기 및 브러시리스 전동기는 상기 고정자의 고정자 철심의 내경 치수를 같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전동기 하우징 내의 상기 전동기 하우징 내로 돌출하고, 상기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축인 외측 입력축부를 권취하도록 배치한 환형의 전자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입력축부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전동기의 회전자와 결합하도록 스프링력을 작용시킨 미끄럼 이동 소자를 전자 코일의 전자력에 의해 흡인하여 결합을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11.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전동기 하우징 내의 고정자 철심에 권취 장착한 고정자 권선의 단부 코일에 둘러싸여진 공간에 위치시켜 상기 전동기 하우징 내로 돌출하는 외측 입력축부를 권취하도록 배치한 환형의 자기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입력축부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켜 회전자와 결합하도록 스프링력을 작용시킨 미끄럼 이동 소자를 상기 전자 코일의 전자력에 의해 흡인하여 결합을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12.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어 기구의 상기 외부 케이스로의 상기 전동기 하우징의 부착 나사는 상기 전동기의 고정자 철심의 내경보다 내측에 위치시켜 회전자 설치 공간을 통해 체결 조작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외륜을 압입한 구름 베어링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전동기의 회전자를 일측 지지 상태로 부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14. 프레임 부재와, 이 프레임 부재 내에 설치하는 세탁조와, 이 세탁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 날개와, 상기 세탁조와 상기 교반 날개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 기구를 갖는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구는 감속 기어가 수납되는 기어 케이스와 상기 기어 케이스에 끼워 맞추어지는 외측 입력축부를 갖고,
    상기 기어 케이스와 상기 외측 입력축부와의 끼워 맞춤은 상기 기어 케이스의 외주 단부면의 일부를 상기 외측 입력축부에 코오킹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15. 프레임 부재와, 이 프레임 부재 내에 설치되는 세탁조와, 이 세탁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 날개와, 상기 세탁조와 상기 교반 날개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 기구를 갖는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구는 감속 기어가 수납되는 기어 케이스와 이 기어 케이스에 끼워 맞추어지는 외측 입력축부를 갖고,
    상기 기어 케이스와 상기 외측 입력축부와의 끼워 맞춤은 상기 기어 케이스의 내주면에 있는 단차부에 상기 외측 입력축부의 외주 단부가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상기 기어 케이스의 외주 단부면을 상기 외주 단부면의 내주보다 크고 외주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한 예각형 부재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기어 케이스의 외주 단부면의 일부를 상기 기어 케이스에 코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16. 세탁물을 교반하는 교반 날개와, 상기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와, 상기 교반 날개와 상기 세탁조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상기 교반 날개 또는 상기 세탁조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클러치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 기구를 갖는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 기구 사이에 상기 클러치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는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 소자와 전자 코일을 구비한 전자 철심을 갖고,
    상기 미끄럼 이동 소자가 상기 전자 코일의 전자력에 의해 흡착되어 있을 때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은 상기 교반 날개에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17. 세탁물을 교반하는 교반 날개와, 상기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와, 상기 교반 날개와 상기 세탁조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상기 세탁조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클러치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 기구를 갖는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구는 감속 기어를 기어 케이스에 수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기어 케이스에 전달하는 외측 입력축부를 상기 기어 케이스에 접속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측 입력축부의 외주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미끄럼 이동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입력축부의 원주 방향으로 구비된 전자 철심에 통전함으로써 상기 미끄럼 이동 소자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자 철심에 흡착되고,
    상기 전자 철심에 통전하지 않을 때는 상기 미끄럼 이동 소자는 상기 모터를 구성하는 회전자와 끼워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이동 소자는 요철 형상을 구비한 흡착자를 갖고, 상기 전자 철심의 하부에는 요철 형상을 한 전자 철심 하부를 갖고, 상기 흡착자의 볼록부 측벽 및 상기 전자 철심 하부의 오목부 측벽은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
KR10-2000-0010843A 1999-03-05 2000-03-04 전자동 세탁기 KR100433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852299A JP3685943B2 (ja) 1999-03-05 1999-03-05 全自動洗濯機
JP05852399A JP3510138B2 (ja) 1999-03-05 1999-03-05 全自動洗濯機
JP99-58522 1999-03-05
JP99-58523 1999-03-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355A Division KR100485540B1 (ko) 1999-03-05 2002-11-16 전자동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742A true KR20000062742A (ko) 2000-10-25
KR100433024B1 KR100433024B1 (ko) 2004-05-24

Family

ID=263995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843A KR100433024B1 (ko) 1999-03-05 2000-03-04 전자동 세탁기
KR10-2002-0071355A KR100485540B1 (ko) 1999-03-05 2002-11-16 전자동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355A KR100485540B1 (ko) 1999-03-05 2002-11-16 전자동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0433024B1 (ko)
CN (3) CN1619045A (ko)
TW (1) TW498122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616B1 (ko) * 2002-01-17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결식 세탁기
KR100976490B1 (ko) * 2003-10-16 2010-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구동축 지지용 베어링의 완충구조
KR101014710B1 (ko) * 2003-10-16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구동축 지지용 베어링의 완충구조
KR101014709B1 (ko) * 2003-10-16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구동축 지지용 베어링의 완충구조
KR101019474B1 (ko) * 2003-10-16 2011-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구동축 지지용 베어링의 완충구조
KR101354216B1 (ko) * 2011-03-04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13756057A (zh) * 2020-06-03 2021-12-0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减速离合装置、洗衣机及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545B1 (ko) * 2002-12-23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CN101774986B (zh) 2010-01-06 2012-03-28 浙江天宇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制备阿利克伦及其中间体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067U (ko) * 1997-10-23 1999-05-15 구자홍 세탁기용 클러치의 감속기어 고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616B1 (ko) * 2002-01-17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결식 세탁기
KR100976490B1 (ko) * 2003-10-16 2010-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구동축 지지용 베어링의 완충구조
KR101014710B1 (ko) * 2003-10-16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구동축 지지용 베어링의 완충구조
KR101014709B1 (ko) * 2003-10-16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구동축 지지용 베어링의 완충구조
KR101019474B1 (ko) * 2003-10-16 2011-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구동축 지지용 베어링의 완충구조
KR101354216B1 (ko) * 2011-03-04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9481958B2 (en) 2011-03-04 2016-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N113756057A (zh) * 2020-06-03 2021-12-0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减速离合装置、洗衣机及控制方法
CN113756057B (zh) * 2020-06-03 2024-03-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减速离合装置、洗衣机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9046A (zh) 2005-05-25
TW498122B (en) 2002-08-11
CN1266118A (zh) 2000-09-13
CN1191407C (zh) 2005-03-02
KR100433024B1 (ko) 2004-05-24
KR20020089301A (ko) 2002-11-29
CN1619045A (zh) 2005-05-25
KR100485540B1 (ko) 200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61625A (ja) 洗濯機
EP1763122B1 (en) Electric motor with an outer rotor for a washing machine
KR20060020265A (ko) 세탁기의 구동부 및 그 제어방법
KR100485540B1 (ko) 전자동 세탁기
KR102541409B1 (ko) 세탁기
KR20060020266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3510138B2 (ja) 全自動洗濯機
JP2001017778A (ja) 全自動洗濯機
JP3685943B2 (ja) 全自動洗濯機
KR20040071430A (ko) 전자동 세탁기
KR100593636B1 (ko) 전자동 세탁기 및 그 구동장치
KR100451076B1 (ko) 전기 세탁기
KR20010067197A (ko) 전기 세탁기
JP2000102693A (ja) 脱水兼用洗濯機
JP2001017779A (ja) 全自動洗濯機
KR100629743B1 (ko) 전자동 세탁기
JP2001300187A (ja) 電気洗濯機
JP3475905B2 (ja) 電気洗濯機
KR20040071404A (ko) 전자동 세탁기
JP3388872B2 (ja) 洗濯機
KR940006382Y1 (ko) 세탁기의 탈수 안전장치
KR100593637B1 (ko) 전자동세탁기 및 그 구동장치
JP3476713B2 (ja) 電気洗濯機
JP3476762B2 (ja) 電気洗濯機
JP3476760B2 (ja) 電気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