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725A -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725A
KR20000055725A KR1019990004498A KR19990004498A KR20000055725A KR 20000055725 A KR20000055725 A KR 20000055725A KR 1019990004498 A KR1019990004498 A KR 1019990004498A KR 19990004498 A KR19990004498 A KR 19990004498A KR 20000055725 A KR20000055725 A KR 20000055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de
theft
ca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9035B1 (ko
Inventor
최병국
Original Assignee
최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국 filed Critical 최병국
Priority to KR101999000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03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by limiting or cutting the electrical supply to the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도난사고 발생시 도난 사실을 이동 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지정된 전화번호로 자동 호출하여 도난사고 발생을 인지시켜 주고, 또한 도난된 자동차로 전화를 걸어 자동차의 동작을 중단시키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및 방법{Prevention missing vehicles system using wireless installa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도난사고 발생시 도난 사실을 이동 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지정된 전화번호로 자동 호출하여 도난사고 발생을 즉시 인지시켜 주고, 또한 도난된 자동차로 전화를 걸어 자동차의 운행 동작을 순차적으로 중단시키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무선 전화기는 첨부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안테나(1)로부터 수신된 고주파를 완충시켜 수신측으로 연결하고, 송신 고주파는 완충하여 상기한 안테나(1)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는 튜플렉서(2)와,
상기 튜플렉서(2)로부터 수신된 고주파를 국부 발진부(3)에서 출력된 발진 주파수와 혼합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는 수신부(4)와,
상기 수신부(4)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수로부터 음성신호를 검출하여 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5)와,
상기 수신부(4)에서 출력된 중간주파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여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6)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6)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에 따라 이동 무선 전화기 시스템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7)와,
상기 중앙처리장치(7)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지정하는 메모리부(8)와,
송신 주파수를 상기 국부발진부(3)로부터 출력된 발진 주파수와 혼합하여 소정레벨로 전력증폭한 후 상기한 튜플렉서(2) 및 안테나(1)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는 송신부(9)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이동무선 전화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테나(1)를 통해 고주파가 수신되면 튜플렉서(2)는 이 수신된 고주파를 완충시킨후 상기한 수신부(4)에 인가하게 되고, 상기 수신부(4)는 국부발진부(3)로부터 출력된 발진 주파수와 그 입력되는 수신 고주파를 합성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를 하게 된다.
그리고, 복조된 신호는 음성신호 처리부(5)에서 음성신호만이 검출되어 처리되어지고, 아울러 상기한 복조신호로부터 데이터 처리부(6)는 데이터만을 검출하여 이를 처리하여 상기한 중앙처리장치(7)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7)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무선 전화기를 상기한 데이터에 상용하게 제어를 하게 되며, 아울러 송신신호는 송신부(9)에서 국부 발진 주파수와 혼합되어져 변조되고, 그 변조된 송신신호는 소정레벨로 전력증폭되어 상기한 튜플렉서(2) 및 안테나(1)를 순차 통해 외부로 송출되어 진다.
도 2는 종래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구성도로써,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검출하는 자동차 시동 검출부(10)와, 상기 자동차 시동 검출부(10)의 출력에 따라 프로그램 롬(12)에 저장된 도난경보 모드 설정/해제 및 도난여부 판단 프로그램에 따라 장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1)의 제어에 따라 자동차 도난시 경보음을 송출하는 경보 발생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를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무선 전화기의 상태를 보면 도난경보 발생 모드를 두고 자동차의 시동을 끄게 되면 이동무선 전화기는 오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난경보 모드를 해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타인에 의해 자동차의 시동이 켜지게 되면 상기한 자동차 시동 검출부(10)는 이를 검출하게 되어 차량 도난 정보를 중앙처리장치(11)에 알리게 된다.
상기한 중앙처리장치(11)는 이와같이 자동차의 시동이 걸렸다는 신호를 인가받아 먼저 도난방지 모드인가를 검색한다.
상기와 같이 검색한 결과 도난방지 모드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시동이 걸리게 되면 이는 자동차의 도난상태로 인식하고 상기한 프로그램 롬(12)에 저장된 프로토콜에 따라 이동 무선 전화기를 자동으로 온시킨후 경보 발생부(13)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발생토록 함과 아울러 차량정적을 울리거나 주행등을 깜빡거리게 제어하여 자동차가 도난됨을 외부에 알리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는 자동차 도난시 정적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타인에 의한 차량 도난사실을 알려 주었으나, 이는 사용자가 자동차의 인접한 거리에 있을 때만 확인이 가능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자동차와 먼거리에 있을 경우에는 정적만으로 도난을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자동차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도난방지 모드가 자동설정되어 설정된 도난방지 모드를 풀기 전까지는 시동이 걸리지 않토록 하거나,
또는 수동모드 설정시 자동차 도난사고 발생시 도난 사실을 이동 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지정된 전화번호로 자동 호출하여 도난사고 발생사실을 알려주고, 아울러 도난된 자동차로 전화를 걸어 차량의 엔진구동이 정지되면서 동시에 헤드램프와 비상등램프 및 혼이 작동되도록 하여 도난차량임을 외부에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원천봉쇄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을 검출하는 차량 시동 검출부와,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DTMF 신호(Dyak Tone Multifrequency, 이중 톤 다중 주파수; 이하 DTMF라 칭함)를 검출하는 DTMF 신호 검출부와, 상기 차량 시동 검출부와 DTMF 신호 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조합하여 차량 도난상태로 판단되면 엔진에 제공되는 전원을 중단시켜 차량운행을 중단시키면서 동시에 헤드램프와 비상등램프 및 혼이 작동되도록 하여 도난차량임을 외부에 알리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기저장된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차량 제어상태를 송출하는 자동 메세지 송출부로 구성됨이 특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무선 전화기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종래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동작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량 시동 검출부 101: DTMF 신호 검출부
102: 중앙처리장치 103: 메세지 송출부
104: 엔진 전원 차단 수단 105: 시동장치 릴레이
106: 혼 릴레이 106a, 106b: 좌우 혼
107: 비상램프 릴레이 107a - 107d: 비상램프
108: 헤드램프 릴레이 108a, 108b: 헤드램프
109: 차폭등램프 릴레이 109a, 109b: 차폭등램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을 검출하는 차량 시동 검출부(100)와,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DTMF 신호를 검출하는 DTMF 신호 검출부(101)와,
상기 차량 시동 검출부(100)와 DTMF 신호 검출부(101)의 출력신호를 조합하여 차량 도난상태에서 비밀번호 입력이 확인되면 엔진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차량운행을 중단시키면서 동시에 헤드램프와 비상등램프 및 혼이 작동되도록 하여 도난차량임을 외부에 알리는 중앙처리장치(10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에 따라 기저장된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차량 제어상태를 송출하는 자동 메세지 송출부(103)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로 부터 차량 전원차단 신호가 출력되면 엔진구동장치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수단(10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5는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는 엔진 구동 장치와 시동장치 및 각종 램프를 도시한 것으로,
이그니션 스위치를 스타트(ST) 위치로 이동시키면 배터리와 시동장치를 연결시켜 시동을 온 시키는 시동 릴레이(105)와,
상기 스타트 위치에서 시동을 온 시킨후 이그니션(IG) 위치로 이동시키면 배터리와 엔진 구동장치을 연결시켜 엔진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중앙처리장치에서(102)에서 전원차단신호가 출력되면 엔진동작을 위한 전원공급을 중단시키는 엔진 구동용 릴레이(엔진 전원 차단수단, 104)와,
도난모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에 따라 좌우 혼(106a, 106b)을 작동시키는 혼 릴레이(106)와,
도난모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에 따라 좌우 비상램프(107a, 107b, 107c, 107d)를 작동시키는 비상램프 릴레이(107)와,
도난모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에 따라 좌우 헤드램프(108a, 108b)를 작동시키는 헤드램프 릴레이(108)와,
도난모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에 따라 좌우 차폭등 램프(109a, 109b)를 작동시키는 차폭등 램프 릴레이(10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도난 작동모드에서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로 나뉘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자동모드로 작동시켰을 경우에는 시동을 오프시키면 곧바로 자동차의 전원공급로를 차단하여 엔진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수동모드로 작동시켰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화망을 통해 도난모드로 작동을 지시한 경우에만 엔진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제작한다.
즉, 차량을 잠시 정차해두는 정도에서는 수동모드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주차시에는 자동모드로 변경함이 바람직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이유는 잠깐 정차중에도 자동으로 전원차단 동작이 실행되면 이동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차량을 재시동할때 마다 도난방지 모드를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시간 차량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모드로 도난방지 모드를 전환하여 차량시동이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 유리하고, 잠시 정차중에는 수동모드로 운영함이 유리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무선 전화기의 동작은 일반적인 기술설명과 동일하며, 이와 같은 이동무선 전화기를 도난 경보 모드로 설정한후 사용자는 해당 자동차의 시동을 끄게 되면, 이때부터 자동차 시동 검출부(100)는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검출하던중 자동차 도난경보 모드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시동전원이 검출되면, 중앙처리장치(102)는 자동모드인가 수동모드인가를 검색하여 자동모드이면 엔진 구동 릴레이(104)의 전원을 차단시켜 자동차의 전원을 곧바로 차단함으로써 차량이 운행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동모드이면 자동 메세지 송출부(103)를 제어하여 미리 입력된 전화번호로 자동차의 불법 도난자가 알지 못하게 도난 메세지를 송출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도난 메세지를 수신하게 되면 이동무선 전화기로 미리 정해진 비밀번호를 입력시키게 되고, 이를 DTMF 신호 검출부(101)에서 검출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02)에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102)는 이를 분석하여 비밀번호가 맞게되면 엔진구동 릴레이(104)의 전원을 차단하여 자동차의 엔진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이 더이상 진행되는 것을 막는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102)는 혼 작동 릴레이(106)를 작동시켜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해드램프 릴레이(108)를 작동시켜 헤드램프(108a, 108b)가 점등되도록 하며, 차폭등 램프 릴레이(109)를 작동시켜 차폭등 램프(109a, 109b)가 점등되도록 하고, 또한 비상등 릴레이(107)를 작동시켜 비상등(107a, 107b, 107c, 107d)이 점멸되도록 함으로써, 현재 운행중인 차량이 도난차량임을 널리 알리도록 한다.
물론 상기에서 비상램프등(107a, 107b, 107c, 107d)이 작동하는 시간은 중앙처리장치에 미리 입력된 시간만큼이며, 주변을 지나는 사람들이 경찰에 신고하여 차량 도난자를 즉시 체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원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동작순서도로써,
시동이 오프되면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검출하는 제 1 단계(Q1)와;
상기 제 1 단계(Q1)에서 시동이 검출되면, 자동 도난경보 모드 또는 수동 도난경보 모드가 입력된 상태인가를 판단하여 도난경보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여 운전모드를 실행하는 제 2 단계(Q2)와;
상기 제 2 단계(Q2)에서 시동이 검출되고 도난경보 모드가 자동모드이면 엔진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차량의 주행을 중단시키는 제 3 단계(Q3)와;
상기 제 3 단계(Q3) 이후 외부에서 자동 도난경보 해제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출하여 도난경보 해제 신호가 검출되면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여 운전모드를 실행하는 제 4 단계(Q4)와;
상기 제 2 단계(Q2)에서 시동이 검출되고 도난경보 모드가 수동모드이면 기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차량 도난 메세지를 송출하는 제 5 단계(Q5)와;
상기 제 5 단계(Q5) 이후 수신모드로 대기하여 DTMF 신호가 검출되면 자동으로 자동차의 전원을 차단하고, 일정시간 비상램프를 점등시키는 제 6 단계(Q6)와;
상기 제 6 단계(Q6) 이후 수동 도난방지 모드를 해제하면 자동차의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켜 운전모드를 실행하는 제 7 단계(Q7)로 이루어져 순차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도난사고 발생시 도난 사실을 이동 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지정된 전화번호로 자동 호출하여 도난사고 발생을 인지시켜 주고, 또한 도난된 자동차로 전화를 걸어 자동차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운행을 중단시키기 때문에 자동차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차량의 시동을 검출하는 차량 시동 검출부(100)와;
    DTMF 신호 검출부(101)는 휴대폰이나, 페이저나, 시티폰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내지는 일반전화와 같은 유선 단말기로 이루어지며,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DTMF 신호를 검출하는 DTMF 신호 검출부(101)와;
    상기 차량 시동 검출부(100)와 DTMF 신호 검출부(101)의 출력신호를 조합하여 차량 도난상태에서 헤드램프와 비상등램프 및 혼이 작동되도록 하여 도난차량임을 외부에 알리도록 하고, 비밀번호 입력이 확인되면 엔진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차량운행을 중단시키는 중앙처리장치(10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에 따라 기저장된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차량 제어상태를 송출하는 자동 메세지 송출부(103)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로 부터 차량 전원차단 신호가 출력되면 엔진구동장치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수단(104)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02)는
    시동을 오프시키면 곧바로 자동차의 전원공급로를 차단하여 엔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자동 도난방지 모드와, 사용자가 전화망을 통해 도난모드로 작동을 지시한 경우에만 엔진 작동을 중단시키는 수동 도난방지 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 수단(104)은 이그니션 스위치(ST)와 점화플러그를 포함하는 엔진 구동장치 사이에 연결되며, 중앙처리장치(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엔진 구동장치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릴레이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4. 시동이 오프되면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검출하는 제 1 단계(Q1)와;
    상기 제 1 단계(Q1)에서 시동이 검출되면, 자동 도난경보 모드 또는 수동 도난경보 모드가 입력된 상태인가를 판단하여 도난경보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여 운전모드를 실행하는 제 2 단계(Q2)와;
    상기 제 2 단계(Q2)에서 시동이 검출되고 도난경보 모드가 자동모드이면 엔진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차량의 주행을 중단시키는 제 3 단계(Q3)와;
    상기 제 3 단계(Q3) 이후 외부에서 자동 도난경보 해제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출하여 도난경보 해제 신호가 검출되면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여 운전모드를 실행하는 제 4 단계(Q4)와;
    상기 제 2 단계(Q2)에서 시동이 검출되고 도난경보 모드가 수동모드이면 기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차량 도난 메세지를 송출하는 제 5 단계(Q5)와;
    상기 제 5 단계(Q5) 이후 수신모드로 대기하여 DTMF 신호가 검출되면 자동으로 자동차의 전원을 차단하고, 일정시간 비상램프를 점등시키는 제 6 단계(Q6)와;
    상기 제 6 단계(Q6) 이후 수동 도난방지 모드를 해제하면 자동차의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켜 운전모드를 실행하는 제 7 단계(Q7)로 이루어져 순차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방법.
KR1019990004498A 1999-02-09 1999-02-09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299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498A KR100299035B1 (ko) 1999-02-09 1999-02-09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498A KR100299035B1 (ko) 1999-02-09 1999-02-09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725A true KR20000055725A (ko) 2000-09-15
KR100299035B1 KR100299035B1 (ko) 2001-09-13

Family

ID=1957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498A KR100299035B1 (ko) 1999-02-09 1999-02-09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0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621A (ko) * 2002-06-04 2003-12-11 주식회사 아이엔지테크 자동차 실내 감시장치
ES2545676A1 (es) * 2014-03-11 2015-09-14 Alexandre GONZALO BLAY Dispositivo de seguridad en vehículo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895B2 (ja) * 1995-11-24 2001-08-0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19980033623A (ko) * 1998-04-21 1998-07-25 김경민 무선호출기와 시티폰을 이용한 도난차량 위치확인 방법 및 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621A (ko) * 2002-06-04 2003-12-11 주식회사 아이엔지테크 자동차 실내 감시장치
ES2545676A1 (es) * 2014-03-11 2015-09-14 Alexandre GONZALO BLAY Dispositivo de seguridad en vehícul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9035B1 (ko) 200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59812A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US6480098B2 (en) Remote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common carrier paging receiver and related methods
US20050136885A1 (en) Emergency conference calling system
US20070155412A1 (en) SMS initiated emergency conference calling system
US53352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ound within a vehicle by telephone
KR1002990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및 방법
US20030227377A1 (en) Wireless security notification and control system
KR970000569B1 (ko) 이동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방법
JP3317887B2 (ja) 自動車の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3042045A (ja) 自動車用エンジン遠隔始動装置
JPH09317613A (ja) 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
KR100269014B1 (ko) 차량 도난방지 장치
JP3148266B2 (ja) 車両の遠隔操作装置
KR20000073947A (ko)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경보장치
KR0127900B1 (ko) 무선호출을 이용한 차량도난 방지방법
CN2493465Y (zh) 手机双向汽车防盗报警器
JPS63115440A (ja) 自動車電話装置
KR200205419Y1 (ko)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용 도난방지 시스템
KR200402694Y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무인경비, 도난방지, 추적,원격제어 시스템.
JPH09156470A (ja) 携帯電話を使用した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KR0119173Y1 (ko) 차량거치가능 무선전화기의 착신 경보창치
KR970010452A (ko) 차량의 도난방지 시동경보장치
JPH04240958A (ja) 車載用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145464A (ja) 着信報知システム
KR960020257A (ko) 룸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