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0557A - 휴대용 세탁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0557A
KR20000050557A KR1019990000516A KR19990000516A KR20000050557A KR 20000050557 A KR20000050557 A KR 20000050557A KR 1019990000516 A KR1019990000516 A KR 1019990000516A KR 19990000516 A KR19990000516 A KR 19990000516A KR 20000050557 A KR20000050557 A KR 20000050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washing
stirring body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0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0557A/ko
Publication of KR20000050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류가 형성되는 세탁용기와 이 세탁용기에 수류가 형성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가 상호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으로서, 세탁용기내에 설치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교반체를 자성체로 형성하고, 이 교반체를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부의 구동모터에는 자성을 갖는 구동판을 설치한다. 세탁과정의 수행시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판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구동판에서 형성되는 회전자계에 의하여 교반체가 회전되어 세탁을 위한 수류를 형성한다. 따라서 세탁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세탁기의 구동부와 교반체를 휴대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휴대용 세탁기{PORTABL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수류를 형성하여 오염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류가 형성되는 세탁용기가 세탁기의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휴대가 가능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세탁기의 구조를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세탁기(6)는 크게, 세탁기(6)의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60)와,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과정을 수행하는 세탁용기(70)와, 상기 세탁과정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용기(70)는 케이스(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고정조(72)와, 상기 고정조(72)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 및 탈수과정을 수행하는 세탁조(74)와, 상기 세탁조(74)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Pulsator)(76)와, 상기 고정조에 세탁용수를 공급 및 배출시키는 급수밸브(도시되지 않음) 및 배수밸브(79)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외곽케이스(81)와 이 외곽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82)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82)는 구동코일(84)이 감겨진 적층코어(83)와, 상기 적층코어(83)의 내측에 배치되어 베어링(85)으로 지지되는 회전축(86)과, 상기 회전축(86)의 외주에 배치되는 외측 코어(87)와, 이 외측코어(87)에 설치되는 자성체(8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회전축(86)의 단부는 상기 세탁조(74)내에 배치되는 펄세이터(76)에 고정 연결된다.
세탁과정의 수행시 급수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고정조(72)에 소정량의 물이 공급되면, 상기 구동코일(84)에 전류가 인가되어 적층코어(83)상에 자계가 형성되고, 형성된 자계와 외측 코어(87)에 부착된 자성체(88)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구동모터(82)의 회전축(86)이 회전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86)에 고정된 펄세이터(76)가 회전하면서 세탁조(74)내에서 수류가 형성되어 세탁과정이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세탁기는 펄세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펄세이터의 하면에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고정 연결된다. 따라서, 세탁용기를 세탁기의 케이스나 구동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해지고, 이에 의하여 세탁기의 구조가 대형화되는 동시에 세탁기의 중량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세탁기는 가정내의 일정 장소에 고정 배치되어 소정의 설치공간을 점유하게 되고, 이동이 어려운 동시에 휴대가 불가능해진다.
또한,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펄세이터가 고정 연결되어 있으므로 담요나 이불 또는 대용량의 세탁물을 세탁할 경우 펄세이터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부하가 구동모터에 직접 전달된다. 이에 의하여 구동모터가 과열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펄세이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직접 전달되므로 구동모터의 진동이 증가되며, 이에 의하여 구동모터의 사용수명이 단축되거나 또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서 편마모가 발생되어 구동모터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세탁물에 대한 용량 변화에 따라 세탁을 수행할 경우에 세탁물의 양이 증가하면, 고정조에 공급되는 물의 양과 세탁조내에서 수류가 형성되는 시간을 증가시켜 세탁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 외에도 세탁량의 증가에 따라 세탁조내에서 형성되는 수류의 강도가 증대되도록 부가적인 제어장치를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세탁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세탁량의 증가에 부가하여 모터의 회전속도가 증가되더라도 모터가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여 세탁과정을 수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펄세이터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류의 강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어렵게 되며, 제어장치가 부가하여 설치되므로 세탁기의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탁용기와 이 세탁용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므로써, 휴대가 가능하며, 세탁기의 설치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기의 구동모터에 과도한 부하가 발생될 경우 별도로 설치된 댐퍼장치 없이도 모터에 전달되는 부하가 흡수되어 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의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수류의 강도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세탁기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세탁기에 설치되는 교반체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세탁기에 설치되는 대용량 교반체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세탁기에 설치되는 구동판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세탁기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세탁기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종래 세탁기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종래 세탁기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6 : 세탁기 10,40,70 : 세탁용기
72 : 고정조74 : 세탁조
15,45 : 지지축20,50,80 :구동부
22,52,82 : 구동모터23 : 구동원판
30,35 : 교반체
본 발명의 세탁기는 수류가 형성되는 세탁용기와, 이 세탁용기에 수류가 형성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가 분리되어 세탁기의 구동부를 휴대할 수 있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세탁용기내에 설치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교반체를 자성체로 구성하고, 상기 교반체를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자성을 갖는 구동판을 설치하며, 이 구동판에서 형성되는 회전자계에 의하여 상기 교반체를 구동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교반체를 자성체로 구성한 것은 상기한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지만, 별도의 구동판을 설치하지 않고, 구동모터의 회전자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에 의하여 상기 교반체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자계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를 일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였다. 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세탁기(1)는 크게, 소정의 세탁용수에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과정을 수행하는 세탁용기(10)와, 상기 세탁과정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용기(10)는 세탁기 본체의 외부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세탁용기(10)를 가볍고 견고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탁용기(10)는 동력전달의 매체로 사용되는 자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이나 열경화성 플라스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세탁용기(10)의 하부 중심에는 교반체(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지지축(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축(15)의 상부에는 수나사부(15a)를 형성하며, 지지축(15)의 수나사부(15a)에는 암나사부를 갖는 지지마개(16)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상기 지지축(15)에 설치되는 교반체(30)는 자성체로 형성하고, 교반체(30)의 중심에는 상기 지지축(15)에 결합되는 회전통공(31)을 형성하며, 교반체(30)의 상면에는 회전통공(31)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돌출되도록 블레이드(32)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세탁량에 따라 각각 교반체를 교체하여 수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교반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블레이드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교반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의나 양말 등의 소용량 세탁물의 세탁시 또는 휴대시에 사용하는 상기 교반체(30) 이외에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용량의 세탁물을 세탁시 교체할 수 있는 별도의 대용량 교반체(35)를 구비하고, 이 대용량 교반체(35)의 상면에 형성되는 블레이드(37)는 소용량 세탁물의 세탁시 또는 휴대시에 사용하는 교반체(30)에 형성되는 블레이드(32)보다 크게 형성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20)는 외곽케이스(21)와 이 외곽케이스(2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22)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모터(22)의 회전축(26) 상단부에는 구동판(23)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한 구동모터(22)는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일반적인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구동판(23)은 재질이 서로 다른 상면(23a)과 하면(23b)으로 구성하되, 구동판(23)의 상면(23a)은 자계를 형성하는 자성체로 형성하고, 회전축(26)에 고정 연결되는 구동판(23)의 하면(23b)은 상기 구동모터(22)에 자성체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비자성체로 형성하며, 적어도 상기한 대용량 교반체(35)보다는 큰 단면적을 갖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과정의 수행시 세탁용기(10)에 소정량의 물이 공급되면,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모터(22)가 회전되고, 이에 수반되어 구동모터(22)의 회전축(26)에 고정된 구동판(23)이 회전된다. 따라서, 구동판(23)의 상면(23a)에는 회전자계가 형성되고, 이 회전자계에 의하여 상기 세탁용기(10)의 지지축(15)에 설치된 교반체(30)가 회전하면서 세탁용기(10)내에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과정을 수행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세탁용기를 세탁기의 구동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세탁기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따라서 장기간의 여행이나 출장시 세탁기의 구동부와 교반체만을 휴대하여 세탁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세탁기의 설치시에는 소정의 장소에 세탁기의 구동부만을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소나 기숙사 등의 다수의 인원이 세탁기를 사용하는 장소에는 본 발명의 세탁기 구동부를 소수개 설치하게 되면, 세탁기를 이용하기 위한 각각의 사용자가 소정의 세탁용기에 교반체를 설치하여 세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세탁기를 구입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수류를 형성하는 교반체가 직접 축으로 연결 고정되는 구조에 의하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구동판에서 형성되는 회전자계에 의하여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반체로부터 구동모터에 과도한 부하가 전달될 때, 상기한 회전자계에서 소정량의 부하가 흡수된다. 즉, 상기 교반체에 과도한 부하량이 발생될 경우 상기 회전자계에서 소정의 슬립이 발생되면서 구동모터에 전달된다. 이에 의하여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모터의 수명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교반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직접 전달되지 않으므로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서 발생되는 편마모가 감소되고, 세탁기의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되는 유용한 발명이 것이다.
또한, 대용량의 세탁물을 세탁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마개를 지지축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대용량 교반체로 교환하여 세탁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량에 따라 구동모터의 회전을 증감시키는 별도의 제어장치 없이도 수류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수류의 강도가 증가되는 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교반체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판을 설치하지 않고 구동모터의 회전자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에 의하여 회전자계를 형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세탁기를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하였다. 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4)는 크게, 세탁용기(40)와, 세탁과정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50)로 구성되고, 상기 세탁용기(40)내에는 자성체로 된 교반체(30)가 설치된 것은 상기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부(50)는 외곽케이스(51)와 이 외곽케이스(5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52)로 구성하고, 이 구동모터(52)는 상기 외곽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축(56)과, 상기 고정축의 외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자(53)와, 상기 고정축(56)의 외주에 베어링(5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자(57)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자(53)에는 구동코일(54)을 권취하여 설치하고, 상기 회전자(57)의 내면에는 마그네트(58)를 부착 설치한다.
상기 고정자(53)의 구동코일(54)에 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고정자(53)의 구동코일(54)에 형성되는 소정의 자계와 상기 마그네트(58)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회전자(57)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자(57)에 부착된 마그네트(58)가 회전되면서, 마그네트(58)의 상면에는 소정의 회전자계가 형성되고, 이 회전자계에 의하여 상기 교반체(30)가 회전되어 세탁과정이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교반체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자성체로 된 구동판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보다 세탁기의 구동부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의 구성부품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조립공정 및 생산공정이 감소되어 세탁기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세탁기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용기를 구동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장기간의 여행이나 출장시 세탁기의 구동부와 교반체만을 휴대하여 세탁을 할 수 있고, 세탁기의 설치시에는 소정의 공간에 구동부만을 설치하게 되므로 세탁기의 설치공간이 감소되며, 세탁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부의 구동판이나 회전자의 마그네트에서 형성되는 회전자계에 의하여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교반체에 과도한 부하가 발생되면, 구동모터에 상기한 부하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소정량의 부하가 슬립을 통하여 흡수되면서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모터에서 발생되는 과열현상이 감소되고, 구동모터의 사용수명이 증대된다. 또한, 교반체의 진동이 구동모터에 전달되어 발생하는 세탁기의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된다.
또한, 수류를 형성하는 교반체의 교환이 용이해지고, 교반체의 교환을 통하여 수류의 강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1)

  1.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과정을 수행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용기와 상기 세탁용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세탁용기의 내부에는 자성체로 된 수류 형성용 교반체를 설치하며, 상기 구동부의 모터 회전축에는 자성체로 된 구동판을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시 상기 구동판에서 형성되는 회전자계에 의하여 상기 교반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탁기.
KR1019990000516A 1999-01-12 1999-01-12 휴대용 세탁기 KR20000050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516A KR20000050557A (ko) 1999-01-12 1999-01-12 휴대용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516A KR20000050557A (ko) 1999-01-12 1999-01-12 휴대용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557A true KR20000050557A (ko) 2000-08-05

Family

ID=1957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516A KR20000050557A (ko) 1999-01-12 1999-01-12 휴대용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05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352A (ko) * 2002-10-04 2004-04-13 박진관 미니세탁기.
CN106319814A (zh) * 2016-11-08 2017-01-11 钟玉川 一种洗衣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352A (ko) * 2002-10-04 2004-04-13 박진관 미니세탁기.
CN106319814A (zh) * 2016-11-08 2017-01-11 钟玉川 一种洗衣机
CN106319814B (zh) * 2016-11-08 2018-12-25 钟玉川 一种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899B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유닛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20120136081A (ko) 직결식 세탁기의 구동장치
KR20010097203A (ko) 펄세이터 방식 세탁기용 모터
KR20000050557A (ko) 휴대용 세탁기
JPH11164986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459189B1 (ko) 세탁기의 진동흡수장치
KR100400571B1 (ko) 직결식 세탁기
KR100436555B1 (ko) 부력 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KR20170052724A (ko) 세탁기의 구동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0438616B1 (ko) 직결식 세탁기
KR0122243Y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US20030154750A1 (en) Washing machine
WO2018038009A1 (ja) 洗濯機
JP3567097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362854B1 (ko) 세탁기
JPS6319034Y2 (ko)
KR20040034237A (ko) 세탁기
KR102578446B1 (ko) 세탁기
KR101033565B1 (ko) 전자동 세탁기의 로터부싱
KR100366851B1 (ko) 세탁기의동력전달장치
KR100896313B1 (ko) 전자동 세탁기 및 그 모터
WO2017068977A1 (ja) 洗濯機
JPH05253390A (ja) 一槽式洗濯機
KR100474758B1 (ko) 부력 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JP2000237494A (ja) 脱水兼用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