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179A -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및이를 위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및이를 위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179A
KR20000054179A KR1020000028328A KR20000028328A KR20000054179A KR 20000054179 A KR20000054179 A KR 20000054179A KR 1020000028328 A KR1020000028328 A KR 1020000028328A KR 20000028328 A KR20000028328 A KR 20000028328A KR 20000054179 A KR20000054179 A KR 20000054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medium
effect
advertising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진
Original Assignee
최노림
주식회사 엔즈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노림, 주식회사 엔즈웰 filed Critical 최노림
Priority to KR102000002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4179A/ko
Publication of KR2000005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179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광고주 또는 광고주의 경쟁사/경쟁제품에 대한 매체 및 광고 효과를 프로그램화된 기법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분석 및 예측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은 (a) TV 및 라디오를 포함하는 전파 매체의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률을 적용하고, 신문 및 잡지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의 발행 부수에 상기 인쇄 매체의 회독률 및 열독점유율을 적용하여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 인원수 및 상기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전파 매체 및 상기 인쇄 매체의 광고 모니터 자료에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 인원수와 상기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를 병합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백분율 개념이 아닌, 인구수 개념에 기초하여 매체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가시청취권의 차이로 인한 "정확성"의 오류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체별 비교 및 매체간의 비교를 아울러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넷 매체, PC 통신 및 옥외 매체 등의 기타 매체의 매체 효과 자료를 병합하여 종합적인 매체 효과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Method for analysing media effect in media business for advertiseme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for}
본 발명은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광고주 또는 광고주의 경쟁사/경쟁제품에 대한 매체 및 광고 효과를 "프로그램화된 기법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분석 및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광고 업무의 일반적인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기업의 이미지 또는 제품 광고를 위한 광고 업무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흐름에 따라 진행된다. 우선, 광고주가 광고 의사를 결정하면, 기획팀 및/또는 마케팅팀에서 광고 전략을 수립하고, 광고 예산이 설정된다. 그 후,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전략이 수립되고, 각 매체를 위한 광고물이 제작된 후,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집행이 이루어진다.
도 2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의 일반적인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광고 예산이 수립되면(예산 수립), 매체 기획의 첫단계로써, 타깃 오디언스(target audience) 및/또는 경쟁사/경쟁제품의 광고 모니터 자료를 분석한다(데이터 분석). 그리고, 상기 데이터 분석 자료를 기초로 매체 선정 가이드 생성 및 시청률 예측 등을 통하여 매체 전략안을 수립하고(매체 전략안 수립), 매체 효과 예측 등을 통하여 목표 합의/설정을 한다(목표 합의). 다음으로, 광고물을 제작하여 구체적인 매체 집행을 수행한다(매체 집행). 매체 집행 후에는 집행 확인 과정을 통하여 비용 처리가 이루어지고(집행 확인),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 분석 작업이 수행되어(효과 분석), 광고주에게 피드백된다(FEEDBACK).
본 발명은 광고 예산의 수립에서부터 매체 기획, 집행, 집행 결과에 대한 효과 분석, 차기 광고 전략의 수립을 위한 피드백 등의 전과정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프로그램화된 기법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의 하나로, 구체적으로는 매체 업무 중 데이터 분석 단계 및 효과 분석 단계에서의 광고주 또는 광고주의 경쟁사/경쟁제품에 대한 매체 효과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매체 전략안 수립 단계에서의 매체 선정 가이드 생성 및 매체 집행 계획안에 따른 매체 효과 및 광고 효과의 예측 방법, 효과 분석 단계에서의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을 아울러 제공한다.
국내의 대부분의 광고대행사는 매체 효과 분석 업무를 위한 자동화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지 못함에 따라, 매체 효과 분석 업무를 포기하거나, 원시 자료 형태로 광고주에게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왜냐하면, 매체 관련 자료는 업체마다 각기 다양한 양식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취합하여 정보의 형태로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자동화된 시스템이란 매체 효과 분석 업무를 프로그램화된 기법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말하며, 종래에는 이러한 작업의 상당 부분이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이로 인하여,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매체 효과 예측, 매체 선정 가이드 생성, 광고 효과 분석 및 예측 업무도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없었다. 이하에서는 매체 효과 분석 업무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일부 대형 광고대행사는 매체 효과 분석 업무를 위한 자동화된 시스템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들은 치명적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시청취율 및 열독율 관련 조사 자료들이 "백분율" 개념에 근거하고 있는 바, 이들 시스템들은 이러한 백분율에 기초한 수치들을 단순합하여 매체 효과 분석의 지수를 산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에 의할 경우, 예를 들어, TV와 신문간의 매체간 비교가 무의미 또는 불가능하다.
또한, 방송국간 비교에서도 정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왜냐하면, KBS2 TV, MBC TV, SBS TV 등 주요 방송국 사이에는 가시청취권 영역의 격차가 엄연히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현실적으로 방송국간 방송광고비를 비교하면, 이러한 가시청취권 영역의 차이가 일부 반영되어 SBS TV의 광고비가 다른 방송국 광고비의 80% 수준으로 책정되고 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백분율 개념에 근거한 매체 효과 분석 방법은 이러한 측면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종래의 백분율 개념에 근거한 매체 효과 분석의 문제점을 지역별 시청률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서울에서 측정된 3개 방송국의 시청률 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할 경우, 이들 방송국의 서울에서의 시청률은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수치상의 단순 비교에 의하면, 광고비가 상대적으로 낮은 SBS TV의 광고시간대를 구매하여 집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될 수 밖에 없다. 또한, 부산에서 측정된 시청률 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할 경우, MBC 전국권 프로그램의 시청률과 PSB 부산 방송의 시청률은 큰 격차를 보이기 않기 때문에 부산 지역 방송국의 광고비가 전국 방송국의 광고비에 비하여 훨씬 낮음을 고려할 경우에 전국권 방송국의 전국권 프로그램에 광고를 집행하는 것은 부산KBS, 부산MBC, PBC(부산 방송) 등의 지역 프로그램에 광고를 집행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될 수 밖에 없다.
결국, 매체 전략 수립 및 프로그램 선정 작업 등의 광고 업무에서 의사 결정의 기초가 되는 매체 효과 분석 업무를 위하여 가장 과학적인 방법이 사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백분율 개념에 기초한 종래의 방식은 "방송국별 가시청취권의 차이"가 무시됨에 따라 정확성에서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TV 외의 다른 매체의 백분율 자료에도 상기 문제점은 동일하게 내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부산 지역에서는 부산일보의 열독율이 조선일보보다 높게 나타나기도 하며, 심지어 국제신문의 열독율도 중앙-동아-한국일보 등의 대형 중앙지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광고업계의 화두인 다매체 환경의 도래, 양방향 매체(interactive media)의 위상 강화 등에 따라 전통적인 TV, 라디오, 신문 및 잡지로 구성되는 4대매체 이외의 매체(이하, 기타 매체라고 참조함)의 활용 비율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백분율 자료에 기초한 매체 효과 분석 방법은 정확성 측면 외에도 또다른 심각한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왜냐하면, 기타 매체의 매체력은 백분율 개념의 수치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의 경우에는 클릭수 또는 페이지뷰(page view), PC 통신의 경우에는 가입자수, 옥외 전광판의 경우에는 통행량, 지하철 광고의 경우에는 역별-호선별 탑승 인원 및 이벤트의 경우에는 참가 인원 등의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수"로 임프레션(impression)이 집계된다. 따라서, 4대매체의 백분율 자료와 기타 매체의 매체 효과 자료가 상호 호환 또는 융합되지 않음에 따라, 종합적인 매체 효과의 산출이 불가능 또는 무의미하게 된다. 이는 더 이상 전통적인 의미의 대중 매체가 광고 매체의 역할을 독점할 수 없는 시대적 상황을 감안할 경우에는 더욱 문제가 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종래의 매체 효과 분석 방식에서는 광고 모니터 자료에서 분석 대상이 되는 광고주, 업종 및 제품 등을 각각의 레벨에서 여러번의 검색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이러한 여러번의 작업을 통하여 검색된 결과를 단순 반복적인 수작업을 통하여 다시 종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보고서를 생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파 매체의 가시청취 인원과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을 추정하여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수"에 기초하여 전파 매체 및 인쇄 매체의 매체 효과를 산출하고, 4대 매체의 매체 효과를 인터넷 매체 등을 통한 매체 효과와 병합함으로써 종합적인 매체 효과 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매체 효과 분석 과정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프로그램화된 기법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수행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매체 선정 가이드 생성 방법, 매체/광고 효과의 예측 방법, 광고 효과의 분석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아울러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광고 업무의 일반적인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의 일반적인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 분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기초한 매체 선정 가이드 생성 방법, 매체 효과 예측 방법,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광고 효과 예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 효과 분석 방법에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옥외 매체 및 인터넷 매체의 매체 효과 자료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을 위한 분석 조건의 사용자 입력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결과의 출력 양식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기초하여 산출된 매체 선정 가이드 자료, 매체 효과 예측 자료, 광고 효과 분석 자료 및 광고 효과 예측 자료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일측면에 의한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은,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a) TV 및 라디오를 포함하는 전파 매체의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률을 적용하고, 신문 및 잡지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의 발행 부수에 상기 인쇄 매체의 회독률 및 열독점유율을 적용하여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 인원수 및 상기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전파 매체 및 상기 인쇄 매체의 광고 모니터 자료에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 인원수와 상기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를 병합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 인원수 산출 단계는,
(a1) 인구 센세스 자료와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방송국 카버리지 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전파 매체의 가시청취권 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a2) 상기 (a1) 단계에서 산출된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시청취률을 적용하여 시청취 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1) 단계에서의 방송국 카버리지 자료는 PC 통신 또는 인터넷을 활용하여 조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1) 단계는,
(a11) 지역별로 오디언스 표본을 구성하는 단계;
(a12) 상기 (a11) 단계에서 구성된 지역별 오디언스 표본을 통하여 지역별 가시청취 방송국 및 시청취 방법을 조사하는 단계; 및
(a13) 상기 (a12) 단계에서 조사된 방송국의 방송이 특정 지역에서 공중파에 의하여 시청취될 경우에는 인구 센서스 자료에서의 상기 특정 지역의 전체 인구수를 상기 방송국의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포함시키고, 공중파 이외의 방법으로 시청취될 경우에는 인구 센서스 자료에서의 상기 특정 지역의 전체 가구수 중에서 해당 시청취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장치를 구비한 가구의 비율에 비례한 인구수를 상기 방송국의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 산출 단계는,
(a1) 상기 인쇄 매체의 발행 부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매체의 회독률을 적용하여 가독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a2) 상기 (a1) 단계에서 산출된 가독부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열독점유율을 적용하여 열독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인터넷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서의 매체 효과 자료를 함께 병합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옥외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서의 매체 효과 자료를 함께 병합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누적치 항목 및 오디언스 1000명에 도달하기 위해 소요된 광고비 항목을 산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누적치를 전체 오디언스의 인원수로 나눈 값인 산술합계된 시청취율 항목 및 산술합계된 시청취율 1 포인트를 획득하기 위하여 소요된 광고비 항목을 산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분석 대상 항목 및 분석 기간 항목을 포함하는 분석 조건 입력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분석 조건에 따라, 상기 광고 모니터 자료에서 해당 자료를 검색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분석 조건 입력 화면에서의 분석 대상 항목은 복수의 광고주를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광고주로 지정할 수 있는 광고주 부항목, 복수의 업종을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업종으로 지정할 있는 업종 부항목 및 복수의 제품을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제품으로 지정할 수 있는 제품 부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 대상 항목이 복수개의 부항목을 포함할 경우, 상기 분석 대상 항목의 각 부항목을 함께 만족하는 자료를 검색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매체 효과를 광고주 또는 제품 단위로 한정하지 않고, 기간별 또는 타깃 오디언스 전체로 통합하여, 매체 선정 가이드로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매체 효과와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도달율 또는 유효 도달율 사이의 상관 관계를 회귀 분석하고, 매체 집행 계획에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시청취 인원수와 열독인원수를 병합하여 예측 매체 효과를 산출하고, 상기 예측 매체 효과에 상기 회귀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상기 매체 집행 계획에 따른 예측 도달율 또는 예측 유효 도달율을 추정함으로써, 매체 집행 계획에 따른 매체 효과 예측에 활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적어도 인지율 지수를 포함하는 마케팅 자료를 병합하여 광고 효과 분석에 활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매체 효과와 상기 마케팅 자료 사이의 상관 관계 또는 상기 마케팅 자료에 포함되는 지수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회귀 분석하고, 매체 집행 계획에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시청취 인원수와 열독인원수를 병합하여 예측 매체 효과를 산출하고, 상기 예측 매체 효과에 상기 회귀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상기 매체 집행 계획에 따른 예측 마케팅 자료를 추정함으로써, 매체 집행 계획에 따른 광고 효과 예측에 활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다른 측면에 의한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은,
또한,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TV 및 라디오를 포함하는 전파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a) 인구 센세스 자료와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방송국 카버리지 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전파 매체의 가시청취권 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시청취률을 적용하여 시청취 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파 매체의 광고 모니터 자료에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시청취 인원수를 병합하여 전파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또다른 측면에 의한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은,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신문 및 잡지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a) 상기 인쇄 매체의 발행 부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매체의 회독률을 적용하여 가독부수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가독부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열독점유율을 적용하여 열독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쇄 매체의 광고 모니터 자료에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열독인원수를 병합하여 인쇄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a) TV 및 라디오를 포함하는 전파 매체의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률을 적용하고, 신문 및 잡지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의 발행 부수에 상기 인쇄 매체의 회독률 및 열독점유율을 적용하여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 인원수 및 상기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전파 매체 및 상기 인쇄 매체의 광고 모니터 자료에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 인원수와 상기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를 병합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TV 및 라디오를 포함하는 전파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a) 인구 센세스 자료와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방송국 카버리지 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전파 매체의 가시청취권 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시청취률을 적용하여 시청취 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파 매체의 광고 모니터 자료에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시청취 인원수를 병합하여 전파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신문 및 잡지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a) 상기 인쇄 매체의 발행 부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매체의 회독률을 적용하여 가독부수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가독부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열독점유율을 적용하여 열독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쇄 매체의 광고 모니터 자료에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열독인원수를 병합하여 인쇄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 분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백분율 개념이 아닌,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수"라는 임프레션 개념을 사용하여 매체 효과를 분석하는 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매체 효과 분석의 지수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매체 효과 분석 지수에는 GI(Gross Impressions)와 CPM(Cost Per Mille)이 있다. GI란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누적치를 말하며, CPM이란 오디언스 1000명에 도달하기 위해 소요된 광고비를 말한다. 또한, 시청취률의 산술합계인 GRPs(Gross Rating Points)는 종래와는 달리, "가시청취권 영역의 차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누적치를 전체 오디언스의 인원수로 나눈 값으로 정확히 재정의하여 사용하며, GRP 1 포인트를 획득하기 위하여 소요된 광고비인 CPP/CPRP(Cost Per rating Point)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RP 개념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이하에서의 GRP 및 CPP란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RP/CPP를 의미하며, 종래의 개념을 의미할 경우에는 별도의 용어를 사용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백분율 개념의 척도가 아닌, 인구수 개념의 척도를 사용함에 의하여 종래의 "정확성"의 오류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매체의 매체 효과가 인구수 개념에 의하여 분석되므로, 매체별 비교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매체간의 비교가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합적인 매체 효과 분석을 위하여 별도로 조사된 도달률(1회 이상 도달한 비율, 즉 "R1+"로 표현됨) 및/또는 유효 도달률(3회 이상 도달한 비율, 즉 "R3+"로 표현됨) 지수를 함께 병합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동작 동작 방식을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파 매체(TV, 라디오)의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시청취률을 적용하고, 인쇄 매체(신문, 잡지)의 발행 부수에 회독률 및 열독(점유)율을 적용하여 시청취 인원수 및 열독인원수를 산출한다(단계 310). 도 3b는 단계 310에서의 전파 매체의 시청취 인원수를 산출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d는 단계 310에서의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를 산출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전파 매체의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우선, 인구 센서스 자료와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방송국 카버리지에 근거하여 전파 매체의 가시청취권 인원수, 즉 모집단 인원을 산출/추정한다(단계 312). 여기서, 인구 센서스 자료로는 통계청에서 발표되는 인구주택총조사 자료(지역별/성별/연령별 인구수)를 활용할 수 있다. 도 3c는 단계 312에서의 모집단 인원 산출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모집단 인원을 산출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지역별로 오디언스 표본을 구성한다(단계 312a). 예를 들어, 우편번호상에 존재하는 시-군-구 단위로 지역별 표본을 선정하고, 선정된 표본으로 패널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표본/패널 구성 작업은 PC 통신 또는 인터넷을 활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지역별 가시청취 방송국 및 시청취 방법을 파악한다(단계 312b). 이를 위하여, 지역별 표본이 거주하는 지역의 가시청취 방송국을 취합하고, 시청취 방법(예를 들어, 공중파, 중계 유선, CATV, 위성 안테나 등)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단계 312b에서의 조사 자료에 의거하여, 해당 표본의 거주 지역이 공중파에 의한 가시청취 권역이라면, 해당 시-군-구는 전체가 가시청취 권역인 것으로 간주하여, 해당 지역의 전체 인구수를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포함한다(단계 312c). 만약, 해당 지역이 중계 유선 등의 물리적인 장치에 의한 가시청취 권역이라면 이러한 물리적인 장치를 구비한 가구의 비율을 조사하여, 해당 지역의 전체 가구수에서 상기 가구의 비율에 비례한 인구수를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포함한다. 계속해서, 도 3b의 다음 단계를 설명한다.
단계 312를 통하여, 모집단 인원이 산출되면, 방송국별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자료 제공 업체에서 제공함) 시청취률을 적용하여 지역별/성별/연령별 시청취인원을 산출하게 된다(단계 314).
계속해서, 도 3d를 참조하여,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 산출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인쇄 매체의 발행 부수에 매체별 회독율을 적용하여 매체별 가독부수를 산출한다(단계 322). 여기서, 발행 부수 자료로는 사단법인 한국ABC협회에서 발표되는 발행부수공사보고서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회독율이란 예를 들어, 조선일보 1부는 평균 1.5명이 돌려본다는 등의 지표값을 말한다.
다음으로, 매체별 가독부수에 열독점유율을 적용하여 성별/연령별 열독인원수를 산출하게 된다(단계 324). 여기서, 열독점유율이란 해당 인쇄 매체를 보는 사람들의 성별/연령별 비율을 말한다. 계속해서, 도 3a의 다음 단계를 설명한다.
단계 310을 통하여 산출된 시청취 인원수와 열독인원수를 광고 모니터 자료에 적용/병합하여 매체 집행 내역 및 내역별 매체 효과 지수를 산출하게 된다(단계 330). 본 발명은 매체 효과 지수로 GI 및 CPM을 기본적으로 산출한다. 물론, 본 발명에서 재정의한 GRPs와 CPP를 함께 산출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매체 효과 분석 보고서를 출력함으로써(단계 350), 매체 효과 분석 과정이 완료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파 매체 및 인쇄 매체 외의 기타 매체(인터넷 매체, PC 통신, 옥외 매체 등)를 통한 매체 집행에서의 매체 효과 자료를 함께 병합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옥외 매체란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수단, 극장, 경기장 또는 이벤트 행사 등을 통하여 수행되는 SP(Sales Promotion) 매체 광고를 말한다. 이러한 기타 매체의 매체 효과 지수는 기본적으로 "인원수"에 기초하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GI 개념과 상호 호환 또는 융합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 효과 분석 방법에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옥외 매체의 매체 효과 자료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 5b는 인터넷 매체(PC 통신 포함)의 매체 효과 자료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분석 조건 입력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분석 조건에 따라, 광고 모니터 자료에서 해당 자료를 검색한 후, 검색된 자료에 대하여 매체 효과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동작함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조건 입력 화면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을 위한 분석 조건의 사용자 입력 화면(업종 화면 기준), 도 6b는 광고주 지정 화면 및 도 6c는 제품 지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사용자 입력 화면은 분석 대상 항목 및 분석 기간 항목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보고서의 출력 양식 항목 및 분석 종류 항목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대상 항목은 업종, 광고주 및 제품 부항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업종 부항목은 복수의 업종을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업종으로 지정할 수 있고, 광고주 부항목은 복수의 광고주를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광고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제품 부항목은 복수의 제품을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제품으로 지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 부항목에서 분석 대상을 복수개로 지정할 수 있음에 따라, 단지 한번의 검색으로 원하는 자료를 "모두"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에는 업종, 광고주 및 제품의 세가지 부항목이 모두 포함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입력 화면을 도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부항목 또는 두개의 부항목만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화면도 가능하며, 그외의 새로운 부항목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복수개의 부항목을 포함할 경우, 본 발명은 각 부항목의 분석 조건을 함께 만족하는 광고 자료만을 검색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결합 검색을 통하여 원하는 자료"만"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고 자료에서의 업종 분류, 광고주명 및 제품명이 상식적으로 사용되는 명칭과 일치하지 않는 측면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 항목에 포함되는 부항목중에서, 필요에 따라 특정 부항목에 대하여는 해당 문자열과 일치하는 광고 자료 및 해당 문자열을 포함하는 광고 자료를 함께 검색하는 기능을 지원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화면을 통하여 단계 350에서의 출력 양식이 함께 지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출력 양식은 분석 기간 및 분석 대상의 사용자 입력 화면과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 화면으로 단계 330과 단계 350 사이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출력 양식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고, 표준화된 형식으로 출력 양식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결과의 출력 양식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달률(R1+) 및 유효 도달률(R3+) 지수를 함께 병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제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파 매체와 인쇄 매체의 매체 효과를 함께 분석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으나, 전파 매체의 매체 효과 분석을 위한 실시예 및 인쇄 매체의 매체 효과 분석을 위한 실시예도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 효과 분석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계속해서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실시예들, 즉 매체 선정 가이드 생성 방법, 매체 효과 예측 방법,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광고 효과 예측 방법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기초한 매체 선정 가이드 생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매체 선정 가이드란 도 3a의 단계 330에서 산출되는 매체 효과를 광고주 또는 제품 단위로 한정하지 않고(도 6a의 사용자 입력 화면에서 분석 대상 항목을 전체 항목으로 지정하는 경우임), 기간별 또는 타깃 오디언스 전체로 통합하여, 매체 계획을 위한 판단 근거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매체 선정 가이드 생성 방법은 도 3a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과 유사하게 동작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310에서와 같이, 전파매체의 시청취 인원수 및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를 산출한 후(단계 410), 광고 모니터 자료에 상기 시청취 인원수 및 열독인원수를 적용하고, 전체 광고주/제품에 대하여 매체 효과 지수를 생성하게 된다(단계 412).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기초하여 산출된 매체 선정 가이드 자료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TV 매체/비이클 선정 가이드를 CPM 순으로 정렬한 것이다.
계속해서, 매체 효과 예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기초한 매체 효과 예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매체 효과 예측이란 매체 계획에 책정된 광고 집행 스케쥴에 따른 예상 GI 등을 산출하고, 매체 효과에 대한 회귀 분석 모델을 반영하여 예상 도달율 등을 추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우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의 단계 310 및 단계 330에 대응하는 단계 420 및 단계 422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매체 효과 분석 과정에서 산출된 매체 효과 지수(GI 등)와 도달율 및/또는 유효 도달율 사이의 상관 관계를 회귀 분석한다(단계 424). 단계 424에서 사용되는 회귀 분석 모델을 일반적으로 R&F 모델(Reach & Frequency Model)이라고 하며, 과거의 광고 집행 내역을 분석하여 GI 등과 Rn+(n회 이상 도달율) 사이의 상관 관계를 회귀분석한 모델을 말한다. 이러한 R&F 모델에서의 구체적인 회귀식은 다양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매체 집행 계획에 시청취 인원수와 열독 인원수를 적용/병합하여 예측 매체 효과 지수를 산출한다(단계 426).
마지막으로, 단계 426에서 산출된 예측 매체 효과 지수(GI 등)에 단계 424에서의 회귀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매체 집행 계획에 따른 예측 도달율 또는 예측 유효 도달율을 추정하게 된다(단계 428).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기초하여 산출된 매체 효과 예측 자료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계속해서, 광고 효과 분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기초한 광고 효과 분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광고 효과란 광고 및 브랜드에 대한 인지율, 선호도, 판매량 자료 등의 마케팅 자료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광고 집행에 있어서 광고주가 실제로 원하는 피드백 정보는 "광고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제품을 알게 되는가(인지도), 제품에 대한 호감을 주게 되는가(선호도), 그래서 얼마나 팔리는가(판매량)"에 대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지도-선호도-판매량 등에 대한 자료들은 마케팅조사자료 제공업체에 의하여 조사되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상기 마케팅 자료를 병합함으로써, 종합적인 광고 효과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광고 효과 분석을 위하여,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의 단계 310 및 단계 330에 대응하는 단계 430 및 단계 432를 수행하고, 매체 효과 분석 과정에서 산출된 매체 효과 지수와 마케팅 자료를 병합한다(단계 434). 단계 434에서의 마케팅 자료에는 적어도 인지율 지수가 포함되며, 그외에 선호도, 판매량 등에 대한 지수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기초하여 산출된 광고 효과 분석 자료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의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마케팅 자료가 결합하여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광고 효과 예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기초한 광고 효과 예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광고 효과 예측이란 매체 계획에 책정된 광고 집행 스케쥴에 따른 예상 GI 등을 산출하고, 광고 효과에 대한 회귀 분석 모델을 반영하여 예측 마케팅 자료를 추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우선,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의 단계 310 및 단계 330에 대응하는 단계 440 및 단계 442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매체 효과 분석 과정에서 산출된 매체 효과 지수(GI 등)와 마케팅 자료 사이의 상관 관계 또는 마케팅 자료에 포함되는 지수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회귀 분석한다(단계 444). 단계 444에서 회귀 분석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다양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매체 집행 계획에 시청취 인원수와 열독 인원수를 적용/병합하여 예측 매체 효과 지수(GI 등)를 산출한다(단계 446).
최종적으로, 단계 446에서 산출된 예측 매체 효과 지수에 단계 444에서의 회귀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매체 집행 계획에 따른 예측 마케팅 자료를 추정하게 된다(단계 448).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자료에 기초하여 산출된 광고 효과 예측 자료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해당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범용 디지털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에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씨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매체가 포함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백분율 개념이 아닌, 인구수 개념에 기초하여 매체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가시청취권의 차이로 인한 "정확성"의 오류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체별 비교 및 매체간의 비교를 아울러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넷 매체, PC 통신 및 옥외 매체 등의 기타 매체의 매체 효과 자료를 병합하여 종합적인 매체 효과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분석 대상을 설정할 수 있고, 다양한 분석 조건의 결합 검색을 지원함으로써, 매체 효과 분석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최소의 검색 과정을 통하여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아울러 제공되며, 매체 효과 분석 과정을 프로그램화된 기법을 통하여 시스템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인구수 개념에 기초한 매체 효과 분석 자료를 기초로, 보다 정확한 매체 선정 가이드 생성, 매체 효과 예측, 광고 효과 분석 및 광고 효과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아울러 제공된다.

Claims (40)

  1.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a) TV 및 라디오를 포함하는 전파 매체의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률을 적용하고, 신문 및 잡지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의 발행 부수에 상기 인쇄 매체의 회독률 및 열독점유율을 적용하여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 인원수 및 상기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전파 매체 및 상기 인쇄 매체의 광고 모니터 자료에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 인원수와 상기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를 병합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 인원수 산출 단계는,
    (a1) 인구 센세스 자료와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방송국 카버리지 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전파 매체의 가시청취권 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a2) 상기 (a1) 단계에서 산출된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시청취률을 적용하여 시청취 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에서의 방송국 카버리지 자료는 PC 통신 또는 인터넷을 활용하여 조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는,
    (a11) 지역별로 오디언스 표본을 구성하는 단계;
    (a12) 상기 (a11) 단계에서 구성된 지역별 오디언스 표본을 통하여 지역별 가시청취 방송국 및 시청취 방법을 조사하는 단계; 및
    (a13) 상기 (a12) 단계에서 조사된 방송국의 방송이 특정 지역에서 공중파에 의하여 시청취될 경우에는 인구 센서스 자료에서의 상기 특정 지역의 전체 인구수를 상기 방송국의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포함시키고, 공중파 이외의 방법으로 시청취될 경우에는 인구 센서스 자료에서의 상기 특정 지역의 전체 가구수 중에서 해당 시청취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장치를 구비한 가구의 비율에 비례한 인구수를 상기 방송국의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 산출 단계는,
    (a1) 상기 인쇄 매체의 발행 부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매체의 회독률을 적용하여 가독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a2) 상기 (a1) 단계에서 산출된 가독부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열독점유율을 적용하여 열독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인터넷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서의 매체 효과 자료를 함께 병합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옥외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서의 매체 효과 자료를 함께 병합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누적치 항목 및 오디언스 1000명에 도달하기 위해 소요된 광고비 항목을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누적치를 전체 오디언스의 인원수로 나눈 값인 산술합계된 시청취율 항목 및 산술합계된 시청취율 1 포인트를 획득하기 위하여 소요된 광고비 항목을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분석 대상 항목 및 분석 기간 항목을 포함하는 분석 조건 입력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분석 조건에 따라, 상기 광고 모니터 자료에서 해당 자료를 검색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분석 조건 입력 화면에서의 분석 대상 항목은 복수의 광고주를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광고주로 지정할 수 있는 광고주 부항목, 복수의 업종을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업종으로 지정할 있는 업종 부항목 및 복수의 제품을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제품으로 지정할 수 있는 제품 부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 대상 항목이 복수개의 부항목을 포함할 경우, 상기 분석 대상 항목의 각 부항목을 함께 만족하는 자료를 검색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매체 효과를 광고주 또는 제품 단위로 한정하지 않고, 기간별 또는 타깃 오디언스 전체로 통합하여, 매체 선정 가이드로 활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매체 효과와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도달율 또는 유효 도달율 사이의 상관 관계를 회귀 분석하고, 매체 집행 계획에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시청취 인원수와 열독인원수를 병합하여 예측 매체 효과를 산출하고, 상기 예측 매체 효과에 상기 회귀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상기 매체 집행 계획에 따른 예측 도달율 또는 예측 유효 도달율을 추정함으로써, 매체 집행 계획에 따른 매체 효과 예측에 활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적어도 인지율 지수를 포함하는 마케팅 자료를 병합하여 광고 효과 분석에 활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매체 효과와 상기 마케팅 자료 사이의 상관 관계 또는 상기 마케팅 자료에 포함되는 지수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회귀 분석하고, 매체 집행 계획에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시청취 인원수와 열독인원수를 병합하여 예측 매체 효과를 산출하고, 상기 예측 매체 효과에 상기 회귀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상기 매체 집행 계획에 따른 예측 마케팅 자료를 추정함으로써, 매체 집행 계획에 따른 광고 효과 예측에 활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16.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TV 및 라디오를 포함하는 전파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a) 인구 센세스 자료와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방송국 카버리지 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전파 매체의 가시청취권 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시청취률을 적용하여 시청취 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파 매체의 광고 모니터 자료에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시청취 인원수를 병합하여 전파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방송국 카버리지 자료는 PC 통신 또는 인터넷을 활용하여 조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지역별로 오디언스 표본을 구성하는 단계;
    (a2) 상기 (a1) 단계에서 구성된 지역별 오디언스 표본을 통하여 지역별 가시청취 방송국 및 시청취 방법을 조사하는 단계; 및
    (a3) 상기 (a2) 단계에서 조사된 방송국의 방송이 특정 지역에서 공중파에 의하여 시청취될 경우에는 인구 센서스 자료에서의 상기 특정 지역의 전체 인구수를 상기 방송국의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포함시키고, 공중파 이외의 방법으로 시청취될 경우에는 인구 센서스 자료에서의 상기 특정 지역의 전체 가구수 중에서 해당 시청취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장치를 구비한 가구의 비율에 비례한 인구수를 상기 방송국의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누적치 항목 및 오디언스 1000명에 도달하기 위해 소요된 광고비 항목을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누적치를 전체 오디언스의 인원수로 나눈 값인 산술합계된 시청취율 항목 및 산술합계된 시청취율 1 포인트를 획득하기 위하여 소요된 광고비 항목을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분석 대상 항목 및 분석 기간 항목을 포함하는 분석 조건 입력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분석 조건에 따라, 상기 광고 모니터 자료에서 해당 자료를 검색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분석 조건 입력 화면에서의 분석 대상 항목은 복수의 광고주를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광고주로 지정할 수 있는 광고주 부항목, 복수의 업종을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업종으로 지정할 있는 업종 부항목 및 복수의 제품을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제품으로 지정할 수 있는 제품 부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 대상 항목이 복수개의 부항목을 포함할 경우, 상기 분석 대상 항목의 각 부항목을 함께 만족하는 자료를 검색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산출된 매체 효과를 광고주 또는 제품 단위로 한정하지 않고, 기간별 또는 타깃 오디언스 전체로 통합하여, 매체 선정 가이드로 활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24.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신문 및 잡지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a) 상기 인쇄 매체의 발행 부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매체의 회독률을 적용하여 가독부수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가독부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열독점유율을 적용하여 열독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쇄 매체의 광고 모니터 자료에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열독인원수를 병합하여 인쇄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누적치 항목 및 오디언스 1000명에 도달하기 위해 소요된 광고비 항목을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누적치를 전체 오디언스의 인원수로 나눈 값인 산술합계된 시청취율 항목 및 산술합계된 시청취율 1 포인트를 획득하기 위하여 소요된 광고비 항목을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분석 대상 항목 및 분석 기간 항목을 포함하는 분석 조건 입력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분석 조건에 따라, 상기 광고 모니터 자료에서 해당 자료를 검색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분석 조건 입력 화면에서의 분석 대상 항목은 복수의 광고주를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광고주로 지정할 수 있는 광고주 부항목, 복수의 업종을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업종으로 지정할 있는 업종 부항목 및 복수의 제품을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제품으로 지정할 수 있는 제품 부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 대상 항목이 복수개의 부항목을 포함할 경우, 상기 분석 대상 항목의 각 부항목을 함께 만족하는 자료를 검색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산출된 매체 효과를 광고주 또는 제품 단위로 한정하지 않고, 기간별 또는 타깃 오디언스 전체로 통합하여, 매체 선정 가이드로 활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30.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a) TV 및 라디오를 포함하는 전파 매체의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률을 적용하고, 신문 및 잡지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의 발행 부수에 상기 인쇄 매체의 회독률 및 열독점유율을 적용하여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 인원수 및 상기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전파 매체 및 상기 인쇄 매체의 광고 모니터 자료에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 인원수와 상기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를 병합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전파 매체의 시청취 인원수 산출 단계는,
    (a1) 인구 센세스 자료와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방송국 카버리지 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전파 매체의 가시청취권 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a2) 상기 (a1) 단계에서 산출된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시청취률을 적용하여 시청취 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인쇄 매체의 열독인원수 산출 단계는,
    (a1) 상기 인쇄 매체의 발행 부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매체의 회독률을 적용하여 가독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a2) 상기 (a1) 단계에서 산출된 가독부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열독점유율을 적용하여 열독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인터넷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서의 매체 효과 자료를 함께 병합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옥외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서의 매체 효과 자료를 함께 병합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누적치 항목 및 오디언스 1000명에 도달하기 위해 소요된 광고비 항목을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의 누적치를 전체 오디언스의 인원수로 나눈 값인 산술합계된 시청취율 항목 및 산술합계된 시청취율 1 포인트를 획득하기 위하여 소요된 광고비 항목을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분석 대상 항목 및 분석 기간 항목을 포함하는 분석 조건 입력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분석 조건에 따라, 상기 광고 모니터 자료에서 해당 자료를 검색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분석 조건 입력 화면에서의 분석 대상 항목은 복수의 광고주를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광고주로 지정할 수 있는 광고주 부항목, 복수의 업종을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업종으로 지정할 있는 업종 부항목 및 복수의 제품을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전체 제품으로 지정할 수 있는 제품 부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 대상 항목이 복수개의 부항목을 포함할 경우, 상기 분석 대상 항목의 각 부항목을 함께 만족하는 자료를 검색하여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9.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TV 및 라디오를 포함하는 전파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a) 인구 센세스 자료와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방송국 카버리지 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전파 매체의 가시청취권 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가시청취권 인원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시청취률을 적용하여 시청취 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파 매체의 광고 모니터 자료에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시청취 인원수를 병합하여 전파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40.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 신문 및 잡지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a) 상기 인쇄 매체의 발행 부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매체의 회독률을 적용하여 가독부수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가독부수에 소정의 방식으로 조사된 열독점유율을 적용하여 열독인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쇄 매체의 광고 모니터 자료에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열독인원수를 병합하여 인쇄 매체를 통한 매체 집행에 따른 매체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00028328A 2000-05-25 2000-05-25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및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000054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328A KR20000054179A (ko) 2000-05-25 2000-05-25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및이를 위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328A KR20000054179A (ko) 2000-05-25 2000-05-25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및이를 위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179A true KR20000054179A (ko) 2000-09-05

Family

ID=1967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328A KR20000054179A (ko) 2000-05-25 2000-05-25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및이를 위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417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936A (ko) * 2000-11-11 2002-05-17 이진호 멀티미디어 통합매체 모니터링 및 실시간 사용자분석시스템을 이용한 광고방법
WO2008124529A1 (en) * 2007-04-03 2008-10-16 Google Inc. Log processing
WO2008121725A3 (en) * 2007-03-28 2008-11-20 Google Inc Forecasting tv impressions
US7802280B2 (en) 2007-04-03 2010-09-21 Google Inc. Approving transcoded advertisements in advertisement front end
RU2447506C2 (ru) * 2008-09-03 2012-04-10 Елена Валерьевна Папченко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опулярности творческих проектов и компьютерный сервер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8255949B1 (en) 2009-01-07 2012-08-28 Google Inc. Television program targeting for advertising
US10321202B2 (en) 2010-02-09 2019-06-11 Google Llc Customized variable television advertising generated from a television advertising templat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8386A (en) * 1978-07-31 1981-03-24 Cheung Shiu H Television audience measuring system
EP0275328A1 (en) * 1986-08-01 1988-07-27 Video Research Ltd Apparatus for collecting tv channel data and market research data
JPH11259558A (ja) * 1998-03-11 1999-09-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広告効率評価方法および評価システム
KR20000013422A (ko) * 1998-08-08 2000-03-06 황순영 텔레비전 광고 효과 측정시스템
KR20000050164A (ko) * 2000-05-19 2000-08-05 최노림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집행 패턴 분석 방법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010097950A (ko) * 2000-04-27 2001-11-08 이정숙 시청자 성향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10105004A (ko) * 2000-05-18 2001-11-28 김경익 소비자들의 선호도 조사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판매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8386A (en) * 1978-07-31 1981-03-24 Cheung Shiu H Television audience measuring system
EP0275328A1 (en) * 1986-08-01 1988-07-27 Video Research Ltd Apparatus for collecting tv channel data and market research data
JPH11259558A (ja) * 1998-03-11 1999-09-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広告効率評価方法および評価システム
KR20000013422A (ko) * 1998-08-08 2000-03-06 황순영 텔레비전 광고 효과 측정시스템
KR20010097950A (ko) * 2000-04-27 2001-11-08 이정숙 시청자 성향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10105004A (ko) * 2000-05-18 2001-11-28 김경익 소비자들의 선호도 조사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판매방법
KR20000050164A (ko) * 2000-05-19 2000-08-05 최노림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집행 패턴 분석 방법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936A (ko) * 2000-11-11 2002-05-17 이진호 멀티미디어 통합매체 모니터링 및 실시간 사용자분석시스템을 이용한 광고방법
WO2008121725A3 (en) * 2007-03-28 2008-11-20 Google Inc Forecasting tv impressions
US8091101B2 (en) 2007-04-03 2012-01-03 Google Inc. Channel tune dwell time log processing
US8739199B2 (en) 2007-04-03 2014-05-27 Google Inc. Log processing to determine impressions using an impression time window
WO2008124545A1 (en) * 2007-04-03 2008-10-16 Google Inc. Log processing
US7743394B2 (en) 2007-04-03 2010-06-22 Google Inc. Log processing of channel tunes and channel tune times generated from a television processing device
US7802280B2 (en) 2007-04-03 2010-09-21 Google Inc. Approving transcoded advertisements in advertisement front end
US7853969B2 (en) 2007-04-03 2010-12-14 Google Inc. Log processing to determine impression values using reliable durations
WO2008124529A1 (en) * 2007-04-03 2008-10-16 Google Inc. Log processing
US8127325B2 (en) 2007-04-03 2012-02-28 Google Inc. Log processing to determine impression values using reliable durations
US8966516B2 (en) 2007-04-03 2015-02-24 Google Inc. Determining automatically generated channel tunes based on channel tune dwell times
WO2008124547A1 (en) * 2007-04-03 2008-10-16 Google Inc. Log processing
US8438591B2 (en) 2007-04-03 2013-05-07 Google Inc. Channel tune dwell time log processing
US8516515B2 (en) 2007-04-03 2013-08-20 Google Inc. Impression based television advertising
US8566861B2 (en) 2007-04-03 2013-10-22 Google Inc. Advertisement transcoding and approval
RU2447506C2 (ru) * 2008-09-03 2012-04-10 Елена Валерьевна Папченко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опулярности творческих проектов и компьютерный сервер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8255949B1 (en) 2009-01-07 2012-08-28 Google Inc. Television program targeting for advertising
US10321202B2 (en) 2010-02-09 2019-06-11 Google Llc Customized variable television advertising generated from a television advertising template
US10499117B2 (en) 2010-02-09 2019-12-03 Google Llc Customized variable television advertising generated from a television advertising tem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3132B1 (ja) 広告枠最適化システム、広告枠最適化方法及びターゲットアクチュアル最適化装置
US101859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nning and executing an advertising campaign targeting TV viewers and digital media viewers across formats and screen types
JP5579595B2 (ja) 予想データの測定データとの照合
US90586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planning, monitoring, and execution of out-of-home media
US7680746B2 (en) Prediction of click through rates using hybrid kalman filter-tree structured markov model classifiers
US20170024767A1 (en) Technology System to Develop and Support Community News Services with Multi-Dimensional Marketing and Distributed Computing.
US7437307B2 (en) Method of relating multiple independent databases
US20020123924A1 (en) Method of gathering local demand data for entertainment performances
US20130006706A1 (en) Using consumer purchase behavior for television targeting
US20150339702A1 (en) Integrated media planning and buying
US200501718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advertising
CN105741135A (zh) 广告投放管理方法及其系统
US20070208620A1 (en) Interactive medi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applications
WO2001082160A1 (fr) Procede de determination/optimisation de la distribution de publicites
WO2008134012A1 (en) Negotiated access to promotional insertion opportunity
KR20090000758A (ko) 복수의 광고 영역에 관한 광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040210594A1 (en) Method, computer useable medium, and system for analyzing media exposure
JP2010536093A (ja) 製品サービスの分析および最適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e et al. Prediction of online video advertising inventory based on TV programs: a deep learning approach
KR20000054179A (ko) 광고를 위한 매체 업무에서의 매체 효과 분석 방법 및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084613B1 (ko) 지하철 디지털모니터 광고시스템 및 방법
Gardé Digital audience management: Building and managing a robust data management platform for multi-channel targeting and personalisation throughout the customer journey
KR20100108191A (ko) 광고전략 제공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Napoli The rationalization of audience understanding
Chambers The state of Spanish-language ra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1211

Effective date: 200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