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010A - 산/골 기록방식 디스크 및 산/골 판별 장치 - Google Patents

산/골 기록방식 디스크 및 산/골 판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010A
KR20000055010A KR1019990003417A KR19990003417A KR20000055010A KR 20000055010 A KR20000055010 A KR 20000055010A KR 1019990003417 A KR1019990003417 A KR 1019990003417A KR 19990003417 A KR19990003417 A KR 19990003417A KR 20000055010 A KR20000055010 A KR 20000055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ain
land
groove
signals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6682B1 (ko
Inventor
정일용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3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682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6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18Groove and land recording, i.e. user data recorded both in the grooves and on the la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3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track, i.e. the entire a spirally or concentrically arranged path on which the recording marks are located
    • G11B2020/1239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track, i.e. the entire a spirally or concentrically arranged path on which the recording marks are located the track being a pregroove, e.g. the wobbled track of a recordable optical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골 기록방식을 채택한 디스크와 그를 이용한 산/골 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산/골 기록방식 디스크는 트랙이 소정의 구간단위로 구분되며 산/골 트랙의 전환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코드가 포함된 식별정보가 상기 구간단위에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에 프리포맷된 식별정보에 산/골 전환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고 그 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사전에 산/골 전환위치를 감지하여 산/골 전환을 손쉽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산/골 기록방식 디스크 및 산/골 판별 장치{Disc Of Land/Groove recording Type And Land/Groove Distin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산/골 기록방식을 채택한 디스크와 그를 이용한 산/골 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매체로서 광디스크는 가능한 많은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의 경우 기존의 CD(Compact Disk)에 비해 트랙의 폭(Width)과 트랙간의 간격인 트랙피치(track pitch) 등이 줄어들어 보다 많은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광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에서는 효과적인 트래킹을 포함한 정보의 기록과 재생이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트랙이 골(Groove)과 산(Land)의 형태로 형성되고 있다. 이렇게 산과 골의 트랙을 가지는 광디스크에는 골의 트랙에만 정보가 기록되어 왔으나 기록밀도를 높이고자 산과 골의 트랙 모두에 정보가 기록되는 소위 산/골 기록방식의 광디스크, 예컨대 DVD-RAM(DVD-Random Access Memory)이 등장하고 있다. 산/골 기록방식의 광디스크는 주로 산과 골의 트랙이 1회전 트랙마다 교차하는 1 나선형 트랙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산/골 기록방식의 광디스크는 기록/재생 장치의 트래킹서보가 산과 골의 트랙에 따라 다르게 광빔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트래킹을 포함한 정보의 기록/재생이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이렇게 산과 골의 트랙에 따라 트래킹 제어를 다르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산과 골의 트랙에서 각기 다른 조건으로 구동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광디스크 기록/재생 장치는 적절한 산과 골의 트랙판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하여, 산과 골에서 트랙킹에러신호의 극성이 서로 반대이므로 어느 한쪽에서는 트랙킹에러신호의 극성을 절환해 주어야 한다. 예를 들면, 1 나선형 트랙구조를 갖는 광디스크의 경우 1회전 트랙마다 트랙킹에러신호의 극성을 절환해 주어야 한다.
또한, 광디스크는 랜덤 억세스가 가능하게끔 정보가 일정한 크기의 블록단위로 기록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광디스크 상의 트랙은 일정한 크기의 단위구간인 섹터(Sector)로 나누어지게 된다. 섹터는 선두에 위치하는 헤더(Header) 영역과 이 헤더영역에 연이어 위치하는 사용자 정보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정보 영역은 소위 기록 영역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기록되고 헤더영역에는 트랙의 물리적인 위치, 즉 사용자 정보 영역의 위치를 지시하는 ID(Identification Information) 코드가 프리피트열 형태로 기록되게 된다. DVD-RAM의 경우 헤더영역에 기록된 프리피트열로부터 재생된 푸쉬풀(Pushpull) 신호를 이용하여 산/골을 판단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 헤더영역의 신호를 읽은 후 바로 사용자정보영역이 이어지기 때문에 산/골 변이가 있는 경우 극성절환이 뒤따라야 하나 시기적으로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트랙서치 등을 수행함에 따라 헤더영역을 읽지 못하는 경우, 트래킹 옵셋(Offset)이 커서 헤더영역의 신호를 제대로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산과 골을 판별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에 따라, 산/골 변이를 예측하여 산/골 판별을 정확히 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골 변이를 효과적으로 예측하여 산/골 판별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산/골 기록방식의 광디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산/골 기록방식의 광디스크를 이용하여 산/골 판별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산/골 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디스크에 적용되는 산/골의 트랙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섹터당 저장된 프레임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골 판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산/골 전환신호 발생부에 대한 상세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광디스크 12 : 산의 트랙
14 : 골의 트랙 20 : 밴드패스필터
22 : 슬라이서 24 : 채널디코더
26 : 프레임데이터 디코더 28 : 오류체크부
30 : 동기검출부 32 : 제1 앤드게이트
34 : 래치 36 : 산/골 전환신호 발생부
38 : 제2 앤드게이트 40 : 멀티플렉서
42 : 워블카운터 44 : 섹터카운터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골 기록방식의 광디스크는 트랙이 소정의 구간단위로 구분되며 산/골 트랙의 전환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코드가 포함된 식별정보가 상기 구간단위에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골 판별장치는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제1 코드를 검출하고 디코딩하여 사전에 산/골 변이 정보를 얻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골 기록방식의 광디스크에 적용되는 워블드(Wobbled) 트랙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광디스크(10)는 산/골의 트랙(12, 14)이 1회전 트랙마다 교번하여 배치되는 1 나선형 트랙구조를 갖는다. 또한, 산/골 트랙(12, 14)의 경계변에는 워블링 형태로 프레임데이터가 프리포맷되어 있다. 이 프레임 데이터에는 통상 트랙을 소정의 단위기록구간, 즉 섹터별로 구분하는 동기신호(SYNC)와, 각 섹터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어드레스정보(PID)와, 프레임데이터의 에러 감별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광디스크(10)는 프레임데이터 중 일부를 할당하여 산/골 변환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다시 말하여, 산/골의 트랙(12, 14)의 단위기록구간인 한 섹터에 워블링 형태로 프리포맷된 프레임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신호(SYNC), 산/골 전환위치 정보(FD) 및 물리적인 어드레스정보(PID)와, CRC 코드(CRC)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1 바이트(Byte)의 FD 데이터를 정의하여 산/골 전환위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산/골 전환위치 정보(FD)에서 최상위비트(FDB7)는 산/골 전환위치 정보(FD)의 유용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로 정의하고, 그 다음 비트(FDB6)는 현재 섹터가 산의 트랙인지 골의 트랙인지를 나타내는 비트로 정의한다. 그리고, 나머지 6비트(FDB5∼FDB0)는 산/골 전환위치에 대한 정보, 예컨대 산/골 전환위치까지 남의 섹터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트로 정의하게 된다. 이러한 산/골 전환위치 정보(FD)는 섹터당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디스크 기록/재생 장치는 광디스크(10)로부터 산/골 전환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데이터를 검출하여 디코딩함으로써 산/골 전환점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정확한 산/골 판별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골 판별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3에 도시된 산/골 판별장치는 입력라인(21)을 통해 푸쉬풀(Push-pull) 신호를 입력하여 워블링신호를 발생하는 밴드패스필터(BPF)(20)와, 밴드패스필터(20)의 워블링신호를 구형파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슬라이서(22)와, 슬라이서(22)의 구형파신호를 채널 디코딩하여 채널데이터와 채널클럭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채널디코더(24)와, 채널디코더(24)의 채널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데이터와 데이터클럭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프레임데이터 디코더(26)와, 채널디코더(24)의 채널데이터로부터 동기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동기검출부(32)와, 프레임데이터 디코더(26)의 프레임데이터를 오류정정하기 위한 오류체크부(28)와, 동기검출부(30)의 동기신호와 오류체크부(28)의 출력신호를 논리합 연산하는 앤드(AND)게이트(32)와, 앤드게이트(32)의 출력신호에 따라 프레임데이터 디코더(26)의 프레임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래치(34)와, 래치(34)의 프레임데이터를 입력하여 산/골 전환신호를 발생하는 산/골 전환신호 발생부(36)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산/골 판별장치에서 밴드패스필터(20)는 입력라인(21)을 통해 푸쉬풀신호를 입력하여 특정대역으로 밴드패스필터링함으로써 산/골의 트랙(12, 14)의 경계변에 프리포맷된 워블링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슬라이서(22)는 밴드패스필터(20)로부터 출력되는 워블링신호를 입력하여 레벨 슬라이싱함으로써 구형파 형태의 워블신호를 발생한다. 채널디코더(24)는 위상동기루프(PLL)를 이용하여 슬라이서(22)의 구형파형태의 워블신호로부터 채널클럭신호와 채널데이터를 검출하게 된다. 프레임데이터 디코더(26)는 채널디코더(24)로부터 입력되는 채널데이터를 채널클럭신호에 따라 디코딩함으로써 프레임데이터와 데이터클럭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동기검출부(30)는 채널디코더(24)로부터 입력되는 채널데이터와 채널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동기신호를 검출한다. 오류체크부(28)는 프레임데이터 디코더(26)로부터 프레임데이터와 데이터클럭신호를 입력하고 프레임데이터에 포함된 CRC 코드를 이용하여 프레임데이터를 체크함으로써 에러정정상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제1 앤드게이트(32)는 동기검출부(30)로부터 출력되는 동기신호와 오류체크부(28)로부터 출력되는 에러정정신호를 입력하여 논리합 연산함으로써 에러정정완료신호(CRC_OK)를 발생하여 래치(34)와 산/골 전환신호 발생부(36)로 출력한다. 래치(34)는 제1 앤드게이트(32)로부터 에러정정완료신호(CRC_OK)가 입력되면 프레임데이터 디코더(26)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데이터 중 산/골 전환위치 정보(FD)와 물리 어드레스정보(PID)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산/골 전환신호 발생부(36)로 출력한다. 산/골 전환신호 발생부(36)는 래치(34)로부터 산/골 전환위치 정보(FD)를 입력하여 카운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산/골 전환위치에서 산/골 전환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산/골 전환신호 발생부(36)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4에 도시된 산/골 전환신호 발생부(36)는 워블카운터(42) 및 섹터카운터(44)와, 워블카운터(42) 및 섹터카운터(44)의 로드신호를 발생하는 제2 앤드게이트(38)와, 제2 앤드게이트(38)의 출력신호에 따라 워블카운터(42)의 계수값을 설정하기 위한 멀티플렉서(40)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산/골 전환신호 발생부(36)에서 제2 앤드게이트(38)는 제1 앤드게이트(32)로부터 출력되는 에러정정완료신호(CRC_OK)와, 래치(34)로부터 출력되는 산/골 전환위치 정보 중 산/골 전환위치 정보(FD)의 유용여부를 나타내는 최상위비트(FDB7)를 입력하여 논리합 연산함으로써 워블 카운터(42)과 섹터카운터(44)의 로드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제2 앤드게이트(38)에서 발생된 로드신호는 멀티플렉서(40)의 선택제어신호로 입력되게 된다. 멀티플렉서(40)는 제2 앤드게이트(38)로부터 입력되는 선택제어신호에 따라 '섹터당 워블수(예를 들면, 208)' 과 '섹터당 워블수-8(예를 들면, 200)'을 선택하여 워블 카운터(42)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워블수의 선택은 에러정정완료신호(CRC_OK)가 통상 섹터의 시작점으로부터 8개의 워블수만큼 지연된 시점에서 검출되는 것에 기인한다. 예컨대, 1 나선형 트랙의 경우 첫 번째 섹터의 워블수로는 '섹터당 워블수-8'이 선택되게 되고 두 번째 섹터로부터 나머지 섹터의 워블수로는 '섹터당 워블수'가 선택되게 된다. 워블카운터(42)는 제2 앤드게이트(38)로부터 입력되는 로드신호에 따라 멀티플렉서(40)로부터 출력되는 '섹터당 워블수' 또는 '섹터당 워블수-8'을 로딩하고, 채널디코더(24)로부터 입력되는 채널클럭신호에 따라 카운트 동작, 예컨대 다운 카운트 동작을 수행하여 워블수를 카운트하게 된다. 또한, 워블카운터(42)는 멀티플렉서(40)의 출력신호에 따라 설정된 계수값만큼 카운트할 때마다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섹터카운터(44)의 클럭단자로 출력하게 된다. 섹터카운터(44)는 제2 앤드게이트(38)로부터 입력되는 로드신호에 따라 래치(34)로부터 출력되는 산/골 전환위치 정보를 로드하고 워블카운터(42)로 출력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카운트 동작, 예컨대 다운 카운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섹터카운터(44)는 래치(34)로부터 로드된 산/골 전환위치 정보, 즉 산/골 전환위치까지 남은 섹터 개수만큼 카운트하게 되면 산/골 전환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래치(34)로부터 섹터카운터(44)에 로드되는 산/골 전환위치 정보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갖게 되는데 그 1바이트 중에서 N7, N6, N5, N4, N1, N0의 6비트는 산/골 전환위치 정보(FD)에 포함된 FDB5∼FDB0에 해당하고 세 번째 및 네 번째 비트 N2, N3은 산/골 전환위치 정보(FD)의 최상위 비트(FDB7)가 '1'인 경우 항상 '0'으로 정의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광디스크에 워블링 형태로 프리포맷된 프레임데이터에 산/골 전환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고 그 프레임데이터를 검출하여 디코딩함으로써 산/골 전환점을 예측하여 정확하게 산/골 전환점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산/골 전환위치에 대한 정보가 워블링 형태로 프리포맷된 프레임데이터, 즉 식별정보에 포함된 디스크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산/골 기록방식의 광디스크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골 기록방식 디스크 및 산/골 판별장치에 의하면 프리포맷된 식별정보에 산/골 전환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고 그 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사전에 산/골 전환위치를 감지하여 산/골 전환점을 손쉽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산/골 기록방식 디스크 및 산/골 판별장치에 의하면 산/골 전환점을 정확하게 판별하여 트랙킹서보가 산과 골의 트랙에 따라 다르게 광빔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트래킹을 포함한 정보의 기록/재생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3)

  1. 산의 트랙과 골의 트랙이 교번하여 형성된 광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트랙이 소정의 구간단위로 구분되며 산/골 트랙의 전환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코드가 포함된 식별정보가 상기 구간단위에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에는 해당트랙이 산 또는 골의 트랙인지를 표시하는 제2 코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상기 제1 코드를 검출하고 디코딩하여 사전에 산/골 변이 정보를 얻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골 판별장치.
KR1019990003417A 1999-02-02 1999-02-02 산/골 기록방식 디스크 및 산/골 판별 장치 KR100606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417A KR100606682B1 (ko) 1999-02-02 1999-02-02 산/골 기록방식 디스크 및 산/골 판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417A KR100606682B1 (ko) 1999-02-02 1999-02-02 산/골 기록방식 디스크 및 산/골 판별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137A Division KR100628073B1 (ko) 2006-05-25 2006-05-25 광 디스크 및 산/골 트랙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010A true KR20000055010A (ko) 2000-09-05
KR100606682B1 KR100606682B1 (ko) 2006-08-01

Family

ID=1957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417A KR100606682B1 (ko) 1999-02-02 1999-02-02 산/골 기록방식 디스크 및 산/골 판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6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960B1 (ko) * 2000-12-12 200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산/골 기록방식 광디스크 및 그 기록/재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510B2 (ja) * 1996-04-15 2000-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媒体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09293244A (ja) * 1996-04-25 1997-11-11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H1011760A (ja) * 1996-06-24 1998-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トラッキング方法
JP3959147B2 (ja) * 1997-03-31 2007-08-15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再生装置、光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960B1 (ko) * 2000-12-12 200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산/골 기록방식 광디스크 및 그 기록/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6682B1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2501A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for writable recording media
KR100280688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타이밍 신호 발생기 및 정보를 기록하고재생하는 방법
US20060114767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EP1519379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ing the recording medium, and data recording method
KR100493017B1 (ko) 광기록매체의 섹터 싱크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800422B1 (ko) 정보 기록방법, 정보 기록장치 및 정보 기록매체
US7460457B2 (en) Optical disk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optical disk evaluation method using a temporary memory
KR100606682B1 (ko) 산/골 기록방식 디스크 및 산/골 판별 장치
KR100628073B1 (ko) 광 디스크 및 산/골 트랙 제어 장치
JP3658252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00536869B1 (ko) 디코드 장치
JP2001236738A (ja) 光ディスクのプリピット同期ビットの誤検出判定方法およびプリピット同期ビット検出の安定・不安定判定方法並びにそれらの回路
US76130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rately converting groove/land polarity upon groove/land track change on optical medium
JPH10320783A (ja) ウォブル信号検出回路、ウォブル異常検出回路、これら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記憶媒体
WO2004017309A1 (ja) 光記録媒体及びその情報記録方法、記録装置
JPH0773519A (ja) 光磁気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た光磁気記録方法
JP3068093B2 (ja) 光ディスクおよび再生装置
KR100801037B1 (ko) 정보 기록방법, 정보 기록장치 및 정보 기록매체
US20030093749A1 (en) Method for recording address information on optical recording medium, optical recording medium including address information recorded thereon by the same method, and method for detecting address information recorded on the same optical recording medium
US20050105440A1 (en) Disk apparatus and disk reproducing method
US20070121458A1 (en) Synchronicity determining device, and physical address detecting device and method
JP2003308664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2006244562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6139816A (ja) 集積回路
JP2008077706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