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583B1 -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 Google Patents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4583B1 KR100644583B1 KR1019990049101A KR19990049101A KR100644583B1 KR 100644583 B1 KR100644583 B1 KR 100644583B1 KR 1019990049101 A KR1019990049101 A KR 1019990049101A KR 19990049101 A KR19990049101 A KR 19990049101A KR 100644583 B1 KR100644583 B1 KR 1006445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incident
- dichroic mirror
- path
- unifor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66—Reflectors in illumination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조명광에 있어 주광선이 광축에 평행한 텔레센트릭(tele-centric) 광이 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는 광원과, 광원에서 조명된 광이 균일광이 되도록 입사광을 집속 발산시켜 혼합하며 주광선이 광축에 대해 대략 평행한 광이 되도록 하는 균일광 조명유니트와, 균일광 조명유니트에서 조사된 광을 집속시키는 콘덴서렌즈와, 균일광 조명유니트와 콘덴서렌즈 사이의 광로 상에 광축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며 입사된 텔레센트릭 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시키는 제1이색미러와, 광로 상에 배치되며 제1이색미러에서 분기된 소정 파장영역의 광을 재차 파장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시키는 제2이색미러와, 제1 및 제2이색미러에서 분기된 광 각각의 진행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광의 편광방향에 따라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편광빔스프리터와, 편광빔스프리터를 경유하는 일 편광의 입사광으로부터 화상을 생성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와,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에서 생성되고 편광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입사된 광이 일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칼라프리즘과, 칼라프리즘 쪽에서 입사되는 광이 스크린으로 향하도록 확대 투과시키는 투사렌즈유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1의 종래의 반사형 프로젝트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제1이색미러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도 변화에 따른 밴드 시프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종래의 제1콘덴서렌즈에서 집속된 채로 제1이색미러에 입사되는 광의 진행경로를 보인 도면.
도 4는 종래 반사형 프로젝트장치의 조명광의 집속/발산 경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트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6은 도 5의 조명광의 집속/발산 경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광원 120...조명유니트
141,141'...제1콘덴서렌즈 143...제2콘덴서렌즈
145...제3콘덴서렌즈 147...제4콘덴서렌즈
161,163,165...편광빔스프리터 171,173,175...디스플레이소자
180...칼라프리즘 190...투사렌즈유니트
DM1...제1이색미러 DM2...제2이색미러
본 발명은 반사형 프로젝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명광에 있어 주광선이 광축에 평행한 텔레센트릭(tele-centric) 광이 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에서 생성된 화상을 별도의 광원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영함으로써 화상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큐빅형 편광빔스프리터를 채용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광원(10)에서 조사된 광은 균일광 조명유니트(20)를 경유하면서 균일 조명광이 된다. 상기 균일광 조명유니트(20)는 도시된 바와 같은 한 쌍의 파리눈어레이렌즈로 구성되거나, 입사광을 난반사시켜 균일광이 되도록 하는 글래스로드로 구성된다. 이 균일광은 제1콘덴서렌즈(41)에 의해 일차로 집속된 채로 제1이색미러(DM1)에 입사된다. 이 제1이색미러(DM1) 및 제2이색미러(DM2)는 입사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분기시켜, 서로 다른 경로로 진행하도록 한다. 즉, 제1이색미러(DM1)는 입사광 중 청색 파장 영역의 광은 반사시켜 일 경로로 진행하도록 하고, 적색과 녹색 파장 영역의 광은 투과시켜 다른 경로로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1이색미러(DM1)에서 분기된 광은 제2콘덴서렌즈(43, 43'), 제3콘덴서렌즈(45, 45') 및 제4콘덴서렌즈(47, 47', 47")를 경유하면서 집속발산되어 소정 단면폭을 유지한 채 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이색미러(DM2)는 상기 적색과 녹색 광의 진행 경로 상의 제3콘덴서렌즈(45)와 제4콘덴서렌즈(47, 47') 사이에 마련되어, 파장영역에서 따라 녹색과 적색의 진행경로를 분기한다. 상기 제1이색미러(DM1)에서 반사된 광 및, 제2이색미러(DM2)에서 분기된 광은 각 광로 상에 마련된 편광빔스프리터(61, 63, 65) 각각에 입사된다. 여기서, 편광빔스프리터(61, 63, 65)로 향하는 광로 상에는 폴라라이저(62, 64, 66)가 마련되어, 소정 편광의 광만이 상기 편광빔스프리터(61, 63, 65)에 입사되도록 한다. 상기 편광빔스프리터(61, 63, 65) 각각은 입사광을 편광방향에 따라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광학요소로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한다. 상기 편광빔스프리터(61, 63, 65)를 경유하여 입사된 조명광은 각 칼라에 대응되게 마련된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71, 73, 75)에서 반사된 후, 편광빔스프리터(61, 63, 65)를 경유하여 칼라프리즘(80) 쪽으로 향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71, 73, 75)에서 반사된 광은 입사된 조명광 과는 달리 화상에 대응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편광방향을 달리한다. 이에 따라, 화상에 대응되는 광만이 상기 칼라프리즘(80) 쪽으로 향한다. 상기 칼라프리즘(80)은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 또는 반사키는 두 경면을 가지는 것으로, 그 경면에서 입사된 각 칼라의 화상을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킴으로써, 입사광이 일 방향 즉, 투사렌즈유니트(90) 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상기 투사렌즈유니트(90)는 입사된 화상을 스크린 쪽으로 확대 투사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반사형 프로젝터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그래프 와 같이, 상기 제1이색미러(DM1)는 조명광의 입사각도 변화에 따라 투과율이 50%을 의미하는 반치파장의 밴드가 시프트되는 분광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명광의 조명각도 33°, 45°, 57°각각에 대한 반치파장이 대략 530nm, 525nm, 512nm 각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명광의 입사각도 변화에 따른 영향은 제1이색미러(DM2) 및 상기 편광빔스프리터(61, 63, 65)에 대해서도 미친다.
종래의 반사형 프로젝트장치는 제1이색미러(DM1)가 상기 콘덴서렌즈(41) 이후에 배치된다. 따라서, 콘덴서렌즈(41)를 경유하면서 집속된 광선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경로로 진행하여 경면에 대한 수직방향이 입사광축에 대해 각 β만큼 경사지게 배치된 제1이색미러(DM1)에 입사된다. 상기 콘덴서렌즈(41)를 경유하여, 집속된 광선 중 주광선Ⅰ, Ⅱ 각각은 상기 제1이색미러(DM1)의 경면에 대한 수직방향에 대해 각 α와 각 γ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콘덴서렌즈(41)를 경유한 후의 주광선Ⅰ, Ⅱ 각각은 광축에 대해 평행하지 않으므로, 각 α와 각 γ는 상기한 각 β와 다른 각도를 가진다.
이는 종래의 반사형 프로젝트장치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학적 배치를 가지는 것에 기인한 것이다. 즉, 제1콘덴서렌즈(41)에서 집속된 광이 제2콘덴서렌즈(43) 이전에 일차로 집속된 후 발산된다. 이에 따라 제1이색미러(DM1)의 수직방향과 주광선 I, Ⅱ이 이루는 각도가 제1이색미러(DM1)의 수직방향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에서 크게 벗어난 채로 제1이색미러(DM1)에 입사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3콘덴서렌즈(45)에서 집속된 광이 제4콘덴서렌즈(47) 이전에 집속 된 후 발산되어 진행하므로, 제3콘덴서렌즈(45)와 제4콘덴서렌즈(47) 사이에 배치된 제2이색미러(DM2)에 입사되는 광에 있어서, 주광선과 광축이 평행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적 배치에 의하여, 제1이색미러(DM1)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밴드 시프트를 가진다. 또한, 제2이색미러(DM2)에서도 입사각도 차이에 따라 밴드 시프트가 생긴다.
이와 같이, 조명광의 입사각도에 차이에 따른 밴드 시프트는 제1이색미러(DM1)와 제2이색미러(DM2)에서 분기되는 광의 파장이 변화하여, 분기된 광 중 일부 광은 무용광이 되므로 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축을 통과하여 진행하는 광과, 주광선Ⅰ, Ⅱ를 통하여 진행하는 광선 사이의 칼라 언밸런스가 발생되어, 색 균일도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색미러에 텔레센트릭 광 또는 텔레센트릭에 가까운 광이 조명되도록 구조를 개선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트장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명된 광이 균일광이 되도록 입사광을 집속 발산시켜 혼합하며, 주광선이 광축에 대해 대략 평행한 광이 되도록 하는 균일광 조명유니트와; 상기 균일광 조명유니트에서 조사된 광을 집속시키는 콘덴서렌즈와; 상기 균일광 조 명유니트와 상기 콘덴서렌즈 사이의 광로 상에 광축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며, 입사된 텔레센트릭 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시키는 제1이색미러와; 광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이색미러에서 분기된 소정 파장영역의 광을 재차 파장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시키는 제2이색미러와; 상기 제1 및 제2이색미러에서 분기된 광 각각의 진행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광의 편광방향에 따라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편광빔스프리터와; 상기 편광빔스프리터를 경유하는 일 편광의 입사광으로부터 화상을 생성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와;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에서 생성되고 상기 편광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입사된 광이 일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칼라프리즘과; 상기 칼라프리즘 쪽에서 입사되는 광이 스크린으로 향하도록 확대 투과시키는 투사렌즈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트장치는 광원(110), 균일광 조명유니트(120), 릴레이렌즈유니트, 입사광을 파장에 따라 분기시키는 제1 및 제2이색미러(DM1)(DM2), 입사광을 편광에 따라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편광빔스프리터(161, 163, 165), 화상을 생성하고 이를 반사시키는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171, 173, 175)와, 입사된 화상을 합성하는 칼라프리즘(180) 및, 입사광을 스크린(미도시) 쪽으로 확대투과시키는 투사렌즈유니트(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110)은 광을 생성하는 램프(111)와, 이 램프(111)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그 진행경로를 안내하는 반사경(113)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경(113)은 상기 램프(111)의 위치를 일 초점으로 하고, 광이 집속되는 지점을 다른 초점으로 하는 타원경이거나, 상기 램프(111)의 위치를 일 초점으로 하고, 이 램프(111)에서 출사되고 상기 반사경(113)에서 반사된 광이 평행광이 되도록 된 포물경일 수 있다.
상기 균일광 조명유니트(120)는 상기 광원(110)에서 조명된 광이 균일광이 되도록 입사광을 집속 발산시켜 혼합하며, 주광선이 광축에 대해 대략 평행한 광이 되도록 한다. 이 균일광 조명유니트(120)는 상기 광원(110) 쪽에서 입사된 조명광을 제1방향으로 일차로 집속 발산시키고 제2방향으로는 직진투과시키는 제1어레이렌즈(121)와, 제1방향으로 집속 발산되는 광을 제2방향으로 일차로 집속 발산시키는 제2어레이렌즈(123)와, 상기 제1 및 제2방향 각각으로 집속 발산된 광을 재차 제1 및 제2방향으로 집속 발산시켜 균일광이 되도록 하는 제3어레이렌즈(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어레이렌즈(121)는 그 길이방향이 제2방향과 나란하며 인접되게 배치된 복수의 실린드리컬렌즈로 구성된다. 따라서, 각 실린드리컬렌즈에 입사된 광은 각 실린드리컬렌즈의 곡률에 따라 제1방향으로 집속발산되면서, 서로 혼합된다. 또한, 상기 제2어레이렌즈(123)는 상기 제1어레이렌즈(121)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실린드리컬렌즈로 구성된다. 이 제2어레이렌즈(123)의 실린드리컬렌즈는 그 길이방향이 제1방향과 나란하여 조명광을 제2방향으로 집속발산시킨다. 상기 제3어 레이렌즈(125)는 양면 즉, 입사면과 출사면 각각에 인접 배치된 복수의 실린드리컬렌즈가 마련된다. 즉, 입사면에 마련된 실린드리컬렌즈는 그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2어레이렌즈(123)에 의해 제2방향으로 집속된 광을 재차 집속시킨다. 그리고, 출사면에 마련된 실린드리컬렌즈는 그 길이방향이 제2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어레이렌즈(121)에 의해 제1방향으로 집속된 광을 재차 집속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3어레이렌즈(125)에서 출사되는 균일한 조명광이 텔레센트릭(tele-centric) 광 즉, 주광선이 광축에 나란한 광 또는 텔레센트릭 광에 가까운 광이 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어레이렌즈(121, 123, 125)를 이루는 각 실린드리컬렌즈는 소정 곡률을 가지며, 소정 광학적 배치를 가진다.
상기 릴레이렌즈유니트는 상기 균일광 조명유니트(120)와 복수의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171, 173, 175) 사이의 입사되는 광로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입사광을 집속시켜, 조사광이 소정 단면폭을 유지한 채로 상기 디스플레이소자(171, 173, 175)에 입사되도록 한다. 또한, 제2이색미러(DM2) 및, 편광빔스프리터(161, 163, 165)에 입사되는 광이 텔레센트릭 광이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릴레이렌즈유니트는 두 매의 제1콘덴서렌즈(141, 141')와, 제2 내지 제4콘덴서렌즈(143, 145, 14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짧은 광경로 즉, 상기 제1이색미러(DM1)를 투과하여 진행하는 광로 상에는 입사광을 집속시키는 제1콘덴서렌즈(141) 만이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긴 광경로 상에는 입사광을 집속시키는 제1콘덴서렌즈(141') 이외에 제2 내지 제4콘덴서렌즈(143, 145, 147)가 더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이색미러(DM1)(DM2)는 입사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킴으로써 입사되는 백색광을 적색, 청색, 녹색으로 분기시키고, 이 분기된 광이 서로 다른 광 경로로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제1이색미러(DM1)는 상기 제3렌즈어레이(123)와 상기 제1콘덴서렌즈(141, 141') 사이의 광로 상에 광축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며, 입사된 텔레센트릭 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시킨다. 즉, 이 제1이색미러(DM1)는 입사광 중 청색광은 반사시키고, 적색 및 녹색광은 투과시킨다. 여기서, 균일광 조명유니트(120)에 출사되어 상기 제1이색미러(DM1)에 입사되는 광은 텔레센트릭 광이므로, 주광선 및 중심광선 모두 제1이색미러(DM1)에 대한 입사각이 같으므로, 이에 따라 입사각도 차이에 의한 밴드시프트가 발생되지 않아, 제1이색미러(DM1)에서 분기된 광의 칼라 밸런스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광분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이색미러(DM2)는 상기 제1이색미러(DM1)를 투과한 광의 경로 상의 상기 제1콘덴서렌즈(141)와 상기 편광빔스프리터(161, 163)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된 적색 및 녹색광을 분기시킨다. 즉, 적색광은 반사시키고 녹색광은 투과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콘덴서렌즈(141)에서 집속된 광이 편광빔스프리터(163)를 지난 광로 상에 집속되도록 된 초점거리를 가지므로, 상기 제1콘덴서렌즈(141)에 의해 집속되어 상기 제2이색미러(DM2)에 입사되는 광에 있어서, 광축에 대한 주광선이 평행에 가까운 광이 된다. 따라서, 제2이색미러(DM2)와 주광선 및 광축이 이루는 각도 차가 크지 않으므로, 각도 변화에 따른 밴드시프트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편광빔스프리터(161,163,165)는 상기 제1 및 제2이색미러(DM1, DM2)에서 분기된 광 각각의 진행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광의 편광방향에 따라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입사광 중 S편광의 광은 반사시켜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171,173,175)로 향하도록 하고, P편광의 광은 투과시킴으로써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171,173,175) 쪽에서 입사된 P편광의 광이 투사렌즈유니트(190) 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편광빔스프리터(161, 163, 165)는 P편광의 광을 반사시키고, S편광의 광을 투과시키도록 된 경우도 무방하다.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171, 173, 175)는 상기 편광빔스프리터 (161, 163, 165)를 경유하여 입사된 일 편광의 광으로부터 화상을 생성한다.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171, 173, 175)로는 구동에 의한 액정의 온/오프 시간이 빠른 즉 응답속도 특성이 뛰어난 강유전체 액정표시소자(FLCD ;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171, 173, 175)는 2차원 어레이 구조의 화소를 가진다. 이 각 화소는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선택적으로 편광방향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171, 173, 175)는 입력된 영상신호에 대응되도록 각 화소가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편광방향을 변조시킴으로써, 소정 화상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171, 173, 175)로 FLCD 패널을 채용한 경우, 이 패널에 동일 극성의 전압이 계속적으로 인가되면 패널의 콘트라스트비가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FLCD 패널의 구동시, 구동시간 중 80% 시간은 정상적인 구동을 행하고, 나머지 20%의 시간동안에는 패널의 전압을 반대로 인가하든지 고 전압을 인가하여 패널의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20% 시간 동안 상기 광원(110)에서 조명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1콘덴서렌즈(141)와 제2이색미러(DM2) 사이의 광경로와, 제1콘덴서렌즈(141')와 제2콘덴서렌즈(143) 사이의 광 경로 각각에 액정셔터(151, 153)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각의 편광빔스프리터(161, 163, 165)에 입사되는 광의 진행 경로 상에는 입사광 중 일 편광의 광만이 상기 편광빔스프리터(161, 163, 165) 향하도록 하는 폴라라이저(162, 164, 16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라프리즘(180)은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171, 173, 175)에서 생성되고 상기 편광빔스프리터(161, 163, 165)를 경유하여 입사된 광이 일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 또는 반사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칼라프리즘(180)은 세 입사면과 일 출사면을 가진다. 상기 세 입사면 각각은 상기 편광빔스프리터(161, 163, 165) 각각과 대면하며 입사광이 상기한 일 출사면을 향하도록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한다.
상기 투사렌즈유니트(190)는 상기 칼라프리즘(180)에서 합성되어, 일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을 스크린(미도시) 쪽으로 확대 투사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트장치는 광이용효율을 높이도록 상기 균일광 조명유니트(120)와 제1이색미러(DM1) 사이의 광로 상에 편광변환기(130)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편광변환기(130)는 상기 광원(110)에서 조사된 무 편광의 광을 일 편광의 광으로 변환시키는 광학부재이다. 이 편광변환기(130)는 일 편광의 광은 투과시키고 다른 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는 복수의 편광빔스프리터, 이 편광빔스프리터에서 반사된 광이 편광빔스프리터를 투과한 광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복수의 반사부재 및, 반사부재에서 반사된 광의 위상을 지연지켜 편광빔스프리터를 투과한 광의 편광성분과 같은 편광성분의 광으로 바꾸어주는 1/2파장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균일광 조명유니트(120)에서 조명된 무편광의 광을 거의 손실없이 일 편광의 광으로 변환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트장치는 텔레센트릭 광 또는 텔레센트릭 광에 가까운 조명광을 조사하므로, 조명광의 입사각도 차이에 따른 밴드시프트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이색미러(DM1)와 제2이색미러(DM2)에서 분기된 조명광의 파장특성이 소망하는 파장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으므로, 분기된 광의 대부분을 유효광을 사용할 수 있어서 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광축을 통과하여 진행하는 광과, 주광선Ⅰ, Ⅱ를 통하여 진행하는 광선이 모두 유효광으로 이용되므로, 칼라 밸런스가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 광원과;상기 광원에서 조명된 광이 균일광이 되도록 입사광을 집속 발산시켜 혼합하며, 주광선이 광축에 대해 대략 평행한 광이 되도록 하는 균일광 조명유니트와;상기 균일광 조명유니트에서 조사된 광을 집속시키는 콘덴서렌즈와;상기 균일광 조명유니트와 상기 콘덴서렌즈 사이의 광로 상에 광축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며, 입사된 텔레센트릭 광을 파장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시키는 제1이색미러와;광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이색미러에서 분기된 소정 파장영역의 광을 재차 파장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시키는 제2이색미러와;상기 제1 및 제2이색미러에서 분기된 광 각각의 진행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광의 편광방향에 따라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편광빔스프리터와;상기 편광빔스프리터를 경유하는 일 편광의 입사광으로부터 화상을 생성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와;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소자에서 생성되고 상기 편광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입사된 광이 일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칼라프리즘과;상기 칼라프리즘 쪽에서 입사되는 광이 스크린으로 향하도록 확대 투과시키는 투사렌즈유니트를; 포함하며,상기 콘덴서렌즈는,동일 렌즈 데이터를 갖는 두 매의 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이색미러에서 분기된 두 광 진행경로 상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9101A KR100644583B1 (ko) | 1999-11-06 | 1999-11-06 |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9101A KR100644583B1 (ko) | 1999-11-06 | 1999-11-06 |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5708A KR20010045708A (ko) | 2001-06-05 |
KR100644583B1 true KR100644583B1 (ko) | 2006-11-13 |
Family
ID=1961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49101A KR100644583B1 (ko) | 1999-11-06 | 1999-11-06 |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458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27339A (ja) * | 2004-02-10 | 2005-08-25 | Seiko Epson Corp | 光源装置、光源装置製造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42157A (ja) * | 1993-03-15 | 1994-12-13 | Casio Comput Co Ltd | 液晶プロジェクタ |
KR19990000641A (ko) * | 1997-06-09 | 1999-01-15 | 윤종용 |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
JPH11119153A (ja) * | 1997-08-07 | 1999-04-30 |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 投射装置 |
-
1999
- 1999-11-06 KR KR1019990049101A patent/KR10064458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42157A (ja) * | 1993-03-15 | 1994-12-13 | Casio Comput Co Ltd | 液晶プロジェクタ |
KR19990000641A (ko) * | 1997-06-09 | 1999-01-15 | 윤종용 |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
JPH11119153A (ja) * | 1997-08-07 | 1999-04-30 |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 投射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5708A (ko) | 2001-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47814B1 (en) | Projecting device for displaying electronic images | |
KR100400114B1 (ko) | 고효율조명디바이스및그러한디바이스를포함하는영상투영장치 | |
KR100219638B1 (ko) |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 |
JPH112780A (ja) | 反射型プロジェクター | |
KR20020027586A (ko) | 반사형 lcd 프로젝터 | |
KR100584534B1 (ko) |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 |
KR100636089B1 (ko) | 반사형 칼라 프로젝터 | |
KR19990002347A (ko) | 투과형 프로젝트 장치 | |
KR100644583B1 (ko) |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 |
KR100238288B1 (ko) |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 |
KR100335437B1 (ko) |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 |
KR100207728B1 (ko) |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 |
KR100636112B1 (ko) | 편광변환기 및 이를 채용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 |
KR100207725B1 (ko) |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 |
KR100644584B1 (ko) |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 |
KR100224901B1 (ko) |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 |
KR100224902B1 (ko) |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 |
KR100224903B1 (ko) |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 |
KR100234303B1 (ko) |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 |
KR100457505B1 (ko) |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 |
KR100331303B1 (ko) | 프로젝트장치및이를채용한양방향프로젝션텔레비젼 | |
JPH06265895A (ja) | 光源装置 | |
KR19990001774A (ko) | 반사형 프로젝트 장치 | |
KR100232183B1 (ko) | 엘시디 프로젝터 시스템의 조명광학장치 | |
KR20010045715A (ko) | 칼라 프로젝트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