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0358A -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 Google Patents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0358A
KR20000060358A KR1019990008587A KR19990008587A KR20000060358A KR 20000060358 A KR20000060358 A KR 20000060358A KR 1019990008587 A KR1019990008587 A KR 1019990008587A KR 19990008587 A KR19990008587 A KR 19990008587A KR 20000060358 A KR20000060358 A KR 20000060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olarization
incident
optical
lens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5437B1 (ko
Inventor
전기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08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437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3/00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 G03B33/10Simultaneous recording or projection
    • G03B33/12Simultaneous recording or projection using beam-splitting or beam-combining systems, e.g. dichroic 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광원에서 조사되어 스크린에 투사되는 광의 밝기를 높일 수 있도록 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장치는 광을 생성 투사하는 광원과;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일 편광성분의 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변환기와; 광원과 편광 변환기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광을 대략 평행광이 되도록 하는 전반부 릴레이렌즈계와; 편광 변환기를 투과한 일 편광의 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분기시키는 광분기수단과; 광분기수단에 의해 분기된 광 각각의 진행 경로 상에 배치되어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광로변환수단과; 광분기수단과 광로변환수단 사이의 경로에 배치된 후반부 릴레이렌즈계와; 광로변환수단을 경유하는 일 편광성분의 입사광으로부터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생성수단과; 화상생성수단에서 생성되고 광경로변환수단을 경유하여 입사된 광이 일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칼라프리즘과; 칼라프리즘 쪽에서 입사되는 광이 스크린으로 향하도록 확대 투과시키는 투사렌즈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사형 프로젝트장치{Reflection type projector}
본 발명은 반사형 화상생성수단을 이용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광원에서 출사된 무편광의 광을 모두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사되는 광의 밝기를 높일 수 있도록 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트장치는 화상생성수단에서 생성된 화상을 별도의 광원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영함으로써 화상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 프로젝터장치는 상기한 화상생성수단의 형태에 따라 투과형과 반사형으로 구분된다.
본 출원인은 광원에서 조사된 광의 이용효율을 높이고자 임계각 프리즘을 이용한 2건의 '반사형 프로젝트장치'[(1997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3025호, 출원일; 1997년 4월 9일, 발명자; 최순철),(1997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3222호, 출원일; 1997년 4월 10일, 발명자; 최순철)]들을 제안한 바 있다.
이 제안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는 임계각 프리즘을 통해 광로를 변경하여 광학적 배치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광원에서 조사되는 무편광의 광중 폴라라이저를 통해 P편광 또는 S편광의 광만을 분리하여 화상형성에 이용함으로써, 이용하지 않는 일 편광 성분의 광에 해당하는 광량만큼 광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손실이 거의 없이 입사광을 소정 편광의 광으로 변환하여 반사형 화상형성수단에 입사시킴으로써, 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트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의 윈도우에서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사이의 일렬 정렬에 따른 전반부 및 후반부 릴레이렌즈계를 포함한 광학요소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의 전반부 릴레이렌즈계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변환기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변환기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편광변환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반사형 프로젝터장치의 후반부 릴레이렌즈계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광원 20...밴드필터 31...글래스로드
33...윈도우 40...편광변환기 41...실린드리컬렌즈어레이
43...편광빔스프리터 45...반사부재 47...위상지연판
51...제1임계각프리즘 53...제2임계각프리즘 55...제3임계각프리즘
60...화상생성수단 61...제1반사형 액정표시소자
62...제1폴라라이저 63...제2반사형 액정표시소자
64...제2폴라라이저 65...제3반사형 액정표시소자
66...제3폴라라이저 70...칼라프리즘 80...투사렌즈유니트
Ⅰ...전반부 릴레이렌즈계 Ⅱ...후반부 릴레이렌즈계
DM1...제1이색미러 DM2...제2이색미러 M1, M2, M3...반사미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트장치는, 광을 생성 투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일 편광성분의 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변환기와; 상기 광원과 편광 변환기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광을 대략 평행광이 되도록 하는 전반부 릴레이렌즈계와; 상기 편광 변환기를 투과한 일 편광의 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분기시키는 광분기수단과; 상기 광분기수단에 의해 분기된 광 각각의 진행 경로 상에 배치되어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광로변환수단과; 상기 광분기수단과 상기 광로변환수단 사이의 경로에 배치된 후반부 릴레이렌즈계와; 상기 광로변환수단을 경유하는 일 편광성분의 입사광으로부터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생성수단과; 상기 화상생성수단에서 생성되고 상기 광경로변환수단을 경유하여 입사된 광이 일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칼라프리즘과; 상기 칼라프리즘 쪽에서 입사되는 광이 스크린으로 향하도록 확대 투과시키는 투사렌즈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트장치는 광원(10)과, 상기 광원(10)에서 조사된 무편광의 광을 일 편광성분의 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변환기(40)와, 입사광을 대략 평행광이 되도록 하는 전반부 릴레이렌즈계(I)와, 입사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분기시키는 광분기수단과, 분기된 각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광로변환수단과, 후반부 릴레이렌즈계와, 상기 광로변환수단을 경유하는 일 편광성분의 입사광으로부터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생성수단(60)과, 상기 화상생성수단(60)에서 생성된 화상이 일 경로로 투사되도록 하는 칼라프리즘(70) 및, 상기 칼라프리즘(70)쪽에서 입사되는 광을 확대 투과시키는 투사렌즈유니트(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10)은 광을 생성하는 램프(11)와, 이 램프(11)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그 진행경로를 안내하는 반사경(13)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경(13)은 상기 램프(11)의 위치를 일 초점으로 하고, 광이 집속되는 지점을 다른 초점으로 하는 타원경이거나, 상기 램프(11)의 위치를 일 초점으로 하고, 이 램프(11)에서 출사되고 상기 반사경(13)에서 반사된 광이 평행광이 되도록 된 포물경일 수 있다.
상기 광원(10)과 상기 전반부 릴레이렌즈계(I) 사이의 광로 상에는 상기 광원(10)에서 조사된 광을 난반사시켜 균일광이 되도록 함과 아울러 램프(11)에서 조사된 광의 단면 형상을 원형상에서 사각형상으로 변환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글래스로드(3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글래스로드(31)는 광로에 대해 수직한 입사면과 출사면을 가지며, 이 글래스로드(31)의 출사면에 있어서 가로 대 세로 비율은 상기 화상형성수단(60)의 가로 대 세로 비율에 비례한다. 여기서, 글래스로드(31)의 출사면에는 상기 글래스로드(31)를 거치하고, 출사면에 먼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윈도우(33)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글래스로드(33)를 채용한 경우 상기 반사경(13)은 타원경이다.
또한, 상기 광원(10)과 상기 전반부 릴레이렌즈계(I) 사이의 광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10)에서 조사된 광 중 가시광선 파장영역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대역필터(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대역필터(20)는 적외선과 자외선 광을 차단한다.
상기 전반부 릴레이렌즈계(I)는 상기 글래스로드(31)의 출사면을 통해 출사된 발산광을 집속시켜 상기 편광변환기(40)에 대략 평행광이 입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전반부 릴레이렌즈계(I)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의 파우어를 가지며 초점거리을 갖는 제1렌즈군(L1, L2)과, 양의 파우어를 가지며 상기 편광변환기(40)와 함께 초점거리를 갖는 제2렌즈군(L3, L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렌즈군(L1, L2)과 상기 제2렌즈군(L3, L4)은 초점거리가 서로 일치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렌즈군(L3, L4)을 투과한 광이 대략 평행광이 되도록 한다. 상기 제1렌즈군은 두 매의 렌즈(L1, L2)로 구성되며, 상기 제2렌즈군 또한 두 매의 렌즈(L3, L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반부 릴레이렌즈계(I)에 입사되는 광의 폭()에 대한 출사되는 광의 폭()을 나타내는 배율은 아래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은 상기한 전반부 릴레이렌즈계(I)를 이루는 각 렌즈 및 윈도우(33)와 편광변환기(40)에 대한 곡률반경, 렌즈두께 및 렌즈 사이 간격, 굴절률 및 분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편광변환기(40)는 상기 광원(10)에서 조사된 무편광의 광을 일 편광성분의 광으로 변환시키는 광학부재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편광변환기(40)는 실린드리컬렌즈 어레이(41)와, 편광빔스프리터(43)와, 반사부재(45) 및/2 위상지연판(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드리컬렌즈어레이(41)는 상기 전반부 릴레이렌즈계(I)에 의해 평행하게 조사되며 단면이 사각형상인 입사광을 집속 및 발산시켜 단면의 면적이 작아진 평행광이 되도록 한다. 이 실린드리컬렌즈어레이(41)는 상기 반사부재(45)의 설치공간 확보시 입사광의 광 손실없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편광빔스프리터(43)는 복수개 구비되며, 각각은 상기 실린드리컬렌즈어레이(41)의 광출사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입사광을 편광성분에 따라 제1 및 제2광으로 분기시키고, 소정 편광의 제1광은 투과시키고, 다른 편광의 제2광은 반사시키는 경면(43a)을 가진다. 상기 반사부재(45)는 상기 편광빔스프리터(4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제2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면(45a)을 가지며, 제2광을 제1광과 나란한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이 반사부재(45)는 상기 실린드리컬렌즈어레이(41)에 의해 확보된 공간 즉, 상기 편광빔스프리터(43)를 경유하지 않는 광이 입사되지 않는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한 편광변환기(4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입사된 무편광(P+S)의 광은 편광빔스프리터(43)의 경면(43a)에서 P편광의 제1광과 S편광의 제2광으로 분기된다. 상기 경면(43a)에서 반사된 S편광의 제2광은 상기 반사면(45a)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광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제2광은/2 위상지연판(47)을 투과하면서 위상이만큼 지연되어 편광방향이 P편광의 광으로 바뀐채로 출사된다.
따라서, 상기 광원(10)에서 조사된 무편광의 광은 상기 편광변환기(40)를 투과하면서, 광의 손실이 거의 없이 일 편광성분의 광으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광분기수단은 입사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킴으로써 칼라별로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한다. 즉, 입사된 일 편광의 백색광을 적색, 청색, 녹색의 광으로 분기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분기수단은 입사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분기시키는 제1이색미러(DM1)와, 상기 제1이색미러(DM1)에서 분기된 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재차 분기시키는 제2이색미러(DM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1이색미러(DM1)는 유전체 코팅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편광변환기(40)와 상기 광로변환수단 사이의 광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광 중 청색광은 반사시키고, 적색 및 녹색광은 투과시킨다. 상기 제1이색미러(DM1)를 투과한 광은 반사미러(M1)에서 반사되어 경로가 변환되고, 제1이색미러(DM1)에서 반사된 광은 반사미러(M2, M3)에서 반사되어 경로가 변환된다. 상기 제2이색미러(DM2)는 상기 반사미러(M1)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된 적색 및 녹색광을 분기시킨다. 즉, 적색광은 반사시키고, 녹색광은 투과시킨다.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후반부 릴레이렌즈계는 상기 제1이색미러(DM1)와 상기 화상생성수단(60)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광이 상기 화상생성수단(60)에 수렴되도록 한다. 이 후반부 릴레이렌즈계는 양의 파우어를 가지며 초점거리을 갖는 제3렌즈군(L5, L6)과, 양의 파우어를 가지며 초점거리를 갖는 제4렌즈군(L7)과, 양의 파우어를 가지며 초점거리를 갖는 제5렌즈군(L8)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렌즈군(L5, L6) 및 제5렌즈군(L7)은 초점거리가 서로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3렌즈군은 두 매의 렌즈(L5, L6)로 구성되며, 상기 제4 및 제5렌즈군 각각은 일 매의 렌즈(L7)(L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반부 릴레이렌즈계에 입사되는 광의 폭()에 대한 출사되는 광의 폭()을 나타내는 배율은 아래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2는 상기한 후반부 릴레이렌즈계를 이루는 각 렌즈, 상기 광로변환수단 및 화상생성수단에 대한 곡률반경, 렌즈두께 및 렌즈 사이 간격, 굴절률 및 분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표 2에서 조리개(미도시)의 위치되는 도 7의 광선 시작위치이다. 그리고, 임계각 프리즘, 폴라라이저 및, FLCD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광로변환수단은 상기 이색 프리즘의 세 입사면 각각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광분기수단에서 분기되어 입사된 광은 투과시키고, 상기 화상생성수단에서 반사된 광은 반사시키도록 된 임계면(51a, 53a, 55a)을 갖는 제1 내지 제3임계각프리즘(51, 53, 55)을 포함한다.
상기 화상생성수단(60)은 상기 제1 내지 제3임계각프리즘(51, 53, 55)을 경유하여 입사된 각각의 광으로부터 화상을 생성하고 이를 반사시키는 제1 내지 제3반사형 액정표시소자(61, 63, 65)와, 상기 제1 내지 제3반사형 액정표시소자(61, 63, 65) 각각과 상기 칼라프리즘(70) 사이에 배치되어, 일 편광방향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1 내지 제3폴라라이저(62, 64, 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반사형 액정표시소자(61, 63, 65) 각각은 강유전체 액정표시소자(이하, FLCD ;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된다. 상기 FLCD는 2차원 어레이 구조를 가지며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다수의 화소를 가지며, 이 각 화소별로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이에 따라 화상이 형성되는 않는 화소에서 반사된 광은 입사된 광의 편광방향에 대해 다른 방향으로 그 편광방향을 변환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폴라라이저(62, 64, 66)는 상기 편광변환기(40)에 의해 변환된 소정 편광의 광은 투과시키고, 상기 제1 내지 제3반사형 액정표시소자(61, 63, 65) 각각에서 다른 편광의 광으로 변환된 광은 차단시켜 상기 투사렌즈유니트(80)쪽으로 각각의 파장영역에 대응되는 화상을 제공한다.
상기 칼라프리즘(70)은 세 입사면과 일 출사면을 가진다. 상기 세 입사면각각은 상기 제1, 제2 및 제3임계각프리즘(51, 53, 55) 각각과 대면하며 각 임계각프리즘을 경유하여 입사되는 광이 상기한 일 출사면을 향하도록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칼라프리즘(70)은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경면을 가진다. 상기 경면은 파장영역에 따라 투과 및 반사시키도록 코팅되어 있다.
상기 투사렌즈유니트(80)는 상기 칼라프리즘(70)과 스크린(미도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칼라프리즘(70) 쪽에서 입사되는 광이 상기 스크린으로 향하도록 확대 투사시킨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트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램프(11)에서 조사되고, 반사경(13)에서 반사된 광은 밴드필터(20)를 통해 적외선 광 및 자외선 광이 차단된 채로 가시광선 영역의 광이 글래스로드(31)에 입사된다. 입사된 가시광선의 광은 무편광 상태를 유지한 채로 글래스로드(31)를 투과하면서 균일광이 된다. 이 균일광은 전반부 릴레이렌즈계(I)를 투과하면서, 광손실이 최소화 된 채로 대략 평행한 상태로 편광변환기(40)에 입사된다. 편광변환기(40)를 투과하면서 광의 손실없이 무편광의 광은 P편광성분의 광이 된다.
이 P편광성분의 입사광은 제1이색미러(DM1)에서 파장에 따라 투과 또는 반사되어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된다. 즉, 제1이색미러(DM1)을 투과한 광은 적색 및 녹색 파장 영역의 광으로 제2이색미러(DM2)에 의해 재차 적색과 녹색 파장 영역의 광으로 분기된다. 즉, 제2이색미러(DM2)를 투과한 녹색 파장영역의 광은 제1임계각프리즘(51)의 임계면(51a) 및, 제1폴라라이저(62)를 투과하여 제1반사형 액정표시소자(61)에 입사된다. 그리고, 제2이색미러(DM2)에서 반사된 적색 파장영역의 광은 제2임계각프리즘(53)의 임계면(53a) 및, 제2폴라라이저(64)를 투과하여 제2반사형 액정표시소자(61)에 입사된다. 제1이색미러(DM1)에서 반사된 광은 청색 파장 영역의 광으로 반사미러(M2, M3)를 경유하여 제3임계각 프리즘(55)의 임계면(55a) 및, 제3폴라라이저(66)를 투과하여 제3반사형 액정표시소자(65)에 입사된다.
여기서, 제1이색미러(DM1)과 제1 내지 제3임계각 프리즘(51, 53, 55) 각각의 사이에는 후반부 릴레이렌즈계가 설치되어, 제1 내지 제3반사형 액정표시소자(61, 63, 65) 각각에 균일광이 조사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반사형 액정표시소자(61, 63, 65) 각각은 녹색, 적색, 청색 각각의 화상신호에 대응되게 각 화소별로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선택적으로 편광방향이 바뀌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반사형 액정표시소자(61, 63, 65)에서 반사된 광중 P편광성분을 유지하는 광만이 제1 내지 제3폴라라이저(62, 64, 66)를 투과하여 상기 칼라프리즘(70)의 세 입사면 각각에 입사된다.
상기 칼라프리즘(70)은 세 경로를 통해 입사된 각 칼라의 화상을 합성하여 일 출사면으로 출사시키며, 이 출사된 광은 투사렌즈유니트(80)를 통해 확대된 채로 스크린(미도시)에 투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션장치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편광변환기를 이용하여 광손실없이 일 편광의 광으로 변환하여 화상형성에 이용함으로써 광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다.
또한, 전반부 및 후반부 릴레이렌즈계를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광손실을 줄이고 반사형 액정표시소자면에 균일광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어서, 화상품질을 높일 수 있다.

Claims (9)

  1. 광을 생성 투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일 편광성분의 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변환기와;
    상기 광원과 편광 변환기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광을 대략 평행광이 되도록 하는 전반부 릴레이렌즈계와;
    상기 편광 변환기를 투과한 일 편광의 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분기시키는 광분기수단과;
    상기 광분기수단에 의해 분기된 광 각각의 진행 경로 상에 배치되어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광로변환수단과;
    상기 광분기수단과 상기 광로변환수단 사이의 경로에 배치된 후반부 릴레이렌즈계와;
    상기 광로변환수단을 경유하는 일 편광성분의 입사광으로부터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생성수단과;
    상기 화상생성수단에서 생성되고 상기 광경로변환수단을 경유하여 입사된 광이 일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칼라프리즘과;
    상기 칼라프리즘 쪽에서 입사되는 광이 스크린으로 향하도록 확대 투과시키는 투사렌즈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전반부 릴레이렌즈유니트 사이의 광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난반사시켜 균일광이 되도록 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글래스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전반부 릴레이렌즈계 사이의 광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중 적외선 및 자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대역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부 릴레이렌즈계는 상기 광원쪽으로부터 순차로 배치되며,
    양의 파우어를 가지며 초점거리을 갖는 제1렌즈군과, 양의 파우어를 가지며 상기 편광변환기와 함께 초점거리를 갖는 제2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초점거리가 서로 일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렌즈군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로젝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반부 릴레이렌즈계는 상기 전반부 릴레이렌즈계쪽으로부터 순차로 배치되며,
    양의 파우어를 가지며 초점거리을 갖는 제3렌즈군과, 양의 파우어를 가지며 초점거리를 갖는 제4렌즈군과, 양의 파우어를 가지며 초점거리를 갖는 제5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초점거리가 서로 일치되도록 상기 제3 및 제5렌즈군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로젝션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변환기는,
    입사된 평행광을 집속 및 발산시켜 입사빔에 비해 단면의 크기가 축소된 평행빔이 출사되도록 하는 배열을 갖는 실린드리컬렌즈어레이와;
    상기 실린드리컬렌즈어레이를 경유하여 조사된 광을 편광성분에 따라 제1 및 제2광으로 분기시키고 제1광은 투과시키고 제2광은 반사시키는 복수의 편광빔스프리터와;
    상기 실린드리컬렌즈어레이에 의해 확보된 광이 통과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광이 상기 제1광과 나란한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제2광의 광경로를 변환하는 복수의 반사부재와;
    상기 반사부재를 경유한 제2광의 위상을 지연시켜 상기 제1광의 편광성분과 동일 편광성분을 갖도록 하는/2 위상지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로젝션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기수단은,
    상기 편광변환기를 투과한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분기시키는 제1이색미러와; 상기 제1이색미러에서 분기된 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재차분기시키는 제2이색미러;를 포함하여 입사된 소정 편광의 백색광을 적색, 청색, 녹색의 광으로 분기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로젝션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변환수단은,
    상기 이색 프리즘의 세 입사면 각각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광분기수단에서 분기되어 입사된 광은 투과시키고, 상기 화상생성수단에서 반사된 광은 반사시키도록 된 임계면을 갖는 제1 내지 제3임계각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로젝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생성수단은,
    상기 제1 내지 제3임계각 프리즘을 경유하여 입사된 각각의 광으로부터 화상을 생성하고 이를 반사시키는 제1 내지 제3반사형 액정표시소자와; 상기 제1 내지 제3반사형 액정표시소자 각각과 상기 이색 프리즘 사이에 배치되어, 일 편광방향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1 내지 제3애널라이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KR1019990008587A 1999-03-15 1999-03-15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KR10033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587A KR100335437B1 (ko) 1999-03-15 1999-03-15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587A KR100335437B1 (ko) 1999-03-15 1999-03-15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358A true KR20000060358A (ko) 2000-10-16
KR100335437B1 KR100335437B1 (ko) 2002-05-04

Family

ID=1957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587A KR100335437B1 (ko) 1999-03-15 1999-03-15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4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112B1 (ko) * 1999-10-30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변환기 및 이를 채용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KR100693530B1 (ko) * 2005-01-13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엘피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라이트 터널구조
KR100784701B1 (ko) * 2005-12-16 2007-12-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엘씨오에스 패널을 갖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엔진 구조
US7566135B2 (en) 2005-01-13 2009-07-28 Lg Electronics Inc. Light tunnel of DLP projec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112B1 (ko) * 1999-10-30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변환기 및 이를 채용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KR100693530B1 (ko) * 2005-01-13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엘피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라이트 터널구조
US7566135B2 (en) 2005-01-13 2009-07-28 Lg Electronics Inc. Light tunnel of DLP projection system
KR100784701B1 (ko) * 2005-12-16 2007-12-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엘씨오에스 패널을 갖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엔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5437B1 (ko) 200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69839B (zh) 通过光导光学元件的硅基液晶照明器
KR100400114B1 (ko) 고효율조명디바이스및그러한디바이스를포함하는영상투영장치
US7452086B2 (en) Light pipe based projection engine
US6176586B1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KR100584534B1 (ko)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JP2001092005A (ja) 電子画像を表示する投射装置
KR100636089B1 (ko) 반사형 칼라 프로젝터
EP0435288B1 (en) Image projector
KR100335437B1 (ko)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KR101455998B1 (ko) 레이저 프로젝션 장치
JPH11160791A (ja) 照明光学装置およびこの照明光学装置を使用した投写型表示装置
CA2032680C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636112B1 (ko) 편광변환기 및 이를 채용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KR0141548B1 (ko) 액정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KR20000054877A (ko) 액정 프로젝션장치
JPH10260313A (ja) 反射型偏光変調素子用光源装置
KR100209628B1 (ko) 투사형 표시장치
KR100644583B1 (ko)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KR100219640B1 (ko) 반사형 액정 프로젝트 장치
KR0120405Y1 (ko) 화상투사 장치
KR100331303B1 (ko) 프로젝트장치및이를채용한양방향프로젝션텔레비젼
KR100644584B1 (ko)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JP3298580B2 (ja) 投写型表示装置
KR20010045715A (ko) 칼라 프로젝트장치
KR20030091223A (ko) Pccr 적분기를 갖는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