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1728A - 톱밥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톱밥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1728A
KR20000061728A KR1019990011003A KR19990011003A KR20000061728A KR 20000061728 A KR20000061728 A KR 20000061728A KR 1019990011003 A KR1019990011003 A KR 1019990011003A KR 19990011003 A KR19990011003 A KR 19990011003A KR 20000061728 A KR20000061728 A KR 20000061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cutter
wood
hopper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8003B1 (ko
Inventor
김홍덕
Original Assignee
김홍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덕 filed Critical 김홍덕
Priority to KR1019990011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003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5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2Transporting devices for wood or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6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powder or saw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barking, Splitting, And Disintegration Of Timber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비나 버섯종균 배양용 등으로 사용되는 톱밥을 가공하는 톱밥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커터에 의해 1차 가공된 얇은 입자의 원목을 보조커터가 회전하며 2차 파쇄하여 톱밥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디스크에 십자형태로 주커터를 부착하되 디스크의 외주에는 다수의 보조커터를 부착하고 몸체 상부 원형내벽과 하부 배출구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파쇄대를 형성시킨 것이 특징적인 요지로써
원목이 주커터에 의해 얇은 입자형태로 1차 가공되고 보조커터에 의해 톱밥으로 2차 가공되므로 커터에 가해지는 힘이 비교적 적어 커터 마모에 문제가 없어 유지보수가 수월하며 적은동력으로도 대량생산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톱밥제조장치{Sawdust making system}
본 발명은 퇴비나 버섯종균 배양용 등으로 사용되는 톱밥을 가공하는 톱밥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커터에 의해 1차 가공된 얇은 입자의 원목을 보조커터가 회전하며 2차 파쇄하여 톱밥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톱밥제조장치는 원목을 얇은 입자로 만드는 단순기능만이 가능한 것이었고 톱밥형태로의 가공은 매우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상기 톱밥제조장치는 이동식 또는 고정식의 모든 경우 그 형태가 체인톱날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팁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칼날을 이용하는 방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었고 약간의 단순변형만을 취하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형태의 톱밥제조장치는 단시간내에 생산하는 톱밥의 양은 비교적 많지만 지속적인 생산에 있어서는 톱밥과 팁 그리고 칼날의 조기마모에 따라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디스크에 부착된 주커터에 의해 1차 가공된 얇은 입자형태의 원목을 디스크의 원심력을 이용한 남는 힘으로 입자에서 톱밥으로 2차 변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디스크에 십자형태로 주커터를 부착하되 디스크의 외주에는 다수의 보조커터를 부착하고 몸체 상부 원형내벽과 하부 배출구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파쇄대를 형성시킨 것이 특징적인 요지로써
하부가 개방되고 원형상부의 일측에 호퍼가 형성되며 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모우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원목을 톱밥형태로 분쇄하는 분쇄수단과, 상기 몸체의 호퍼 하부에 간극조절가능케 형성되는 받침커터와, 상기 몸체 상부 내벽과 하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파쇄대와,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가공된 톱밥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톱밥제조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톱밥제조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 받침커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 주커터와 받침커터의 간극 조절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 분쇄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 디스크에 주커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 하부 배출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모우터 10 : 몸체 11 : 호퍼
20 : 회전축 30 : 분쇄수단 31 : 디스크
34 : 주커터 39 : 보조커터 40 : 받침커터
50 : 파쇄대 60 : 이송수단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톱밥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상부에 놓여지는 몸체(10)와, 몸체(10)를 관통하여 모우터(2)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0)과, 회전축(20)에 형성되어 원목을 톱밥형태로 가공하는 분쇄수단(30)과, 상기 몸체(10)의 호퍼(11)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커터(40)와, 상기 몸체(10) 상부 내벽과 하부에 회전축(3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파쇄대(50)와, 상기 몸체(10) 하부에 형성되어 가공된 톱밥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60)으로 이루어 진다.
프레임(1)의 일측 상부에 장착되는 몸체(10)는 하부가 개방되어 가공된 톱밥이 이송수단(60)으로 낙하될 수 있고 상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전방 일측에는 경사지게 원목이 투입되는 호퍼(11)가 형성되고 호퍼(11)의 타측에는 투시창(12)이 형성되어 투시창(12)을 개방하여 몸체(10) 내부를 관찰하거나 내부 구성품을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
몸체(10)가 장착된 프레임(1)의 타측에는 모우터(2)가 부착되고 이 동력으로 회전축(20)이 몸체(10)를 관통하여 지지체(21)에 지지된체 회전가능케 된다.
몸체(10)를 관통한 회전축(20)에 형성되어 원목을 톱밥형태로 분쇄하는 분쇄수단(30)은 회전축(20)에 부착된 디스크(31)에 십자형태로 다수의 주커터 삽입부(32)가 형성되어지되 주커터 삽입부(32)는 일측 경사면(33)에 주커터(34)가 끼워지는 고정볼트(35)가 돌설되고 경사면(33)의 선단은 고정돌기(36)가 형성되어 주커터(34)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주커터 삽입부(32)에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커터(34)에 형성된 장홈(37)을 고정볼트(35)가 관통되어 너트로 고정될 수 있고 간극조절나사(38)에 의해 디스크(31)면으로부터 주커터(34)의 돌출 간극을 조절하여 원목의 1차 입자상태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크(31)의 외주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보조커터(39)가 형성되어 얇은 입자형태로 1차 가공된 원목을 톱밥으로 2차 가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10) 호퍼(11) 하부에는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조절가능케 받침커터(40)가 부착되어 원목을 받쳐줌과 동시에 주커터(34)와 한쌍으로 원목을 입자형태로 얇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0) 상부 원형내벽과 하부에는 회전축(2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파쇄대(50)가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 디스크(31)에 부착된 보조커터(39)의 엄청난 원심력에 의해 1차 가공된 얇은 입자의 원목이 파쇄대(50)에 부딪치고 다수회 회전하는 과정에서 톱밥의 형태로 2차 가공된다.
이러한 톱밥은 하부 파쇄대(50)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배출구(51)를 통해 몸체(10) 하부에 형성된 이송수단(60)으로 낙하되어 제 3 의 장소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60)은 모우터에 체인연결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61)로 구성되는 공지구조로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3은 측면덮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을 공급하면 모우터(2)가 회전하고 회전축(20)이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시계반대방향으로 역회전함에 따라 디스크(31)도 함께 역회전된다.
이때 호퍼(11)에 원목을 투입하면 디스크(31)에 형성된 주커터(34)에 의해 원목이 1차적으로 낙하되는 얇은 입자의 형태로 가공되어 하부로 낙하된다.
낙하되는 얇은 입자의 원목은 그대로 하부의 이송수단(60)으로 배출되지 않고 디스크(31)의 외주에 부착된 다수의 보조커터(39)에 의해 2차 파쇄되어 톱밥으로 가공된다.
즉 디스크(31)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보조커터(39)가 얇은 입자의 원목을 몸체(10) 원형 상부내벽과 하부에 형성된 파쇄대(50)에 부딪치게 하는 회전동작을 반복하면서 톱밥의 형태로 가공하게 된다.
이러한 미세한 입자로 가공된 톱밥은 엄청난 원심력에도 불구하고 무게가 가벼워 하부의 파쇄대(50) 사이사이의 배출구(51)를 통해 이송수단(60)의 이송스크류(61)로 낙하되어 이송스크류(61)에 의해 마대에 담겨지거나 제 3 의 장소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원형 디스크에 부착된 다수의 주커터이외에 디스크의 원심력을 이용한 남는 힘으로 작동되는 보조커터를 다수개 부착시키므로써 원목이 주커터에 의해 얇은 입자형태로 1차 가공되고 보조커터에 의해 톱밥으로 2차 가공되므로 커터에 가해지는 힘이 비교적 적어 커터 마모에 문제가 없어 유지보수가 수월하며 적은동력으로도 대량생산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하부가 개방되고 원형상부의 일측에 호퍼(11)가 형성되며 프레임(1) 상부에 장착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를 관통하여 모우터(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에 형성되어 원목을 톱밥형태로 분쇄하는 분쇄수단(30)과,
    상기 몸체(10)의 호퍼(11) 하부에 간극조절가능케 형성되는 받침커터(40)와,
    상기 몸체(10) 상부 내벽과 하부에 회전축(2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파쇄대(50)와,
    상기 몸체(10) 하부에 형성되어 가공된 톱밥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제조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분쇄수단(30)은 회전축(20)에 부착된 디스크(31)에 십자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주커터 삽입부(32)와,
    상기 주커터 삽입부(32)에 간극조절가능케 부착되어 원목을 입자형태로 1차 가공하는 주커터(34)와,
    상기 디스크(31)의 외주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1차 가공된 입자형태의 원목을 톱밥으로 2차 가공하는 보조커터(3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제조장치.
KR1019990011003A 1999-03-30 1999-03-30 톱밥제조장치 KR100288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003A KR100288003B1 (ko) 1999-03-30 1999-03-30 톱밥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003A KR100288003B1 (ko) 1999-03-30 1999-03-30 톱밥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728A true KR20000061728A (ko) 2000-10-25
KR100288003B1 KR100288003B1 (ko) 2001-04-16

Family

ID=1957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003A KR100288003B1 (ko) 1999-03-30 1999-03-30 톱밥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0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910A (ko) * 2000-09-06 2001-02-05 김동섭 목재분쇄기의 분쇄원판
KR100977636B1 (ko) * 2010-02-03 2010-08-23 세온엔텍주식회사 회전식 파쇄날이 장착된 2중 스크린망식 목재 파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920B1 (ko) * 2014-12-12 2015-04-14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목재 파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910A (ko) * 2000-09-06 2001-02-05 김동섭 목재분쇄기의 분쇄원판
KR100977636B1 (ko) * 2010-02-03 2010-08-23 세온엔텍주식회사 회전식 파쇄날이 장착된 2중 스크린망식 목재 파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8003B1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316B1 (ko) 분말입자체의 분쇄정립장치
US3880367A (en) Grain mill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KR100288003B1 (ko) 톱밥제조장치
US4600160A (en) Chopper blade assembly
CA1233450A (en) Disc pulverizer
HU214070B (en) Crusher for grinding and cutting of industrial and agricultural products and wastes
JP2007216091A (ja) 粉砕機
US4039152A (en) Grinding mill
JPS6129476Y2 (ko)
KR100356701B1 (ko) 분쇄기
GB2154470A (en) Comminuting apparatus in a mill
JPH0437631Y2 (ko)
JP2004174380A (ja) 粉砕機
KR200212326Y1 (ko) 사료제조기 겸용 목재 파쇄기_
CN215783907U (zh) 一种多动齿盘粉碎机
SU1754454A1 (ru) Дробилка дл изготовлени стружки из щепы и кусковых древесных отходов
JPS6125879Y2 (ko)
JPS6126012Y2 (ko)
RU2019953C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кормов
KR970008348B1 (ko) 고추 분쇄장치
KR910000011Y1 (ko) 수직 다단식 분쇄기
KR200248324Y1 (ko) 곡물분쇄기
KR0137533Y1 (ko) 고초 절단분쇄기
CA1136968A (en) Plate and stud combination for a rotary meat gr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