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6927A - 오엠알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오엠알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6927A
KR20000056927A KR1019990006689A KR19990006689A KR20000056927A KR 20000056927 A KR20000056927 A KR 20000056927A KR 1019990006689 A KR1019990006689 A KR 1019990006689A KR 19990006689 A KR19990006689 A KR 19990006689A KR 20000056927 A KR20000056927 A KR 20000056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examinee
marked
omr card
nu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지은
김효상
Original Assignee
옥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지은 filed Critical 옥지은
Priority to KR1019990006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6927A/ko
Publication of KR20000056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9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MR카드(OPTICAL MARK READER CARD)에 광을 조사하여 채점을 수행하는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문제(또는 수험번호)에 대한 각각의 표기란에 답안(또는 수험번호)으로 표기된 번호가 하나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기된 번호를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안(또는 수험번호)으로 인식하고, 각 문제(또는 수험번호)에 대한 각각의 표기란에 답안(또는 수험번호)으로 표기된 번호가 두 개 이상이어서 하나의 번호를 제외한 다른 번호 모두가 표기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기되지 아니한 번호를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안(또는 수험번호)으로 인식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OMR카드의 답안 정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고, 답안 작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오표기로 인한 OMR카드의 교체를 방지하여 OMR카드의 교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오엠알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Control method to reading OMR card}
본 발명은 OMR카드(OPTICAL MARK READER CARD) 판독장치의 판독결과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객관식 문제에 대한 점수 채점시, 여러개의 보기중에서 답안으로 표기(MARK)된 번호가 하나 있을 경우에만 이를 정답과 비교하여 채점을 수행하는 제어방법과는 달리, 답안으로 표기된 번호가 하나 있거나, 또는,다른 보기에 대한 번호는 다 표기되고 표기되지 않은 번호가 하나 있을 경우, 이를 수험자가 선택한 답안으로 인식하여 채점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0MR카드의 교체없이도 오표기한 답안을 정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OMR카드 판독장치는, 객관식 유형의 문제에 대해, 수성싸인펜등의 표기 도구로 작성한 답안지인 OMR카드에 광을 조사하여 채점을 수행하는 장치로, 도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광부(1), 수광부(3), 제어회로부(4) 및, 컴퓨터(5)를 필수구성요소로 하여 구성된다. 이는, 미합중국 특허등록 제4,817,185호, 미합중국 특허등록 제4,641,358호, 미합중국 특허등록 제3,953,364호, 미합중국 특허등록 제3,761,688호, 미합중국 특허등록 제3,315,377호 등에서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다.
도2는 OMR카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2에 예시된 OMR카드는,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4지선다형의 20문제씩으로 구성된 "국어", "수학", "과학", "영어"에 대한 OMR카드로, 문제유형과 수험번호 표기란을 부가하고 있다.
이러한 OMR카드 판독장치는, 수험자가 작성한 OMR카드(2)에 발광부(1)를 통해 광을 조사하면, 이를 OMR카드(2) 후면에 위치한 수광부(3)에서 검출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회로부(4)를 통해 컴퓨터(5)에 입력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컴퓨터(5)에서는 제어회로부(4)를 통해 입력된 신호로부터 수험자가 표기한 답의 번호를 검출하여 정답의 번호와 비교하여 채점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판독결과로부터 채점을 수행하는 종래의 제어방법은, 각 문제에 대해 답으로 표기된 번호가 하나일 때 이를 유효한 답의 표기로 인식하여 정답의 번호와 비교하여 채점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2의 "가"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각 문제에 대해 답으로 표기된 부분이 하나일 경우에만 유효한 답으로 판단하여 채점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나"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하나의 문제에 대해 답으로 표기된 번호가 둘 이상이거나, 또는 표기가 전혀 안되어 있을때에는 이를 무효처리하여 틀린 것으로 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은, 수험자가 문제에 대한 답안 표기를 안한 것을 발견하였을 경우에는 추가하여 표기를 함으로써 그 오류를 정정할 수 있으나, 답을 잘못 기재하였을 경우에는 이를 정정할수 없어 OMR카드를 재교부 받아 재표기를 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지하다시피, 시험장에서는 수험자의 대부분이 긴장을 하게 되고, 또 표기방법의 미숙으로 인하여 원하지 않는 답안 표기를 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한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문제를 처음 풀 때 표기한 답안과, 검토할 때 풀은 답이 틀려 정정하고자 하는 경우.
(2) 답안기재시 번호를 잘못 기재하여 정정하고자 하는 경우.
(3) 답안표기를 한 문제씩 밀려서 표기한 것을 발견하여 정정하고자 하는 경우.
따라서, 수험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답안 표기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고, 이의 정정을 위해서는 OMR카드를 교체하여야만 하였다(이는, OMR카드를 작성하는 표기 도구가 정정 불가능한 필기도구(예 : 수성싸인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OMR카드를 교체하여 표기를 다시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상기 정정 사유가 시험 종료시간이 임박하여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정정할수 없음은 물론, 촉박한 시험시간을 불필요하게 소모하여야 한다는 문제점 및, OMR카드 교체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수험생이 정신적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참고로, 국내의 경우, 대학 수학 능력 시험과 각종 국가시험에서 오표기된 OMR카드의 교체로 인한 손실은 수억원 대에 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문제에 대한 답안 표기가 하나일 경우에는 이를 수험자가 표기한 답의 번호로 인식하고, 문제에 대한 답안 표기가 세 개일 경우(4지선다형 문제의 경우)에는 표기되지 않은 번호를 수험자가 표기한 답의 번호로 인식함으로써, OMR카드의 교체없이도 답안 정정이 가능한 "0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어떤 문제에 대한 답안 표기를 잘못하였을 경우에는, 답으로 표기하고자 하는 번호를 제외한 나머지 번호에 표기를 하여, 표기되지 않은 번호를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안으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OMR카드의 답안 정정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4지선다형의 문제일 경우, 최초 표기한 답이 "3"번이어서 상기 "3"번에 표기를 한 후, 후에 이를 "2"번으로 고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2"번을 제외한 나머지 "1, 3, 4"번에 표기를 함으로써, 표기되지 아니한 번호를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의 번호로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험번호 인식시, 표기된 숫자가 하나일 경우에는 이를 수험번호를 나타내는 숫자로 인식하고, 하나의 숫자를 제외한 다른 모든 숫자가 표기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표기되지 않은 하나의 숫자를 수험번호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OMR카드의 교체 없이 수험번호의 정정이 가능하도록 한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문제에 대한 답안 작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험번호를 나타내는 숫자를 잘못 표기하였을 경우에는, 올바른 수험번호를 나타내는 숫자를 제외한 다른 모든 숫자에 대해 표기를 함으로써, 수험번호의 정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OMR카드 판독장치의 필수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도 2 는 OMR카드 및 표기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의 답안 정정 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답안의 오표기 정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 은 본 발명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의 수험번호 정정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수험번호의 오표기 정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0MR카드 작성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발광부 2: OMR카드
3: 수광부 4: 제어회로부
5: 컴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의 구성1은, OMR카드에 광을 조사하여 채점을 수행하는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독결과 제어방법은, 각 문제에 대한 각각의 답안표기란에 답안으로 표기된 번호가 하나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기된 번호를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안으로 인식하고, 각 문제에 대한 각각의 답안표기란에 답안으로 표기된 번호가 두 개 이상이어서 하나의 번호를 제외한 다른 번호 모두가 표기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기되지 아니한 번호를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안으로 인식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답안표기란에 답안으로 표기된 번호의 갯수, 또는 답안으로 표기되지 않은 번호의 갯수를 통해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안을 인식함에 있어서는, 답안으로 표기된 번호가 하나 있거나, 또는 답안으로 표기되지 아니한 번호가 하나 있는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의 표기 형태에 대해서는 무효처리("0"점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의 구성2는, OMR카드에 광을 조사하여 수험번호를 인식하는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독결과 제어방법은, 수험번호를 표기하는 각각의 수험번호표기란의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에서 하나의 숫자만 표기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기된 숫자를 수험번호의 일부로 인식하고, 상기 수험번호표기란의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에서 하나의 번호를 제외한 나머지 아홉개의 숫자 모두가 표기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기되지 아니한 숫자를 수험번호의 일부로 인식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험번호표기란에 수험번호로 표기된 숫자의 갯수, 또는 수험번호로 표기되지 않은 숫자의 갯수를 통해 수험자가 의도하는 수험번호를 인식함에 있어서는, 수험번호로 표기된 숫자가 하나 있거나, 또는 수험번호로 표기되지 아니한 숫자가 하나 있는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의 표기 형태에 대해서는 무효처리(에러(ERROR)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은, OMR카드에 답으로 표기된 번호를 판독할 시, 각각의 답안표기란에 답으로 표기된 번호가 하나 있을 경우에는 이를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의 번호로 인식하고, 하나의 번호를 제외한 모든 번호가 표기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기되지 않은 번호를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안으로 인식함으로써, OMR카드의 답안 정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OMR카드의 답안 정정으로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OMR카드의 교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수험번호 표기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실시예는 본 발명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의 구성1과 구성2에 대한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4지선다형 문제의 경우를 예로하며, 수험번호의 경우에는 6자리로 한다.
따라서, 각 문제에 대한 답안표기란은, 도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4개씩의 번호(①, ②, ③, ④)로 구성되며, 수험번호는 숫자 "0"부터 "9"로 이루어진 6줄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를 동작시키는 OMR카드 판독장치는 도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광부(1)와, 수광부(3)와, 제어회로부(4) 및, 컴퓨터(5)를 필수구성요소로 하는 OMR카드 판독장치인 것으로 한다.
먼저, 상기 컴퓨터(5)의 제어프로그램을 변경하여, 문제에 대한 답안표기란에 답으로 표기된 번호가 하나 있을 경우나, 또는 문제에 대한 답안표기란에 답으로 표기된 번호가 세 개여서 답으로 표기되지 아니한 번호가 하나 존재할 경우, 이를 유효한 답안 표기로 인식하도록 프로그래밍한다.
또한, 수험번호표기란에 표기된 숫자가 하나 있거나, 또는 표기되지 않은 숫자가 한 있을 경우, 이를 수험번호로 인식하도록 한다.
이때, 답안표기란이나 수험번호표기란에 표기된 번호나 숫자가 하나이거나, 또는 표기되지 않은 번호나 숫자가 하나인 경우를 제외한 다른 형태의 표기에 대해서는 무효처리("0"점 처리, 또는 에러처리)하도록 한다.
그러면, 도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1)와, 수광부(3) 및, 제어회로부(4)를 통해 컴퓨터(5)에 입력되는 각 문제에 대한 답안표기란에 표기된 번호의 수를 검출하여, 표기된 번호가 1개일 경우에는 이를 수험자가 표기한 답의 번호로 인식하고, 표기되지 않은 번호가 1개일 경우에는 역시 이를 수험자가 표기한 답의 번호로 인식하여 처리하게 된다.
즉, 답안을 정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최초에 표기한 답에 대한 번호가 아닌것이 확실한 것으로, 새로이 표기하고자 하는 번호를 오히려 표기를 하지 않음으로써 이를 답으로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어떤 문제 5번에 대한 최초 표기답이 "3"번이었다가, 이를 다시 "2"번으로 정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새로 정정하고자 하는 "2"번을 제외한 다른 번호에 표기를 함으로써 "2"번을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안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수험번호의 표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도5).
즉, 도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험번호의 어떤 자릿수가 "2"인데, 이를 잘못 표기하여 "3"으로 한 경우에는, 상기 숫자 "2"를 제외한 다른 번호 모두에 대해 표기를 함으로써 수험번호가 "2"임을 인식시키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7은 수험번호가 "640420"인 수험자의 "국어"과목의 답안 표기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수험번호표기란의 두 번째줄과 네 번째줄은, 수험번호의 앞에서부터 두 번째 자릿수가 "4"이며, 다섯 번째 자릿수가 "2"임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마찬가지로, "국어"과목의 문제 5번, 9번, 17번은,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안의 번호가 각각 "3, 2, 4"임을 나타낸다.
다시말해, 표기된 번호나 숫자를 정정할 시, 정정하고자 하는 번호나 숫자를 제외한 나머지 모두에 대해 표기를 함으로써 상기 표기되지 않은 번호나 숫자를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의 번호, 또는 수험번호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문제나 수험번호에 대한 정정을 OMR카드의 교체없이 용이하게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식된 답의 번호나 수험번호는,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되어, 채점을 수행하고, 수험번호를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험번호의 숫자를 6자리로 한정하고, 답안표기란의 보기도 4개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4지선다형의 문제에 대한 OMR카드나, 6자리의 수험번호를 갖는 OMR카드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오표기기 정정 회수를 소정의 기억장소(컴퓨터의 메모리 등)에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동점자 처리 기준에 상기 정정 회수의 많고 적음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는, 특히, OMR카드의 답안표기란에 답에 대한 번호가 하나 표기되어 있거나, 또는 하나만 표기되어 있지 않을 경우, 이를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안을 인식함으로 인해 OMR카드의 답안 정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고, 답안 작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오표기로 인한 OMR카드의 교체를 방지하여 OMR카드의 교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OMR카드에 광을 조사하여 채점을 수행하는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독결과 제어방법은, 각 문제에 대한 각각의 답안표기란에 답안으로 표기된 번호가 하나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기된 번호를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안으로 인식하고, 각 문제에 대한 각각의 답안표기란에 답안으로 표기된 번호가 두 개 이상이어서 하나의 번호를 제외한 다른 번호 모두가 표기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기되지 아니한 번호를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안으로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표기란에 답안으로 표기된 번호의 갯수, 또는 답안으로 표기되지 않은 번호의 갯수를 통해 수험자가 의도하는 답안을 인식함에 있어서는, 답안으로 표기된 번호가 하나 있거나, 또는 답안으로 표기되지 아니한 번호가 하나 있는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의 표기 형태에 대해서는 무효처리("0"점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
  3. OMR카드에 광을 조사하여 수험번호를 인식하는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독결과 제어방법은, 수험번호를 표기하는 각각의 수험번호표기란의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에서 하나의 숫자만 표기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기된 숫자를 수험번호의 일부로 인식하고, 상기 수험번호표기란의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에서 하나의 번호를 제외한 나머지 아홉개의 숫자 모두가 표기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기되지 아니한 숫자를 수험번호의 일부로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험번호표기란에 수험번호로 표기된 숫자의 개수, 또는 수험번호로 표기되지 않은 숫자의 갯수를 통해 수험자가 의도하는 수험번호를 인식함에 있어서는, 수험번호로 표기된 숫자가 하나 있거나, 또는 수험번호로 표기되지 아니한 숫자가 하나 있는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의 표기 형태에 대해서는 무효처리(에러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OMR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
KR1019990006689A 1999-02-27 1999-02-27 오엠알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 KR20000056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689A KR20000056927A (ko) 1999-02-27 1999-02-27 오엠알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689A KR20000056927A (ko) 1999-02-27 1999-02-27 오엠알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927A true KR20000056927A (ko) 2000-09-15

Family

ID=1957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689A KR20000056927A (ko) 1999-02-27 1999-02-27 오엠알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69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336B1 (ko) * 2001-07-26 2004-12-04 김택진 광학마크판독기의 판독유니트
KR101041589B1 (ko) * 2009-10-21 2011-06-15 오엠알스캔(주) 오엠알 표기카드 판독장치의 에러 검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336B1 (ko) * 2001-07-26 2004-12-04 김택진 광학마크판독기의 판독유니트
KR101041589B1 (ko) * 2009-10-21 2011-06-15 오엠알스캔(주) 오엠알 표기카드 판독장치의 에러 검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64201A (zh) 一种智能批改方法
CN111047934A (zh) 一种试卷制作及自动批改系统
Al-Ahdal Using computer software as a tool of error analysis: Giving EFL teachers and learners a much-needed impetus
JP2006308925A (ja) 学習支援システムおよび学習支援プログラム
CN104123858A (zh) 一种读背课文时检错纠错的方法及装置
Burston Exploiting the potential of a computer-based grammar checker in conjunction with self-monitoring strategies with advanced level students of French
KR20000056927A (ko) 오엠알카드 판독장치의 판독결과 제어방법
KR950004211B1 (ko) 문자입력제어장치
KR20000059322A (ko) 오엠알카드 판독장치의 오표기 정정 제어방법
Raudaskoski Translation, the Key or the Equivalent
CN110443732B (zh) 作业统分方法、装置、设备和介质
CHENG et al. Passage dependence in standardized reading comprehension: Exploring the College English Test
Wicaksono Types and frequencies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s in adult ESL classroom
CN114663891A (zh) 基于配置答题卡的日常作业错题本生成方法和系统
JP4238711B2 (ja) マークシート方式
JP6540222B2 (ja) 手書き入力装置
TWI426473B (zh) 盲人用電腦輔助點字學習管理系統
Pearson Issues in the assessment of spelling
KR100453533B1 (ko) 답안지 채점 장치 및 방법
KR102397290B1 (ko) 컬러가 있는 omr 카드
KR20110007134U (ko) 전산인식용 답안지
Clark et al. The guessing game: The effect of morpho-graphemic organization on word attack skills
Mitra et al. Multiple-column format for reducing task complexity of recognizing handwritten answer in multiple-choice question (MCQ) test
Anderson-Madaus Cognitive Mapping as a" Bridge" Activity.
CN111860075A (zh) 一种题目批改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