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9891A - 에어컨디셔너의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 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컨디셔너의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9891A
KR20000059891A KR1019990007787A KR19990007787A KR20000059891A KR 20000059891 A KR20000059891 A KR 20000059891A KR 1019990007787 A KR1019990007787 A KR 1019990007787A KR 19990007787 A KR19990007787 A KR 19990007787A KR 20000059891 A KR20000059891 A KR 20000059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asing
motor bearing
suction pipe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연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9000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9891A/ko
Publication of KR2000005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89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6Pipes for fluids; Fit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의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측에 배치된 로터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모터 베어링, 상기 모터 베어링 상부에 마운트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구조는 상기 케이싱 일측의, 상기 모터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 사이의 위치에 연통된 냉매 흡입관, 및 상기 냉매 흡입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냉매 흡입관을 통해 유입된 냉매를 상기 모터 베어링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에 형성되는 편심부와 연통하는 흡입구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압축기 내부로 유입된 냉매와 스테이터, 로터 등으로 구성된 모터와의 접촉 경로가 짧아지기 때문에 냉매의 비체적 증가에 따른 압축기의 효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컨디셔너의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 구조 {REFRIGERANT INLET STRUCTURE FOR A ROTARY COMPRESSOR OF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디셔너의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관에 가이드를 제공하여 냉매가 바로 실린더 내부를 향하도록 하여 냉매 온도 증가에 따른 상기 냉매의 비체적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디셔너는 가정이나 사무실 내의 공기를 조화시키므로써 인체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에어컨디셔너는, 여름철에는 실내 온도는 대략 28。C, 실내 습도는 대략 60% 내지 75%가 되도록 가동되고, 겨울철에는 실내 온도는 대략 18。C, 실내 습도는 대략 55% 내지 70%이 되도록 가동된다.
상기 에어컨디셔너에 있어서, 냉방 사이클이 수행되는 경우,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냉매 가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상기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를 열방출을 통해 점진적으로 액상으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상기 액상 냉매의 압력을 강하시켜 저온의 기-액 혼합 냉매를 형성시키는 팽창 밸브, 및 상기 저온의 기-액 혼합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 열을 흡수하도록 하고 상기 증발된 냉매를 다시 상기 압축기로 보내는 증발기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기계적 에너지를 압축성 유체의 압력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서, 저압의 증발기에서 냉매 가스를 흡입하고 이 압력을 응축 압력까지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1에는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압축기(100)는 케이싱(117)을 포함한다. 케이싱(117) 내에 설치된 모터 베어링(134)의 외주연부가 연장하여 케이싱(117)의 내주연과 접촉하여 그 상부는 고압을, 그 하부는 저압을 유지하게 된다. 모터 베어링(134) 하부에는 냉매가스 흡입구(134a)가 형성된다.
모터 베어링(134) 위에는 펌프 베어링(135)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회전축(132)의 편심부(131)와 롤러(121)가 일체로 설치되는 실린더(120)가 형성된다. 모터 베어링(134)의 하부로는 회전축(132)과 로터(133)가 내장된 모터가 장착된다. 케이싱(117)의 일측에는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외부 단자(111)가 설치되며, 그 타측에는 흡입관(118)이 형성되어 증발기에서 나오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흡입한다. 이때, 외부 단자(111) 및 흡입관(118)은 모터 베어링(134)의 하부에 제공된다.
케이싱(117)의 상단에는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관(112)이 형성된 상부 커버(113)가 씌워지고, 그 하단에는 압축기(100)를 윤활하기 위한 오일이 수용되는 하부 커버(116)가 씌워진다.
실린더(120) 내에는 고압부과 저압부를 분리하기 위한 베인(미도시)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반저압식 로터리 압축기(100)에서는,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흡입관(118)을 거쳐 압축기(100) 내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냉매는 모터 베어링(134)에 형성된 흡입구(134a)를 통해 실린더(120) 내로 유입된다. 그 후, 상기 냉매는 편심부(131)와 롤러(121)의 유막 접촉을 개재한 회전에 의해 압축되고 토출 밸브의 작용에 의해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된다.
하지만, 흡입관(118)을 통해 유입된 냉매는 모터를 통과하면서 그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냉매의 비체적이 증가하고 따라서 단위 회전당 냉매 토출량이 감소하여 압축기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 케이싱의 냉매 흡입구에 가이드를 제공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케이싱 내부로 퍼지면서 모터와의 열교환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가이드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의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측에 배치된 로터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모터 베어링, 상기 모터 베어링 상부에 마운트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일측의, 상기 모터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 사이의 위치에 연통된 냉매 흡입관, 및 상기 냉매 흡입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냉매 흡입관을 통해 유입된 냉매를 상기 모터 베어링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와 연통하는 흡입구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흡입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에 의해 증발기로부터 유입된 저온 저압의 냉매의 대부분이 바로 실린더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압축기 내부로 유입된 냉매와 스테이터, 로터 등으로 구성된 모터와의 접촉 경로가 짧아지기 때문에 냉매의 비체적 증가에 따른 압축기의 효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로터리 압축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압축기 217 : 케이싱
232 : 회전축 218 : 냉매 흡입관
220 : 실린더 231 : 편심부
234a : 흡입구 234 : 모터 베어링
290 : 가이드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에어컨디셔너는 가정이나 사무실 내의 공기를 조화시키므로써 인체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에어컨디셔너는, 여름철에는 실내 온도는 대략 28。C, 실내 습도는 대략 60% 내지 75%가 되도록 가동되고, 겨울철에는 실내 온도는 대략 18。C, 실내 습도는 대략 55% 내지 70%이 되도록 가동된다.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분리형 에어컨디셔너는 냉각 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해, 냉매 가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상기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를 열방출을 통해 점진적으로 액상으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상기 액상 냉매의 압력을 강하시켜 저온의 기-액 혼합 냉매를 형성시키는 팽창 밸브, 및 상기 저온의 기-액 혼합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 열을 흡수하도록 하고 상기 증발된 냉매를 다시 상기 압축기로 보내는 증발기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기계적 에너지를 압축성 유체의 압력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서, 저압의 증발기에서 냉매 가스를 흡입하고 이 압력을 응축 압력까지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압축기(200)는 케이싱(217)을 포함한다. 케이싱(217) 내에 설치된 모터 베어링(234)의 외주연부가 연장하여 케이싱(217)의 내주연과 접촉하여 그 상부는 고압을, 그 하부는 저압을 유지하게 된다. 케이싱(217)의 일측 모터 베어링(234) 하부에는 냉매 흡입구(234a)가 형성된다.
모터 베어링(234) 위에는 펌프 베어링(235)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회전축(232)의 편심부(231)와 롤러(221)가 일체로 설치되는 실린더(220)가 형성된다. 모터 베어링(234)의 하부로는 회전축(232)과 로터(233)가 내장된 모터가 장착된다. 케이싱(217)의 일측에는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외부 단자(211)가 설치되며, 그 타측에는 흡입관(218)이 형성되어 증발기에서 나오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흡입한다. 이때, 외부 단자(211) 및 흡입관(218)은 모터 베어링(234)의 하부에 제공된다.
케이싱(217)의 상단에는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관(212)이 형성된 상부 커버(213)가 씌워지고, 그 하단에는 압축기(200)를 윤활하기 위한 오일이 수용되는 하부 커버(216)가 씌워진다.
실린더(220) 내에는 고압부과 저압부를 분리하기 위한 베인(미도시)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반저압식 로터리 압축기(200)에서는,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흡입관(218)을 거쳐 압축기(200) 내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냉매는 모터 베어링(234)에 형성된 흡입구(234a)를 통해 실린더(220) 내로 유입된다. 그 후, 상기 냉매는 편심부(231)와 롤러(221)의 유막 접촉을 개재한 회전에 의해 압축되고 토출 밸브의 작용에 의해 토출구(212)를 통해 토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 흡입관(218)의 하단으로부터는 가이드(290)가 연장한다. 가이드(290)는 플레이트로써 소정 각도 상방향으로 절곡하여 냉매 흡입관(218)을 통해 유입된 냉매를 모터 베어링(234)에 형성되어 실린더(220) 내부와 연통하는 흡입구(234a) 방향으로 안내한다.
가이드(290)에 의해 증발기로부터 유입된 저온 저압의 냉매의 대부분이 바로 실린더(220) 내부로 유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 내부로 유입된 냉매와 스테이터, 로터 등으로 구성된 모터와의 접촉 경로가 짧아지기 때문에 냉매의 온도 상승을 억제시켜 냉매의 비체적 증가에 따른 압축기의 효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및 개량도 본 발명에 속한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의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측에 배치된 로터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모터 베어링, 상기 모터 베어링 상부에 마운트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가이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일측의, 상기 모터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 사이의 위치에 연통된 냉매 흡입관; 및
    상기 냉매 흡입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냉매 흡입관을 통해 유입된 냉매를 상기 모터 베어링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와 연통하는 흡입구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가이드 구조.
KR1019990007787A 1999-03-09 1999-03-09 에어컨디셔너의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 구조 KR20000059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787A KR20000059891A (ko) 1999-03-09 1999-03-09 에어컨디셔너의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787A KR20000059891A (ko) 1999-03-09 1999-03-09 에어컨디셔너의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891A true KR20000059891A (ko) 2000-10-16

Family

ID=1957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787A KR20000059891A (ko) 1999-03-09 1999-03-09 에어컨디셔너의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98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071A (ko) 2020-10-16 2022-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KR20220063805A (ko) 2020-11-09 2022-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KR20220121970A (ko) 2021-02-25 2022-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071A (ko) 2020-10-16 2022-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KR20220063805A (ko) 2020-11-09 2022-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KR20220121970A (ko) 2021-02-25 2022-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147B1 (ko) 증기 분사 시스템을 가진 스크롤 압축기
JP2011012629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CN102042227B (zh) 双转子两级增焓压缩机、空调器及热泵热水器
CN208793221U (zh) 涡旋压缩机及包括该涡旋压缩机的空调系统
CN101963161B (zh) 涡轮压缩机及冷冻机
JP2004137979A (ja) 膨張機
KR20040084796A (ko) 냉매 사이클 장치
JP4992862B2 (ja) 圧縮機
CN207647779U (zh) 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系统
JP2011012630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000059891A (ko) 에어컨디셔너의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 구조
JP2011012633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CN113550904B (zh) 压缩机及空调器
KR100287447B1 (ko) 어큐뮤레이터가 내장된 로터리 압축기
KR100290711B1 (ko) 2단압축용로타리압축기
KR200183003Y1 (ko) 어큐뮤레이터의 냉매가스 기화장치
KR20010002267U (ko) 단열재가 부착된 어큐뮤레이터 일체형 로터리 압축기
US20240003348A1 (en) Compressor with Oil Pump
KR20000059894A (ko) 에어컨디셔너의 횡형식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 흡입 구조
KR20000004182A (ko) 반 저압식 로터리 압축기
CN221033114U (zh) 压缩机及制冷设备
JP5278203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スクロール圧縮機を備える空気調和装置
WO2020057452A1 (zh) 涡旋压缩机及包括该涡旋压缩机的空调系统
KR20000042356A (ko)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 공급 구조
KR100352442B1 (ko) 횡형 스크롤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