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2398A - 다양한 대화식 장치에 대한 사용자 대화의 가상화 및 개인화 - Google Patents

다양한 대화식 장치에 대한 사용자 대화의 가상화 및 개인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2398A
KR20000052398A KR1019990054153A KR19990054153A KR20000052398A KR 20000052398 A KR20000052398 A KR 20000052398A KR 1019990054153 A KR1019990054153 A KR 1019990054153A KR 19990054153 A KR19990054153 A KR 19990054153A KR 20000052398 A KR20000052398 A KR 20000052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pplication software
interactive device
processing machine
digit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홀콤브래드포드
타트사티쉬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54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2398A/ko
Publication of KR2000005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3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기구와 디지털 텔레비젼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은 디지털 텔레비젼과 통신하도록 계획된 대화식 장치; 상기 대화식 장치와 통신하도록 디지털 텔레비젼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응용; 및,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인지된 입력/출력 요구에 대해 작동자에게 인지될 수 있는 대화식 장치의 특정 이벤트를 해석하도록 계획된 인터페이스 중계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양한 대화식 장치에 대한 사용자 대화의 가상화 및 개인화{VIRTUALIZATION AND PERSONALIZATION OF USER INTERACTIONS WITH RESPECT TO VARIED INTERACTIVE EQUIPPMENT}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젼(DTV)과 같은 디지털 처리 기계용 응용 소프트웨어와 다양한 대화식 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텔레비젼의 출현과 함께, 리모트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같은 대화식 장치를 통해 디지털 텔레비젼과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통신 장비가 고안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 장비중 하나는 일반 컴퓨터로 수행되는 종래의 처리 기술에 의존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 컴퓨터는 운영 시스템(531)의 드라이버 장치(531a)를 이용하여 응용 소프트웨어부(533)와 대화식 장치(52)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일반 컴퓨터용으로 쓰여지는 응용 소프트웨어부(533)는 각각의 통신에 대해 특정 유형의 대화식 장치(52)를 지정하여, 상기 지정된 유형의 대화식 장치(52)에 해당하는 드라이버 장치(531a)는 통신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종래의 일반 컴퓨터 내의 응용 소프트웨어부(533)는 장치에 특정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예측불가능하게 뒤늦게 개발된 유형의 대화식 장치(52)와 호환되어 이용될 수 없게 된다.
종래의 일반 장치용 응용 소프트웨어는 그 장치에 특정화되는 것이기 때문에, 특수 코드를 응용 코드내로 주입하지 않으면 컴퓨터와 연결된 대화식 장치(52)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와 같은 통신 원리를 채택하고 있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대화식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함에 있어, 디지털 텔레비젼과 통신하는 대화식 장치의 유형을 예측해야 하며 이 예측된 대화식 장치 유형에 해당하는 구성 정보와 특별한 식별을 주입해야 한다.
디지털 텔레비젼의 다양한 유형의 대화식 장치에 대한 특정 정보는 디지털 텔레비젼에 대한 응용 소프트웨어의 사이즈 및 복잡도를 증가시키게 되어, 그 결과 프로그래밍에 시간이 많이 소모되며 프로그래밍 오류 또한 많아진다. 그러나, 상기 코드가 없다면, 대화식 장치는 상기 통신 원리에 기초한 디지털 텔레비젼용의 응용 소프트웨어와 호환이 불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한계로 인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 부분에서 기술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발명의 상세설명에서 분명해지며,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이점들을 얻기 위해, 본 명세서에 구체화되고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대화식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해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임의 유형의 대화식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용 인터페이싱 기구를 포함하고, 이로써 필요에 따라 해석될 수 있는 다른 입력 및 출력을 갖는 다른 유형의 대화식 장치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또한 응용 소프트웨어는 통신하고 있는 특정 유형의 대화식 장치에 대한 일반적 요구(request)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내용 및 뒤따르게 될 발명의 상세설명은 예시적, 설명적인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추가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발명의 상세설명와 특정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일 뿐이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변화 및 개량이 가능함은 분명할 것이다. 사실상,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 방법 및 작동, 그리고 구조상 관련 요소의 기능; 부품의 결합; 그리고 제조의 경제가 발명의 상세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상기 모든 것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여러 도면에서 비슷한 참조 번호는 해당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통신하는 대화식 장치와 인터페이스된 디지털 처리 기계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처리 기계 내에 있는 중계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와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응용 소프트웨어와 대화식 장치 사이의 통신을 결부시키는 2단계 프로세스의 일례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로서, 도 2b는 대화식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통신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2c는 정보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요구 및 질문과 같이,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시작된 통신을 연관시키는 프로세스의 일례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대화식 장치를 통해 입력 및 출력에 대한 사용자 취향을 나타내는 일반 및 특정 규칙을 포함하는 시청자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디지털 처리 기계의 구동에 이용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에 원하는 입력/출력 요구를 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대형 작동(macrolike operation)을 가능하게 하는 대화식 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드라이버 장치에 의존하여 응용 소프트웨어 및 대화식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종래의 일반 컴퓨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통신하고 있는 대화식 장치(12)에 디지털 처리 기계(13)가 인터페이스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에서, 사용자(11)는 대화식 장치(12)에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인간, 기계, 또는 전자 수단을 나타낸다. 따라서, 입력 및/또는 출력에 이용되는 다른 디지털 처리 기계(13)를 사용자(11)로 할 수도 있다.
대화식 장치(12)는 대화식 장치(12)의 집합을 나타내며, 대화식 장치(12) 내 대화식 장치(12a-12n) 각각은 사용자와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각각의 대화식 장치(12a-12n)는 디지털 처리 기계(13)와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대화식 장치(12)는 사용자(11)와 디지털 처리 기계(13)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일례로 보인 대화식 장치(12)는 키보드, 리모트 컨트롤, 트랙 볼(track ball), 가상 및 브레일 디스플레이(visual and braille displays),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음성 인식 및 합성 장치, 동작 및 표정 인식 장치, 그리고 응용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까닭에, 대화식 장치(12)는 키보드, 마우스 및 음성과 같은 다양한 모드로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아래에서 기술될 개방구조의 조정가능한 중계기(mediator)가 제공된다면, 본 발명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임의 형태의 인터페이스 장비(12)를 이용하여 디지털 처리 기계(13)와 사용자(11)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새로운 유형의 대화식 장치(120)의 도입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디지털 처리 기계(13) 뿐만 아니라 상기 디지털 처리 기계(13)용으로 설계된 응용 소프트웨어를 불필요한 것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다.
디지털 처리 기계(13)은 디지털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기계를 나타낸다. 일례로 보인 디지털 처리 기계(13)는 디지털 텔레비젼 세트(DTV)와 일반 컴퓨터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처리 기계(13)는 다양한 유형의 대화식 장치(12)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통해 사용자(11)와 통신한다.
디지털 처리 기계(13)는 운영 시스템(131), 중계기(132), 그리고 응용 소프트웨어부(133)를 포함한다.
일례로 보인 운영 시스템(131)은 윈도우(95,98,NT 등), 디스크 운영 시스템(DOS), UNIX, 그리고 pSOS, OS-9, VxWorks, Linux, MacOS 와 같은 여러가지 실시간 운영 시스템을 포함한다. 따라서, 운영 시스템(131)은 디지털 처리 기계(13)와 함께 이용되는 대화식 장치(12)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수개의 드라이버(131a)를 포함한다. 더 자세히 말해서, 드라이버(131a)는 일반적으로 상기 대화식 장치(12)에 의해 발생된 통신을 그에 상응하는 특정 이벤트에 결부시키커나, 또는 응용에 의해 발생된 통신을 대화식 장치용 전자 신호에 결부시킨다.
대화식 장치(12)에 의해 발생한 통신은 사용자(11)와의 통신 및 디지털 처리 기계(13)와의 통신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대화식 장치(12)에 의해 발생한 통신은 사용자(11)로부터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발생한 전자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은 디지털 처리 기계(13)의 드라이버 장치(131a)가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드라이버 장치(131a)는 대화식 장치(12)에 의한 전자 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특정의 의미 이벤트에 결부시킨다. 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리모트 컨트롤을 누르면, 전자 신호가 발생되어 관련된 드라이버 장치로 보내져서 키보드 작동에 대한 특정의 의미 이벤트로 인식된다.
반대로, 대화식 장치(12)에 의해 발생한 통신은 디지털 처리 기계(13)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로 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통신은 디스플레이, 음성 합성 또는 기타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11) 출력의 기초를 형성한다.
도 1에 보인 디지털 처리 기계(13)의 응용 소프트웨어부(133)는 원하는 디지털 처리 기계(13)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응용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응용 소프트웨어부(133) 내의 응용 소프트웨어는 특정 유형의 대화식 장치(12)에 대해 일반적인 형태인 요구를 발생하고 수신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응용 소프트웨어는 입력/출력 요구가 통신되는 특정 대화식 장치(12)를 식별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그에 대한 구성 정보를 구체화할 필요도 없다. 대신, 응용 소프트웨어(133) 내의 응용 소프트웨어는 단지 통신되는 특정 입력/출력 요구를 구체화하기만 하면 되고, 상기 요구는 모든 대화식 장치(12)에 대해 일반적으로 된다. 예를 들어, 원하는 메시지를 통신하는데 필요한 특정 대화식 장치(12)의 이용이나 뉘앙스를 고려할 필요가 없이, 응용 소프트웨어는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요구를 구체화하면 된다.
중계기(132)는 대화식 장치(12)에 대해 일반적인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를 드라이버 장치(131a)에 통신된 특정 이벤트에 결부시키며, 상기 이벤트는 특정 대화식 장치(12) 및 그 통신에 상응하는 것이다.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중계기(132)는 저장영역(21)을 포함하는데, 상기 저장영역(21)은 (1) 응용 소프트웨어부(133) 내의 응용 소프트웨어, (2)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에 연결된 입력/출력 요구, (3) 드라이버 장치(131a)를 통해 인터페이스된 이용가능한 대화식 장치(12), 그리고 (4) 상기 이용가능한 대화식 장치(12)에 연결된 특정 이벤트를 결부시킨다. 또한, 중계기(132)는 이벤트 실행배정기(22)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실행배정기(22)는 저장영역(21)에 저장된 관련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드라이버 장치(131a)와 응용 소프트웨어부(133) 내 응용 소프트웨어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중계기(132)는 대화식 장치(12)의 유형 및 구성 정보에 대해 일반유형인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예를 들어, 사용자의 질문)를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문의 메시지를 디지털 텔레비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 합성기를 이용하여 문의 메시지를 청취가능하게 출력하는 것)에 결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특정의 이벤트는 대화식 장치(12)의 유형 및 구성에 대해 특별유형이다. 이와 유사하게, 중계기(132)는 대화식 장치(12)의 유형 및 구성에 대해 특별 유형인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리모트 컨트롤의 동작)를 대화식 장치(12)의 유형 및 구성에 대해 일반유형인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예를 들어, 특정 질문에 대한 응답)에 결부시킬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132)를 보다 자세히 나타내고 있다. 중계기(132)는 저장영역(21)과 실행배정기(2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저장영역(21) 내에는 적어도 세개의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제 1 테이블은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를 특정의 이벤트와 대화식 장치(12)를 결부시키고, 제2 테이블은 대화식 장치(12)의 특정 이벤트와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에 결부시키며, 그리고 제3 테이블은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를 이 요구와 관련한 특정한 응용 소프트웨어에 결부시킨다. 이들 테이블은 단지 저장영역(21)에 저장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일 뿐, 정보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테이블은 정보의 관련 속성을 설명해준다. 실행배정기(22)는 저장영역(21) 내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드라이버 장치(131a)를 통한 대화식 장치(12)와 응용 소프트웨어부(133) 내의 응용 소프트웨어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 2a에서, 중계기(132)는 저장영역(21)와 실행배정기(22)를 모두 포함하는 단일 유니트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현재의 디지털 텔레비젼을 개장하여 본 발명의 이점을 얻고자 할 때 저장영역(21)과 실행배정기(22)를 모두 포함하는 단일 유니트로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나, 또한 현재의 디지털 처리 기계(13)의 메모리 또는 저장의 영역에 해당하는 저장영역(21)을 가지며 또 단기 메로리로 로딩되어 디지털 처리 기계(13)의 프로세서로 처리되는 코드에 해당하는 실행배정기(22)를 갖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a에 보인 저장영역(21)의 아이템(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영역(21) 내에 저장된 정보는 각 소프트웨어-레벨 요구를 특별한 대화식 장치(12)의 작동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특정 이벤트에 결부시킨다. 아이템 (1)에서 제시된 것과 유사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배정기(22)는 응용 소프트웨어로부터 수신한 소프트웨어-레벨 요구를 적정의 대화식 장치(12)의 드라이버 장치(131a)에 특정의 이벤트로서 결부 및 배정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도 2a의 저장영역(21)의 아이템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미디엄영역(21) 내에 정장된 정보는 응용 내용에 따라 각각의 특정 이벤트를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레벨 요구에 결부시키며, 각각의 소프트웨어-레벨 요구를 상기 요구에 기초하여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응용 소프트웨어에 결부시킨다.
저장영역(21)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중계기(132)의 실행배정기(22)는 드라이버 장치(131a)로부터 수신한 특정 이벤트를 응용 소프트웨어부(133) 내의 적정 응용 소프트웨어의 입력/출력 요구에 결부 및 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계기(132)는 드라이버 장치(131a)의 특정 이벤트와, 응용 소프트웨어부(133) 내의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해된 소프트웨어-레벨 요구를 결부시킨다. 따라서 중계기(132)는 대화식 장치(12)에 대해 단지 일반적인 관련만을 갖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의 수명과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는 디지털 처리 기계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도 2B와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대화식 장치에 의한 응용 소프트웨어와 사용자 사이의 통신이 포함된 2단계 처리의 일례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b는 대화식 장치에 의해 시작된 이벤트가 디지털 처리 기계의 응용 소프트웨어와 통신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며, 그리고 도 2c는 디지털 처리 기계의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시작된 입력/출력 요구가 대화식 장치를 통해 사용자와 통신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b와 2c에 보인 프로세스를 함계 이용함으로써 메시지-응답 루프(loop)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데, 상기 메시지-응답 루프에서는 질문 메시지가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시작되고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대화식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질문 메시지가 대화식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시작되고 응답은 응용 소프트웨어로부터 수신된다. 반대로, 도 2b와 2c에서 기술된 프로세스는 독립적으로 작동됨으로써, 대화식 장치를 통해 응용 소프트웨어와 사용자 사이의 한 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대화식 장치(12)를 통해 사용자(11)가 입력한 통신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단계 (201)에서, 사용자(11)는 대화식 장치(12)를 통해 입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터치 스크린, 음성 인식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11)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 (202)에서, 단계 (201)에서의 정보 입력은 대화식 장치(12)에 대응하는 드라이버 장치(131a)에 의해 전자 신호로서 수신된다. 드라이버 장치(131a)는 입력에 이용되는 대화식 장치(12)에서 수신된 전자 신호를 특정의 이벤트로 해석한다.
이벤트는 대화식 장치(12)의 유형 및/또는 구성을 구체화하는 통신에 대한 요구이다. 이벤트는, 드라이버 장치(131a)에 의해 해당 대화식 장치(12)의 입력 또는 출력과 관련된 의미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마우스가 작동된 대화식 장치(12)라고 가정하면, 사용자(11)에 의한 마우스의 작동은 드라이버 장치(131a)에 통신되는 전자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신호는 드라이버 장치(131a)에 의해 상기 마우스에 대해 특정한 관련이 있는 마우스 작동 이벤트로서 해석된다. 이벤트는 대체로 사용자(11)가 수신한 대화에 기인한다. 사용자(11)는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과 관련하여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는 인간의 대화로부터, 그리고 기타 전자 장치 및 디지털 처리 기계 등의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한 전자 통신으로부터 발생한다.
단계 (203a 내지 203b)에서, 중계기(132)는 드라이버(131a) 장치(예를들면, 마우스 이동 이벤트)로부터 수신된 이벤트를 소프트웨어-레벨 요구로 번역하고, 이때 상기 중계기는 이벤트가 발생되고 인식되는 대화식 장치(12)의 일반적인 유형이며 응용 소프트웨어부(133) 내의 응용 소프트웨어(예를들면, 질문에 대한 답변)에 유용하다. 그후 중계기(132)의 실행배정기(22)는 상기 소프트웨어-레벨 요구를 하나 이상의 관련 응용 소프트웨어로 배정한다.
특히, 단계 (203a)에서, 중계기(132)는 드라이버(131a) 장치로부터 이벤트(예를들면, 마우스 클릭)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벤트를 소프트웨어 적용부(133)에 저장된 응용 소프트웨어로 인식될 수 있는 여러 개의 소프트웨어-레벨 요구(예를들면 질문 메시지에 대한 답변) 중 하나로 해석한다.
단계 (203a)를 실행하는 하나의 방법은, 대화식 장치(12)가 유용하다면 각각의 가능한 특정 이벤트를 응용 소프트웨어부(133)에 로딩된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된 입력/출력 요구의 기준 또는 예정된 세트와 결부시키는 정보 테이블을 저장 영역(21)내에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은 디지털 처리 기계의 시작 과정의 일부로 형성되거나, 또는 시작과정 이후에, 역학적으로, 주기적으로 또는, 응용 소프트웨어가 로딩 또는 처리되거나, 대화식 장치가 전원공급되거나, 연결되거나 작동될 때, 형성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4에 대해 다음에 설명하면, 저장 영역(21)의 테이블 내에서 엔트리의 우선순위를 매기기 위하여 시청자 인터페이스 프로파일(viewer interface profile)을 사용할 수 있고 그로써 대화식 장치와 응용 소프트웨어가 서로 관계되는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203a 내지 203b) 내에서 식별을 행하기 위해 의존되고 중계기(132)의 저장 영역(21)에 저장되는 정보 테이블의 예가 도 2a에 도시되고 상술된다. 저장 영역(21) 내의 테이블 수는 디지털 처리 기계(13)와 통신될 수 있는 대화식 장치(12)의 수 및 유형에 따라 증가한다. 또한, 테이블 당 데이터 엔트리의 수는 응용 소프트웨어 부(133)에 저장된 응용 소프트웨어 의 증가된 수의 입력/출력 요구에 관한 특정한 이벤트에 대하여 증가한다.
단계 (203b)에서, 중계기(132)의 이벤트 실행배정기(22)는 단계 (203a)에서 분해된 소프트웨어-레벨 요구에 관련된 응용 소프트웨어를 식별한다.
단계 (203a 및 203b)가 두 개의 별도의 단계로서 설명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두단계는 단일 단계로서 결합되거나, 여러 개의 더 작은 단계로 나뉠 수 있다.
단계 (204)에서, 대화식 장치(12)에 의해 발생된 특정한 이벤트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레벨 요구를 분해하고 상기 소프트웨어-레벨 요구(단계 (203b))에 관한 응용 소프트웨어(들)를 식별한 후, 중계기(132)의 이벤트 실행배정기(22)는 다음의 처리과정을 위하여 상기 소프트웨어-레벨 요구를 상기 식별된 응용 소프트웨어(들)에 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응용 소프트웨어 자체가 입력이 수신된 대화식 장치(12)의 유형에 대한 정보를 함유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대화식 장치(12)에 의한 입력이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해된 입력/출력 요구로서 응용 소프트웨어와 관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중계기(132)를 사용하여, 응용 소프트웨어는 미지의 대화식 장치(12), 심지어 응용 소프트웨어가 쓰여진(written) 후 개발된 대화식 장치(12)와도 통신할 수 있다. 드라이버 장치 또는 응용 소프트웨어는 새롭거나 다른 대화식 장치 및 존재하는 응용 소프트웨어, 또는 그 반대 사이에 통신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되거나 변경될 필요가 없다. 또한, 중계기(132) 및 그 안의 관계된 데이터를 조절하여 디지털 처리 기계(13)에서 진행되는 어떤 대화식 장치(12)와 응용 소프트웨어 사이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2c는 사용자(11)로부터 정보에 대한 질문, 또는 디스플레이 요구와 같은 응용 소프트웨어 부(133)내의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개시된 통신 관련 처리를 도시한다. 상술된 것과 같이, 도 2c에서 나타낸 단계들이 참조 번호 (205 내지 209)에 의해 지명되지만 이것들은 단지 편리함을 위하여 지명된 것으로 이러한 단계들은 도 2B의 단계(201 내지 204)들보다 먼저 일어날 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뒤에 일어나거나 뒤에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c의 단계 (205)에서, 응용 소프트웨어는 입력/출력 요구를 발생시킨다. 상기 요구의 예는 사용자에게 메시지 출력을 요구하는 것, 및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요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발생된 통신은 본 명세서에 있어서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 또는 소프트웨어-레벨 요구로 언급된다. 소프트웨어-레벨 요구는 대화식 장치(12)의 유형에 있어서 일반적이며 따라서 알려진 대화식 장치(12)의 제한된 유형으로 통신을 제한하기보다는 존재하는 장치 및 미래의 장치에 의하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응용 소프트웨어는 바람직한 메시지를 나타내는 특별한 대화식 장치(12)를 특정하지 않으면서 바람직한 기능이 완벽하다(THE DESIRED FUNCTION IS COMPLETE)를 나타내는 메시지 출력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응용 소프트웨어는 하기 설명될 단계 (206)의 중계기(132)에 의해 실행되는 대화식 장치 (12a 내지 12n)의 식별에 의존하면서 대화식 장치(12)내 하나 이상의 장치(12a 내지 12n)에 의하여 바람직한 메시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단계 (206)에서 중계기(132)는 단계 (205)에서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출력 요구를 다룰 수 있는 대화식 장치(12)를 식별한다. 특이하게, 도 2a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저장 영역(21)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중계기(132)는 수신된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를 상기 수신된 소프트웨어-레벨 요구에 해당하는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한 대화식 장치(12)와 결부시킨다. 응용 소프트웨어는 바람직한 기능이 완벽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에 대하여 입력/출력 요구를 발생시킨 단계 (205)에 대한 상기 설명된 예에서, 중계기(132)는 바람직한 메시지를 통신할 수 있는 가능한 대화식 장치(12)를 식별한다. 도 2a에서 제시된 저장 영역(21)의 테이블 1은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를 그에 해당하는 특정한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는 대화식 장치(12)와 결부시킨다. 도 2a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서, 가능한 대화식 장치(12)의 양 및 각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와 관련된 가능한 특정 이벤트의 수는 디지털 처리 기계(13)에 대해 이용될 수 있는 대화식 장치(12)의 수 및 유형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및 목소리 합성장치가 각각 대화식 장치(12)로서 디지털 처리 기계(13)와 연결되면, 상기 합성장치들은 요구되는 메시지(a.k.a.,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를 다룰 수 있는 대화식 장치로서 중계기(132)에 의해 일반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단계 (206)에서,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에 해당하는 이벤트는 단계 (206)에서 식별된 대화식 장치(12)에 해당하는 드라이버(131a) 장치에 배정된다. 다시, 저장 영역(21) 내의 정보는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를 수행할 수 있는 이용가능한 대화식 장치(12)내의 특별한 작동(a.k.a., 특정한 이벤트)을 결정하도록 참고된다. 예를들면, 상기 예에서, 디스플레이 작동은 메시지에 대한 소프트웨어-레벨 요구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로서 식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목소리 합성 작업은 메시지에 대한 소프트웨어-레벨 요구에 해당하는 목소리 합성장치의 이벤트로서 식별될 수 있다.
단계 (207)에서, 소프트웨어-레벨 요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식별된 이벤트는 실행배정기(22)에 의하여 식별된 대화식 장치(12)의 드라이버(131a) 장치로 배정된다. 예를들면, 상기 예에서, 디스플레이 이벤트는 실행배정기(22)에 의하여 식별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배정될 수 있고 따라서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요구된 메시지를 수행한다. 유사하게, 디스플레이에 대한 대용품에 더하여 또는 대용품으로서, 상기 목소리 합성 이벤트는 실행배정기(22)에 의해 식별된 목소리 합성기에 해당하는 드라이버(131a) 장치로 배정되고 따라서 요구된 메시지를 수행한다.
단계 (208)에서, 특정한 이벤트가 단계 (207)에서 배정되는 드라이버(131) 장치는 신호를 발생하여 해당 대화식 장치(12)를 구동한다. 예를들면, 상술된 예에서, 디스플레이 및 목소리 합성기에 대한 드라이버(131a) 장치는 이벤트 실행배정기(22)로부터 수신된 특정한 이벤트를 기초로 적절한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도 3은 대화식 장치 및 응용 소프트웨어 사이의 계층구조(hierarchy)와, 소프트웨어 응용 구동된 입력/출력 요구에 해당하는 대화식 장치(12)에 대한 사용자 취향을 설정하기에 유용한 시청자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상기 시청자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은 다양한 대화식 장치(12)에 대한 사용자 취향을 기록하고 또한 상기 대화식 장치(12) 사이의 계층구조를 기록한다. 예를들면, 도 3의 아이템(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은 메시지가 사용자(11)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람직한 대화식 장치를 기록하거나, 또는 가능한 대화식 장치에 있어서의 취향 계층 구조(예를들면, 목소리 합성장치 전의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기록한다. 또한, 상기 시청자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은 사용자 취향과 계층구조를 기록하여 특별한 대화식 장치(12)와, 이에 해당하는 응용 소프트웨어 구동 입력/출력 요구에 대한 특정한 이벤트 사이의 관계를 제어한다. 예를들면, 도 3의 아이템(2) 내지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응용 소프트웨어 구동 입력/출력 요구에 해당하는 특별한 대화식 장치(12)에 대한 특정 이벤트와, 대화식 장치(12)로 구동된 특정 이벤트에 해당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입력/출력 요구 (2) 사이의 관계를 제어한다.
따라서, 시청자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은 중계기(132)의 저장 영역(21) 내의 리스트를 조정하는 한세트의 규칙으로서 기능한다. 시청자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에 의해 설정된 규칙은 디지털 처리 기계(13)의 사용자가 설정한 취향에 해당하거나, 또는 제조자가 설정한 디폴트(default)에 해당한다. 상기 취향은 기계 또는 인터페이스 장치 소프트웨어를 제조하는 동안, 디지털 처리 기계(13)의 초기 구성이 이루어지는 동안, 디지털 처리 기계(13)에 의해 관찰되고 얻어진 사용 패턴을 통해 상기 디지털 처리 기계(13) 구성을 추후 업데이트하는 동안, 또는 그외의 시기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시청자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은 디지털 처리 기계(13)의 초기 구성에서, 디지털 처리 기계(13)의 각 전력 상승시, 주기적으로 또는 어떤 형태의 방해에 대한 디지털 처리 기계(13)의 작동 시, 또는 그외의 시기에 중계기(132)의 저장영역에서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것에 사용될 수 있다.
대화식 장치(12) 사이의 계층구조의 설명과 함께, 가상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은 서로에 해당하는 특정한 이벤트와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 사이의 취향에 강한 영향을 주는 일반화된 작동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3은 일반화된 규칙이 저장된 "다른"으로 지칭된 카테고리를 제시한다.
다른 카테고리에 저장된 일반화된 규칙의 예가 도 3에 의해 제시되고 이것은 작동자가 대화식 장치(12)의 소정 거리에 존재하지 않을 때 대화식 장치(12)가 꺼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일반 규칙을 적용할 때, 저장 영역(21)내에 저장된 정보가 디지털 처리 기계(13)와 연결된 대화식 장치(12)에 대한 작동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계층구조의 변화를 반영하도록 업데이트된다. 특정하게, 전형적인 일반 규칙을 적용할 때, 대화식 장치(12)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응용 소프트웨어 통신은 작동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다른 스피커로 들을 수 있게 통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작동자가 장소 1에서 장소 2로 이동하면 장소 1에 있는 스피커는 꺼지고 장소 2에 있는 스피커는 켜져서 응용 소프트웨어로부터 통신된 메시지는 장소 1의 스피커보다 장소 2의 스피커에 의해 들을 수 있게 발생될 것이다.
도 4는 대화식 장치(12)에 이용가능한 대규모 유형의 작동과 관련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특징을 도시하고, 상기 대화식 장치들은 디지털 처리 기계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 응용 소프트웨어 내의 바람직한 입력/출력 요구를 일으킬 수 있다. 예를들어 리모트 컨트롤이 대화식 장치(12)로서 디지털 처리 기계(13)와 연결된다면, 리모트 컨트롤 상의 미리 지정된 버튼을 미리 설정된 답변을 일으키도록 응용 소프트웨어에 배정된 입력/출력 요구로 중계기(132)에 의해 번역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의 버튼 1 내지 3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일으키도록 관련 드라이버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신호를 발생하지만, 상기 중계기(132)는 디지털 처리 기계(13) 상의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된 다른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에 대한 이벤트를 그리도록(map)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버튼 A를 누르면 HOME BOX OFFICE(HBO) 채널에 대해 채널이 변하도록 중계기(132)에 의해 이벤트가 소프트웨어-레벨 입력/출력 요구로 번역될 수 있고, 버튼 B는 CINEMAX 채널에 대해 소프트웨어-레벨 채널 변화 요구로 번역될 수 있으며, 버튼 C는 SHOWTIME 채널에 대해 소프트웨어-레벨 채널 변화 요구로 번역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4에서 제시된 것 또는 다른 것과 같은 시청자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이 상기 실행배정기를 프로그램밍 시켜 대화식 장치(12)에서 특별한 이벤트에 대한 특별한 소프트웨어-레벨 요구를 인식했다.
상기 대규모 유사 특징을 사용하여 리모트 컨트롤과 같은 표준화된 대화식 장치(12)의 작동에 대하여 소정의 미리 결정된 소프트웨어-레벨 출력/입력 요구를 나타내도록 디지털 처리 기계(13)를 초기에 구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작동은 고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하나의 실례로서 중계기(132)는 적어도 시청자 선택을 미리 지정할 수 있고, 프리미엄 채널(HBO, SHOWTIME, CINEMAX, 등)과 같은 제 3 벤더(third-party vendors)에 대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며,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이루어짐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고, 동등물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대치할 수 있다. 또한,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중심 범위를 벗어남 없이 특별한 위치 또는 제재를 본 발명의 가르침에 적용하도록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고려된 최상의 모드로서 개시된 특별한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않고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해당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다음의 설명 및 도면은 청구범위의 일부 또는 모든 범위를,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넘을 수 있는 다양한 독창적인 개념들, 개념 일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출원인이 청구범위에 따라 청구된 보호 범위를 한정하도록 본 출원의 제출과 함께 선택한 사실은 본 출원의 범위 내에 포함된 다른 발명 개념의 포기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청구범위와 범위가 다른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상기 다른 청구범위는 실행동안 예를 들면, 연속 또는 분할 출원의 목적을 위하여 결과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내용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35)

  1. 대화식 장치와 통신가능한 디지털 처리 기계를 위한 인터페이싱 기구에 있어서,
    디지털 처리 기계와 통신하도록 사용된 대화식 장치가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장치와,
    이때, 상기 드라이버 장치는 대화식 장치에 의해 발생한 통신과 그에 해당하는 특정 이벤트를 결부시키고;
    특별유형의 대화식 장치에 대해 일반적인 입력/출력 요구를 통신함으로써 디지털 처리 기계의 바람직한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응용 소프트웨어; 및,
    대화식 장치에 의해 발생된 통신에 해당하는 응용 소프트웨어 및 특정 이벤트에 의해 통신된 입력/출력 요구와 결부시키도록 구성된 중계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장치에 의해 발생된 통신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한 통신 및 디지털 처리 기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한 통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하여 대화식 장치에 의해 발생된 통신은 디지털 처리 기계에 대한 입력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디지털 처리 기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화식 장치에 의해 발생된 통신은 사용자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 기구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저장 미디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디지털 처리 기계와 통신하도록 사용된 대화식 장치중 하나에 의해 발생된 통신에 해당하는 여러개의 다른 특정 이벤트와 단일 입력/출력 요구를 결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디지털 처리 기계와 통신하도록 사용된 다른 대화식 장치에 의해 발생된 통신에 해당하는 여러개의 다른 특정 이벤트 및 단일 입력/출력 요구를 결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자 취향을 기초로 하여 단일 입력/출력 요구에 결부된 여러개의 다른 특정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매기기 위해 중계기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은 여러 다른 사용자의 취향에 다르게 기초를 둔 단일 입력/출력 요구와 관련된 여러 개의 다른 특정 이벤트의 우선 순위를 각각 매기기 위하여 중계기를 제어하는 여러개의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하여 단일 입력/출력 요구에 결부된 여러개의 다른 특정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변화시키기 위해 업데이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은 대화식 장치에 대해 검출된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detected geographical position)를 기초로 하여 단일 입력/출력 요구에 결부된 여러개의 다른 특정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변화시키기 위해 업데이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하나의 대화식 장치에 의해 발생된 단일 특정 이벤트와, 여러개의 다른 입력/출력 요구를 결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단일 특정 이벤트에 결부된 여러개의 다른 입력/출력 요구의 우선순위를 매기기 위해 중계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처리 기계는 컴퓨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처리 기계는 디지털 텔레비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자바(Java)로 쓰여진 컴퓨터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응용 소프트웨어로부터 수신된 질문 메시지를, 대화식 장치와 통신되는 특정 이벤트에 결부시키고, 그 다음 상기 대화식 장치로부터 수신된 특정 이벤트를, 상기 질문 메시지에 대해 응용 소프트웨어와 통신되는 답변 메시지에 결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대화식 장치로부터의 정보 요구를 응용 소프트웨어와 통신된 제 1 입력/출력 요구에 결부시키고, 그 다음 응용 소프트웨어로부터 수신된 제 2 입력/출력 요구를 상기 정보 요구에 대해 대화식 장치와 통신되는 특정 이벤트에 결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싱 기구.
  19. 디지털 처리 기계와 통신하도록 사용되는 대화식 장치의 드라이버 장치와 디지털 처리 기계에 대한 기능을 가능하도록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응용 소프트웨어 사이의 중계기에 있어서,
    중계기와 하나 이상의 응용 소프트웨어 사이에 통신되는 입력/출력 요구 관련 정보와, 상기 입력/출력 요구에 해당하는 특별한 대화식 장치의 작동을 기초로 하여 드라이버 장치 및 중계기 사이에서 통신되는 특정 이벤트를 결부시키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미디엄; 및,
    상기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응용 소프트웨어 및 드라이버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벤트 실행배정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미디엄 상에 저장된 정보는 여러개의 입력/출력 요구의 각각을 특별한 대화식 장치의 작동에 해당하는 여러개의 특정 이벤트에 결부시키고, 및,
    상기 실행배정기는 정보를 사용하여, 응용 소프트웨어로부터 수신된 입력/출력 요구를 특정 이벤트로 하여 적절한 대화식 장치의 드라이버 장치와 통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저장 미디엄에 저장된 정보는 여러 특정 이벤트 각각을 여러개의 입력/출력 요구에 결부시키고, 여러 입력/출력 요구 각각을 입력/출력 요구에 기초로 하여 통신하는 응용 소프트웨어 세트에 결부시키고, 및 상기 실행배정기는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드라이버 장치로부터 수신된 특정 이벤트를 입력/출력 요구로서 적절한 응용 소프트웨어와 통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중계기.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배정기는 디지털 처리 기계와 통신하도록 사용된 대화식 장치에 의한 작동에 해당하는 여러개의 다른 특정 이벤트에 단일 입력/출력 요구를 결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다른 특정 이벤트는 다른 대화식 장치에 의한 작동에 각각 해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24. 제 20 항에 있어서,
    사용자 취향을 기초로 하여 단일 입력/출력 요구와 결부된 여러개의 다른 특정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매기도록 상기 실행배정기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은, 여러 다른 사용자를 기초로 하여 단일 입력/출력 요구와 결부된 여러개의 다른 특정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각각 매기도록 상기 실행배정기를 다르게 제어하는 여러개의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한 단일 입력/출력 요구에 결부된 여러개의 다른 특정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변화시키도록 변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은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단일 입력/출력 요구에 결부된 여러 개의 다른 특정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변형하도록 변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배정기는 디지털 처리 기계와 통신하도록 사용된 특별 대화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단일 특정 이벤트와, 여러 개의 다른 입력/출력 요구를 결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단일 특정 이벤트와 결부된 여러 개의 다른 입력/출력 요구의 우선순위를 매기기 위해 실행배정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30.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처리 기계는 컴퓨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3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처리 기계는 디지털 텔레비젼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3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자바로 쓰여진 컴퓨터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3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배정기는 정보를 사용하여 주변 장치가 응용 소프트웨어로부터 수신된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존재하는 지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3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실행배정기는 응용 소프트웨어로부터 수신된 질문 메시지를 대화식 장치와 통신되는 제 1 특정 이벤트와 결부시키기 위해 저장 미디엄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고, 그 다음 상기 대화식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 2 특정 이벤트를 질문 메시지에 대해서 응용 소프트웨어와 통신된 답변 메시지를 결부시키기 위해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3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실행배정기는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대화식 장치의 정보 요구를 응용 소프트웨어와 통신된 제 1 입력/출력 요구에 결부시키고, 그 후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응용 소프트웨어로부터 수신된 제 2 입력/출력 요구를 정보 요구에 대해 대화식 장치와 통신된 특정 이벤트에 결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KR1019990054153A 1998-12-01 1999-12-01 다양한 대화식 장치에 대한 사용자 대화의 가상화 및 개인화 KR20000052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153A KR20000052398A (ko) 1998-12-01 1999-12-01 다양한 대화식 장치에 대한 사용자 대화의 가상화 및 개인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110,521 1998-12-01
KR1019990054153A KR20000052398A (ko) 1998-12-01 1999-12-01 다양한 대화식 장치에 대한 사용자 대화의 가상화 및 개인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398A true KR20000052398A (ko) 2000-08-25

Family

ID=1962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153A KR20000052398A (ko) 1998-12-01 1999-12-01 다양한 대화식 장치에 대한 사용자 대화의 가상화 및 개인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23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113B1 (ko)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CA2375603C (en) Method and configur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controlled device based upon a device class
US5877756A (en) Terminal device for a video-on-demand system having a hotkey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EP4050599A1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054318A2 (en) 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120117148A (ko) 음성 명령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111207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電子機器,ならびに電子機器制御方法
WO2009087891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30139932A1 (en) Control apparatus
JP510061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8426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30074091A1 (en)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ance connected with host system
JP479458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80699A (ko) 통합리모컨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통합리모컨 설정방법
EP1006419A1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adjusting automation level
KR20000052398A (ko) 다양한 대화식 장치에 대한 사용자 대화의 가상화 및 개인화
US6708271B1 (en) Interactive multi-module system having a communication manager for achieving linked operation of plurality of modules and for defining whether and how an individual module can access a particular function
JP2009151472A (ja) タスク管理装置、タスク管理方法
EP2339558A2 (en) Program use
CN113794919A (zh) 一种显示设备及出声设备的设置方法
CN112558955A (zh) 机器人的编程和控制方法、可读存储介质和计算设备
JP2000188792A (ja) キ―共有方法及び同一機能共有方法
US11249732B2 (en) GUI controller design support device, system for remote control and program
EP3798821B1 (en) Gui controller design assistance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and program
JP200325611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キー操作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