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041A - 김 제품의 품질향상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김 제품의 품질향상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041A
KR20000054041A KR1020000026959A KR20000026959A KR20000054041A KR 20000054041 A KR20000054041 A KR 20000054041A KR 1020000026959 A KR1020000026959 A KR 1020000026959A KR 20000026959 A KR20000026959 A KR 20000026959A KR 20000054041 A KR20000054041 A KR 20000054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laver
quality
acid
inherent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6894B1 (ko
Inventor
최병천
안병제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정충근
주식회사 태훈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충근, 주식회사 태훈바이오 filed Critical 정충근
Priority to KR102000002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894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6Fuma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42Lact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Chitin, chitosa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제품의 품질향상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김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김 엽체의 활력을 증강시키는 동시에 김 엽체 부착 유해 세균을 김 엽체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자연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방제함으로써 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김 제품 품질향상용 조성물은 저분자키토산과 자몽씨추출물 또는 키토산올리고당과 자몽씨추출물 등 천연식품보존제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에 의하여 김 제품의 품질 향상 및 작업성 개선 등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김 제품의 품질향상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QUALITY OF LAVER}
본 발명은 김 제품의 품질향상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분자키토산과 자몽씨추출물 또는 키토산올리고당과 자몽씨추출물을 함유하여 김 엽체의 활력을 증강시키는 동시에 김 엽체 부착 유해세균을 방제함으로써 김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김의 제조에 있어서 채취한 엽체에는 해수중의 세균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착세균이 번식하고, 그 결과로 세포막이 약해져서 세포가 파괴되어 선도가 저하되고, 심한 경우에는 적즙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선도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엽체를 저류탱크에서 교반하기도 하고, 냉해수를 샤워로 살포하면서 교반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마지막까지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고 김 엽체의 사세포화에 의한 품질저하를 억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종래에는 김 엽체 부착 세균의 방제를 위해서 통상 염산 등의 무기산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무기산의 사용은 김 엽체 세포의 사멸에 의한 최종 제품의 품질 저하와 해양 생태계를 파괴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김 엽체의 세척 교반 과정에서 천연고분자다당체인 키토산을 최종 농도가 약 20 ppm이 되도록 첨가하였을 때 최종 김 제품의 품질 향상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공지화되어 있으나(일본공개특허공보 제96-229호, 제99-015682호), 김 엽체 부착 세균 중 중요한 김 품질 저하 원인 세균으로 알려진 침상사상균류 (Flavobacterium 속)에 대하여 키토산 최종농도가 50 ppm 이상에서도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일본공개특허공보 제96-48608호), 과량의 키토산을 처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키토산만의 사용으로 김 엽체 부착 유해 세균의 직접적인 방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의 키토산 처리에 의한 김 품질 향상 효과는 김 엽체 부착 세균에 대한 직접적인 항균 효과만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식물성장 촉진 (Polym. Mater. Sci. Eng., 57, 38∼42, 1987), 피토알렉신 (phytoallexin)의 유도 (Biochem. Biophys. Res. Commun., 110, 194∼199, 1983) 및 식물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 증강 작용 (日本農藝化學會誌, 62, 1238∼1240, 1988) 등 키토산의 식물 세포 활력 증강에 의한 것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키토산의 식물 세포 활력 증강 작용은 숙주 식물 유래 각종 효소에 의하여 키토산이 가수분해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키토산올리고당이 숙주 식물의 세포 속으로 들어가 식물세포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日本農藝化學會誌, 62, 1238∼1240, 1988), 김 가공시 키토산올리고당을 사용하는 것이 키토산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훨씬 효율적으로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김 제조 공정에서 키토산올리고당을 사용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공지되어 있지 않다.
한편, 자몽씨추출물은 감귤류 과실종자로부터 추출한 천연물로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며, 독성이 없고, 부식성이 없는 무색무취의 천연유기혼합물로 사람과 동물에 전혀 해를 끼치지 않으며,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지도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햄, 소세지 등의 식육제품, 각종 어육연제품, 조미식품 및 음료 등의 제조 시 천연 식품보존제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자몽씨추출물의 사용으로 김 엽체 부착 세균의 방제가 가능하나 김 제조 공정에서 김 제품의 품질 개선 목적으로 자몽씨추출물 및 자몽씨추출물 함유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는 김 엽체의 활력을 증강시키고, 김 엽체 부착 세균을 방제하기 위하여 키토산올리고당(또는 저분자키토산), 자몽씨추출물을 함유하는 김 제품의 품질향상제에 대하여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김 엽체의 활력을 증진시키고, 부착 세균을 방제하여 김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성을 개선시키는 품질향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품질향상제를 김 제품에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키토산올리고당의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램이다.
본 발명에 의한 김 제품 품질향상용 조성물은 키토산용액 0.1∼20%(w/v), 유기산 또는 염산 0.1∼10%(v/v), 자몽씨추출물 0.1∼50%(v/v)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키토산올리고당은 중합도 2∼10정도가 바람직하고, 키토산은 점도 5cPs(0.5%(w/v), 0.5% 초산용액) 이하가 바람직하다.
키토산올리고당 또는 저분자키토산의 농도는 10∼1000 ppm, 자몽씨추출물의 농도는 1∼1000 ppm이 적당하며, 특히, 키토산올리고당 또는 저분자키토산은 10∼50 ppm, 자몽씨추출물의 농도는 1∼100 ppm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키토산올리고당 또는 저분자키토산을 용해하기 위한 용제로는 젖산, 초산, 퓨말산 등의 유기산 중 1종과 염산이 사용되며, 그 중 젖산, 초산, 염산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키토산올리고당 또는 저분자키토산의 용해를 위한 산의 농도는 0.05∼10% 이며, 특히, 0.2∼2%이 바람직하다.
키토산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갑각류의 갑각 중의 키틴을 추출·분리한 다음 탈아세틸화시켜 키토산을 제조하고, 키토산 분해효소 또는 화학 처리 방법으로 키토산을 가수분해하여 키토산올리고당과 저분자키토산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갑각류의 갑각으로는 게, 새우, 바다가재, 쏙 등이 사용되며, 그 중 게와 새우가 바람직하다.
한편, 자몽씨추출물의 추출공정은 자몽의 과육을 제거하여 씨를 분리시킨 다음, 수세 및 건조과정을 거친 후 분쇄시킨 다음 글리세린(분말건조 씨에 대하여 50% 중량비율)을 첨가혼합한 후, 추출 및 여과과정을 거쳐 제조한다.
여과시킨 자몽씨추출물은 식품첨가물공전의 기준 및 규격(보건복지부 고시 제1996-46호)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며, 대표적인 제조회사는 QUIMICA NATURAL BRASILEIRA LTDA QUINABRA(BRAZIL)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키토산올리고당 또는 저분자키토산과 자몽씨추출물의 비율은 중량비로 1%에서 99%까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건조 게 껍질 50kg을 달아 약 3∼5cm 크기로 자른 다음 7% 수산화나트륨 용액 800L를 가한 후 100℃에서 5시간 이상 처리하여 단백질을 제거하고, 물로 중성이 되게 세척하였다. 상기 게껍질에 7%의 염산 800L을 가하여 40∼50℃에서 2∼3시간 동안 침적반응 시킨 후 물로 중성이 될 때까지 세척한 다음 50% 수산화나트륨 용액 600L에 침적하고 100℃에서 5시간 반응시킨 다음 물로 중성이 될 때까지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10.2kg의 키토산을 제조하였다. 상기 키토산 5kg을 1.7% 젖산용액 100L에 녹여 키토산 용액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키토산 5 kg를 1.7% 젖산용액 100L에 24시간 녹인 후, 45℃에서 키토산아제 효소 100,000 unit를 넣어 반응시간 24∼48시간, 반응온도 45∼55℃, 반응pH 5.5∼6.5가 되게 하여 충분히 반응시킨 다음, 반응액을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하여 키토산올리고당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키토산 3kg을 1.7% 젖산용액 100L에 녹여 키토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키토산용액의 농도는 3%(w/v)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의 키토산올리고당 3kg을 1.7% 젖산용액 100L에 녹여 키토산올리고당 용액을 제조하였다. 키토산 올리고당 용액의 농도는 3%(w/v)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3의 키토산용액 95L에 자몽씨추출물 5L를 첨가하여 용액을 조제하였다. 자몽씨추출물의 농도는 5%(v/v)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4의 3%의 키토산올리고당용액 95L에 자몽씨추출물 5L를 첨가하여 용액을 조제하였다. 자몽씨추출물의 농도는 5%(v/v)이었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 등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
키토산의 점도측정을 위하여, 실시예 1의 키토산 2.5g을 증류수 497.5ml에 첨가하여 20분간 교반시켜 분산시킨 다음 빙초산(시약1급)을 2.5ml를 첨가하고 500rpm의 회전속도로 60분간 교반 후 실온에서 18시간 정치시켰다. 이 용액을 500rpm으로 30분간 교반한 다음 20℃로 조절된 항온 건조기에 시료 용액을 넣어 온도를 20℃로 한 후 Brookfield 점도계(모델 : LVDV-Ⅱ+)로 용액점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점도는 3.5mPa·s이었다.
[실험예 2]
키토산올리고당의 조성분석을 위하여, NH2-60 역상 컬럼 (4.6X250 mm)을 사용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실시예 2의 키토산올리고당 분말 10mg을 60% 아세토니트릴 용액 10ml에 녹인 후 그 중 10㎕를 컬럼에 주입하고 60% 아세토니트릴로 유출속도를 분당 1.0ml로 조절하여 용리시켰다. 키토산올리고당의 검출에는 굴절율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도 1의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상세하게 나타내었다.
[표 1]
시간(분) 피크이름 면적비에 따른 함량(%)
3.952 Dimer 1.201
4.258 Trimer 12.724
4.608 Tetramer 19.193
5.045 Pentamer 32.447
5.605 Hexamer 15.192
6.282 Heptamer 8.814
7.125 Octamer 6.949
7.742 Nonamer 1.163
8.553 Decamer 2.317
[실험예 3]
실시예 3, 4, 5, 6의 용액이 함유된 바닷물에 생김 10g씩을 달아 넣은 후 적즙 발생 현황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적즙의 발생은 김 엽체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세균이 번식하여 김 엽체 세포가 약해져 세포내 물질이 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표 2의 결과는 실시예 6의 제제가 대조구 및 키토산 또는 키토산올리고당의 단독 처리구에 비하여 김 엽체 세포의 활력 증진 효과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2]
적즙 발생 현황
처리 1일 4일 5일 6일 7일
실시예 3 1/100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분홍색
1/300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엷은분홍색
1/1000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엷은분홍색
1/2000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엷은분홍색
실시예 4 1/100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엷은분홍색
1/300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엷은분홍색
1/1000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엷은분홍색
1/2000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엷은분홍색
실시예 5 1/100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분홍색
1/300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분홍색
1/1000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분홍색
1/2000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분홍색
실시예 6 1/100 무색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1/300 무색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1/1000 무색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1/2000 무색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대조구 무색 무색 무색 엷은분홍색 엷은분홍색
[실험예 4]
실시예 3, 4, 5, 6의 용액이 함유된 바닷물에 생김 10g씩을 달아 넣은 후 김 엽체의 고유 향을 관찰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고유 향의 유지는 김 엽체 세포의 변질이 없기 때문이므로 표 3의 결과는 실시예 6의 제제가 대조구 및 키토산 또는 키토산올리고당의 단독 처리구에 비하여 김 엽체 세포의 활력 유지 효과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3]
김 냄새의 변화
처리 1일 4일 5일 6일 7일
실시예 3 1/1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새큼
1/3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새큼
1/10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새큼
1/20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새큼
실시예 4 1/1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새큼
1/3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새큼
1/10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새큼
1/20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새큼
실시예 5 1/1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약간 새큼
1/3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약간 새큼
1/10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약간 새큼
1/20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약간 새큼
실시예 6 1/1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1/3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1/10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1/2000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대조구 고유 향내 고유 향내 고유 향내 약간 새큼 약간 새큼
[실험예 5]
실시예 3, 4, 5, 6의 용액이 함유된 바닷물에 생김 10g씩을 달아 넣은 후 질감및 촉감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김의 질감 및 촉감의 변화
처리 1일 4일 5일 6일 7일
실시예 3 1/1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1/3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1/10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1/20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실시예 4 1/1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1/3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1/10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1/20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실시예 5 1/1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1/3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1/10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1/20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실시예 6 1/1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1/3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1/10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1/2000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부드러움
대조구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뻣뻣함 약간 부드러움
상기와 같은 결과는 키토산의 효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키토산 처리에 의하여 김이 부드럽게 된다는 선행연구(일본 특개평 제8-48608호) 결과와도 일치한다.
[실험예 6]
김 부착 유해세균으로 알려져 있는 Leucothrix mucor KCTC 2451에 대한 실시예 3, 4, 5, 6의 용액의 항균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균주의 배양을 위한 배지는 NaCl 11.7 g, MgCl2·6H2O 5.35 g, Na2SO4 2.0 g, CaCl2·2H2O 0.75 g, KCl 0.35, Tris 0.5 g, Na2HPO4 0.05 g, Na-glutamate 10.0 g을 증류수 1 L에 녹이고, 묽은 염산으로 pH 7.0으로 조절한 다음 121℃에서 20분간 가압멸균하여 조제하였다. 이 배지 100ml에 멸균 여과한 실시예 3, 4, 5, 6의 용액 희석액을 가하여 항균력 시험용 배지를 조제한 다음 clean bench에서 50 mL 배양 튜브에 30 ml의 배지를 담고 여기에 0.1∼0.5 ml의 배양된 종자균을 접종 후, 30℃, 200 rpm에서 진탕배양하면서 660 nm에서의 흡광도를 조사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Leucothrix mucor KCTC2451의 생육 저해 효과
처리 0 시간 24 시간 48 시간 72 시간
실시예 3 1/100 0.1072 0.2597 0.3553 0.3403
1/300 0.1103 0.1765 0.2155 0.2259
1/1000 0.0509 0.0604 0.0788 0.2102
1/2000 0.0345 0.0457 0.1020 0.1000
실시예 4 1/100 0.0320 0.0530 0.0802 0.0900
1/300 0.0298 0.0574 0.0746 0.1578
1/1000 0.0302 0.0492 0.1098 0.1921
1/2000 0.0311 0.0481 0.1661 0.2090
실시예 5 1/100 0.0410 0.0451 0.0493 0.0512
1/300 0.0500 0.0723 0.0731 0.0948
1/1000 0.0381 0.0514 0.1203 0.1153
1/2000 0.0915 0.0974 0.1002 0.1507
실시예 6 1/100 0.0323 0.0414 0.0431 0.0510
1/300 0.0355 0.0432 0.0523 0.0614
1/1000 0.0366 0.0713 0.0837 0.0993
1/2000 0.0398 0.0811 0.0980 0.1020
대조구 0.0412 0.0714 0.1509 0.2586
[실험예 7]
김 부착 유해세균으로 알려져 있는 Flavobacterium okeanokoites KCTC 3672에 대한 실시예 3, 4, 5, 6의 용액의 항균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균주의 배양을 위한 배지는 peptone 10 g, yeast extract 2 g, MgSO4·7H2O 1g, NaCl 30 g을 증류수 1 L에 녹이고, 묽은 염산으로 pH 7.0으로 조절한 다음 121℃에서 20분간 가압멸균하여 조제하였다. 이 배지 100ml에 멸균 여과한 실시예 3, 4, 5, 6의 용액 희석액을 가하여 항균력 시험용 배지를 조제한 다음 clean bench에서 50 mL 배양 튜브에 30 ml의 배지를 담고 여기에 0.1∼0.5 ml의 배양된 종자균을 접종 후, 30℃, 200 rpm에서 진탕배양하면서 660 nm에서의 흡광도를 조사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lavobacterium okeanokoiteseucothrix mucor KCTC3672의 생육 저해 효과
처리 0 시간 24 시간 48 시간 72 시간
실시예 3 1/100 0.0460 0.1013 0.1268 0.1896
1/300 0.0462 0.1253 0.1561 0.1881
1/1000 0.0489 0.1368 0.1490 0.1560
1/2000 0.0578 0.1599 0.4301 1.2087
실시예 4 1/100 0.0347 0.2387 1.7694 1.8767
1/300 0.0328 0.2156 1.8014 1.9089
1/1000 0.0389 0.1756 1.9959 1.9749
1/2000 0.0441 0.1070 1.9093 1.9788
실시예 5 1/100 0.0411 0.1051 0.1339 0.1836
1/300 0.0457 0.1118 0.2128 0.2091
1/1000 0.0433 0.1103 0.1906 0.2020
1/2000 0.0424 0.1287 0.1851 0.2435
실시예 6 1/100 0.0477 0.1164 0.2219 0.1913
1/300 0.0424 0.1158 0.2212 0.2432
1/1000 0.0479 0.1186 0.2189 0.2765
1/2000 0.0402 0.1012 0.1819 1.6819
대조구 0.0427 0.4287 1.9843 2.2312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4제제의 경우, 배양 24시간까지는 생육 저해 효과가 관찰되었으나, 배양 72시간 후에는 실시예 3의 경우 키토산 0.003% 이상에서는 어느 정도의 생육 저해 효과가 관찰된 반면, 실시예 4의 경우에는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 저해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실시예 5 제제의 경우에는 모든 처리구에서, 실시예 6 제제의 경우에는 키토산올리고당 0.003% 이상에서 생육 저해 효과가 관찰되었다.
[실험예 8]
실시예 3, 4, 5, 6의 용액을 건조김 제품 제조공정 중 계류조에 가하여 생김과 10∼20시간 접촉시킨 다음 건조김을 조제한 후 제조한 김의 색택과 맛을 조사한 결과, 실시예 3, 4, 5, 6 처리군 모두에서 건조김의 색택이 향상되었으며, 질감이 부드럽고, 표면이 매끄러우며, 맛과 저장성 향상 효과가 관찰되었다. 특히, 실시예 5, 6의 용액 처리군에서의 품질 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의 각 실험예에서 검증된 바와 같이 저분자키토산과 키토산올리고당의 김 엽체 세포 활력 효과와 자몽씨추출물의 항균력의 조화에 의한 상승작용으로 김 엽체 생세포 유지 비율 및 시간이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김 제품 품질향상용 조성물은 키토산 및 키토산올리고당에 의한 김 엽체 세포 활력 촉진 작용과 자몽씨추출물 첨가에 의한 김 엽체 세포 부착 세균에 대한 항균력 증가작용으로 김 제품의 품질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사세포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색택, 질감, 맛 및 저장성 향상 등 김제품의 품질 향상 및 김 엽체 세포의 저장성 증가에 의한 작업 일정의 조정 등 작업성 개선에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키토산 용액 0.1∼20%(w/v), 유기산 또는 염산의 농도 0.1∼10중량%(w/v또는v/v), 자몽씨추출물의 농도 0.1∼50%(v/v)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제품 품질 향상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중합도가 2∼10인 키토산올리고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제품의 품질 향상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점도 5 cPs 이하인 저분자키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제품의 품질 향상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젖산, 초산, 사과산, 구연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빈산, 푸마르산 중 어느 1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제품의 품질 향상제.
  5. 상기 김 제품 품질향상용 조성물의 10∼1,000 배 희석액을 김 엽체의 세척 과정에서 저류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방법
  6. 상기 김 제품 품질향상용 조성물의 10∼1,000 배 희석액을 김 엽체의 세척, 세절 과정에서 혼합, 침지하여 처리하는 방법
KR1020000026959A 2000-05-19 2000-05-19 김 제품의 품질향상용 조성물 KR100326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959A KR100326894B1 (ko) 2000-05-19 2000-05-19 김 제품의 품질향상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959A KR100326894B1 (ko) 2000-05-19 2000-05-19 김 제품의 품질향상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041A true KR20000054041A (ko) 2000-09-05
KR100326894B1 KR100326894B1 (ko) 2002-03-06

Family

ID=1966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959A KR100326894B1 (ko) 2000-05-19 2000-05-19 김 제품의 품질향상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89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977A (ko) * 2001-01-19 2001-12-15 주식회사 소윤식품 기능성 조미김의 제조방법
KR20040037517A (ko) * 2002-10-29 2004-05-07 김효성 사과 포도 매실의 혼합 발효액과 그것을 이용한 김의제조방법
KR100448595B1 (ko) * 2001-10-26 2004-09-13 김효성 사과 발효액과 그것을 함유한 김의 제조방법
KR100448596B1 (ko) * 2002-01-23 2004-09-13 김효성 매실 발효액과 그것을 함유한 김의 제조방법
KR100448597B1 (ko) * 2002-01-23 2004-09-13 김효성 포도 발효액과 그것을 함유한 김의 제조방법
KR100530578B1 (ko) * 2002-11-18 2005-11-22 주식회사 벤스랩 항균활성을 갖는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 및 자몽종자추출물을 함유한 약학조성물
WO2016010203A1 (ko) * 2014-07-16 2016-01-21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신맛이 도포된 구이 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816B1 (ko) 2008-07-07 2011-12-1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키토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과실의 칼슘 흡수 촉진용기능성 식품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977A (ko) * 2001-01-19 2001-12-15 주식회사 소윤식품 기능성 조미김의 제조방법
KR100448595B1 (ko) * 2001-10-26 2004-09-13 김효성 사과 발효액과 그것을 함유한 김의 제조방법
KR100448596B1 (ko) * 2002-01-23 2004-09-13 김효성 매실 발효액과 그것을 함유한 김의 제조방법
KR100448597B1 (ko) * 2002-01-23 2004-09-13 김효성 포도 발효액과 그것을 함유한 김의 제조방법
KR20040037517A (ko) * 2002-10-29 2004-05-07 김효성 사과 포도 매실의 혼합 발효액과 그것을 이용한 김의제조방법
KR100530578B1 (ko) * 2002-11-18 2005-11-22 주식회사 벤스랩 항균활성을 갖는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 및 자몽종자추출물을 함유한 약학조성물
WO2016010203A1 (ko) * 2014-07-16 2016-01-21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신맛이 도포된 구이 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6894B1 (ko) 200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ynowiecki et al. Production, properties, and some new applications of chitin and its derivatives
Chang et al. pH Effects on solubility, zeta potential, and correlation between antibacterial activity and molecular weight of chitosan
Hamdi et al. Chitin extraction from blue crab (Portunus segnis) and shrimp (Penaeus kerathurus) shells using digestive alkaline proteases from P. segnis viscera
Fernandez-Kim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crawfish chitosan as affected by different processing protocols
Rout Physicochemical, functional and spectroscopic analysis of crawfish chitin and chitosan as affected by process modification
Goosen Applications of Chitan and Chitosan
Badawy et al. A biopolymer chitosan and its derivatives as promising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plant pathogens and their applications in crop protection
Hirano Applications of chitin and chitosan in th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fields
Shahidi et al. Chitin, chitosan, and co-products: chemistry, production, applications, and health effects
Jeon et al. Chitosan as an edible invisible film for quality preservation of herring and Atlantic cod
Vargas et al. Recent patents on food applications of chitosan
El-Aidie A review on chitosan: ecofriendly multiple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food industry
CN104544472A (zh) 一种含有普鲁兰多糖的虾类保鲜剂
Simpson et al. Bioprocessing of chitin and chitosan
Taser et al. Preparation of chitosan from waste shrimp shells fermented with Paenibacillus jamilae BAT1
KR100326894B1 (ko) 김 제품의 품질향상용 조성물
Sharma et al. A review on valorization of chitinous waste
Vidanarachchi et al. 38 Chitin, Chitosan, and Their Oligosaccharides in Food Industry
Zamani Superabsorbent polymers from the cell wall of zygomycetes fungi
Nicholas Antimicrobial use of native and enzymatically degraded chitosans for seafood applications
Dutta et al. 15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in, Chitosan, and Their Oligosaccharides
CN107299007A (zh) 一种生物果蔬清洗剂及制备方法
US5543325A (en) Two-step method of hypo-osmotic shock for reducing viability of bacteria
KR20010007764A (ko) 매실-키토산 균일 액상 조성물
KR19990048212A (ko) 키토산을 함유한 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