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0262A - 셀 구성을 최적화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셀 구성을 최적화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0262A
KR20000060262A KR1019990008411A KR19990008411A KR20000060262A KR 20000060262 A KR20000060262 A KR 20000060262A KR 1019990008411 A KR1019990008411 A KR 1019990008411A KR 19990008411 A KR19990008411 A KR 19990008411A KR 20000060262 A KR20000060262 A KR 20000060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ilm
angle
substrate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7918B1 (ko
Inventor
김우현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론 위라하디락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론 위라하디락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9-0008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918B1/ko
Priority to US09/522,918 priority patent/US6567142B1/en
Publication of KR20000060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liquid crystal being selectively controlled between a twisted state and a non-twisted state, e.g. TN-LC cel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 설명하면 90o정도로 트위스트된 네마틱 액정모드를 사용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시야각 영역에서 높은 반사율, 높은 컨트라스트비 그리고 양호한 칼라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을 주입하기 위해 소정간격 이격 되어 배치된 제 1 기판, 제 2 기판과 상기 기판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투명전극, 반사전극과 이러한 투명전극과 반사전극 위에 배치되는 제 1 , 제 2 배향막과 이러한 배향막이 형성된 2개의 기판사이에 형성된 트위스트된 네마틱액정층과, 상기 제 1 기판위에 평면적으로 적층되는 2매의 일축성필름과 상기 일축성필름 위에 적층되는 편광판으로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셀 구성을 최적화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Refl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cell configuration with an optimum factor}
본 발명은 백라이트(Backlight)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저소비전력형의 밝은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 설명하면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셀 구성을 최적화 하여 넓은 시야각에서 높은 반사율(reflectance)과 컨트라스트비(contrast ratio)를 확보할 수 있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하부 유리기판, 반사전극, 하부 배향막, 액정층, 상부 배향막, 상부 투명전극, 상부 유리기판, 광학필름, 편광판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부 유리기판과 하부 유리기판은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對向)되어 배치되며, 액정은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 충진된다.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액정의 상(Phase)은 네마틱, 콜레스테릭 등이 있고, 네마틱상을 이용할 경우 액정의 분자배열은 호모지니어스(homogeneous), 호메오트로픽(homeotropic), 하이브리드(hyrid), 트위스티드(twisted) 등이 있다.
이 중 트위스티드 액정 분자배열은, 모든 액정분자가 양쪽의 기판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으나, 그 배열방위가 소정의 각도로 비틀어져 있다. 따라서 트위스티드 액정분자의 배열 방위는 양 기판사이에 연속적으로 비틀어져 배열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트위스티드 네마틱 액정모드(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이하 "TN모드"라 칭함)의 광학적 성질에 의한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표시 구현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한다.
전압 무 인가시는 편광판을 통과해 선형편광된 빛이 복굴절필름을 통과해 원형편광(좌원편광으로가정할 경우)으로 바뀐다.
이 빛이 다시 액정층을 통과하여 선형편광으로 바뀌어 반사층에 반사된다.
반사층에서 반사된 빛은 다시 액정층을 통과해 좌원편광으로 바뀌어 복굴절층을 통과하여 편광방향이 편광판의 편광축에 평행한 선형편광으로 변형되어 통과하게 된다.
전압을 충분히 인가한 경우는, 편광판과 복굴절필름을 통하여 원형편광(좌원편광으로 가정할 경우)으로 변환된 빛이 액정층을 아무런 변화없이 통과하여 반사층에서 반사되어 우원편광으로 변환된다. 이 빛은 다시 액정층과 복굴절필름을 통과하여 편광방향이 편광판의 편광축과 수직인 선형편광이 됨으로 차단되게 된다.
화상구현의 실현은 전술한 셀(cell)의 각 구성요소의 파라메타 값을 어떻게 최적화 시키느냐에 따라 크게 좌우되게 된다.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효율적인 빛의 투과를 위한 중요한 요소는 상기 편광판의 투과축 각도, 복굴절필름의 광학구조, 액정층의 두께(d)와 복굴절율(Δn),액정배향막의 배향각도 등이며, 이러한 요소를 최적화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도 1은 종래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셀구성을 간략하에 도시한 개략도로서, 전술한 반사형 액정모드 중 900로 트위스트된 액정모드을 사용하였고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기판(9), 반사전극(10), 하부배향막(11), 액정층(13), 상부배향막(15), 투명전극(ITO)(17), 상부기판(19), λ/4 필름(21), 편광판(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λ/4 필름은 λ/4의 위상차를 가지는 광학적 보상을 위한 일축성필름이다.
전술한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셀 구성은 상부 배향막(15)의 배향각도는 하부배향막(11)의 배향각도와 90o를 이루도록 구성하였고, 편광판(polarizer)(23)의 광투과축은 상기 상부 배향막(15)의 배향각도와 20o를 이루고 상기 일축성 λ/4 필름의 광축과 45o를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서 λ/4 필름은 1매의 일축성 필름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1매의 λ/4 필름은 가시광 파장의 넓은 영역에서 λ/4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 할 수 없음으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특성이 좋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λ/4 필름을 상부층(upper layer : "UL"이라 칭함)과 하부층(bottom layer : "BL"이라 칭함)의 2매의 일축성 필름으로 구성하고, 상기 두층의 광학구조(복굴절, 광축각도), 편광판의 투과축 각도, 액정층의 dΔn, 액정배향막의 배향각도 등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파라메터를 최적화 하여 넓은 시야각에서 높은 반사율과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를 제공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축성 λ/4 필름을 갖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2매의 일축성필름를 갖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제 1 실시 예의 셀 구성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로 인가전압 대 반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제 1 실시 예의 셀구성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로 전압에 따른 컨트라스트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제 1 실시 예의 셀 구성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로 경사각에 따른 반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제 1 실시 예의 셀 구성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로 경사각에 따른 컨트라스트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2매의 일축성필름을 갖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2 실시 예의 셀구성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로 인가전압 대 반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제 2 실시 예의 셀구성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로 전압에 따른 컨트라스트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제 2 실시 예의 셀구성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로 경사각에 따른 반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제 2 실시 예의 셀구성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로 경사각에 따른 컨트라스트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설명>
100 : 하부기판 111 : 반사전극
113 : 하부배향막 115 : 트위스티드 네마틱 액정층
117 : 상부배향막 119 : 투명전극
121 : 상부기판 123 : 하부 일축성필름
125 : 상부 일축성필름 127 : 편광판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를 실현하기 위해 액정표시장치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파라메터를 가변하고 각 구성요소의 가변된 파라메터값을 조합하여 가장 최적의 셀구성을 찾아내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위한 파라미터는 편광판의 투과축 각도, λ/4 필름을 구성하는
두 복굴절필름의 광축각도, 액정층의 복굴절(dΔn), 배향막의 배향각도이다.
이때, 상·하부 유리기판의 두께와 굴절률은 동일하게 0.7mm, 1.5 이고, 투명전극의 두께와 굴절률은 1500Å, 1.72로, 배향막의 두께와 굴절률은 각각 750Å와 1.6으로, 알루미늄반사전극의 두께는 2000Å으로 고정하였다.
먼저, 2매의 일축성 필름으로 구성된 λ/4 필름의 최적 광축구조를 찾아내기 위하여 선평광 입사시의 원편광 변환특성을 시뮬레이션하여 좋은 특성을 나타내는 4개의 광축조합을 찾아 내었다.
그리고 이 4개의 광축조합으로 구성된 λ/4 필름을 적용했을 때의 특성을 각각에 대하여 편광판의 투과축 각도, 액정층의 복굴절(dΔn)과 배향각도를 변수로 하여 광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반사율, 컨트라스트비, 전압에 따른 컬러쉬프트(color shift), 화이트 상태의 색좌표등을 시뮬레이션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평가한 결과 다음 두 조건의 최적의 셀 조건을 찾아내었다.
1. 첫번째 경우의 최적의 셀 조건.
편광판의 투과축 각도 : 90o
2매로 구성된 λ/4 필름의 구성: 상부: 복굴절(Retardation) 270nm, 광축각도(slow axis angle)107.5o, 하부: 140nm, 170o
왼쪽방향으로 90o트위스티드되고 복굴절(d△n)=0.24㎛ 인 액정층.
제 2 배향막의 배향각도: 220o
2.두번째 경우의 최적의 셀 조건.
편광판의 투과축 각도 : 90o
2매로 구성된 λ/4 필름의 구성 : 상부 270nm 72.5o+ 하부 140nm 10o
왼쪽방향으로 90o트위스티드 되고 복굴절(d△n)=0.24㎛ 인 액정층
제 2 배향막의 배향각도 200o
이상의 최적 셀 조건에 대한 설명에서 복굴절값은 파장이 550nm일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공간을 정의하기 위해 단면적으로 서로 상·하로 이격되고 주변부가 부착되어 연결되는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투명전극, 반사전극과; 상기 투명전극, 반사전극위에 각각 형성되고 배향각도가 130o인 제 1 배향막과 배향각도가 220o인 제 2 배향막과; 상기 제 1 배향막과 제 2 배향막이 각각 형성된 제 1, 제 2, 기판사이에 주입되고 복굴절(dΔn)이 0.24㎛인 트위스티드 네마틱 액정층과; 상기 제 2 기판 위에 배치되고 복굴절(Retardation)이 140nm이고 광축각도(slow axis angle)가 170o인 하부 일축성필름과 복굴절이 270nm이고 광축각도가 107.5o인 상부 일축성필름과; 상기 상부 일축성필름 위에 구성되고 투과축각도가 90o인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배향막 과 제 2 배향막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공간을 정의하기 위해 서로 상·하로 이격되고 주변부가 부착되어 연결되는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사이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투명전극, 반사전극과; 상기 투명전극, 반사전극 위에 각각 형성되고 배향각도가 110o인 제 1 배향막과 배향각도가 200o인 제 2 배향막과; 상기 제 2기판 위에 배치되고 복굴절이 140nm이고 광축각도가 10o인 하부 일축성필름과 복굴절률이 270nm이고 광축각도가 72.5o인 상부 일축성필름과; 상기 상부 일축성 필름 위에 구성되고 투과축 각도가 90o인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각 경우의 조건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로써 설명하도록 한다.
-- 제 1 실시 예 --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는 전술한 첫번째 조합 즉, 편광판의 투과축 각도는 90o, 2매로 구성된 λ/4 필름의 상부필름은 복굴절 270nm 광축각도 107.5o, 상기 하부필름은 복굴절 140nm 광축각도 170o, 제 1배향막 배향각도는 130o, 제 2배향막 배향각도는 220o인 조건으로 하였다. 이때 관찰방위각은 사용자가 주로 보는 방향인 270o로 하여 여러특성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이상의 조건에서 복굴절값은 파장이 550nm일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셀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기판(100)과 반사전극(111), 하부배향막(113), 왼쪽방향으로 90o트위스트된 네마틱액정층(115), 상부배향막(117), 투명전극(119), 상부기판(121), 하부 복굴절필름(123), 상부 복굴절필름(125), 상부 편광판(12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100)을 유리기판으로 사용하고, 하부 유리기판 위에 액정구동소자(미도시)와 전극배선(미도시)을 매트릭스형태로 구성한 후, 화소전극으로 도전성 금속을 증착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도전성금속은 반사전극(111)의 역할을 하는 반사형 금속전극으로서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사용한다.
만약 별도의 반사수단을 사용할 경우 상기 하부화소전극은 ITO(인듐-틴 옥사이드)와 같은 투명 도전물질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반사전극(111)위에 하부배향막(113)을 형성한다.
상기 배향막은 액정분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수단이 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향막으로는 내열성, 높은 글라스 전이점, 액정과의 친화성 기판과의 밀착성 등을 고려할때 가장 적합 물질인 폴리이미드(Polyimide)계 배향막을 주로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배향막(113)의 배향각도를 220o로 하였고, 상기 상부배향막(117)의 배향각도를 130o로 함으로 비틀림각이 90o정도가 되게 하였다.
상기 하부 반사전극(111)과 하부배향막(113)이 형성된 하부기판(100)과 상부 배향막(117), 상부 투명전극(119)이 형성된 상부기판(121)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왼쪽방향(Left-handed) 트위스트 도펀트가 함유된 네마틱액정(115)을 주입한다. 이때, 액정층의 복굴절(dΔn)=0.24㎛이다.
다음으로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하부기판과 대응되어 배치되는 상부기판 위에 2매의 복굴절필름을 적층한다.
상부기판위에 적층하는 2매의 복굴절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hole), 폴리스티렌(poly stiren)와 같은 고분자필름을 일축 연신시켜 특정한 위상차를 갖게 만든다. 이 위상차판은 일반적으로 상기 편광판(127)과 일체형으로 사용되어지고 이 일체화 된 것을 원형편광판(Circularly polarizing plate)이라고도 한다.
상부기판 상에 적층된 2매의 일축성필름(123)(125)은 상부필름(125)의 복굴절은 270nm, 광축각도는 107.5o를 이루도록 구성하였으며, 하부필름(123)의 복굴절은 140nm, 광축각도는 170o를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도 3과 도 4는 경사각에 따른 인가전압 대 반사율과 컨트라스트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경사각은 각각 0o(211), 10o(213), 20o(215), 30o(217)로 가변 하면서 시뮬레이션 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10o(211)일 경우 백색표시시의 반사율은 29%이고 ON전압을 5V로 할때 컨트라스트비가 35정도이다. 반사방지층이 있는 편광판(Anti-reflection Polarizer)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컨트라스트비가 높다.
도 5 과 도 6은 경사각에 따른 반사율과 컨트라스트비를 시뮬레이션한 그래프이다.
이 때 방위각은 각각 0o(219), 45o(221), 90o(223)로 가변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 볼 때 반사율은 경사각이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컨트라스트비는 경사각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좌·우 방향에서 볼 때에는 반사율과 컨트라스트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그래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압에 따른 컬러시프트(color shift)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백색상태의 색 좌표가 옐로우 쪽으로 조금 치우쳐 있으며, 전압을 인가할 수록 블루 쪽으로 치우쳐 가는 결과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최적화된 파라메터값을 서술하였으나 아래와 같은 오차범위에서 허용가능하다.
즉, 상기 편광판(127)의 투과축 각도는 85o∼95o, 상기 상부 일축성 복굴절필름(125)의 복굴절(Retardation)은 260∼280㎚이고 광축각도는 97.5o∼117.5o, 상기 하부 일축성 복굴절필름(123)의 복굴절은 130∼150㎚이고 광축각도는 160o∼180o, 하부배향막(113)의 배향각도는 200∼240o, 액정층의 트위스트 각도는 85o∼95o, 액정층의 복굴절 값 dΔn=0.20∼0.26㎛로 허용 가능하다. 이상의 조건에서 복굴절값은 파장이 550nm일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 실시 예 2 -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전술한 두번째 조합 즉, 편광판의 투과축 각도는 90o, 2매로 구성된 λ/4 필름의 상부필름은 복굴절 270nm 광축각도 72.5o, 하부필름은 복굴절 140nm 광축각도 10o, 제 1배향막의 배향각도는 110o, 제 2배향막의 배향각도는 200o인 조건으로 하였다. 이때 관찰방위각은 사용자가 주로 보는 방향인 270o로 하여 여러특성을 시뮬레이션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셀의 구성을 간략하도시한 개략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기판(300)과 하부반사판(하부전극)(311), 하부배향막(313), 액정층(315), 상부배향막(317), 상부투명전극(319), 상부기판(321), 하부 복굴절필름(323), 상부 복굴절 필름(325), 편광판(32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기판(327)과 하부기판(300)을 유리기판으로 사용하고, 하부유리기판(300)위에 액정구동소자(미도시)와 전극배선(미도시)을 매트릭스형태로 구성한 후, 화소전극으로 도전성 금속을 증착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도전성금속은 반사판의 역할을 하는 반사형 금속전극으로서 외부에서 입사한 입사광을 액정층으로 다시 보내는 반사판의 역할을 하는데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전극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반사전극 위에 하부배향막(313)을 형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하부배향막(313)의 배향각도를 200o로 하였고, 상기 상부 배향막(317)의 배향각도를 110o로 함으로써 액정층의 트위스트 각도를 90o가 되게 하였다.
상기 하부반사전극(311)과 하부배향막(313)이 형성된 하부기판(300)과 상부 배향막(317), 상부 투명전극(319)이 형성된 상부기판(321)의 소정 갭내에 왼쪽방향(Left-handed) 트위스트 도펀트가 함유된 네마틱액정을 주입한다. 이때, 액정층의 dΔn=0.24㎛이다.
상부기판 상에 적층된 2매의 일축성필름(323)(325)은 상부필름(325)의 복굴절은 270nm, 광축각도는 72.5o를 이루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하부필름(323)의 복굴절은 140nm, 광축각도는 10o를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경사각에 따른 인가전압 대 반사율 과 컨라스트비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도 8과 도 9는 각 인가전압에 따른 반사율의 관계와 Von전압에 따른 컨트라스트비를 경사각에 따라 시뮬이션 한 결과로 이때 관찰방위각은 주시야각인 270o로 하였다.
이때, 경사각은 각각 0o(211), 10o(213), 20o(215), 30o(217)로 가변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정사각이 10o일 경우 백색표시시의 반사율이 30%이며 ON전압을 5V로 할 때 컨트라스트비가 30을 상회하는 결과를 얻었다. 반사 방지층이 있는 편광판을 적용하여 높은 컨트라스트비를 보인다.
도 10과 도 11은 경사각에 따른 반사율과 컨트라스트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로서 이때 방위각은 각각 0o(511), 45o(513), 90o(515)로 가변 하였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방위각 90o(셀의 상하방향)가 반사율이 좋고, 방위각 0o(셀의 좌우방향)가 특성이 좋지 않다.
컨트라스트비는 제 1 실시 예와 비교할 경우 조금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최적화된 파라메터 값을 서술하였으나 아래와 같은 오차범위에서 허용가능하다.
즉, 상기 편광판(327)의 투과축 각도는 85o∼95o, 상기 상부 일축성 복굴절필름(325)의 복굴절은 260∼280㎚이고 광축각도는 62.5o∼82.5o, 상기 하부 일축성 복굴절필름(323)의 복굴절률은 130∼150㎚, 광축각도는 0o∼20o, 하부배향막(313)의 배향각도는 180o∼220o, 액정층의 twist angle은 85o∼95o, 액정층의 복굴절 값 dΔn=0.20∼0.26㎛로 허용 가능하다. 이상의 조건에서 복굴절값은 파장이 550nm일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상 두 가지의 최적화된 셀 구성으로 기존의 1매의 λ/4 필름을 적용할 경우 보다 넓은 시야각 영역에서 높은 반사율과 컨트라스트비를 유지하며 우수한 컬러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반사수단에 오목볼록한 미세구조를 형성한 경우나, 상부기판에 확산수단을 적용한 경우에 모두 적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제 1 기판 상에 적층되는 편광판과 제 1기판과 편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2매의 일축성 필름,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의 파라미터를 최적화 함으로서 넓은 시야각에서 높은 반사율, 높은 컨트라스트비 그리고 양호한 색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공간을 정의하기 위해 단면 적으로 서로 상·하로 이격되고 주변부가 부착되어 연결되는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투명전극, 반사전극과 ;
    상기 투명전극, 반사전극 위에 각각 형성되고 배향각도가 제 2 배향막의 배향각도와 85O∼95O를 이루는 제 1 배향막과 배향각도가 200o∼240o인 제 2 배향막과 ;
    상기 제 1 배향막과 제 2 배향막이 각각 형성된 제 1, 제 2, 기판사이에 주입되고 복굴절값 dΔn=0.20∼0.26㎛인 트위스티드 네마틱액정층과;
    상기 제 1 기판 위에 배치되고 복굴절이 130∼150nm이고 광축각도가 160o∼180o인 하부 일축성필름과, 복굴절이 260∼280nm이고 광축각도가 97.5o∼117.5o인 상부 일축성필름과;
    상기 상부 일축성필름 위에 구성되고 투과축 각도가 85o∼95o인 편광판을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전극이 요철구조이거나 제 1기판에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층을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3.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공간을 정의하기 위해 서로 상·하로 이격되고 주변부가 부착되어 연결되는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투명전극, 반사전극과 ;
    상기 투명전극, 반사전극위에 각각 형성되고 배향각도가 제 2 배향막의 배향각도와 85O∼95O를 이루는 제 1 배향막과 배향각도가 180o∼220o인 제 2 배향막과 ;
    상기 제 1 배향막과 제 2 배향막이 각각 형성된 제 1, 2기판사이에 주입되고 복굴절값 dΔn=0.20 ∼0.26㎛인 트위스티드 네마틱액정층과;
    상기 제 1 기판 위에 배치되고 복굴절은 130∼150nm이고 광축각도가 0o∼20o인 하부 일축성필름과 복굴절은 260∼280nm이고 광축각도가 62.50∼82.5o인 상부 일축성필름과;
    상기 상부 일축성 필름위에 구성되고 투과축 각도가 85o∼95o인 편광판을
    포함하는 반사형액정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전극이 요철구조이거나 제 1기판에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층을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KR10-1999-0008411A 1999-03-12 1999-03-12 셀 구성을 최적화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KR10041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411A KR100417918B1 (ko) 1999-03-12 1999-03-12 셀 구성을 최적화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US09/522,918 US6567142B1 (en) 1999-03-12 2000-03-10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retardation film of two uniaxial fil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411A KR100417918B1 (ko) 1999-03-12 1999-03-12 셀 구성을 최적화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262A true KR20000060262A (ko) 2000-10-16
KR100417918B1 KR100417918B1 (ko) 2004-02-11

Family

ID=1957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411A KR100417918B1 (ko) 1999-03-12 1999-03-12 셀 구성을 최적화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567142B1 (ko)
KR (1) KR1004179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651A (ko) * 1999-04-14 2000-11-25 가나이 쓰토무 액정 표시 소자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629984B1 (ko) * 2002-02-07 2006-09-29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색불균일에 효과적인 액정표시장치
KR20200053415A (ko) * 2018-11-08 2020-05-18 헤베이 유니버시티 오브 테크놀로지 위상 지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0267B1 (en) * 1997-05-09 2005-12-27 Lg.Philips Lcd Co., Ltd. Reflective-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wo uniaxial compensation films of same typ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351700B1 (ko) * 2000-04-17 2002-09-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반투과 액정 표시장치
JP2004538515A (ja) * 2001-08-03 2004-12-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反射型液晶ディスプレイ
EP1650728A3 (en) * 2001-09-10 2012-04-18 Sony Corporation Car-mounted display device and car navigation system
FR2863061B1 (fr) * 2003-11-28 2006-02-24 Nemoptic Dispositif d'affichage a ecran de type nematique optimisant le blanc et procede de definition de ce dispositif
TWI334039B (en) * 2005-08-08 2010-12-01 Au Optronics Corp Device of liquid crystal display for increasing aperture ratio and viewing angle thereof
JP2012014064A (ja) * 2010-07-02 2012-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配向膜の製造方法、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配向膜製造システム、光配向膜及び位相差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1261B1 (en) * 1992-06-26 2001-11-14 Sharp Kabushiki Kaisha Reflect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784252A (ja) * 1993-09-16 1995-03-31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US5737047A (en) * 1995-03-27 1998-04-07 Casio Computer Co., Ltd.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optical axes of retardation polarization plates set in an opposite direction of twist direction of LC molecules
JP2728059B2 (ja) * 1995-10-06 1998-03-18 日本電気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
TW412656B (en) * 1996-04-26 2000-11-21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JPH1062773A (ja) * 1996-08-16 1998-03-06 Fujitsu Ltd 液晶表示パネル
JPH1124065A (ja) * 1997-07-07 1999-01-29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00053405A (ko) * 1999-01-07 2000-08-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651A (ko) * 1999-04-14 2000-11-25 가나이 쓰토무 액정 표시 소자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629984B1 (ko) * 2002-02-07 2006-09-29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색불균일에 효과적인 액정표시장치
KR20200053415A (ko) * 2018-11-08 2020-05-18 헤베이 유니버시티 오브 테크놀로지 위상 지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67142B1 (en) 2003-05-20
KR100417918B1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486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075605B2 (en) HAN-mode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phase delay value (dΔn) of 0.36-0.40 μm
KR100474057B1 (ko) 액정표시소자
US20030164921A1 (en) Circular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722458B1 (ko) 액정표시소자
KR100417918B1 (ko) 셀 구성을 최적화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KR100385691B1 (ko)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KR100306648B1 (ko) 반사형 액정표시 소자
KR100713885B1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JP2798073B2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KR10037315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439428B1 (ko) 편광반사소자와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KR100886865B1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JP3628094B2 (ja) 液晶表示素子および光学異方素子
JP3896135B2 (ja) 液晶表示素子および光学異方素子
KR100632215B1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KR101018593B1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KR100507284B1 (ko)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KR10061469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001957B1 (ko) 광학 필름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H09218403A (ja) 液晶表示素子
KR20020042928A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를 이용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JPH07159774A (ja) 液晶表示素子
KR20050014594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