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9350A -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 - Google Patents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9350A
KR20000059350A KR1019990006881A KR19990006881A KR20000059350A KR 20000059350 A KR20000059350 A KR 20000059350A KR 1019990006881 A KR1019990006881 A KR 1019990006881A KR 19990006881 A KR19990006881 A KR 19990006881A KR 20000059350 A KR20000059350 A KR 20000059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ell
guide
cylinder
boom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6895B1 (ko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이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철 filed Critical 이병철
Priority to KR101999000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89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7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에 관한 것으로, 앞바퀴는 좌,우 양측에, 뒷바퀴는 중앙에 장착되고 전,후 네모서리부분에 유압잭이 장착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부에 상향으로의 기립각도를 조절가능하게 부착되는 가이드 셀과, 상기 가이드 셀의 선단에 장착된 정·역모터에 의해 가이드 셀상을 왕복이동하면서 드릴비트로 앵커공을 천공하는 드리프터가 마련된 급사면 앵커공 천공용 드릴머신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선단의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며 플랫포옴 리프트 실린더에 의하여 기복되는 플랫포옴과, 상기 플랫포옴의 자유단 중간부분에 부착된 고정브라켓에 상,하단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좌,우 각도조절 회전축과, 상기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에 부착단이 상,하로의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며, 붐 리프트 실린더에 의하여 기복되는 붐과, 상기 붐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가이드 틸트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축받이와, 상기 붐과 고정축받이에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가이드 틸트 실린더의 피스톤 출몰작동에 의하여 가이드 셀을 기복작동시키는 호형연결간 및 상기 고정축받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용 축이 마련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 셀의 이면에 부착되어 가이드 셀을 가이드 슬라이드 실린더로서 가이드 셀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셀 마운팅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앵커공을 설계에 맞추어 깊게 천공하도록 하고 앵커공 천공작업과 보강앵커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Master drill machine for installation of reinforcing anchor to protect slope}
본 발명은 지형이 험한 산을 깍아 도로를 건설할 때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급사면(急斜面)이나 산의 경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앵커를 박아줄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형이 험한 산간에 도로를 건설하는 현장에서 산의 허리에 개설되거나 또는 산의 골짜기 등을 통과하도록 개설되는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반드시 경사진 비탈면이 형성되며, 상기한 비탈면이 45°이하로 완만하게 경사진 경우에는 사면보호블럭을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한 비탈면이 45°이상으로 급한 경사면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사면보호블럭의 설치가 사실상 곤란하므로 이때에는 급한 경사면에 락볼트 또는 앵커를 박아준 다음 그물망을 설치하는 수단으로 경사면의 토사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소형착암기로서 경사면에 구멍을 뚫은 다음 락볼트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거나 또는 크롤러 드릴(Crowler Drill)로 경사면에 구멍을 뚫고 앵커를 삽입 고정시키는 수단을 이용하여 급사면을 보강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소형 착암기를 사용하여 락볼트 삽입공을 뚫어주기 때문에 락볼트 삽입공의 깊이를 1미터 내외의 낮은 깊이로 뚫어 줄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1미터 내외의 낮은 깊이로 박아준 락볼트로서는 급한 경사면을 강고하게 보강할 수 없으므로 그물망을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붕괴의 위험으로 부터 급사면을 보호할 수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후자의 경우응 크롤러드릴 자체는 바퀴가 무한궤도의 캐터필러로 구성되어 있어 완만한 경사면은 자체적으로 등반하여 앵커공을 천공할 수 있지만 경사면이 45°이상으로 된 급사면일 때에는 자체적인 등반주행이 불가능하여 앵커공을 뚫을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크롤러드릴이 급사면으로 오를수 있도록 비계를 설치하고 있으나 비계의 설치작업이 어렵고 까다로운 한편 위험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비계설치를 위한 많은 장비와 인력이 소요되는 관계로 시공비가 비싸지는 등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소형 착암기의 경우는 급사면에 앵커공을 깊게 뚫지 못하기 때문에 급사면 보강공사에는 부적합하며, 크롤러드릴을 이용한 급사면 보강공사의 경우는 크롤러드릴을 급사면 위로 이동 또는 운반하는 작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일단 작업위치에 이동시킨 다음 그 위치에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앵커공 천공작업이 불안해져 앵커공을 깊게 뚫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는 크롤러드릴의 이동 및 고정시키는데 많은 시간을 소요했기 때문에 이를 커버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앵커공을 설계대로 깊게 뚫지 않고 얇게 뚫은 다음 앵커를 설치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 급사면 보강공사가 부실공사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운반 또는 급사면 위로의 이동시에는 무게중심이 낮은 위치에 있도록 드리프터(Drifter)가 장착된 가이드 셀(Guide shell), 붐(Boom), 플랫포옴(Flat form) 등이 메인 프레임(Main frame) 위에 수평상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급사면에서의 앵커공 천공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 셀을 급사면에 대하여 직각에 가깝도록 기립시킨 상태에서 앵커공을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타 드릴머신(Master Drill Machine)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상기 마스타 드릴머신은 한곳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 셀을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다수의 앵커공을 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하향 이동하면서 천공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므로서 앵커공의 천공작업을 보다 빠르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 앵커공 천공 후 급사면 밑에 쌓아둔 보강앵커를 마스타 드릴머신 자체에 장착된 윈치드럼을 이용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앵커의 설치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 97-32820 호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앞바퀴는 좌,우 양측에, 뒷바퀴는 중앙에 장착되고 전,후 네모서리부분에 유압잭이 장착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부에 상향으로의 기립각도를 조절가능하게 부착되는 가이드 셀과, 상기 가이드 셀의 선단에 장착된 정·역모터에 의해 가이드 셀상을 왕복이동하면서 드릴비트로 앵커공을 천공하는 드리프터가 마련된 급사면 앵커공 천공용 드릴머신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선단의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며 플랫포옴 리프트 실린더에 의하여 기복되는 플랫포옴과;
상기 플랫포옴의 자유단 중간부분에 부착된 고정브라켓에 상,하단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좌,우 각도조절 회전축과;
상기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에 부착단이 상,하로의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며, 붐 리프트 실린더에 의하여 기복되는 붐과;
상기 붐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가이드 틸트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축받이와;
상기 붐과 고정축받이에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가이드 틸트 실린더의 피스톤 출몰작동에 의하여 가이드 셀을 기복작동시키는 호형연결간과; 및
상기 고정축받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용 축이 마련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 셀의 이면에 부착되어 가이드 셀을 가이드 슬라이드 실린더로서 가이드 셀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셀 마운팅과;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상기 플랫포옴의 자유단 일측에 부착된 돌출부재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을 좌 또는 우로 회전작동시켜주는 페디스탈 스윙 실린더를 장착하여 상기 붐과 가이드 셀을 상기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을 기점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가이드 셀 마운팅에는 실린더 몸체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축받이에는 피스톤 선단이 부착되는 가이드 스윙 실린더를 장착하여 상기 가이드 셀을 급사면에 대하여 직각에 가깝도록 좌,우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가이드 셀 마운팅을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호형 슬라이딩면이 형성된 각도조절구가 부착된 각도조절판재를 상기 가이드 셀 마운팅과 고정축받이 사이에 설치한 다음 상기 각도조절판재와 가이드 셀 마운팅 각각에 실린더 몸체와 피스톤 선단을 연결하는 각도조절용 실린더를 장착하여 비틀어진 상기 가이드 셀을 바른 각도로 교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단 중간에 장착되는 뒷바퀴의 포크 프레임의 상단축을 고정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한 다음 바퀴 스윙 실린더로서 상기 포크 프레임을 좌,우로 회전시켜 뒷바퀴가 진행방향 및 방향전환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가이드 셀 이면측에 유압모터에 의하여 작동하는 윈치드럼에 감겨있는 운반케이블을 선단측 가이드 롤러와 후단측 가이드 롤러을 거쳐 급사면 아래측에 있는 보강앵커에 연결시킨 다음 상기 윈치드럼으로 운반케이블을 감아주도록 하는 수단으로 보강앵커를 가이드 셀까지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스타 드릴머신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타 드릴머신을 이동 또는 운반할 때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으로 사면에 앵커공을 뚫기 위해 드리프터의 가이
드 셀을 수직으로 세우는데 따른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으로 사면에 앵커공을 뚫어주는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드리프터의 가이드 셀을 좌 또는 우로 회전작동시키는
페디스탈 스윙 실린더의 평면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페디스탈 스윙 실린더의 회전작동 후 드리프터의 가이드
셀을 좌 또는 우로 회전작동시켜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가이드 스윙
실린더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가이드 셀이 비틀어진 것을 바로 잡아주는 각도조절판재
를 발췌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가이드 셀을 바른 각도로 교정하는 각도조절용 실린더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으로 앵커공을 천공한 후 보강앵커를 운반하는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스타 드릴머신 2 : 메인 프레임
3 : 플렛포옴 4 : 붐
5 : 고정축받이 6 : 가이드 셀 마운팅
7 : 가이드 셀 8 : 드리프터
9 : 견인롤러 21 : 유압잭
22 : 앞바퀴 23 : 뒷바퀴
24 : 포크 푸레임 26 : 바퀴 스윙 실린더
32 : 플렛포옴 리프트 실린더 34 :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
36 : 페디스탈 스윙 실린더 37 : 회전용 작동간
41 : 붐 리프트 실린더 42 : 가이드 틸트 실린더
51 : 돌출힌지 52 : 호형연결간
53 : 가이드 스윙 실린더 61 : 각도조절판재
62 : 지지용 축 64 : 각도조절구
65 : 고정볼트 67 : 각도조절용 실린더
68 : 가이드 슬라이드 실린더 71 : 윈치드럼
72 : 운반케이블 75 : 보강앵커
81 : 드릴비트 91 : 견인케이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스타 드릴머신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타 드릴머신을 이동 또는 운반할 때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예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으로 사면에 앵커공을 뚫기 위해 드리프터를 수직으로 세우는데 따른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으로 사면에 앵커공을 뚫어주는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드리프터의 가이드 셀을 좌 또는 우로 회전작동시키는 페디스탈 스윙 실린더의 평면 작동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페디스탈 스윙 실린더의 회전작동 후 드리프터의 가이드 셀을 좌 또는 우로 회전작동시켜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가이드 스윙 실린더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가이드 셀이 비틀어진 것을 바로 잡아주는 각도조절판재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가이드 셀을 바른 각도로 교정하는 각도조절용 실린더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으로 앵커공을 천공한 후 보강앵커를 운반하는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마스타 드릴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마스타 드릴머신(1)은 메인 프레임(2)의 전,후 네모서리부분에 유압잭(21)이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전방 양측에는 두개의 앞바퀴(22)가 설치되며, 후방 중간부분에는 한개의 뒷바퀴(2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앞바퀴(22)들은 제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는 한편, 상기 뒷바퀴(23)는 좌,우로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뒷바퀴(23)는 포크 프레임(24)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 프레임(24)의 상단축(241)은 상기 메인 프레임(2)에 용접된 고정간(25)의 상단 원통구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끼움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간(25)의 일측에는 바퀴 스윙 실린더(26)의 몸체가 좌,우로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부착하는 한편 상기 바퀴 스윙 실린더(26)의 피스톤 선단은 상기 포크 프레임(24)에 힌지결합하므로서 상기 바퀴 스윙 실린더(26)의 피스톤을 출몰작동시킴에 따라 뒷바퀴(23)를 좌,우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마스타 드릴머신(1)을 지상에서의 이동시 또는 급사면으로의 이동시에 원하는 목적지를 향해 진행방향을 조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방향전환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의 선단 양측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27)에는 "ㄷ"자형으로 된 플렛포옴(3)의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메인 프레임(2)의 상방을 향해 기복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플랫포옴(3)의 기복작동은 실린더의 몸체가 메인 프레임(2)에 힌지결합되고 피스톤 선단이 플랫포옴(3) 자유단의 브라켓(31)에 힌지결합된 플랫포옴 리프트 실린더(32)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랫포옴(3)의 자유단 중간부분 안쪽에 부착시킨 고정브라켓(33)에는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34)의 상,하단이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한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34)은 가이드 셀을 좌,우로 회전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34)의 전방측 상,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각 브라켓(부호 생략)에는 붐(4) 일측의 부착단과 붐 리프트 실린더(41)의 실린더 몸체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붐(4) 타측의 자유단은 고정축받이(5)의 힌지부(51)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붐 리프트 실린더(41)의 피스톤 선단은 붐(4) 하부에 돌출된 브라켓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붐 리프트 실린더(41)의 피스톤을 출몰작동시킴에 따라 붐(4)을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34)을 기점으로 하여 기복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붐(4)의 상부에 돌출된 브라켓에는 가이드 틸트 실린더(Guide tilt cylinder : 42)의 실린더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틸트 실린더(42)의 피스톤 선단은 상기 붐(4)의 자유단과 상기 고정축받이(5)의 돌출힌지(52)에 양단이 연결된 호형연결간(53)을 밀고 당길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호형연결간(53)은 두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져 그 일단은 붐(4)을 양쪽에서 포위하듯이 힌지부(51) 밑에 위치한 편심힌지부(54)에 연결되며, 상기 호형연결간(53)의 타단은 돌출힌지(5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축받이(5)의 돌출힌지(52)와 호형연결간(53)을 힌지결합시키는 핀축에는 상기한 가이드 틸트 실린더(42)의 피스톤 선단이 감싸는 상태로 연결하므로서 상기 가이드 틸트 실린더(42)의 피스톤 출몰작동으로 호형연결간(53)을 밀고 당길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축받이(5)에는 가이드 셀 마운팅(6)을 지지하는 각도조절판재(61)에서 돌출되는 지지용 축(62)을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허용함과 동시 이탈되지 않도록 붙잡아주고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판재(61)에는 상,하 양쪽에 호형 슬라이딩면(63)이 형성된 각도조절구(64)가 용접되어 있는데, 상기 호형 슬라이딩면(63) 각각에는 "T"자형의 슬라이딩 홈(631)을 형성하고 그 슬라이딩 홈(631)으로 고정볼트(65)의 머리부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고정볼트(65)의 나사부는 상기 가이드 셀 마운팅(6) 내부에서 너트(66)로 체결하는 구조로 상기 가이드 셀(6)이 각도조절판재(61)에 부착시키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각도조절판재(61)와 가이드 셀 마운팅(6)은 각도조절용 실린더(67)에 의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각도조절용 실린더(67)의 실린더 몸체는 각도조절판재(61)에 핀축으로 연결되고 피스톤 선단은 가이드 셀 마운팅(6)에 핀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에서 각도조절판재(61)에 부착된 각도조절구(64)의 호형 슬라이딩면(63)에 접촉 지지되는 가이드 셀 마운팅(6)과 "T"자형의 슬라이딩 홈(631)에 머리부분이 삽입된 고정볼트(65) 각각은 상기한 각도조절용 실린더(67)의 피스톤 출몰작동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셀 마운팅(6)과 가이드 셀(7)의 이면은 도브테일 타입(Dovetail type : 빗장결합식)으로 결합하여 가이드 셀(7)이 가이드 셀 마운팅(6)을 타고 전,후 또는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셀 마운팅(6)과 가이드 셀(7)을 가이드 슬라이드 실린더(68)로 연결함에 있어 상기 가이드 슬라이드 실린더(68)의 실린더 몸체는 가이드 셀 마운팅(6)에 부착시키는 한편 피스톤 선단은 가이드 셀(7)의 이면에 둘출된 브라켓에 부착시키므로 상기한 가이드 슬라이드 실린더(68)의 피스톤을 출몰작동시킴에 따라 가이드 셀(7)은 가이드 셀 마운팅(6)을 타고 전,후 또는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셀(7)의 전면측에는 드리프터(8)가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 셀(7) 자체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체인피드셀이 장착되어 상기 드리프터(8)를 전,후 또는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가이드 셀(7) 외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정·역모터가 장착되어 상기한 체인피드셀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작동시켜 상기 드리프터(8)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상기 드리프터(8)의 드릴비트(81)로 급사면(G)에 앵커공을 뚫어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셀(7)의 이면측에는 유압모터(도시 생략)에 의하여 구동하는 윈치드럼(71)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윈치드럼(71)에 감겨있는 운반케이블(72)은 선단 가이드 롤러(73)에 안내되어 후단 가이드 롤러(74)를 통과하여 급사면(G) 밑으로 인출되어 급사면(G) 아랫쪽 도로 등에 야적되어 있는 보강앵커(75)를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셀(7)의 좌,우측에는 작업자가 올라가서 제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업대(7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작업대에서 수행하는 작업은 예를 들면, 드리프터(8)에 드릴비트(81)를 조립하는 작업과 드릴비트(81)를 연장시키는 조립작업, 또 운반케이블(72)을 선,후단 가이드 롤러(73)(74)에 걸어주는 작업 및 운반케이블(72)로 운반한 보강앵커(75)를 천공된 앵커공에 삽입시키는 작업 그리고 보강앵커 삽입 후 시멘트 풀을 주입하는 등등의 작업이다.
한편, 상기 플랫포옴(3)의 자유단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재(35)에는 상기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34)을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페디스탈 실린더(36)의 실린더 몸체가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페디스탈 실린더(36)의 피스톤 선단은 상기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34)의 측면에서 돌출된 회전용 작동간(37)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받이(5)와 가이드 셀 마운팅(6)에는 가이드 스윙 실린더(55)가 부착되는데, 상기 가이드 스윙 실린더(55)의 실린더 몸체는 가이드 셀 마운팅(6)에 힌지결합으로 부착되는 한편 피스톤 선단은 고정축받이(5) 일측에 힌지결합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9는 급사면(G) 최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견인롤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견인롤러(9)는 급사면(G) 밑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견인용 윈치에서 연장되는 견인케이블(91)을 안내하여 상기 마스타 드릴머신(1)의 메인 프레임(2)에 묶어줄 수 있도록 한 다음 견인케이블(91)로 마스타 드릴머신(1)을 끌어 올린 다음 작업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작용과 또한 일정 구간씩 하향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원리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마스타 드릴머신(1)을 중장비 차량으로 운반하거나 또는 도로나 급사면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와 같이 메인 프레임(2) 위에 플랫포옴(2)과 붐(7) 및 가이드 셀(7)이 수평상으로 눕혀진 상태가 되게 절첩시키므로서 상기 마스타 드릴머신(1)의 무게중심이 낮아지게 하여 이동시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스타 드릴머신(1)을 급사면(G) 밑에 위치시킨 다음 도시하지 않은 견인용 윈치에서 인출된 견인케이블(91)의 인출단을 급사면(G) 최상단에 고정시킨 견인롤러(9)을 통과시켜 마스타 드릴머신(1)의 메인 프레임(2)에 견고하게 묶어준 후 견인용 윈치를 구동시켜 견인케이블(9)을 감아주게 되면 견인롤러(9)에 연설된 견인케이블(9)이 감겨짐에 따라 마스타 드릴머신(1)은 급사면(G)을 향해 끌려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 마스타 드릴머신(1)을 급사면(G)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마스타 드릴머신(1)이 작업위치로 진행할 수 있도록 바퀴 스윙 실린더(26)의 피스톤을 출현작동 또는 몰입작동시켜 뒷바퀴(23)를 좌 또는 우로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마스타 드릴머신(1)은 원하는 작업위치를 향해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뒷바퀴(23)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바퀴 스윙 실린더(26)는 마치 자동차의 핸들(조향휠)과 같은 기능을 담당하여 급사면(G)이 울퉁불퉁하더라도 상기 마스타 드릴머신(1)을 원하는 작업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상기 마스타 드릴머신(1)을 급사면(G)의 최상단 위치의 작업구간까지 이동시킨 후에는 견인용 윈치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 견인케이블(91)이 풀리지 않도록 조치한다.
상기와 같이 마스타 드릴머신(1)을 원하는 작업위치에서 정지시킨 다음에는 메인 프레임(2) 네모서리부분에 있는 유압잭(21)의 피스톤을 출현작동시켜주면 앞바퀴(22)와 뒷바퀴(23)가 급사면(G)에서 들려진 상태가 됨과 동시 유압잭(21)들에 의하여 마스타 드릴머신(1)은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압잭(21)으로 메인 프레임(2)을 고정시킨 후에는 먼저 플랫포옴 리프트 실린더(32)의 피스톤을 출현작동시키게 되면 플랫포옴(3)이 브라켓(21)을 기점으로 하여 기립작동되며(도 4 참조), 다음으로 붐 리프트 실린더(4)의 피스톤을 출현작동시키게 되면 붐(4)이 기립작동하게 되고(도 5 참조), 이어서 가이드 틸트 실린더(42)의 피스톤을 출현작동시켜 호형연결간(52)을 밀어내게 되면 고정축받이(5)는 힌지부(51)의 핀축(부호 생략)을 기점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므로서 가이드 셀(7)이 급사면(G)에 대하여 직각에 가깝도록 기립되는 것이며(도 6 참조), 이와 같은 기립작동은 각 실린더들의 피스톤 출현작동의 거리를 조정하므로서 가이드 셀(7) 자체가 급사면(G)에 대하여 직각에 가깝도록 기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스타 드릴머신(1)의 가이드 셀(7)을 기립작동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셀(7)의 선단부가 급사면(G)과 이격된 상태이므로 이때에는 가이드 셀 마운팅(6)에 장착된 가이드 슬라이드 실린더(61)의 피스톤을 몰입작동시켜 가이드 셀(7) 자체가 가이드 셀 마운팅(6)에서 하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여 상기 가이드 셀(7) 선단부가 급사면(G)에 맞닿게 한 다음 드리프터(8)를 구동시켜주면 드릴비트(81)가 급사면(G)을 뚫기 시작하게 되며, 상기한 드릴비트(81)가 구멍을 뚫는 상태에 따라 드리프터(8)를 천천히 하강작동(급사면쪽으로의 이동작동)시켜주게 되면 드릴비트(81)는 급사면(G)을 뚫고 들어가면서 앵커공을 형성시키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드릴비트(81)는 일정길이를 단위길이로 하여 여러개를 연결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차적으로 드리프터(8)에 조립된 드릴비트(81)가 완전히 박힌 상태가 되면 상기 드릴비트(81)를 해체한 다음 드리프터(8)를 가이드 셀(7) 상단으로 이동시킨 다음 박힌 드릴비트에 새로운 드릴비트를 연결시키고 또 새로운 드릴비트에 드리프터(8)를 연결한 후 다시 드리프터(8)를 작동시키면서 하강 시키게 되면 새로운 드릴비트까지 급사면(G)에 박히게 되며, 이와 같이 새로운 드릴비트를 연속해서 조립한 후 박아주는 작업을 되풀이 하는 수단으로 급사면(G)을 보강하기에 충분한 깊이 예를 들면 8∼10m 또는 그 이상의 깊이로 앵커공을 형성한 다음 앵커공을 뚫어줄 때 수행하던 작업의 역순으로 앵커공에서 다단으로 연결된 드릴비트를 빼내게 되면 급사면(G)에는 보강에 적합하도록 깊게 천공된 앵커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앵커공에서 드릴비트(81)를 제거한 다음에는 윈치드럼(71)에 감겨있는 운반케이블(72)을 선,후단 가이드 롤러(73)(74)에 연설되어 급사면(G) 밑으로 인출된 운반케이블(72)의 인출단에 보강앵커(75)를 묶어주고 이어서 윈치드럼(71)을 구동시켜 운반케이블(72)을 감아주게 되면 급사면(G) 밑에 있는 보강앵커(75)는 가이드 셀(7) 위로 운반되며, 작업대(76) 위에 대기하고 있던 작업자는 운반케이블(72)에 의해 운반된 보강앵커(75)를 앵커공에 삽입시키게 되므로 보강앵커(75)의 삽입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마스타 드릴머신(1)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곳에 정지된 상태에서 급사면(G)의 경사방향으로 1∼2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상,중,하 세지점에 앵커공을 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지점마다 1∼2m 정도의 간격으로 2∼3개의 앵커공을 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앵커공을 천공작업의 순서는 도면에 도시한 천공순서(이 순서는 작업자가 작업의 효율성에 따라 임의 선택할 수 있다)에 의하여 첫번째에는 맨 윗줄에 가이드 셀(7)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중간부분①을 뚫고 다음에는 좌측부분② 또는 우측부분③을 선택하여 뚫게 되며, 두번째에는 가이드 셀(7)을 중간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④와 ⑤를 뚫고, 세번째에는 가이드 셀(7)을 맨 아래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⑥,⑦,⑧의 순서로 뚫게 되며, 이와 같이 마스타 드릴머신(1)을 한곳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정해진 위치에서의 앵커공 천공작업을 완료한 다음에는 마스타 드릴머신(1)을 한 구간씩 밑으로 이동시키면서 앵커공 천공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하여 급사면(G) 맨 아래까지 천공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견인롤러(9)를 다음 위치로 옮겨 고정시킨 후 마스타 드릴머신(1)을 다음 위치의 급사면(G) 맨 위로 이동시키고 앞서 언급한 작업순서로 앵커공을 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드리프터(8)로 앵커공을 천공할 때에는 천공하고자 하는 앵커공에 대하여 드리프터(8)의 드릴비트(81)가 직각에 가깝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천공작업을 진행해야만 드릴비트(81)를 파손시키지 않고 앵커공을 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셀(7)을 도 7의 ①번 위치에 직각상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앵커공을 천공한 다음 도면상 좌측의 ②번 위치로 가이드 셀(7)을 옮기고자 할 때에는 페디스탈 스윙 실린더(36)의 피스톤을 출현작동시키게 되면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34)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붐(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 셀(7)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며, 이렇게 회전이동된 가이드 셀(7)은 급사면(G)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고정축받이(5)를 기점으로 하여 가이드 셀(7)을 회전시켜 바로 세워야 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페디스탈 스윙 실린더(36)로서 가이드 셀(7)을 회전이동시키게 되며, 이 경우에는 상기한 고정축받이(5)가 천공하고자 하는 앵커공의 세로방향 중심선(급사면의 경사방향선)과 일치하는 곳까지 회전이동되게 한 다음 이어서 상기 가이드 스윙 실린더(55)의 피스톤을 출현작동시켜 주면 가이드 셀(7)은 고정축받이(5)에 축끼움된 지지용 축(62)이 회전하게 되므로서 가이드 셀(7)은 급사면(G)에 대하여 직각에 가깝도록 일직선상 세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플랫포옴(3)과 붐(4)을 상향으로 기립작동시켜 가이드 셀(7)이 메인 프레임(2)의 중심선상에 위치한 채 급사면(G)에 대하여 직각에 가깝도록 일직선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붐(4)의 선단에 연결된 고정축받이(5) 자체가 메인 프레임(2)에 대하여 좌 또는 우로 기울어지지 않고 똑바르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페디스탈 스윙 실린더(36)을 작동시켜 붐(4)을 좌 또는 우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상기한 고정축받이(5) 자체가 메인 프레임(2)에 대하여 좌 또는 우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셀(7)도 기울어진 상태가 되므로 이를 바로 잡아주어야 드리프터(8)가 무리없이 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붐(4)을 좌 또는 우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상기 가이드 셀 마운팅(6)과 각도조절판재(61)를 연결하고 있는 각도조절용 실린더(67)를 작동시켜 가이드 셀(7)을 바로 잡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 셀(7)이 도 11과 같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일 경우에는 각도조절용 실린더(67)의 피스톤을 몰입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피스톤이 가이드 셀 마운팅(6)을 우측에서 잡아당기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 셀 마운팅(6)은 각도조절구(64)의 호형슬라이딩면(63)을 타고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을 하게 되므로 가이드 셀 마운팅(6)은 가이드 셀(7)을 똑바르게 교정시켜주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작동은 상기 가이드 셀 마운팅(6)과 고정볼트(65)과의 체결상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 상태일 뿐 아니라 상기 고정볼트(65)의 두부가 슬라이딩 홈(631)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이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셀(7)을 앵커공에 대하여 직각상태가 되도록 설치각도를 조절한 후 각도조절용 실린더(67)를 작동시켜 가이드 셀(7) 자체를 메인 프레임(2)에 대하여 똑바르게 교정된 상태가 되게 조정한 다음에 상기 드리프터(8)를 구동시켜 앵커공의 천공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다음 작업으로 도면상 ③번 위치로 가이드 셀(7)을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페디스탈 스윙 실린더(36)의 피스톤을 몰입작동시켜 가이드 셀(7)을 도면상 우측으로 회전이동시키며, 이때에도 고정축받이(5)가 ③번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위치까지 가이드 셀(7)을 이동시킨 다음 상기 가이드 스윙 실린더(53)의 피스톤을 몰입작동시키게 되면 가이드 셀(7)은 ③번의 앵커공 위치로 회전하여 똑바르게 세워지게 한 다음 다시 각도조절용 실린더(67)를 작동시켜서 가이드 셀(7)을 똑바르게 교정시키는데, 이때에는 상기 각도조절용 실린더(67)의 피스톤을 출현작동시켜서 가이드 셀 마운팅(6)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작동으로 상기 가이드 셀(7)을 똑바르게 조정하므로서 앵커공 천공작업을 무리없이 진행할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맨 윗줄의 앵커공들(①②③)의 천공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셀(7)을 중간줄의 앵커공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플렛포옴(3)과 붐(4)을 일정각도 내려주는 작업으로 가이드 셀(7)을 중간줄의 앵커공 위치로 옮길 수 있게 되며, 이후 가이드 셀(7)을 ④번 및 ⑤번 앵커공을 천공할 때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페디스탈 스윙 실린더(36)와 상기 가이드 스윙 실린더(53) 및 상기 각도조절용 실린더(67)를 차례로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가이드 셀(7)을 천공하고자 하는 앵커공에 직각상태로 세워준 후 똑바른 상태로 조정시킨 다음 천공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며, 그 다음으로 맨 아랫줄의 앵커공들(⑥⑦⑧)을 천공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플랫포옴(3)과 붐(4)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가이드 셀(7)을 밑으로 옮겨준 다음 상기 페디스탈 스윙 실린더(36)와 가이드 스윙 실린더(53) 및 각도조절용 실린더(67)를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가이드 셀(7)을 똑바르게 세워준 다음 천공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서 드릴비트(81)를 파손시키지 않고 앵커공을 뚫어줄 수 있으며, 또한 앵커공을 천공한 후에는 윈치드럼(71)을 작동시켜 운반케이블(72)에 묶여있는 보강앵커(75)를 가이드 셀(7)까지 운반할 수 있으므로 보강앵커(75)의 삽입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타 드릴머신을 급사면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플렛포옴과 붐 및 가이드 셀을 메인 프레임에 눕혀서 무게중심이 낮아지게 하므로서 이동에 안정성을 부여함과 동시 바퀴 스윙 실린더로서 뒷바퀴를 조정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마스타 드릴머신을 목표지점으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주며, 목표지점에 도달했을 때에는 유압잭으로 메인 프레임을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앵커공의 천공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드리프터가 장착된 상기 가이드 셀을 좌,우 일정한 각도범위내에서 회전이동시킨 다음 급사면에 대하여 직각에 가깝도록 세워진 상태가 되게 하고 이어서 가이드 셀을 똑바르게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음과 동시 상기 가이드 셀을 상,중,하 지점의 설치위치로 옮길 수 있으므로 상기 마스타 드릴머신을 한곳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앵커공을 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앵커공을 뚫은 다음 마스타 드릴머신 자체에 장착된 윈치드럼으로 보강앵커를 운반할 수 있으므로 급사면의 보강공사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드리프터의 드릴비트를 다단으로 연결하면서 앵커공을 천공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보강공사를 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경사각도가 45°이상으로 가파른 급사면의 보강공사시에도 마스타 드릴머신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 가이드 셀의 좌,우측에 설치된 작업대에서 작업을 하도록 하므로서 작업자의 안전에도 만전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앞바퀴는 좌,우 양측에, 뒷바퀴는 중앙에 장착되고 전,후 네모서리부분에 유압잭이 장착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부에 상향으로의 기립각도를 조절가능하게 부착되는 가이드 셀과, 상기 가이드 셀의 선단에 장착된 정·역모터에 의해 가이드 셀상을 왕복이동하면서 드릴비트로 앵커공을 천공하는 드리프터가 마련된 급사면 앵커공 천공용 드릴머신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선단의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며 플랫포옴 리프트 실린더에 의하여 기복되는 플랫포옴과;
    상기 플랫포옴의 자유단 중간부분에 부착된 고정브라켓에 상,하단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좌,우 각도조절 회전축과;
    상기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에 부착단이 상,하로의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며, 붐 리프트 실린더에 의하여 기복되는 붐과;
    상기 붐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가이드 틸트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축받이와;
    상기 붐과 고정축받이에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가이드 틸트 실린더의 피스톤 출몰작동에 의하여 가이드 셀을 기복작동시키는 호형연결간과; 및
    상기 고정축받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용 축이 마련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 셀의 이면에 부착되어 가이드 셀을 가이드 슬라이드 실린더로서 가이드 셀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셀 마운팅과;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포옴의 자유단 일측에 부착된 돌출부재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을 좌 또는 우로 회전작동시켜주는 페디스탈 스윙 실린더를 장착하여 상기 붐과 가이드 셀을 상기 좌,우 각도조절용 회전축을 기점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셀 마운팅에는 실린더 몸체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축받이에는 피스톤 선단이 부착되는 가이드 스윙 실린더를 장착하여 상기 가이드 셀을 급사면에 대하여 직각에 가깝도록 좌,우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셀 마운팅을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호형 슬라이딩면이 형성된 각도조절구가 부착된 각도조절판재를 상기 가이드 셀 마운팅과 고정축받이 사이에 설치한 다음 상기 각도조절판재와 가이드 셀 마운팅 각각에 실린더 몸체와 피스톤 선단을 연결하는 각도조절용 실린더를 장착하여 비틀어진 상기 가이드 셀을 똑바른 설치각도로 교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단 중간에 장착되는 뒷바퀴의 포크 프레임의 상단축을 고정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한 다음 바퀴 스윙 실린더로서 상기 포크 프레임을 좌,우로 회전시켜 뒷바퀴가 진행방향 및 방향전환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셀 이면측에 유압모터에 의하여 작동하는 윈치드럼에 감겨있는 운반케이블을 선단측 가이드 롤러와 후단측 가이드 롤러을 거쳐 급사면 아래측에 있는 보강앵커에 연결시킨 다음 상기 윈치드럼으로 운반케이블을 감아주도록 하는 수단으로 보강앵커를 가이드 셀까지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
KR1019990006881A 1999-03-03 1999-03-03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 KR100306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881A KR100306895B1 (ko) 1999-03-03 1999-03-03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881A KR100306895B1 (ko) 1999-03-03 1999-03-03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350A true KR20000059350A (ko) 2000-10-05
KR100306895B1 KR100306895B1 (ko) 2001-09-24

Family

ID=1957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881A KR100306895B1 (ko) 1999-03-03 1999-03-03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89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54B1 (ko) * 2007-09-18 2008-01-04 주식회사 드림엔지니어링 맨드렐 천공시스템
CN103485714A (zh) * 2013-09-06 2014-01-01 三一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钻进机构及钻装机
CN109555477A (zh) * 2019-01-12 2019-04-02 潍坊鑫起机械科技有限公司 具有自寻点功能的打孔机器人
JP2021123901A (ja) * 2020-02-03 2021-08-30 正機 川浪 法面用の削孔機の移動補助機および法面削孔装置、ならびに法面削孔装置の移動方法
KR20220015224A (ko) * 2020-07-30 2022-02-08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락드릴용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락드릴
CN114032891A (zh) * 2021-11-26 2022-02-11 山东建筑大学 一种用于土木工程勘察用锚杆施工装置
WO2022098476A1 (en) * 2020-11-06 2022-05-12 Ojjo, Inc. Systems, methods, and machines for automated screw anchor driving
CN117127912A (zh) * 2023-10-23 2023-11-28 烟台兴业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凿岩台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779B1 (ko) 2016-01-22 2017-02-22 주식회사 정원지오텍 비탈면 천공시스템 및 비탈면 천공 방법
KR101865656B1 (ko) * 2016-06-29 2018-06-08 박기명 안전유도봉 설치구멍 천공용 천공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900B1 (ko) * 1997-11-27 2000-05-15 정숭렬 터널용 이동식 천공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54B1 (ko) * 2007-09-18 2008-01-04 주식회사 드림엔지니어링 맨드렐 천공시스템
CN103485714A (zh) * 2013-09-06 2014-01-01 三一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钻进机构及钻装机
CN103485714B (zh) * 2013-09-06 2016-08-24 三一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钻进机构及钻装机
CN109555477A (zh) * 2019-01-12 2019-04-02 潍坊鑫起机械科技有限公司 具有自寻点功能的打孔机器人
JP2021123901A (ja) * 2020-02-03 2021-08-30 正機 川浪 法面用の削孔機の移動補助機および法面削孔装置、ならびに法面削孔装置の移動方法
JP7301762B2 (ja) 2020-02-03 2023-07-03 正機 川浪 法面用の削孔機の移動補助機および法面削孔装置、ならびに法面削孔装置の移動方法
KR20220015224A (ko) * 2020-07-30 2022-02-08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락드릴용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락드릴
WO2022098476A1 (en) * 2020-11-06 2022-05-12 Ojjo, Inc. Systems, methods, and machines for automated screw anchor driving
CN114032891A (zh) * 2021-11-26 2022-02-11 山东建筑大学 一种用于土木工程勘察用锚杆施工装置
CN114032891B (zh) * 2021-11-26 2024-03-19 山东建筑大学 一种用于土木工程勘察用锚杆施工装置
CN117127912A (zh) * 2023-10-23 2023-11-28 烟台兴业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凿岩台车
CN117127912B (zh) * 2023-10-23 2024-01-26 烟台兴业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凿岩台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6895B1 (ko) 200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6895B1 (ko) 사면 보호를 위한 보강앵커 설치용 마스타 드릴머신
US5921337A (en) Slope working machinery
CN112144951B (zh) 履带式线杆立杆设备
US3951215A (en) Mobile drilling and bolting machine
US5544978A (en) Combined auger and thruster machine
US4436455A (en) Universally positionable low profile mine drilling machine and method
WO1992020614A1 (en) Displaceable working platform with extensible boom
US4676697A (en) Movable roof support and bolter system
CN113175331B (zh) 一种软弱围岩纤维网预支护结构的快速施工设备及方法
JP3823035B2 (ja) コンクリート法面補強アンカー用穿孔機
JP7359344B2 (ja) 削孔作業車及び削孔方法
JP4226443B2 (ja) 坑道内用移動式削孔機及びそれを用いた削孔方法
JP3823298B2 (ja) 斜面の削孔装置
AU716856B2 (en) Wheeled raise skip
JP3167247B2 (ja) 地盤硬度測定装置を備えた油圧ショベル
EP0150977A2 (en) Earth drill
JP3302303B2 (ja) 斜面での削孔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516818B2 (ja) ロックボルト打設機
JP2019173304A (ja) 傾斜地削孔方法
JP3486025B2 (ja) ロックボルト打設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ロックボルト打設方法
JP3732316B2 (ja) 鋼管杭回転圧入装置
JP2000303775A (ja) 斜坑掘削機の発進装置
JP3844166B2 (ja) 法面さく孔機及び法面さく孔方法
CN212689938U (zh) 一种便于安装配重块的旋挖钻机用基台
JP2709913B2 (ja) 削孔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