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0107A -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0107A
KR20000050107A KR1020000026081A KR20000026081A KR20000050107A KR 20000050107 A KR20000050107 A KR 20000050107A KR 1020000026081 A KR1020000026081 A KR 1020000026081A KR 20000026081 A KR20000026081 A KR 20000026081A KR 20000050107 A KR20000050107 A KR 20000050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foam
fixed
holde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원
Original Assignee
이석원
영신기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원, 영신기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석원
Priority to KR102000002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0107A/ko
Publication of KR20000050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10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 철근콘크리트 교량 및 건물 시공시 거더(GIRDER)와 거더(GIRDER) 사이에 슬라브용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거푸집을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거푸집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규격의 각 파이프로 구성된 폼(FORM)을 형성하여 상기 거더와 거더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거더와 고정 안착시키고 각목과 합판을 배설하여 거푸집을 구성하고 상기 거푸집을 해체할 때는 거더와 폼(FORM)의 고정된 부분을 해체하는 것만으로 거푸집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거푸집의 완성과 해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공방법{Matrix construction method for concrete casting of bridge slabs}
본 발명은 거푸집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골, 철근콘크리트 교량 및 건물 시공시 거더와 거더 사이의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용이하게 해체하기 위한 거푸집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건설시 그 순서는,
1. 교각을 시공 완료하고,
2. 교각 위에 거더를 안착시키고,
3, 거더와 거더 사이에 거푸집을 시공하고,
4,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은 거더와 거더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시공 방법의 종래 시공 방법은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와 같은 종래의 시공 방법 1의 순서,
1. 교량하부에 작업 발판을 설치한다.
2. 거더의 하부 플렌지의 돌출 부위에 브레싱(BRACING) 동바리공을 설치한다.
3. 동바리공 위에 각목을 설치한다.
4. 각목 위에 합판을 합착한다.
5.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와 같은 시공에서 해체하기 위한 시공 순서는,
1. 수직 각목을 해체한다.
2. 합판을 해체한다.
3. 동바리를 해체한다.
4. 발판을 해체하는 순서로 시공하게 된다.
상기 와 같은 종래의 시공 방법 2의 순서,
1. 교량의 상부 플렌지 데크에 플레이트를 깔고,
2. 교량 상부 플렌지와 플레이트를 용접 결착한다.
3.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와 같은 시공에서 해체하기 위한 시공 순서는 없다.
상기와 같은 종래 시공방법 1로 시공할 경우 완공 후 상판 저부가 노출되므로 상판의 훼손 상태를 확인하여 보수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으나, 거푸집을 시공할 발판을 교량의 하부에 높게 설치해야 하는 시공의 어려움이 있고, 물건과 작업인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지시설이 요구되며, 상판 콘크리트가 양생이 된 후에 거푸집의 해체에 어려움이 있고, 장기간의 공사기간이 요구되므로 공사비용의 과다 부담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시공방법 2로 시공할 경우 거푸집을 거더 플렌지에 고정시키고 해체하지 않으므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안전성이 크며, 공기 단축이 가능하여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점이 있으나, 상판 저부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판의 훼손 정도를 추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거더의 상부 플렌지에 거푸집을 용접하여 고정하므로 용접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철골, 철근콘크리트 교량 및 건물 시공시 거더와 거더 사이 또는 캔틸레버(CANTILEVER)의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하기 위한 거푸집 구성을 위한 각 파이프를 일정한 폼(FORM)으로 형성하고 상기 폼(FORM)과 거더의 플렌지를 홀더로 연결 고정하는 작업과 거푸집 작업을 거더 위에서 작업할 수 있는 거푸집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거더와 거더 사이를 측량하고 양 홀더를 제외한 부분을 폼(FORM)의 길이 부분으로 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거더(GIRDER) 12 : 폼(FORM)(a,b)
13 : 홀더(HOLDER) 14 : 힌지(a,b)
15 : 각목 16 : 합판
17 : 클램프 18 : 볼트
21 : 날개 22 : 고정핀
23 : 지지축 24 : 지지대
25 : 턴버클 26 : 슬라브
27 : 합판거푸집
첨부된 도면과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폼(12a,12b)은 거더(11)와 거더(11) 사이 또는 처마(CANTILEVER)의 슬라브(26)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각목과 합판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폼(12a)은 거더(11)와 거더(11) 사이의 간격에 따라 임의 조절이 가능하고 조립과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양단은 홀더(13)와 결합되고 홀더(13)는 거더(11)의 고정핀(22)에 고정된 클램프(17)에 고정되며, 처마의 슬라브(31)를 타설하기 위한 폼(12b)의 구성은 거더(11)의 고정핀(22)에 고정되는 클램프(17)와 상기 클램프(17)에 고정되는 홀더(13)와 홀더(13)와 상기 폼(12b)을 지지하는 지지축(23)과 상기 폼(12b)의 수평각을 각도를 조절하는 지지대(24)와 폼(12b)의 상부에 배설되는 각목(15)과 합판(16)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하고자 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폼(12a)은 슬라브 저면의 모양을 구성하기 위해 수평으로 구성하거나, 일부 곡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면상 직사각형틀에서 윗 각 부분을 사각으로 절단한 것과 같은 모양의 폼(12a)이 각 파이프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단면과 같은 모양의 폼(12a)이 일정한 간격으로 거더(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와 같이 배열되는 폼(12a)은 거더 날개(21)에 고정된 홀더(13)에 안착 고정된다.
상기 홀더(13)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성되고 폼(12a)과 고정되고 크램프(17)와 볼트(18)로 고정되며 상기 글램프(17)는 고정핀(22)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폼(12a)이 안착 고정되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폼(12a) 위에 일정한 배열로 각목(15)이 배설되고 배설된 각목(15) 위에 합판(16)이 배설된다.
본 발명을 처마(CANTILEVER)에 사용할 때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홀더(13)는 클램프(17)에 볼트(18)로 고정되고 클램프(17)는 고정핀(22)에 고정되며 폼(12b)은 상기 홀더(13)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지지축(23)이 연계된다.
폼(12b)의 일측에서 연계된 지지축(23)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대(24)와 결합되는 힌지(14a)가 형성되며 거더(11)의 아랫 날개(21) 위에 지지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폼(12b) 저부에 힌지(14a)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14a)에 지지대(24) 일측이 지지되며 지지대(24)의 다른 일측은 지지축(23)에 형성된 힌지(14b)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대(24)는 신축(伸縮)이 가능하도록 턴버클(25)이 형성된다.
실시 예로 설명하면,
철골, 철근콘크리트 교량 및 건물 시공시 거더(GIRDER)와 거더(GIRDER) 사이에 슬라브용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시공은, 작업용 발판 위에서 동바리에 지지되는 목재 거푸집으로 시공하는 방법과 거더와 거더 사이에 깔린 데크 플레이트를 거푸집으로 시공하는 방법이 있으나, 목재거푸집의 경우 상판의 훼손 정도를 추적하기가 용이하나 공사 자체가 난 공사에 해당하여 위험하고 공기가 많이 소용되므로 전체공사비의 부담이 있으며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은 시공이 간단하고 안전성이 높아 공기와 공사비가 절감되나 상판의 저부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훼손 정도를 추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절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I형강 모양으로 구성된 거더(11)에 슬라브(26)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더의 윗 부분에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핀(22)을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한다.
거더(11)의 길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클램프(17)를 상기 고정핀(22)에 고정시킨다.
홀더(13)를 거더(11)의 윗 날개(21) 저부의 전 길이에 밀착시키고 클램프(17)와 볼트(18)로 결합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거푸집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의 폼(12a,12b)을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폼(12a,12b)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도록 한다.
상기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는 폼(12a,12b)은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거푸집의 연속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폼(12a)의 양단은 상기 홀더(13)에 안착 고정된다.
상기 폼(12a,12b)이 거더(11)와 거더(11)의 고정핀(22)에 고정되고 클램프(17)에 고정된 홀더에 고정되면 폼(12a) 상부에 일정한 규격의 각목(15)을 폼(12a)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고 폼(12a)과 결착시킨다.
상기 폼(12a) 위에 결착된 각목(15)이 배열되면 일정한 규격의 합판(16)을 배설하고 각목(15)에 고정시키면 거더(11)와 거더(11) 사이의 슬라브(26)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이 완성된다.
교량의 처마 부분(CANTILEVER)의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폼(12b)의 일측을 홀더(13)와 결합시키고 상기 홀더(13)는 거더(11)의 윗 날개(21) 저부의 전 길이에 밀착시키고 클램프(17)와 볼트(18)로 결합 에 고정되며 상기 클램프(17)는 거더(11)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핀(22)에 고정된다.
처마 부분의 슬라브(26)는 약간의 각도 조절이 요구되므로 상기 폼(12b)은 회동이 가능하도록 홀더(13)에 힌지로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지지대(24)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24)의 일측은 폼(12b)의 저부에 힌지(26a)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폼(12b)과 연계된 지지축(23)에 힌지(26b) 결합되며 상기 지지축(23)은 거더(11)의 아래 날개(21) 윗 부분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대(24)에는 턴버클(25)이 형성되어 지지대(24)의 길이를 신축시키므로 서 상기 폼(12b)의 각도를 조절하여 처마 슬라브의 저면 각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처마 부분의 폼(12b)이 구성되면 폼(12b)의 상부에 각목(15)을 폼(12b)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고 합판(16)을 상기 각목(15) 위에 배설하므로 서 거푸집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이 완료되면 처마의 길이에서 합판거푸집(27)을 수직으로 고정시킨 후 철근을 배설하고 콘크리트를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설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시공방법은 교량의 하부에 발판이 없는 상태에서 시공이 가능하고 조립만으로 일정한 폼(FORM)을 형성하여 조립만으로 거푸집을 구성할 수 있으며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해체 시는 교량의 저부가 노출되므로 교량의 노화에 의한 상판의 훼손을 쉽게 추적할 수 있으므로 조기 점검이 가능하고 조기 보수가 가능하여 교량의 관리가 용이하다.

Claims (4)

  1. 교량의 상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시공 방법에 있어서, 거더(GIRDER)와 거더(11)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한 규격의 폼(FORM)과 상기 폼(12a)을 거더(11)에 고정시키는 홀더(13)와 상기 홀더(13)를 거더(11)에 고정시키는 클램프(17)와 클램프(17)를 고정시키는 고정핀(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공방법.
  2. 일측은 거더(11)의 고정핀(22)에 고정되며 클램프(17)에 고정되는 홀더(13)와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폼(12b)과 상기 폼(12b)과 연계하여 거더(11)의 아래 날개(21) 윗 부분에 지지되는 지지축(23)과 상기 폼(12b)에 일측 단부는 힌지(14a)로 결합되고 다른 일측의 단부는 지지축(23)에 힌지(14b) 결합되며 폼(12b)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폼(12a)은 일정한 규격의 각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거더(11)와 거더(11)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폼(12a)의 상부에는 폼(12a)의 길이 방향으로 각목(15)이 결착되어 합판(16)의 배설이 용이하며 거푸집의 해체 시는 홀더(13)와 클램프(17)를 고정시킨 볼트(18)를 해체하는 것만으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공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폼(12b)은 상. 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홀더(13)와 힌지로 결합되고 그 저부에는 힌지(14a)가 형성되며 거더(11)의 아래 날개(21)에 지지되고 힌지(14b)가 형성된 지지축(23)과 연계되어 상기 힌지(14a)와 힌지(14b)에 결합되는 지지대(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공방법.
KR1020000026081A 2000-05-16 2000-05-16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공방법 KR20000050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081A KR20000050107A (ko) 2000-05-16 2000-05-16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081A KR20000050107A (ko) 2000-05-16 2000-05-16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107A true KR20000050107A (ko) 2000-08-05

Family

ID=1966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081A KR20000050107A (ko) 2000-05-16 2000-05-16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010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966A (ko) * 2001-04-24 2002-11-01 손석환 슬라브 거푸집의 설치기능을 가지는 피 에스 씨 교량용빔의 가설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00991A (ko) * 2001-06-28 2003-01-06 동국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 시공을 위한 까치발 설치장치
KR100469638B1 (ko) * 2002-09-30 2005-02-07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피.에스.씨-빔 교량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
KR100854224B1 (ko) * 2007-05-18 2008-08-25 (주)한맥기술 반단면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0891985B1 (ko) * 2008-08-25 2009-04-08 이상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켄틸레버 브라켓
KR20180073383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포스코 교량용 거푸집
CN114673087A (zh) * 2022-03-01 2022-06-28 东营市汉泰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用混凝土浇筑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966A (ko) * 2001-04-24 2002-11-01 손석환 슬라브 거푸집의 설치기능을 가지는 피 에스 씨 교량용빔의 가설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00991A (ko) * 2001-06-28 2003-01-06 동국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 시공을 위한 까치발 설치장치
KR100469638B1 (ko) * 2002-09-30 2005-02-07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피.에스.씨-빔 교량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
KR100854224B1 (ko) * 2007-05-18 2008-08-25 (주)한맥기술 반단면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0891985B1 (ko) * 2008-08-25 2009-04-08 이상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켄틸레버 브라켓
KR20180073383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포스코 교량용 거푸집
CN114673087A (zh) * 2022-03-01 2022-06-28 东营市汉泰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用混凝土浇筑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47256A1 (zh) 下跨多条铁路营业线单侧整体吊装大跨度天桥及施工方法
KR100809886B1 (ko) 교각 코핑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각을 시공하는방법
CN108374319B (zh) 一种下承式系杆拱桥结构单元及拱桥结构及其施工方法
US4210304A (en) Transparent cement form and method of form usage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20110127629A (ko) 캔틸레버 시공용 행거식 가설재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부 시공방법
KR20000050107A (ko) 교량의 상판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공방법
RU2310033C1 (ru) Консольные подмости и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консольных плит или карнизных блоков 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моста
US200901213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KR200443605Y1 (ko) 교량상판 타설용 거푸집 지지장치
US2916245A (en) Adjustable scaffold bracket
JP2008502822A (ja) 建築要素及び建築方法
CN211285987U (zh) 一种带耳板免支撑预制装配式型钢混凝土梁柱节点
KR20040042029A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JPH07310304A (ja) コンクリートアーチの架設工法
CN111041986A (zh) 现浇连续箱梁支模体系及施工方法
US4228625A (en) Construction system
KR20010044894A (ko)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 시공방법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AU20052878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KR101078292B1 (ko)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KR200298061Y1 (ko)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CN220166696U (zh) 变宽度现浇箱梁模板与翼板承托一体化结构
KR20200124891A (ko)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CN220202430U (zh) 一种装配式挑臂支架的钢混叠合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