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483A - 접철부가 형성된 용기목의 구조 - Google Patents

접철부가 형성된 용기목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483A
KR20000058483A KR1020000030216A KR20000030216A KR20000058483A KR 20000058483 A KR20000058483 A KR 20000058483A KR 1020000030216 A KR1020000030216 A KR 1020000030216A KR 20000030216 A KR20000030216 A KR 20000030216A KR 20000058483 A KR20000058483 A KR 20000058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lding
neck
folding part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0003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8483A/ko
Publication of KR20000058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48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접철부가 형성된 용기목의 구조
(2)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용기목을 임의 일측으로 마음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통상적인 합성수지재 용기 목(103) 부위에는 임의 일측으로 자유스럽게 접철될 수 있는 접철부(104)를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한 것이다.
(4)발명의 효과
용기의 목 부위가 접철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석진 부위 등에 내용물을 분사할 시 매우 편리한 잇점이 있음은 물론, 용기 목은 최초 일측으로 기울어져 있지 않고 상방으로 직립되어 있는 바, 그 용기목에 내용물을 충진하거나 캡핑할 때에 그 장비를 개량하지 않아도 되는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접철부가 형성된 용기목의 구조{.}
본 발명은 용기목이 임의 일측으로 자유스럽게 휘어질 수 있도록한 접철부가 형성된 용기목의 구조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것으로서는, 용기목이 임의 일측으로 고정되게 휘어진 형태를 취하고 있거나, 또는 몸체 부분이 접철된 것이 있었다.
용기목이 휘어진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은, 그 사용시 구석진 곳이나, 또는 용기를 거꾸로 치켜 세우지 않고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의약품이나 일반 생활용품의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문제점으로서는 그 제조과정은 물론, 그 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할때에 그 충진라인과 캡핑라인이 특별하게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던 것이다.
또한 몸체 부분에 접철부가 형성된 것은, 그 용도가 필요에 따라 용기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필요 부분인 용기목의 각도 조절과는 거리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용기목을 임의 일측으로 마음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c는 본 발명의 용기목에 접철부가 형성된 예를 보인 일 측면도.
도 2는 접철부가 형성된 용기목이 임의 일측으로 휘어진 상태를 보인 것.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101 : 구부 102 : 나사산
103 : 목 104 : 접철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기목은, 구부의 하측인 용기의 목 부위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접철부를 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1)의 상측에는 개폐용 나사산(102) 등이 있는 구부(101)로 형성되어 있고, 그 구부(101)의 하방인 목(103) 부위에는 임의 일측으로 자유스럽게 접철될 수 있는 접철부(104)를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접철부(104)가 있는 구부(101)에는 도 1a와 같이 액체분출용 보조구(105)를 별도 조립하거나, 또는 도 1b와 같이 물파스 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부직포(106) 등을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도 1c와 같은 또는 그와 유사한 구부(101)에 다양한 용도의 보조물이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구부(101)의 외부에 형성된 나사산(102) 대신 그 구부(101)는 원터치방식의 병뚜껑이 조립될 수 있도록 그 외형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c와 같은 구부(101)에는 밀폐용 뚜껑이 조립되는 것이며, 실 사용의 예를 예시한 것이 도 2와 같다. 이상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부(101)를 일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목(103) 부위에 형성된 접철부(104)에 의해 상기 구부(101)는 일정 각도로 휘어진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변기의 내부 구석진 부위나 욕조의 구석진 부위 또는 의약품으로 사용 되어질 경우 목 부위나 등 뒤에 약을 바를 때 매우 용이하게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용기(1)는 다이렉 브로우 또는 인젝션 브로우 공법으로 성형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a∼c에서는 접철부(104)가 펼쳐진 상태로 되어 있으나, 물품 출하시에는 그 접철부(104)는 접혀진 상태로 되어 있음이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의 목 부위가 접철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석진 부위 등에 내용물을 분사할 시 매우 편리한 잇점이 있음은 물론, 용기목은 최초 일측으로 기울어져 있지 않고 상방으로 직립되어 있는 바, 그 용기목에 내용물을 충진하거나 캡핑할 때에 그 장비를 개량하지 않아도 되는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용기(1)의 상측에는 개폐용 나사산(102) 등이 있는 구부(101)로 형성되고, 그 구부(101)는 단일 또는 별도의 보조구 등을 포함하고 있는 통상의 용기 목(103)에 있어서,
    상기 목(103) 부위에는 임의 일측으로 자유스럽게 접철될 수 있는 접철부(104)를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접철부가 형성된 용기목의 구조.
KR1020000030216A 2000-05-29 2000-05-29 접철부가 형성된 용기목의 구조 KR20000058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216A KR20000058483A (ko) 2000-05-29 2000-05-29 접철부가 형성된 용기목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216A KR20000058483A (ko) 2000-05-29 2000-05-29 접철부가 형성된 용기목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483A true KR20000058483A (ko) 2000-10-05

Family

ID=1967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216A KR20000058483A (ko) 2000-05-29 2000-05-29 접철부가 형성된 용기목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84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2253A (en) Cap attachment for small neck plastic bottle of liquid
US8042701B2 (en) Integrated straw and bottle closure assembly
US3693847A (en) Bottle cap and pouring fitment assembly
BRPI0621593A2 (pt) conjunto de tampa possuindo cámara de armazenamento para material secundário com elemento de trabalho móvel
US4265363A (en) Container with drinking tube
KR20000058483A (ko) 접철부가 형성된 용기목의 구조
JP2007145353A (ja) キャップ
JPH1191792A (ja) 液体散布機能付き注出口及びそれを使用した液体紙容器
WO1991018800A1 (en) A soft drink bottle
JP2002326621A (ja) 合成樹脂製薄肉容器
JP2588150Y2 (ja) ノズル付きキャップ
KR200296157Y1 (ko) 절약용 용기
KR20010078978A (ko) 접철부가 구성된 용기
USD448297S1 (en) Screw-top closure with crown cap
JP4017838B2 (ja) 容器の口部
KR200244484Y1 (ko) 음료용 페트병 구조
KR20060129134A (ko) 밀폐용기
JP4817221B2 (ja) 蓋体付き容器
KR200308371Y1 (ko) 숨겨진 빨대와 캐릭터
RU14200U1 (ru) Горловина флакона
JP4344103B2 (ja) 容器の閉栓構造
DE60121938D1 (de) Flüssigkeitsbehälter mit scharnierverschluss
KR200379373Y1 (ko) 용기 세우개
CN2324093Y (zh) 一种液体瓶瓶盖
KR900001164Y1 (ko) 수압개전식 병뚜껑(왕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