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422A -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422A
KR20000054422A KR1020000030912A KR20000030912A KR20000054422A KR 20000054422 A KR20000054422 A KR 20000054422A KR 1020000030912 A KR1020000030912 A KR 1020000030912A KR 20000030912 A KR20000030912 A KR 20000030912A KR 20000054422 A KR20000054422 A KR 20000054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garbage bag
information
office
bar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684B1 (ko
Inventor
류학열
이우석
Original Assignee
이형규
주식회사 에스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규, 주식회사 에스엠티 filed Critical 이형규
Priority to KR102000003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684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684B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의 생산, 유통, 판매 및 쓰레기봉투를 이용한 쓰레기 처리의 과정을 바코드, 유무선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생산, 유통, 판매 및 처리에 대해 제어 관리 및 해당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수단;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수령하여 판매를 수행하기 위한 판매수단; 상기 판매수단에 의해 판매된 쓰레기봉투를 수거하여 바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관리수단으로 쓰레기봉투의 수거를 통지하기 위한 수거수단; 및 상기 수거수단에 의해 수거된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관리수단으로 통지하고 수거된 쓰레기봉투의 처리를 관리하기 위한 처리관리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 물류 관리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A Computing system of garhage ba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쓰레기봉투의 제작, 공급, 판매 및 처리 등의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 종량제는 쓰레기의 실제 배출량에 따라 수수료를 부과하는 제도로 쓰레기를 배출할 때에는 쓰레기봉투에 담아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환경부 지침을 토대로 쓰레기봉투에 관한 사항은 구군 조례로 규정되어 있다.
종량제 시행 이후 쓰레기 봉투에 관련되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쓰레기봉투 담당자가 타 업무를 중복하는 경우가 많고, 그로 인해 전담인력 부족이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담인력 부족으로 인해, 쓰레기봉투 관련 대장 부실 작성으로 인한 재고관리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재고관리가 취약하여 공금 횡령 및 유용사고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조 쓰레기봉투 제작 및 판매 등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쓰레기봉투 담당 공무원의 여러가지 타 업무 중복으로 인한 전담인력 부족과 담당공무원의 평균 재직기간이 실무자인 구,동의 경우 평균 8-9개월 정도로 쓰레기봉투 제작, 공급, 판매 등 업무전반의 전문성을 확보하기에는 너무나 짧은 기간이라는 문제점을 가진다.
둘째, 쓰레기봉투 담당 공무원은, 관리물량의 방대함과 여러종의 장부 작성 등으로 인한 업무량 과다로 장부와 물품의 불일치에 따른 재고관리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재고관리가 소홀하다보니 쓰레기봉투 관리의 투명성 결여로 공금 횡령-유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예는 신문 등을 통해 수차례 공개된 바 있다.
넷째, 쓰레기봉투 지정판매소의 경우, 97년말 인천ㆍ경기 지역에 5050개소가 있었으며, 신규지정 450개, 취소 338개 등 788개소의 증감 변동으로 98년말 현재 112개소가 증가하여 5162개의 지정 판매소가 있으며, 지정판매소의 월별, 계절별 판매량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현 체계로는 어렵고 관리실태의 지도 점검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판매소를 통한 위조쓰레기봉투 불법 유통 등의 경우에 "형법 제225조 및 제229조의 규정에 의한 공문서 위조 및 동행사죄"로 처벌함에도 불구하고, 봉투 제작단가(20ℓ-> 24원)보다 판매가격이 15배(20ℓ->평균 376원)이상 되어 위조봉투의 불법 제작 유통의 유혹이 상존하고 있으며, 원판 위조 제작이 손쉬워 위조쓰레기봉투가 생산되고, 생산된 위조쓰레기봉투는 유통과정상 진위확인여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쓰레기봉투의 생산, 유통, 판매 및 쓰레기봉투를 이용한 쓰레기 처리의 과정을 바코드, 유무선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바코드의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서의 쓰레기봉투 생산 및 판매에 대한 일실시예 처리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서의 쓰레기봉투 생산 및 판매에 대한 다른 실시예 처리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쓰레기 물류서버 202 : 관리서버
203 : 시정망 204 : 외주업체
205 : 제작업체 206 : 위탁판매업체
207 : 읍ㆍ면ㆍ동사무소 208 : 밴(VAN)(은행)사
209 : 지정판매소 210 : 쓰레기 매립장
211 : 수거차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 있어서,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생산, 유통, 판매 및 처리에 대해 제어 관리 및 해당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수단;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수령하여 판매를 수행하기 위한 판매수단; 상기 판매수단에 의해 판매된 쓰레기봉투를 수거하여 바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관리수단으로 쓰레기봉투의 수거를 통지하기 위한 수거수단; 및 상기 수거수단에 의해 수거된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관리수단으로 통지하고 수거된 쓰레기봉투의 처리를 관리하기 위한 처리관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방법에 있어서, 구(군)청이 쓰레기봉투의 물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생산을 제작업체에 의뢰하는 제 1 단계; 상기 구(군)청이 제작업체로부터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수령하여 관리하는 제 2 단계; 식별정보가 부여된 판매소로부터의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판매 요청에 따라 판매하고 판매 정보를 상기 구(군)청이 관리하는 제 3 단계; 상기 구(군)청이 상기 판매소가 판매한 쓰레기봉투를 쓰레기와 함께 수거한 수거차량으로부터 바코드를 통해 획득된 수거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구(군)청이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를 상기 수거차량으로부터 반입받은 쓰레기 매립장으로부터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통해 획득된 반입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방법에 있어서, 관리서버가 쓰레기봉투의 물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생산을 의뢰하는 제 1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수령하여 관리하는 제 2 단계; 식별정보가 부여된 판매소로부터의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판매 요청에 따라 판매하고 판매 정보를 상기 관리수단이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3 단계; 상기 관리수단이 상기 판매소가 판매한 쓰레기봉투를 쓰레기와 함께 수거한 수거차량으로부터 바코드를 통해 획득된 수거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관리수단이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를 상기 수거차량으로부터 반입받은 쓰레기 매립장으로부터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통해 획득된 반입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 쓰레기봉투의 물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생산을 의뢰하는 제 1 기능;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수령함에 따른 쓰레기봉투의 수령 및 보관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제 2 기능; 식별정보가 부여된 판매소로부터의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판매 요청에 따라 판매된 쓰레기봉투의 판매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3 기능; 상기 판매소가 판매한 쓰레기봉투를 쓰레기와 함께 수거한 수거차량으로부터 바코드를 통해 획득된 수거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4 기능; 및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를 상기 수거차량으로부터 반입받은 쓰레기 매립장으로부터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통해 획득된 반입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5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광역시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그 표현에 있어, 시청, 구청 및 군청의 표현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임을 밝힌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바코드의 일예시도이다.
바코드란 정보의 표현 및 표현된 정보를 해독하는 부호체계이다.
바코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폭을 가진 바(Bar, 검은 막대)와 스페이스(Space, 흰 막대)의 배열패턴으로 정보를 표현하는 부호 또는 부호체계이다.
바코드로 정보를 표현하는 일과 표현된 정ㅂ를 해독하는 일은 바코드 장비를 통하여 가능하므로, 바코드는 기계어(Machine Language)라고 할 수 있다.
바와 스페이스는 그 폭에 따라 1개 또는 복수개의 이진수 비트(Binary Bit : 0 또는 1)로 바뀌게 되고, 이들의 조합으로 아스키(ASCII)문자를 표현한다.
이러한 바코드는 수작업에 의한 인적, 물적 손실 예방과 비능률적이고 부정확한 기존의 사무처리를 효과적이고 신속,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 관리방안이다.
이와 같은 바코드의 운영체계를 이용하여 쓰레기봉투의 효율적 관리방안으로 활용할 때 선행적으로 해결해야 할 몇가지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의 상이로 인한 문제점이 있다.
일반물품 제작업체의 생산공장은 단일하고 고정되어 있으나, 쓰레기봉투 제작업체는 인천ㆍ경기지역의 경우, 52개 업체에서 생산하여 일반물품 제작업체와 동일한 시스템을 적용하기 어렵다.
둘째, 행정기관과 지정판매소(인천ㆍ경기지역 : 5162개)간의 네트워크 구성은 비용의 과다 발생과 연간 지정판매소 788개소의 변동사항 발생으로 인하여 현실성이 없다.
셋째, 바코드를 활용한 물류 전산화 방안은 예산 수반사항으로 봉투 제작단가외에 바코드 심볼 부착에 따른 추가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물류관리의 효율성이 적다면 시행하기 어렵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방안으로 해결한다.
첫째, 일반물품 제작업체는 단일공장에서 물품을 생산하는 관계로 바코드 심볼 부착에 있어 고정시스템을 사용하나, 쓰레기봉투 제작업체는 인천ㆍ경기 조합에 가입된 52개 업체에서 생산하는 관계로 바코드 심볼 부착은 이동 시스템을 사용한다.
둘째, 최일선 행정기관과 지정판매소간의 네트워크 구성은 현실성이 없어 실행이 불가능하나 지정판매소의 월별, 계절별 판매량 분석을 통해 위조쓰레기봉투 불법 유통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바코드카드를 지정판매소에 보급하여 월별, 계절별 판매량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시와 구ㆍ군은 바코드 식별 프로그램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이용하여 쓰레기봉투에 표시된 바코드를 검증하여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쓰레기봉투의 현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은, 시의 쓰레기봉투 및 쓰레기 처리 관리를 수행하는 시청의 쓰레기 물류서버(201), 구마다 다른 쓰레기봉투를 지니므로 이의 생산, 유통, 판매 및 처리를 관리하는 구청의 관리서버(202), 유무선을 전송을 통해 시정을 연결하는 시정망(203), 바코드 처리를 위한 외주업체(204), 쓰레기봉투의 제작을 의뢰받아 이를 수행하는 봉투제작업체(205), 구청으로부터 쓰레기봉투의 판매를 의뢰받아 이를 수행하는 위탁판매업체(206)와 읍ㆍ면ㆍ동사무소(207) 등의 판매대행사, 쓰레기봉투의 판매를 지정받아 소매하는 지정판매소(209), 지정판매소(209)가 발급된 아이디(ID) 카드를 이용하여 판매대행사로부터 쓰레기봉투를 구매하게 되는데, 이때 아이디(ID) 카드의 발급 및 지정판매소(209)의 아이디(ID) 카드를 통한 쓰레기봉투 판매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밴(VAN : Value Added Network)(은행)사(208),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확인하고 쓰레기를 수거하는 쓰레기 수거차량(211) 및 쓰레기 수거차량(211)이 수거한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확인하고 쓰레기를 매립하는 쓰레기 매립장(210)을 포함한다.
구청 및 군청의 관리서버(202)는 쓰레기봉투의 제작을 봉투제작업체(205)에게 의뢰하고, 봉투제작업체(205)는 바코드 처리를 담당하는 외주업체(204)의 지원을 받아 쓰레기봉투를 제작하여 구청이나 군청으로 납품한다.
시청의 서버(201)는 쓰레기봉투의 생산, 유통, 판매 및 처리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 관리한다.
구ㆍ군청에서는 쓰레기봉투를 판매대행사(206, 207)의 신청에 따라 분류 배분하고, 이는 지정판매소(209)로 판매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ㆍ군청에서의 쓰레기봉투 판매 정보는 휴대용단말기(PDA)를 통해 관리서버(202)가 그 정보를 관리한다.
지정판매소(209)는 밴(VAN)(은행)사(208)에서 제공하는 아이디(ID) 카드를 이용하여 읍ㆍ면ㆍ동및 판매대행사(206, 207)에서 봉투를 직접 수령한다.
쓰레기 수거시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용량을 확인하고, 구ㆍ군의 관리서버(202)로 무선으로 전송하여 비용을 결정한다. 즉, 쓰레기 수거차량의 활동 정보, 쓰레기 매립장에서의 쓰레기 매립 정보를 쓰레기 수거차량(211) 및 쓰레기 매립장의 서버(210)으로부터 모두 들을 수 있어 신뢰성있는 정보를 얻게 된다. 그리하여, 쓰레기 수거 용역업체에 공정한 대금을 정산한다.
이때, 쓰레기 수거차량(211)과 쓰레기 매립장 서버(210)의 동작을 다시 설명하면, 쓰레기 수거차량(211)은 처리량을 구ㆍ군의 관리서버(202)로 전송하고, 구ㆍ군의 관리서버(202)는 확인정보를 제공한다. 쓰레기 매립장의 서버(210)은 쓰레기 수거차량(211)이 반입하여 매립한 쓰레기 매립 정보를 구ㆍ군의 관리서버(202)로 전송하고, 구ㆍ군의 관리서버(202)는 확인정보를 제공한다.
지정판매소(209)에서의 아이디(ID) 카드 사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일괄적으로 지정판매소 운영자는 아이디(ID) 카드를 부여받는다.
아이디(ID) 카드를 판독기로 확인한다.
지정판매소(209)의 공급량을 확인한 후 밴(VAN)(은행)사(208)와 연결된 구좌 잔액을 확인한다.
그리하여, 지정판매소(209)에 공급된 판매량을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다.
쓰레기봉투의 유통에 있어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구(군)청에서는 바코드를 이용한 입ㆍ출고, 재고관리가 이루어지며, 일ㆍ주ㆍ월별 판매추이를 분석할 수 있고, 수요 공급 예측으로 적정 재고관리가 가능하며, 일 마감 정보를 시청으로 전송하고, 보고서를 출력 보관하여 자료를 남길 수 있다.
판매대행사에서는 일 단위 재고 파악이 가능하고, 일 마감 정보를 구(군)청으로 전송한다. 또한, 보고서 출력 보관하여 자료를 남길 수 있다.
따라서, 시청, 구(군)청 및 읍ㆍ면ㆍ동 사무소에서는 전산화 처리가 수행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서의 쓰레기봉투 생산 및 판매에 대한 일실시예 처리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서의 쓰레기 봉투 생산 및 판매 운영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청(31), 구(군)청(32), 외주 업체(33) 및 제작 업체(34)의 연계에 따른 쓰레기봉투의 제작 및 관리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시청(31)에는 쓰레기봉투의 판매로 인해 발생하는 수입을 처리하는 세외수입 전자결재 서버(36)와 쓰레기봉투의 종합관리를 수행하는 쓰레기봉투 종합관리 서버(35)가 있다.
우선, 구(군)청(32)에서는 제작 업체(34)로 쓰레기봉투 제작을 의뢰한다(301). 또한, 구(군)청(32)에서는 바코드 업무지원을 외주 업체(33)에 요청한다(302). 제작 업체(34)는 쓰레기봉투를 제작하고, 외주 업체(33)는 바코드 인쇄작업을 수행한다(303).
제작 업체(34)는 제작되어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구(군)청(32)에 납품하고(304), 외주 업체(33)는 바코드 업무지원 처리 결과 및 발생 상황을 구(군)청(32)에 실시간 일관처리한다.(302).
구(군)청(32)에서는 일일 마감현황 및 재고 현황을 시청(31)으로 보고하고(305), 그에 따른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306).
시청(31)은 구(군)청(32)으로부터 처리현황을 접수받을 뿐만 아니라, 외주 업체(33)로부터 작업내용을 전송받는다(307). 이렇게 함으로써 시청(31)에서도 역시 다각적으로 쓰레기봉투의 처리를 관리하여 정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시청(31)은 전송받은 내용에 대해 세외수입 관련은 세외수입 전자결재 서버(36)가 처리하고, 쓰레기봉투 관리의 관련한 사항은 쓰레기봉투 종합관리 서버(35)가 처리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서의 쓰레기봉투 생산 및 판매에 대한 다른 실시예 처리도이다.
시청(41), 구(군)청(42) 및 읍ㆍ면ㆍ동의 판매대행사(43)은 시정망(40)으로 연결되어 있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구(군)청(42)에서는 제작업체(45)에 쓰레기봉투 제작을 의뢰하고(401), 외주업체(44)에는 바코드 관련하여 쓰레기봉투 제작 지원을 의뢰한다(402).
제작업체(45)는 쓰레기봉투를 제작하고, 외주업체(44)는 제작업체(45)의 쓰레기봉투 생산 과정 중 바코드 업무를 지원하여, 쓰레기봉투가 제작되도록 한다(403).
제작업체(45)는 바코드를 부착한 쓰레기봉투를 구(군)청(42)에 납품한다(404).
읍ㆍ면ㆍ동의 판매대행사(43)는 구(군)청(42)으로부터 쓰레기봉투의 판매 대행을 허가받거나 요청받아 이의 판매를 대행한다.
각 지역에 있는 쓰레기봉투 지정판매소(46)에서는 쓰레기봉투 판매를 위해 허가받아 지급받은 아이디(ID) 카드를 영수증과 함께 읍ㆍ면ㆍ동및 판매대행사(43)에 제시하고(409), 쓰레기봉투를 출고받아 수령한다(410).
그리하여, 지정판매소(46)는 쓰레기봉투 판매를 하게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선, 구(군)청이 쓰레기봉투를 제작하는 제작업체와 쓰레기봉투의 바코드 인쇄를 지원할 외주업체에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 생산을 의뢰한다(501).
쓰레기봉투 제작업체가 외주업체의 지원을 받아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생산하여 구(군)청으로 납품을 한다(502).
구(군)청은 수령한 쓰레기봉투를 읍ㆍ면ㆍ동 판매대행사의 신청에 따라 분류하여 배분한다(503).
읍ㆍ면ㆍ동의 판매대행사는 밴(VAN)(은행)사에서 제공한 아이디(ID) 카드를 이용한 지정판매소의 쓰레기봉투 요청에 따라 쓰레기봉투를 판매하고, 판매 정보는 구(군)청에 전달한다(504).
상기한 쓰레기 봉투의 생산 의뢰부터 지정판매소로의 판매의 과정들에 있어 구(군)청의 관리서버는 처리 현황을 수시로 접수하여 관리하고, 이를 상급기관인 시(도)청으로 통지한다. 시(도)청의 서버는 각 구(군)청의 쓰레기봉투 판매 및 처리에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관리한다.
지정판매소는 판매대행사로부터 쓰레기봉투를 수령하여 쓰레기봉투의 개인판매를 실시한다(505).
개인에게 판매된 쓰레기봉투에 쓰레기가 담겨 배출된다(506).
쓰레기 수거차량이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를 수거하고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확인하여 유, 무선망을 통해 구(군)청으로 쓰레기 및 쓰레기봉투 수거를 통보한다(507).
쓰레기 매립장의 서버가 쓰레기 수거차량에 의해 반입된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확인하여 통신망을 통해 구(군)청으로 쓰레기 및 쓰레기봉투의 반입을 통보한다(508).
구(군)청은 쓰레기 수거차량으로부터의 쓰레기 수거 정보와 쓰레기 매립장으로부터의 쓰레기 수거 정보를 확인하여 쓰레기 처리 현황을 관리하고, 쓰레기 수거 용역업체에 지불한 대금을 정산한다(509).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바코드를 활용한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를 통해 쓰레기봉투 전담 담당자의 부족과 담당자의 짧은 재직기간(통상 8~9개월)을 보완하여 업무 미숙으로 인한 징계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 관리 물량의 방대함과 15종의 장부를 전산처리하여 업무 경감 및 철저한 재고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한 물품 관리로 쓰레기봉투 공금 횡령 및 유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쓰레기봉투 불법 제작 및 유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 판매량의 정확한 통계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 있어서,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생산, 유통, 판매 및 처리에 대해 제어 관리 및 해당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수단;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수령하여 판매를 수행하기 위한 판매수단;
    상기 판매수단에 의해 판매된 쓰레기봉투를 수거하여 바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관리수단으로 쓰레기봉투의 수거를 통지하기 위한 수거수단; 및
    상기 수거수단에 의해 수거된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관리수단으로 통지하고 수거된 쓰레기봉투의 처리를 관리하기 위한 처리관리수단
    을 포함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의 요청을 받아 상기 제작수단에서의 쓰레기봉투 제작에 있어 바코드 인쇄를 지원하기 위한 바코드 처리수단
    을 더 포함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작수단에 의해 제작된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수령하여 관리하고 상기 판매수단의 쓰레기봉투 요청에 대해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제공하고 이를 상기 관리서버에 통보하기 위한 판매대행수단
    을 더 포함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아이디(ID) 카드 형태의 식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5.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방법에 있어서,
    구(군)청이 쓰레기봉투의 물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생산을 제작업체에 의뢰하는 제 1 단계;
    상기 구(군)청이 제작업체로부터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수령하여 관리하는 제 2 단계;
    식별정보가 부여된 판매소로부터의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판매 요청에 따라 판매하고 판매 정보를 상기 구(군)청이 관리하는 제 3 단계;
    상기 구(군)청이 상기 판매소가 판매한 쓰레기봉투를 쓰레기와 함께 수거한 수거차량으로부터 바코드를 통해 획득된 수거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구(군)청이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를 상기 수거차량으로부터 반입받은 쓰레기 매립장으로부터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통해 획득된 반입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구(군)청이 상기 제작업체의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 생산을 지원하기 위해 바코드 인쇄 처리를 수행하는 외주업체에 바코드 인쇄 지원을 요청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작업체가 쓰레기봉투를 생산하는 제 7 단계;
    상기 외주업체가 상기 제작업체를 지원하여 생산된 쓰레기봉투에 바코드 인쇄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작업체가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상기 구(군)청에 납품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구(군)청이 상기 제작업체로부터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수령하여 생산정보와 함께 쓰레기봉투를 관리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구(군)청이 읍ㆍ면ㆍ동에 위치하는 판매대행사로부터의 신청에 따라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분류하여 배분하고 해당 정보를 관리하는 제 6 단계;
    상기 판매대행사가 밴(VAN)(은행)사에서 제공하는 아이디(ID) 카드를 상기 식별정보로 이용하는 상기 판매소로부터 상기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판매를 요청받아 판매하고 판매 정보를 상기 구(군)청으로 전달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구(군)청이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판매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차량은,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식별할 수 있도록 바코드 인식기를 구비하며,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거된 쓰레기봉투의 정보를 상기 구(군)청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매립장은,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식별할 수 있도록 바코드 인식기를 구비하며, 통신망을 통해 반입된 쓰레기봉투 및 쓰레기 정보를 상기 구(군)청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방법.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군)청은,
    관리서버를 통해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생산, 유통, 판매 및 처리 등의 전반적인 쓰레기봉투 물류 정보를 관리하고, 소정 주기에 쓰레기봉투 물류 정보를 상급기관인 시(도)청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도)청은,
    서버를 통해 각 구(군)에서 처리되는 쓰레기 및 쓰레기봉투의 물류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방법.
  12.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방법에 있어서,
    관리서버가 쓰레기봉투의 물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생산을 의뢰하는 제 1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수령하여 관리하는 제 2 단계;
    식별정보가 부여된 판매소로부터의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판매 요청에 따라 판매하고 판매 정보를 상기 관리수단이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3 단계;
    상기 관리수단이 상기 판매소가 판매한 쓰레기봉투를 쓰레기와 함께 수거한 수거차량으로부터 바코드를 통해 획득된 수거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관리수단이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를 상기 수거차량으로부터 반입받은 쓰레기 매립장으로부터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통해 획득된 반입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방법.
  13. 프로세서를 구비한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에,
    쓰레기봉투의 물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생산을 의뢰하는 제 1 기능;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수령함에 따른 쓰레기봉투의 수령 및 보관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제 2 기능;
    식별정보가 부여된 판매소로부터의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판매 요청에 따라 판매된 쓰레기봉투의 판매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3 기능;
    상기 판매소가 판매한 쓰레기봉투를 쓰레기와 함께 수거한 수거차량으로부터 바코드를 통해 획득된 수거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4 기능; 및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를 상기 수거차량으로부터 반입받은 쓰레기 매립장으로부터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통해 획득된 반입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제 5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30912A 2000-06-05 2000-06-05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52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912A KR100352684B1 (ko) 2000-06-05 2000-06-05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912A KR100352684B1 (ko) 2000-06-05 2000-06-05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422A true KR20000054422A (ko) 2000-09-05
KR100352684B1 KR100352684B1 (ko) 2002-09-16

Family

ID=1967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912A KR100352684B1 (ko) 2000-06-05 2000-06-05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6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752A (ko) * 2002-05-01 2003-11-07 박인호 네트워크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관리 시스템
KR100825128B1 (ko) * 2006-05-16 2008-04-25 김경남 바코드 납부필증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관리 시스템
GB2488996A (en) * 2011-03-11 2012-09-19 Imp Polythene Products Ltd Refuse carrier tracking system
KR102298554B1 (ko) 2021-07-08 2021-09-07 (주)제이엠테크 종량제봉투, 납부필증 및 대형폐기물 수거 수수료 스티커 판매 자판기를 이용한 통합 판매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507B1 (ko) 2005-10-20 2007-07-06 윤동현 쓰레기봉투로 활용할 수 있는 포장봉투의 유통시스템 및유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083A (ko) * 1997-04-30 1998-11-25 박인호 생활쓰레기 재활용 종합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752A (ko) * 2002-05-01 2003-11-07 박인호 네트워크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관리 시스템
KR100825128B1 (ko) * 2006-05-16 2008-04-25 김경남 바코드 납부필증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관리 시스템
GB2488996A (en) * 2011-03-11 2012-09-19 Imp Polythene Products Ltd Refuse carrier tracking system
KR102298554B1 (ko) 2021-07-08 2021-09-07 (주)제이엠테크 종량제봉투, 납부필증 및 대형폐기물 수거 수수료 스티커 판매 자판기를 이용한 통합 판매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2684B1 (ko) 200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89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recycling through the use of financial incentives
CN107748962A (zh) 一种饮料企业产销一体化管理系统
CN110334950B (zh) 铁塔智能化生产及集团管控系统
JP2002041643A (ja) 製品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
DE10109435A1 (de) Recyclingverwaltungssystem und Recyclingverwaltungsverfahren
CN109636447A (zh) 商品销量分析系统
CN109087115A (zh) 一种基于电子发票的商品质量追溯和质量保证方法
JP3361051B2 (ja) 環境情報管理システム
CN111798221A (zh) 一种增值税发票管理系统
CN101339681A (zh) 一卡通预付费系统
CN110598882A (zh) 一种回收可回收包装物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20010002464A1 (en) Scanner-based automated service scheduling, management and billing system
KR20000054422A (ko)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137451A2 (en) Point source asset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1192669A (zh) 一种医共体下的医院与供应商预付账款的自动对账方法
Soga et al. Products lifecycle management system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WO2000051038A1 (en) Distribution management and inventory control system
US20220366380A1 (en) Incentive-based waste redu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4255149B (zh) 基于无废城市的固危废一张网管理系统及垃圾监管系统
CN114663033B (zh) 物品回收动态盘库方法、系统和存储介质
CN115860635A (zh) 一种基于电子标签的实验室危险化学品管理系统
CN110070342A (zh) 一种排污权交易标准化服务平台
CN115293704A (zh) 一种物流信息管理系统
KR102407277B1 (ko) 종량제 물품 레이블 생성 장치, 이를 이용한 종량제 물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3455B1 (ko)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