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413A -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경용 열가소성 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경용 열가소성 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413A
KR20000055413A KR1019990004010A KR19990004010A KR20000055413A KR 20000055413 A KR20000055413 A KR 20000055413A KR 1019990004010 A KR1019990004010 A KR 1019990004010A KR 19990004010 A KR19990004010 A KR 19990004010A KR 20000055413 A KR20000055413 A KR 20000055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flector
resin
manufacturing
po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427B1 (ko
Inventor
김영근
김영명
Original Assignee
황승국
강남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승국, 강남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승국
Priority to KR1019990004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427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4Polysulf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전조등용 반사경의 성형재를 열가소성경화수지를 주재로 한 복합수지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활용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자동차용 조명등구는 금속에서 합성수지로 대체되어 현재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에 유리섬유, 증량제, 경화재, 저수축제, 이형제등을 첨가하여 성형하기 용이하도록 콤파운드로 제조한 것으로 이 재료는 자동차용 램프의 반사경 재료로 전 차종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환경오염 규제가 강화되는 현실에서는 이재료도 환경친화적이고 재활용이 용이한 재료로 변경되어야 하나 지금까지 사용되오온 BMC재료는 재활용이 되지 못하고 소각시 매연과 다이옥신등의 배출 뿐 만 아니라 매립에도 부적당한 재료로 인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콤파운드 재료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재활용이 가능할 수 있는 복합수지 조성을 발명한 것으로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폴리페닐렌슬파이드수지를 주재로하고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부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혼합하여 용융한 상태에서 보강재로 유리섬유, 증량재로 탄산칼슘을 혼합하여 사출성형용 콤파운드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성형재는 보관이 반영구적이고 물성의 변화가 극히적어 치수안정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이형성이 탁월하고 내열성과 표면 평활성도 우수하다.
재활용성은 반사도금막과 표면도장 전단계까지는 완전 재활용이 가능하며 종래에 비해 원가가 저렴하고 사출성형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경용 열가소성 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 PLASTIC FIBER REINFORCED PLASTIC USED FOR REFLECTOR OF HEAD LAMP IN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경을 열가소성수지인 폴리페닐렌슬파이드레진을 주재로한 강화 플라스틱 콤파운드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 재활용성 반사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반사경의 재질은 금속재에서 합성수지로 대체되어 현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에 유리섬유, 증량재, 저수축제 및 이형제등을 첨가한 성형용 콤파운드를 사출성형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재료는 기계적 강도가 높고 전기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평활성이 뛰어나 표면도장이 용이하고 성형설계가 자유로운 사출공법이므로 생산수율과 제조공정이 무난하여 전세계의 모든 완성차에 적용되는 수지로 각광을 받는 대표적인 재료이다. 그러나 재활용이 되지 못하는점이 크나큰 결함이며, 폐차등으로 폐기물이 되었을때 산업쓰레기가 되어 매립이나 소각에도 부적합하여 소재로서 어려움이 있을 뿐 만 아니라, 향 후 선진제국의 무역장벽 중 하나인 그린라운드에서 규정한 자원회수법의 제약을 받을 수 있는 소재가 되어 현재의 소재를 대체해야 하는 시기에 놓이게 되었다. 즉, 대부분의 산업소재가 환경오염 및 환경친화적인 재료로 대체되어가는 추세에 지금까지 사용해온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복합재료는 재활용이 되지 못하고 소각시 매연과 다이옥신등의 배출 뿐 만 아니라 매립에도 부적당한 재료로 인식되어 장래에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공정에 적합한 열가소성경화형수지(FRTP : Fiber Reinforced Themo Plastic)형 반사경의 성형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페닐렌 슬파이드(PPS : Poly Phenylene Sulfide)수지에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다른수지를 첨가하여 사출성형과 반사경의 물성에 부합하는 콤파운드를 제조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자동차 전조등용 반사경을 성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재활용성이 없는 자동차 전조등용 반사경에 사용되는 콤파운드를 재활용이 가능하며 제조공정에 적합하도록 제조하고, 반사경으로서의 물성을 만족하고 전조등구의 요구물성인 내열성을 향상 또는 종래의 내열성에 맞도록 콤파운드를 제조한 것으로, 종래의 이와같은 목적으로 제조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열경화성이므로 재활용이 불가능 하였다. 또한 여기에 저수축제를 첨가하여 수축율을 저하시키고 광택 및 이형제를 첨가해야 제조공정에 투입할 수 있었으며 물성도 이에따라 심한차이가 있었고, 가장 큰 문제점은 이들 각각의 수치가 함침이 균일하지 못해 장기간 보관이 불가능 하였으며 저장도중 분리현상이 심해 성형공정에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므로 저장창고의 온습도 관리가 필수적임으로 저장이 용이하지 못하여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어왔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경을 재활용이 가능하고 수지간의 분리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증량제, 경화제, 유리섬유, 탄소섬유, 케브라섬유등 보강제로 쓰이는 각종 섬유류 및 첨가제중 재활용이 가능한 것을 선별하여 콤파운드를 제조하고 가소성 사출기에서 성형조건을 조정하여 자동차 반사경을 제조하는 콤파운드를 발명한 것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무게비로 폴리페닐렌슬파이드 70∼90%와 폴리에테르이미드 1∼15%, 폴리부틸렌테레프타레이트 1∼15%를 용융상태에서 보강재로 유리섬유 1∼65% 투입하고 증량재로서 탄산칼슘 1∼60%와 소량의 이형제를 혼합 제조하므로서 보관이 영구적이며 물성변화가 극히 적고 이형성이 탁월하고 내열성이 종래의 반사경보다 우수하고 표면의 평활로 도장면의 반사효과와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도 우수하다.
특히 재활용성은 도장 전 단계까지는 100%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전체적인 공정에 비해 단순가공 이므로 원가가 저렴한 특징이 있고 사출성형에도 즉시 적용할 수 있다.
종래의 반사경에 이용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복합재료(BMC)는 내열성이 180℃ 이하였지만 본 발명의 콤파운드는 내열성이 250℃ 전후로서 탁월한 내열성을 갖이므로서 재료를 절약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절반이하로도 내열성에 지장이 없고 성형품의 전기적 특성과 내크립성 및 탄성특성이 우수하다.
종래에는 동일한 열가소성수지끼리 함침할 경우 교반과 혼합이 불가능하여 다각도로 개발이 진행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지간의 접촉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실란처리를 미리하여 수지와의 함침을 향상 시켰다.
즉, 폴리페닐렌슬파이드수지에 실란처리를 하고 폴리에스테르이미드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도 같은 방법으로 실란2.5중량%를 도포하여 결정성수지를 용융하고 또한 유리섬유나 카본섬유등 보강제 역시 실란1.0중량%를 도포하고 증량제인 탄산칼슘 역시 1.5중량%의 실란을 처리하여 교반기에서 가열압출시켜 펠리트상으로 제조하고, 이를 사출기를 통하여 반사경금형으로 성형한 후 전조등의 반사도금막을 형성하여 반사경으로 이용한다.
이 성형품은 재활용성에 적합한 콤파운드이며, 함침 불가능하고 재결정화되는 경우를 피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간에 재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물성도 20∼30%이상 처리하지 않는것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폴리페닐렌슬파이드수지의 품질에서는 모노머가 중요한데 가교결합원소가 적은 5% 이내의 폴리페닐렌슬파이드수지가 재활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본 발명에서는 2∼3중량%가 가장 효과적이다.
실시예
고체상의 폴리페닐렌슬파이드수지 70∼90중량%에 폴리에테르이미드수지 1∼15중량%,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1∼15중량%를 실란으로 처리하고 용융하여 보강재로 유리섬유 1∼65중량%와 증량재로 탄산칼슘 1∼60중량%를 실란처리하여 콤파운드를 제조한다.
콤파운드 성상 : 펠레트상
비 중 : 1.69이상
굴곡강도 : 2.520㎏/㎠
인장강도 : 1,750㎏/㎠
이와같이 된 본발명의 재활용성 반사경의 콤파운드는 펠리트상태로 제조할 수 있어 운반이 쉽고 가사시간(pot life)의 제한이 없고 수지간의 분리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고강도, 경량성, 가공성,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를 얻을 수 있어 자동차의 전조등, 미등용등 제반 등구의 반사경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4)

  1. 폴리페닐렌슬파이드수지(Poly Phenylene Sulfide resin)에 폴리에테르이미드수지(Poly ether imide resin)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buthylene Terephthalate)를 혼합처리하여 실란으로 용융한 상태에서 보강재와 증량재를 투입하여 콤파운드화한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경용 열가소성 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페닐렌슬파이드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의 혼합비는 70∼90중량%, 1∼15중량%, 1∼15중랑%임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경용 열가소성 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보강재는 유리섬유이고 증량재는 탄산칼슘으로 혼합비는 1∼65중량%와 1∼6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경용 열가소성 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투입원료의 함침성을 향상시키고 용융온도를 낮추기위해 각조성물은 혼합전에 실란을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전조등의 반사경용 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KR1019990004010A 1999-02-05 1999-02-05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경용 열가소성 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KR100283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010A KR100283427B1 (ko) 1999-02-05 1999-02-05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경용 열가소성 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010A KR100283427B1 (ko) 1999-02-05 1999-02-05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경용 열가소성 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413A true KR20000055413A (ko) 2000-09-05
KR100283427B1 KR100283427B1 (ko) 2001-02-15

Family

ID=1957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010A KR100283427B1 (ko) 1999-02-05 1999-02-05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경용 열가소성 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4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454A (ko) 2013-10-02 2015-04-10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아크릴계 광분산용 플라스틱 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4835A (ko) 2017-03-20 2017-03-29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티오우레탄계 광분산용 플라스틱 렌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454A (ko) 2013-10-02 2015-04-10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아크릴계 광분산용 플라스틱 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4835A (ko) 2017-03-20 2017-03-29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티오우레탄계 광분산용 플라스틱 렌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3427B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9043A (en) Reinforced plastics and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US20060270824A1 (en) Polyester composition comprising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N1014608B (zh) 聚亚苯基硫醚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276925A (zh) 一种利用回收聚乙烯/尼龙复合膜料生产的汽车保险杠专用材料及其制备方法
EP1298172A1 (en) Metallized polyester composition
US5916649A (en) Highly heat-resistant moldings
KR100283427B1 (ko)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경용 열가소성 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JP3242833B2 (ja) ランプ反射鏡
US4890795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wood flour based fillers for plastic materials
KR101655475B1 (ko) 램프 반사경용 벌크 몰딩 컴파운드
US4489110A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ulding compositions having high reflectivity
JP2021172675A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US5114791A (en) Two-component injection molding with polyarylene sulfides
JP2004524473A (ja) 熱可塑性樹脂スロットルボディ
JP2529751B2 (ja) ポリアリ―レンサルファイド系樹脂中空成形品及びその製造法
KR20180039366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375375B1 (ko) 차체외판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0687984B1 (ko) 저휘발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EP0584953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blow or extrusion molding and hollow molded article thereof
KR100853119B1 (ko)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EP0523497B1 (de) Hochtemperaturbeständiges Lampengehäuse und thermoplastische Kunststoff-Formmasse zu seiner Herstellung
JPH04334801A (ja) ランプリフレクター
CN115975294B (zh) 一种高抗冲rPP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7310A (zh) 运输工具前灯反光罩
CN117304671A (zh) 一种汽车用高附着力可再生pc-abs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