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931A -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931A
KR20000054931A KR1019990003296A KR19990003296A KR20000054931A KR 20000054931 A KR20000054931 A KR 20000054931A KR 1019990003296 A KR1019990003296 A KR 1019990003296A KR 19990003296 A KR19990003296 A KR 19990003296A KR 20000054931 A KR20000054931 A KR 20000054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iron core
cylinder
repair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0389B1 (ko
Inventor
윤창수
Original Assignee
윤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수 filed Critical 윤창수
Priority to KR101999000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389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3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05C17/010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with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랙 보수용 주입기에 보수액을 보다 간편하게 자동으로 충전시켜작업시간 및 보수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보수액 손실을 방지하고, 또한 적량의 보수액을 정확하게 충진시켜 보수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주입기에 고장력의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철금속통(10)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는 가동철심(20); 상기 비철금속통(10)의 전방 내부에 탄설되어 가동철심(20)을 후퇴시키는 스프링(30); 상기 비철금속통(10)의 중앙 외주연에 권취되어 자기장으로 가동철심(20)을 전진시키는 솔레노이드(40); 상기 비철금속통(10)의 선단에 결합되어 그 전방 중앙으로 주입기(1)의 주입구(2)가 기밀하게 끼워지는 토출구(51)가 연통되고, 전방 하부로는 유입구(52)가 연통된 실린더(50); 상기 토출구(51)의 후방에 설치되는 역류방지용 첵밸브(60); 상기 실린더(50)에 내장되어 그 후방으로 가동철심(20)에 연결되는 로드(71)가 구비된 피스톤(70); 상기 실린더(50)의 유입구(52)에 설치되는 역류방지용 첵밸브(80); 및 상기 첵밸브(80)와 보수액용기(90)에 연결되는 유입호스(1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DEVICE FOR FILLING REPAIR LIQUID FOR CONCRETE CRACK}
본 발명은 크랙 보수용 주입기에 보수액을 보다 간편하게 자동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완벽한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구축후 경화과정, 경화후 온도, 외부 압력의 변화 등으로 인해 크랙이 발생하며, 이 크랙은 외면에서 그 폭이 크고 내부로 들어갈수록 미세한 균열이 연속되므로 이러한 크랙의 진행을 막기 위해서 크랙 보수용 주입기를 사용하여 점착성이 강한 에폭시 수지 등의 보수액을 크랙부위에 주입하였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을 보수하는 데 사용되는 콘크리트 크랙 보수용 주입기는 첵밸브를 개방시키는 돌기가 구비되어 크랙부위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삽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되어 그 내부에 보수액이 충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에 설치된 피스톤을 복원력으로 전진시키는 스프링,고무줄 등의 탄성부재와, 상기 주입구에 내장되어 역류를 방지하는 첵밸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수용 주입기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한 크랙을 보수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린더에 보수액을 충전시킨 상태에서 주입구를 고정판에 결합시켜야 탄성부재의 복원력으로 피스톤이 서서히 전진하면서 실린더에 충전된 보수액이 크랙에 주입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보수액 충전시 주사기에 주사액을 넣는 것과 같이 작업자가 주입기의 주입구를 보수액에 담근 상태에서 피스톤로드를 뒤로 잡아 당겨 보수액을 충전시켜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인력이 요구되므로 결과적으로 보수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특히 이러한 종래의 수동흡입방식으로는 인력소모의 한계로 인하여 주입기의 압력원인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정도이하로제한될 수 밖에 없어 보수액의 보다 완벽한 주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수액 충전시 주입기의 주입구를 보수액에 넣어야 하므로 주입구의 외부에 보수액이 묻어 불필요하게 보수액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피스톤로드를 잡아 당겨서 보수액을 충전시켰기 때문에 충전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적량의 보수액을 정확하게 충전시킬 수 없어 보수작업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크랙 보수용 주입기에 보수액을 보다 간편하게 자동으로 충전시켜 작업시간 및 보수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보수액 손실을 방지하고, 또한 적량의 보수액을 정확하게 충진시켜 보수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주입기에 고장력의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와 스프링을 통해 왕복운동하는 가동철심에 피스톤을 연결하고, 상기 피스톤을 내장하는 실린더에 주입기의 주입구가 기밀하게 끼워지는 토출구 및 보수액용기와 연결되는 유입구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토출구와 유입구에 역류방지용 첵밸브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유입구를통해 실린더내로 유입된 보수액이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기에 충전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주입기 2 : 주입구
10 : 비철금속통 20 : 가동철심
30 : 스프링 40 : 솔레노이드
50 : 실린더 51 : 토출구
52 : 유입구 60 : 첵밸브
70 : 피스톤 71 : 로드
80 : 첵밸브 90 : 보수액용기
100 : 유입호스 110 : 조절나사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철금속통(10)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는 가동철심(20); 상기 비철금속통(10)의 전방 내부에 탄설되어 가동철심(20)을 후퇴시키는 스프링(30); 상기 비철금속통(10)의 중앙 외주연에 권취되어 자기장으로 가동철심(20)을 전진시키는 솔레노이드(40); 상기 비철금속통(10)의 선단에 결합되어 그 전방 중앙으로 주입기(1)의 주입구(2)가 기밀하게 끼워지는 토출구(51)가 연통되고, 전방 하부로는유입구(52)가 연통된 실린더(50); 상기 토출구(51)의 후방에 설치되는 역류방지용 첵밸브(60); 상기 실린더(50)에 내장되어 그 후방으로 가동철심(20)에 연결되는 로드(71)가 구비된 피스톤(70); 상기 실린더(50)의 유입구(52)에 설치되는 역류방지용 첵밸브(80); 및 상기 첵밸브(80)와 보수액용기(90)에 연결되는 유입호스(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철금속통(10)의 후방 중앙부에는 나사공(11)이 형성되고, 이 나사공(11)에는 가동철심(20)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조절나사(110)가 나사결합된다. 이때, 조절나사(110)는 가동철심(20)의 가동거리를 조절하므로 이 조절나사(110)를 이용하여 보수액의 충전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동철심(20)은 도 1에서와 같이 평상시에는 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비철금속통(10)의 후방으로 후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비철금속통(10)의 중앙 외주연에 권취된 솔레노이드(40)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비철금속통(10)내에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동철심(20)은 솔레노이드(40)의 중앙으로 흡입되는 힘을 받기 때문에,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솔레노이드(40)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가동철심(20)은 도 2에서와 같이 스프링(30)을 압축시키면서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솔레노이드(40)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면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철심(20)은 다시 후퇴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50)의 후단 내경에는 소켓(120)이 나사결합되고, 이 소켓(120)의 내경으로 상기 비철금속통(10)의 선단부가 나사결합으로 조립되며, 상기 소켓(120)의 중앙에는 로드(71)가 관통하는 로드공(121)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50)의 전방 중앙부에 형성된 토출구(51)의 내경에는 주입기(1)의 주입구(2)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이때, 주입구(20)의 외주연에는 숫나사가 가공된다.
상기 토출구(51)의 후방에 끼워져 고정된 첵밸브(60)는 피스톤(70)의 흡입행정시에는 닫히고 피스톤(70)의 압축행정시에는 열리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볼(61)이 스프링(62)의 탄력을 받으면서 개폐되는 구조의 첵밸브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첵밸브(60)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피스톤(70)은 가동철심(20)과 연동하여 왕복운동하는 것으로, 이 피스톤(70)의 흡입행정시에는 유입구(52)를 통해 보수액이 실린더(50)내로 유입되고, 피스톤(70)의 압축행정시에는 실린더(50)내로 유입된 보수액이 토출구(51)로 토출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70)의 흡입행정시에는 첵밸브(80)가 열리므로 흡입력에 의해 보수액용기(90)내에 저장된 보수액은 유입호스(100)와 개방된 첵밸브(80)를 통해 실린더(50)내로 유입되고, 피스톤(70)의 압축행정시에는 압력에 의해 첵밸브(60)가 열리므로 실린더(50)내로 유입된 보수액은 개방된 첵밸브(60)를 통해 토출구(51)로 토출된다.
상기 유입구(52)에 끼워져 나사조립된 첵밸브(80)는 피스톤(70)의 흡입행정시에는 열리고 피스톤(70)의 압축행정시에는 닫히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볼(81)이 스프링(82)의 탄력을 받으면서 개페되는 구조의 첵밸브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첵밸브(80)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보수액용기(90)에는 점착성이 강한 에폭시 수지 등의 보수액을 저장된 되고, 이 보수액용기(90)에는 첵밸브(80)에 연결된 유입호스(100)가 연통된다.
한편,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즉 본 발명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수용 주입기(1)에 보수액을 충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주입기(1)의 주입구(2)에 실린더(3)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실린더(3)에는 피스톤(4)에 탄성부재인 스프링(5)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며, 상기 주입구(2)의 내부에는 역류방지용 첵밸브(6)가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1은 스프링고정핀, 41은 코일지지판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보수액 충전시 미리 몇차례에 걸쳐 피스톤(70)을 왕복시켜 도 3a에서와 같이 실린더(50)내에 보수액을 충만된 상태로 유입시키고, 또한 조절나사(110)로 가동철심(20)의 행정거리를 조절하여 보수액의 유입량을 미리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도 3a에서와 같이 실린더(50)의 토출구(51)에 주입기(1)의 주입구(2)를 나사조립으로 기밀하게 결합시킨후, 솔레노이드(40)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도 3b에서와 같이 가동철심(20)이 스프링(30)을 압축시키면서 전진하고 이와 동시에 피스톤(70)이 전진하게 된다.
피스톤(70)의 전진하는 압력에 의해 도 3b에서와 같이 첵밸브(60)(6)는 각각 열리고 반대로 첵밸브(80)는 닫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피스톤(70)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나가는 보수액은 개방된 첵밸브(60)(6)를 거쳐 주입기(1)내로 충전된다.
도 3b에서와 같이 피스톤(70)의 압축행정에 의해 주입기(1)내로 보수액이 완전히 충전되면 주입기(1)의 주입구(2)를 토출구(51)로부터 빼내고, 다음에 충전시킬 주입기의 주입구를 다시 토출구(51)에 결합시킨후,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40)의 전원을 차단하면 압축된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도 3a에서와 같이 피스톤(70)이 후퇴하고 이때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첵밸브(80)가 열리면서 실린더(50)내에는 보수액이 다시 유입된다.
피스톤(70)이 완전히 후퇴된 상태에서 다시 솔레노이드(40)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70)이 전진하고 이에 의해 주입기(1)내에 보수액이 충전되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충전작업을 반복하면서 주입기(1)들의 내부에 적량의 보수액을 자동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충전장치를 통해 콘크리트 크랙 보수용 주입기(1)에 적량의 보수액을 간편하게 자동으로 충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수액 충전작업이 편리하고, 이로 인해 인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주입기(1)에 고장력의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보수액의 보다 완벽한 주입을 가능케 하므로 보수작업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주입구(2)의 외부에 보수액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보수액의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자동으로 보수액을 충전시키므로 충전시간이 단축되고 적량의 보수액을 정확하게 충전시킬 수 있어 보수작업의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장치를 통해 주입기(1)에 보수액을 자동으로 충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즉 종래와 같이 피스톤로드를 당겨서 충전시키는 구조가 아니라 직접 주입구(2)를 통해 보수액을 충전시키는 구조이므로 주입기(1)의 피스톤로드를 삭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는 크랙 보수용 주입기에 보수액을 보다 간편하게 자동으로 충전시켜 작업시간 및 보수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보수액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적량의 보수액을 주입기에 정확하게 충진시켜 보수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비철금속통(10)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는 가동철심(20); 상기 비철금속통(10)의 전방 내부에 탄설되어 가동철심(20)을 후퇴시키는 스프링(30); 상기비철금속통(10)의 중앙 외주연에 권취되어 자기장으로 가동철심(20)을 전진시키는 솔레노이드(40); 상기 비철금속통(10)의 선단에 결합되어 그 전방 중앙으로 주입기(1)의 주입구(2)가 기밀하게 끼워지는 토출구(51)가 연통되고, 전방 하부로는 유입구(52)가 연통된 실린더(50); 상기 토출구(51)의 후방에 설치되는 역류방지용 첵밸브(60); 상기 실린더(50)에 내장되어 그 후방으로 가동철심(20)에 연결되는 로드(71)가 구비된 피스톤(70); 상기 실린더(50)의 유입구(52)에 설치되는 역류방지용 첵밸브(80); 및 상기 첵밸브(80)와 보수액용기(90)에 연결되는 유입호스(100)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철금속통(10)의 후단에는 가동철심(20)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조절나사(1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
KR1019990003296A 1999-02-01 1999-02-01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 KR100330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296A KR100330389B1 (ko) 1999-02-01 1999-02-01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296A KR100330389B1 (ko) 1999-02-01 1999-02-01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931A true KR20000054931A (ko) 2000-09-05
KR100330389B1 KR100330389B1 (ko) 2002-03-27

Family

ID=1957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296A KR100330389B1 (ko) 1999-02-01 1999-02-01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3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828B1 (ko) * 2016-04-27 2016-09-12 이향동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이동식 이액형 보수재 주입 장치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CN115739551A (zh) * 2022-11-23 2023-03-07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电力用发热缺陷控制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828B1 (ko) * 2016-04-27 2016-09-12 이향동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이동식 이액형 보수재 주입 장치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CN115739551A (zh) * 2022-11-23 2023-03-07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电力用发热缺陷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0389B1 (ko)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389B1 (ko)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
CN215409131U (zh) 空压机稳压调节装置
KR20160142993A (ko) 자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주입장치
KR100908669B1 (ko) 항압식 액체분사기
CN216296918U (zh) 一种可调式点胶阀
CN210304354U (zh) 一种精密点胶阀用的撞针装置
CN103406234B (zh) 容积式喷射点胶装置
CN202299440U (zh) 可减小喷射混凝土脉冲的缓冲装置
KR200296069Y1 (ko) 유압식 착암기의 자동 그리이스 주입장치.
CN1073788C (zh) 自压式追肥枪
CN208749133U (zh) 一种填充水泥基无收缩灌浆料的灌浆器
CN208566133U (zh) 一种气缸缸筒内壁布油装置
CN201043350Y (zh) 抽吸式高压灌注堵漏机
CN112392781A (zh) 一种大流量气体喷射引流装置
CN2509358Y (zh) 压力缓冲器
CN201296980Y (zh) 混凝土裂缝灌浆修复注射器
CN108868842A (zh) 一种可回收高预应力恒阻锚杆锁紧装置
GB0210753D0 (en) Fuel pump
CN214464831U (zh) 一种乳化液泵站用泄压装置及泄压系统
CN209572700U (zh) 一种控制工程用喷水装置
CN208554828U (zh) 一种点胶枪
CN220280398U (zh) 一种硅胶色浆增压泵
CN214320745U (zh) 一种由气压推动活塞的点胶机构
KR1003554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
CN218093282U (zh) 一种喷油泵用可调节式供油柱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