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954A - 건강관리를 위한 인터넷상의 마네킹 테스트 - Google Patents

건강관리를 위한 인터넷상의 마네킹 테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3954A
KR20000053954A KR1020000025534A KR20000025534A KR20000053954A KR 20000053954 A KR20000053954 A KR 20000053954A KR 1020000025534 A KR1020000025534 A KR 1020000025534A KR 20000025534 A KR20000025534 A KR 20000025534A KR 20000053954 A KR20000053954 A KR 20000053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nequin
health
information
internet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부구
Original Assignee
우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부구 filed Critical 우부구
Priority to KR102000002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3954A/ko
Publication of KR2000005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95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의 마네킹을 이용한 건강점검 시스템으로서, 자신의 체형 체중을 일상생활을 하면서 수시로 입력하여 시간이 경과한 후 체형 및 체중의 변화를 통한 건강체크를 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키, 나이 허리사이즈 목둘레 팔 길이 다리길이 등을 입력하면 입력된 자료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마네킹이 조립되어 화면에 나타난다. 이렇게 정보가 입력되어 조립된 마네킹은 각 개인별로 저장되게 된다. 마네킹은 3차원의 모습으로 조립되는데, 3차원으로 하는 이유는 부피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야 자신의 체형이 변해 가는 모습을 보여 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 신체의 부분별 변화를 알고 싶을 때에는 그 부분만 클릭 하면 그 부분만 보여 주게 된다.
그리고 신체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물품구입, 식생활, 운동량, 등에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전에 입력할 때 함께 입력했던 옷이 지금 새롭게 입력한 체형에 입히면 어떤 모습이 되는지도 화면에 보여 줌으로써 물품구입에 참고가 되도록 한다.
효과는 막연한 얼마만큼 체중이 늘었다는 것 보다 마네킹의 변화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 줌으로써, 자신의 건강 및 체중관리를 과학적으로 관리 할 수 있으며, 과학적 관리를 바탕으로 한 음식 및 운동관리처방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강관리를 위한 인터넷상의 마네킹 테스트{For care health , internet manikin test }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 자신의 체형을 입력하여 자신의 체형을 닮은 마네킹을 통하여 건강을 관리하려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단순한 수치비교나 그래프를 이용하여 각 개인의 체중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단순한 수치비교의 방법은 너무 추상적이라는 것이다. 체중이 늘었을 경우 이용자의 모습은 어떤식으로 변하는지는 알 수가 없다. 그래프를 이용한 비교는 단순한 수치비교 보다는 좀더 발전된 모습이지만, 실재로 신체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간접적일 수 밖에 없다. 그리고 현재까지는 각 개인에 따른 유전적 특징, 나이, 성, 등을 고려한 것이 아니라, 일률적으로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개인에게 알맞은 개인별 건강 관리에 있다.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에 자신의 건강 및 체형 체중 연령 및 기타특기사항을 입력하고 그 입력된 자료에 따라서 마네킹을 조립한 후에 각 개인별 파일에 저장하여 둔다.
일상생활을 하면서, 수시로 자신의 체중 및 기타사항을 입력하면, 이제까지 축적된 기존의 자료와 상호 비교를 통하여, 마네킹이 변하는 모습을 보여줌과 동시에 각 개인별 과학적 건강관련 정보를 주고자 함이 목적이다.
도 1은 이용자가 본 발명의 사이트에 접속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이용자 모니터화면에 나타나는 기초화면
도 3은 화면에 마네킹과 건강정보가 출력되어 나타난 모습
도 4는 본 발명의 흐름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환경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에게는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및 주변기기가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사이트에서는, 마네킹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야 하고, 각종 건강관련 기본 데이터베이스도 구축 하여야 한다.
마네킹관련 데이터베이스는 다음과 같은 원리에 의해 구성된다. 마네킹의 각 신체 부위를 팔, 다리, 목, 머리, 몸통 등으로 세분화한다. 각 부분의 모양 및 크기를 어린이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준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렇게 데이터베이스 된 자료는 이용자가 자신의 체형을 입력 할 때, 입력된 자료에 따라 자동적으로 마네킹을 조립한다. 그리고 신체의 각 부위를 입력하면 입력된 자료에 근거하여 마네킹을 조립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에 같이 구축한다.
건강관련 데이터베이스는 이용자가 자신의 특이한 체질, 사상의학에 따른 체질, 기타사항을 입력하여, 각 개인별 건강자료를 모아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 각 개인별 데이터베이스는 각 개인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가, 각 개인이 수시로 건강관련 자료를 입력 할 때, 자료를 축적하여 모아두었다가 마네킹이 조립될 때, 정보를 넘겨주어서 마네킹 조립에 참고가 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보면서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이용자가 서버에 접속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데이터 베이스화된 서버에 이용자가 접속을 하면, 이용자 화면에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초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도 2는 이용자 모니터 화면에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초화면이 나타나 있다. 건강 정보 입력란( 6 )과 체형정보입력란( 7 )이 나타나 있는데, 이용자는 이곳에서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우선 기초화면에는 왼쪽에 자신의 건강정보입력란( 6 )이 나타나게 된다. 건강정보입력란은 마네킹을 구성하는 요소 이외의 모든 건강관련정보를 입력한다. 각 개인의 특이사항을 입력하게 된다. 그렇게 해야 일률적인 데이터처리가 아닌 각 개인별 건강정보를 처리 할 수 있다.
오른쪽에는 체형정보입력란( 7 )이 나타나게 되는데, 여기에는 나이, 성, 체중, 키, 허리사이즈, 팔 다리 길이, 엉덩이 둘레 등등 신체관련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마네킹관련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자료에 의거하여 신체의 각 부분을 모아서 마네킹을 조립하게 된다.
도 3의 왼쪽에는, 입력된 정보에 따라 서버에서 자료를 검색하여 각종 건강정보를 알려주는 모습이다. 이곳에서 이용자는 실질적으로 정보를 얻게 된다. 또한 이곳에서는 일반적 건강정보도 알려 주게 된다.
오른쪽에는 마네킹이 화면에 나타난 모습( 10 )을 나타냈다. 이곳에서 이용자는 자신을 대신하는 마네킹을 볼 수가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마네킹의 변화하는 모습을 알고 싶으면, 마네킹이 화면에 나타난 아래 부분에 있는 예상체형변화란( 8 )에 시작시간과 현재시간을 입력하여 검색을 누르면 화면상에서 마네킹이 시간의 변화에 따른 변화 모습을 보여주고, 마네킹이 급격히 살이 찌거나 빠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이 있을 때에는 관련 정보를 보다 상세히 보여 주게 된다.
또한 이곳에서는 예상체형변화도 알 수가 있다. 예상체형변화란( 8 )에 현재의 모습에 체중을 추가하거나 빼 줌으로서, 이용자는 자신에게 가장 건강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찾아낼 수가 있다. 그리하여 체중관리의 목표점을 정 할 수가 있다.
인터넷상 자신의 체형을 닮은 마네킹의 변화모습을 관찰 할 수 있음으로서, 구체적으로 자신의 신체변화를 알 수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자신의 신체가 어느정도의 체형을 유지할 때 가장 건강하고 가장 아름다운지를 미리 가상체험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것을 근거로 체중관리의 목표를 과학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Claims (3)

  1. 마네킹의 신체를 세부적으로 분해하여 각 부위별 모양 크기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주문자가 원하는 각 체형을 입력하면 입력된 자료에 따른 맞춤형 마네킹을 조립하여 이용자 화면에 나타나게 하는 방법
  2. 인터넷상의 마네킹을 이용한 건강점검 시스템으로서, 자신의 체형 체중 등을 일상생활을 하면서 수시로 입력하여 시간이 경과한 후 체형 및 체중의 변화를 통한 건강체크를 하고, 동시에 마네킹이 3차원공간에서 변하는 모습을 관찰함으로서 보다 생동감 있는 체중관리가 될 수 있는 시스템
  3. 인터넷상 마네킹을 통한 자신의 최적 건강상태와 아름답고 건강한 모습을 찾아내는 시스템
KR1020000025534A 2000-05-12 2000-05-12 건강관리를 위한 인터넷상의 마네킹 테스트 KR20000053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534A KR20000053954A (ko) 2000-05-12 2000-05-12 건강관리를 위한 인터넷상의 마네킹 테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534A KR20000053954A (ko) 2000-05-12 2000-05-12 건강관리를 위한 인터넷상의 마네킹 테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954A true KR20000053954A (ko) 2000-09-05

Family

ID=1966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534A KR20000053954A (ko) 2000-05-12 2000-05-12 건강관리를 위한 인터넷상의 마네킹 테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395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934A (ko) * 2000-07-21 2002-02-01 이경임 인터넷 환경에서의 3차원 캐릭터를 이용한 다이어트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0403827B1 (ko) * 2001-01-13 2003-10-30 (주)트윈 세이버 체형별 베개 맞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19600A (ko) * 2003-08-20 2005-03-03 (주)큐론테크놀로지스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건강 정보 제공 방법 및 제공 시스템
US8423295B2 (en) 2005-06-20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outputting body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f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934A (ko) * 2000-07-21 2002-02-01 이경임 인터넷 환경에서의 3차원 캐릭터를 이용한 다이어트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0403827B1 (ko) * 2001-01-13 2003-10-30 (주)트윈 세이버 체형별 베개 맞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19600A (ko) * 2003-08-20 2005-03-03 (주)큐론테크놀로지스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건강 정보 제공 방법 및 제공 시스템
US8423295B2 (en) 2005-06-20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outputting body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5449B2 (en) Movement station for interactive health therapy
Han et al. The Combinator: A computer-based tool for idea generation
Mostafavi Architecture, biometrics, and virtual environments triangulation: a research review
Liao et al. Revealing insights of users’ perception: an approach to evaluate wearable products based on emotions
Zhu et al. Interactive genetic algorithm based on typical style for clothing customization
KR20000053954A (ko) 건강관리를 위한 인터넷상의 마네킹 테스트
JP2020173401A (ja) 服装学習方法、服装学習システム、電子ミラー、及び、プログラム
Zhou et al. A garment design method based on modularization
Klüver Self-Enforcing Networks (SEN) for the development of (medical) diagnosis systems
JP7417887B2 (ja) 服装学習システム、服装評価システム、服装学習評価システム、電子ミラー、服装学習方法、服装評価方法、プログラム
Caruso Gramsci’s political thought and the contemporary crisis of politics
Falch et al. An approach to optimize multiple design objectives wi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riteria for a wearable body sensor system
Tyner et al. Feminist perspectives on dress and the body: An analysis of Ms. Magazine, 1972 to 2002
Salingaros Neuroscience experiments to verify the geometry of healing environments: Proposing a biophilic healing index of design and architecture
Liao et al. Revealing Insights of Users’ Perceptions: An Approach to Evaluate Wearable Products Based on Emotions
CN109919740B (zh) 一种生成购衣建议的方法及装置
Chahar et al. Mental Health At Work Prediction Using Neural Networks
Chen Aided innovative design of bathroom produc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levins Absolutism, Relativism, Atomism: The “small theories” of TS Eliot
JP3067199U (ja) 個性診断情報提供システム
Kenning Chronic health: if not us then who? A review of an exhibition exploring the assistive, speculative, provocative and challenging role of design for health—Embassy of Health, Dutch Design Week
Gambs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After Critique: On the Example, Affirmative Methods, and Making Connections
Zeng et al. Systematic review on using biofeedback (EEG and infrared thermography) to evaluate emotion and user perception acquired by Kansei engineering
Xie et al. Construction of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ao Yin Science Knowledge Graph Based on Neo4j
Harrison The use of the lattice Boltzmann method in thrombosis mode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