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457A - 보행 보조구 - Google Patents

보행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457A
KR20000058457A KR1020000028905A KR20000028905A KR20000058457A KR 20000058457 A KR20000058457 A KR 20000058457A KR 1020000028905 A KR1020000028905 A KR 1020000028905A KR 20000028905 A KR20000028905 A KR 20000028905A KR 20000058457 A KR20000058457 A KR 20000058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toe
foot
big to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정부
Original Assignee
남궁정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정부 filed Critical 남궁정부
Priority to KR102000002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8457A/ko
Publication of KR20000058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4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toe-spacers or toe-sprea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엄지발가락이 검지발가락측으로 휘어지지 않고 곧게 뻗을 수 있도록 교정하여 양호한 건강 상태를 유지하며, 보행시 피로를 덜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보행 보조구는, 발판부재의 선단부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의 사이에는 엄지발가락을 외측으로 잡아 당기는 당김끈이 부착되며, 발판부재에는 벨크로 테이프를 매개로 부착되는 한쌍의 조임끈이 구비된다. 그리고, 발판부재의 내부에는 경락자극부재, 지압용 돌기 및 완충부재가 내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판부재에 발을 올려 놓고, 당김끈을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서 빼내어 외측으로 잡아 당겨 엄지발가락이 벌어지도록 하며, 당김끈을 발판부재 저면에 부착하며, 조임끈을 이용하여 발에 착용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엄지발가락이 곧게 뻗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엄지발가락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며, 경락자극부재, 지압 돌기가 발바닥의 경락을 자극하게 되어 기와 혈이 원활하게 순환하여 양호한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보행 보조구{WALKING ASSISTANT}
본 발명은 보행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가락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휘어진 발가락을 정상적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하며, 발의 피로를 덜어 줄 수 있도록 한 보행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무지외반이라는 질병은 선천적으로 엄지발가락이 검지발가락 쪽으로 밀려들어오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이러한 무지외반 환자들은 보행시 하중이 발 전체적으로 골고루 분산되지 못하여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될 뿐 아니라, 미관상 매우 좋지 않다.
특히, 신체부위중 발은 인체의 건강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무지외반 환자는 건강의 악화를 초래하여 대비책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재 적절한 대응책을 강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무지외반 환자와 같은 선천적 질병이외에 정상 여성의 경우 볼이 좁으면서 굽이 높은 하이힐을 선호하여 대다수의 여성들이 하이힐을 착용하게 되는데, 이 하이힐의 구조상 발의 볼부분, 발가락 부위를 모으게 되어 무지외반 환자와 마찬가지로 엄지발가락이 검지발가락쪽으로 향하면서 뼈의 일부분이 외측으로 삐져 나오는 변형이 발생되며, 후천적이지만 이러한 여성들의 경우에도 쉽게 피로를 느낄 뿐 아니라, 건강 상태가 악화되며, 질병이 발생될 수 있고, 발육이 늦어지게 된다.
또한, 무지외반 환자, 엄지발가락이 안쪽으로 휘어진 여성의 발가락 사이에 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발가락 사이를 통해 공기가 통하지 않게 되어 세균 번식이 활성되므로 무좀, 습진 등의 질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인체에는 기와 혈을 유통하게 하는 12경맥이 있는데, 즉 1.폐경, 2.대장경, 3.위장경, 4.비장경, 5.심장경, 6.소장경, 7.방광경, 8.콩팥경, 9.심포경, 10.삼초, 11.쓸개, 12.간에서 다시 1.폐경으로 순환하는 것인데, 이 12경맥을 다스리므로서 인체의 모든 질환인 내상성과 외상의 질환의 예방과 치료, 치유가 가능한 것이다.
또, 경맥에는 경락이 있고 경맥에 기와 혈의 유통이 원만치 못하면, 그 경락과 경맥에 연관된 인체부위가 장애를 유발하고, 이것이 건강장애와 질병의 근원이 된다.
이와 같은 때에는, 이 경맥의 경락을 자극하여 기혈을 원활이 유통되게 하여 기혈의 균형을 이루도록 하므로서 질환이 치유되고, 건강이 증진되게 하는 치료방법은 주지된 바이다. 이때, 발은 모든 경락과 연관되어 있어 인체의 각부분과 연관되는 경락을 눌러 경락을 자극함으로써 기와 혈이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하는 요법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신발에는 경락을 자극시키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의 건강 상태와는 전혀 무관하였다.
더불어, 보행시 특히, 계단을 오르 내리거나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는 경우 발 뒤꿈치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이 부분에 심한 충격이 전가되므로 발뒤꿈치 및 무릎 관절을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천적, 후천적 구분없이 엄지발가락이 정상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한 보행 보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행시에도 발바닥의 경락을 눌러 자극시킴으로써 기와 혈을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행시 발바닥에 전가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보행 보조구는, 발바닥이 놓여지는 발판부재와; 상기 발판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엄지발가락을 일정 위치로 유지시키는 당김부재와; 상기 발판부재를 착용자의 발에 고정시키는 조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보행 보조구에 따르면, 당김부재를 이용하여 엄지발가락이 검지발가락측으로 휘지 않고 곧게 뻗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보행하게 되어, 피로를 덜어 줄 수 있으며, 또한, 엄지발가락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적용된 당김끈의 다른 위치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변형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판부재 12 : 경락자극부재
13 : 지압 돌기 14 : 완충부재
15 : 통기공 20 : 당김끈
30,40,50 : 조임끈 60 : 신발 바닥부재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보행 보조구(100)는, 발바닥의 모양을 갖추고 있으면서 통기성, 완충성 등이 겸비된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는 발판부재와(10), 발판부재(10)의 선단부 즉, 엄지발가락이 놓여지는 부분에 부착되어 엄지발가락을 일정 위치로 움직이는 엄지발가락 당김끈(20)과, 발판부재(10)를 발에 고정시키는 조임끈(30)(40)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엄지발가락 당김끈(20)은 일단이 발판부재(10)의 저면에 매듭되는 한편, 발판부재(10)의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부분을 관통하여 상측부에 자유롭게 배치되면서 발판부재(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발판부재(10)의 저면에는 벨크로 테이프의 고리면(11)이 부착되고, 당김끈(20)의 일면에는 발판부재(10)의 저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의 고리면(11)에 부착되는 털면(21)이 형성되어 발판부재(10)에 부착된다.
당김끈(20)은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를 통과하도록 제한되지 않으며, 엄지발가락, 검지발가락에 상처가 있을 경우에는 당김끈(20)에 의해 상처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검지발가락과 중지발가락 사이,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어느 발가락 사이를 통과하여 엄지발가락을 외측으로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발판부재(10)를 발에 고정시키는 조임끈(30)은 발등을 감쌀 수 있는 폭을 갖는 2개의 끈(31)(32)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지며, 끈(31)(32)의 단부는 발판부재(10)에 각각 고정되면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벨크로 테이프의 털면(31a)과 고리면(32a)이 각각 형성되어 부착된다.
한편, 발판부재(10)의 내부(엄지발가락 뼈와 검지발가락 뼈의 사이부분)에는 경락 자극부재(12)가 내장되어 경락을 자극함과 더불어, 엄지발가락 뼈가 안쪽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막아주게 된다.
더불어, 발바닥의 안쪽 부분과 접하는 부분에는 발바닥을 눌러 지압하는 아치형 돌기(13)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발뒤꿈치로부터 전가되는 충격을 완충, 분산시킬 수 있는 고탄력 재질의 완충부재(14)가 내장된다.
한편, 발판부재(10)에는 복수개의 통기공(15)이 천공되어 통풍을 돕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말을 신지 않은 맨발을 본 발명 보행 보조구(100)에 올려놓고 엄지발가락 당김끈(20)을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로 빼내면서 엄지발가락의 외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엄지발가락이 당김끈(20)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검지발가락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엄지발가락이 정상의 위치에 놓여질 때까지 당김끈(20)을 잡아당기며, 엄지발가락이 정상 위치로 뻗게 되면 당김끈(20)을 발판부재(10) 저면으로 돌려 벨크로 테이프의 털면(11)과 고리면(21)을 부착시키며, 결과적으로 당김끈(20)에 의해 엄지발가락은 검지발가락 측으로 휘어지지 않고 통기 공간을 갖추면서 정상적으로 뻗게 된다. 엄지발가락 당김끈(20)에 의해 엄지발가락이 검지발가락으로부터 떨어지는 동시에, 경락 자극용 돌기(12)에 의해 엄지발가락 뼈가 자연스럽게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어서, 발등 조임끈(30)을 각각 조이면서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하여 발에 착용하게 된다.
착용이 완료되면 양말, 신발을 신고 보행하게 되며, 보행시 경락자극용 돌기(12)및 지압 돌기(13)가 발바닥의 경락을 눌러 자극함으로써 기와 혈이 원활하게 순환되는 한편, 통기공(15)을 통해 공기가 통하게 되어 발가락의 사이 및 발바닥에는 세균이 번식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보행시 특히,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는 경우 발바닥의 뒤꿈치부분에는 심한 충격이 전가되며, 이 충격은 완충부재(14)에 의해 흡수, 분산되어 발뒤꿈치, 무릎 관절에는 충격이 전가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 보행 보조구는 외출시에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실내에서 본 발명 보행 보조구(100)를 신고 걸어다니면서 엄지발가락이 정상 위치의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하며, 발바닥을 지압하여 혈액순환을 도울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행 보조구에 적용된 발등 조임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조임끈(40)(50)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끈(41)(42)(51)(52)이 발판부재(10)의 양측에 고정 및 서로 마주보는 면에 벨크로 테이프의 털면(51a)과 고리면(52a)이 각각 부착되는 것은 동일하며, 다만, 조임끈(40)(50)의 폭을 다양하게 하면서 복수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 보행 보조구를 이용한 변형 예를 설명하며, 도 7은 이러한 변형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보행 보조구(100)에 굽이 형성된 신발 바닥부재(60)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신발을 신지 않고 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본 발명 보행 보조구(100)의 발판부재(10)의 저면에는 벨크로 테이프의 털면(16)을 전체적으로 형성하며, 신발 바닥부재(60)의 상면에는 벨크로 테이프의 고리면(61)을 전체적으로 부착하여 보행 보조구(100)를 신발 바닥부재(60)의 상면에 부착하여 완전한 신발의 형태를 갖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행 보조구(100)에 신발 바닥부재(60)을 부착/분리시키는 단순 작업을 통하여 별도의 신발없이 외출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당김끈(20)에 엄지발가락이 검지발가락측으로 휘어지지 않고 곧게 뻗은 상태로 보행할 수 있게 되며, 장기간 사용함으로써 교정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엄지발가락이 정상 위치에 놓여진 상태로 보행하게 되므로 보행시 발에 전가되는 하중이 발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피로를 덜어 주게 된다.
또한, 경락 자극부재(12) 및 지압 돌기(13)에 의해 보행시에도 경락을 자극시켜주게 되며,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되어 세균 번식이 억제된다.
아울러, 보행시, 높은 곳에서 내려오는 경우 발바닥의 뒷부분에 집중되는 충격이 완충/흡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보행 보조구에 의하면, 무지외반 환자, 여성들의 엄지발가락을 정상 위치로 잡아 줄 수 있게 되어 의료 보조기구로서의 기능을 갖추게 된다.
그리고, 보행시 발의 피로를 덜어줄 수 있으며, 의료 보조기구의 기능을 갖추게 된다.
또한, 보행시 경락이 자극되어 기 및 혈이 원활하게 순환되며, 세균 번식이 억제되므로 양호한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발 뒤꿈치부분에 전가되는 충격이 완충되어 발뒤꿈치, 무릎관절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가지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발바닥이 놓여지는 발판부재와;
    상기 발판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엄지발가락을 일정 위치로 유지시키는 당김부재와;
    상기 발판부재를 착용자의 발에 고정시키는 조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발가락 당김부재는 일단이 상기 발판부재의 선단부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고정되며 엄지발가락을 감싸면서 상기 발판부재의 저면에 부착되어 엄지발가락을 외측으로 잡아당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벨크로 테이를 매개로 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의 저면에는 부착수단을 매개로 하여 신발바닥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에는 경락자극용/지압용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구.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의 후방부에는 완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구.
KR1020000028905A 2000-05-27 2000-05-27 보행 보조구 KR20000058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905A KR20000058457A (ko) 2000-05-27 2000-05-27 보행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905A KR20000058457A (ko) 2000-05-27 2000-05-27 보행 보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457A true KR20000058457A (ko) 2000-10-05

Family

ID=1967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905A KR20000058457A (ko) 2000-05-27 2000-05-27 보행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84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5440A2 (en) * 2011-04-18 2012-10-26 Columbia Sportswear North America, Inc. Adhering footwear
WO2016117887A1 (ko) * 2015-01-19 2016-07-28 유성엽 실내화 제조방법
KR20180029463A (ko) * 2016-09-12 2018-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판 구조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5717U (ja) * 1983-03-02 1984-09-11 中元 絹子 外反母「し」矯正はきもの
US4745927A (en) * 1986-09-12 1988-05-24 Brock N Lee Orthopedic shoe cushion insert apparatus and a method of providing same
JPH03106903A (ja) * 1989-09-21 1991-05-07 Nippon Kayaku Co Ltd 感光性熱硬化性樹脂組成物、ソルダーレジス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らの硬化物
KR920000266A (ko) * 1990-06-25 1992-01-29 김종안 신발용 깔창
JPH0951801A (ja) * 1995-06-07 1997-02-25 Kyoko Asano 外反拇趾矯正予防スリッパ
KR980006301U (ko) * 1996-07-01 1998-04-30 황치효 낚시용 장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5717U (ja) * 1983-03-02 1984-09-11 中元 絹子 外反母「し」矯正はきもの
US4745927A (en) * 1986-09-12 1988-05-24 Brock N Lee Orthopedic shoe cushion insert apparatus and a method of providing same
JPH03106903A (ja) * 1989-09-21 1991-05-07 Nippon Kayaku Co Ltd 感光性熱硬化性樹脂組成物、ソルダーレジス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らの硬化物
KR920000266A (ko) * 1990-06-25 1992-01-29 김종안 신발용 깔창
JPH0951801A (ja) * 1995-06-07 1997-02-25 Kyoko Asano 外反拇趾矯正予防スリッパ
KR980006301U (ko) * 1996-07-01 1998-04-30 황치효 낚시용 장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5440A2 (en) * 2011-04-18 2012-10-26 Columbia Sportswear North America, Inc. Adhering footwear
WO2012145440A3 (en) * 2011-04-18 2013-01-03 Columbia Sportswear North America, Inc. Adhering footwear
WO2016117887A1 (ko) * 2015-01-19 2016-07-28 유성엽 실내화 제조방법
KR20180029463A (ko) * 2016-09-12 2018-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판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201B2 (en) Non-slip footwear
US4694831A (en) Massage footwear
EP0955818B1 (en) Orthopedic cast walker boot
US4505269A (en) Ankle splint
US20020128574A1 (en) Below knee cast replacement walker
US6800063B2 (en) Foot stimulation tool
KR20090085242A (ko) 보행보조신발
KR20000058457A (ko) 보행 보조구
KR200442354Y1 (ko) 보행보조 기능을 구비한 근육 인대 보호구
KR200296822Y1 (ko) 발가락 교정통풍기
KR200265494Y1 (ko) 무지외반증 교정신발
KR100867845B1 (ko) 보행 보조신발
KR20200057931A (ko) 족부환자의 보행 특성에 적합한 족부환자용 신발
RU206419U1 (ru) Ботинки защитные ортопедические
CN213029937U (zh) 一种患者复健助行鞋
JP4294766B2 (ja) 患足、健足それぞれ片足ずつ選べる靴
JPH0951801A (ja) 外反拇趾矯正予防スリッパ
CN115212527B (zh) 一种踝关节背屈/背伸活动受限康复训练装备
KR20110003819A (ko) 환자 및 장애인용 신발
US20220264990A1 (en) Overshoe Walking Corrector
KR102110552B1 (ko) 신발용 ems 내피
KR100804383B1 (ko) 수면 시 착용하는 신발
KR200171495Y1 (ko) 지압식의천연옥이부설된신발깔창
KR200337755Y1 (ko) 신발용 보조 깔창
JP3462837B2 (ja) 履 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