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230A -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230A
KR20000049230A KR1019990703333A KR19997003333A KR20000049230A KR 20000049230 A KR20000049230 A KR 20000049230A KR 1019990703333 A KR1019990703333 A KR 1019990703333A KR 19997003333 A KR19997003333 A KR 19997003333A KR 20000049230 A KR20000049230 A KR 20000049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user
transmitter
spectacle fram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레산드로 몬갈리
마르코 피사니
마르코 잔기롤라미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유러피언 리스크 캐피탈 컴패니 에스. 에이. 홀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유러피언 리스크 캐피탈 컴패니 에스. 에이. 홀딩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0004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23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25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or a plurality of detectors forming a reference frame from which to derive the orientation of the object, e.g. by triangulation or on the basis of reference deformation in the picked up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78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3/782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 G01S3/783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mplitude comparison of signals derived from static detectors or detector systems
    • G01S3/784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mplitude comparison of signals derived from static detectors or detector systems using a mosaic of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손 사용을 요구하지 않고 개인용 컴퓨터(EL)의 스크린(MON) 상에서 커서 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광전자식 송신기(TX)를 포함하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포인팅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EL)의 스크린(MON)과 결합되도록 제공되고, 광전자식 수신기(RX)는 안경(OC)에 조립하므로써 개인용 컴퓨터(EL) 사용자의 머리와 일체가 되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 {POINTING DEVICE FOR A COMPUTER}
지난 몇 년 동안 특히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개인용 컴퓨터로 알려진 컴퓨터 분야에 있어서, 컴퓨터용 프로그램 및 운영 시스템의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그들이 특정 트레이닝 및/또는 전문 과목을 이수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확산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매우 빠르게 컴퓨터용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그룹을 숙련하도록 하며, 약간의 노력만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 및 실행 속도에 이르도록 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컴퓨터 키보드 상의 키를 누르지 않고서, 사용자가 컴퓨터에게, 보다 자세히는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에 매우 많은 명령, 심지어는 복잡한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명령을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한 필수 언어 또는 구문법을 더이상 익힐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술한 장점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명령은, 컴퓨터 스크린 또는 모니터 상에 도시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키므로써, 제공된다. 상기 커서는 스크린 상에 도시된 아이콘 및 필드와 같은 그래픽 심볼을 선택하여, 스크린의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상기 그래픽 심볼을 드래그(drag)하는 데에 사용된다.
원래, 키보드의 화살표 키는 스크린 상에서 커서 이동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불편하고 느리기 때문에, 포인팅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증가된 속도와 효율을 허용하도록 적용되었다.
최근 널리 공지되고 확산된 이같은 포인팅 장치는 소위 "마우스"라고 불린다. 상기 장치는 기본적으로,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작은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평면상에서 미끄러지게 형성되었다. 하우징 내에는, 마우스가 위치하는 평면상에 놓여 상기 평면상에서의 마우스의 변위에 기초하여 구를 수 있도록 이동이 자유로운 볼이 포함된다. 상기 볼은 볼의 회전을 검출하도록 제공된 트랜스듀서와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우스 내에 포함된 볼의 변위를 검출하므로써, 개인용 컴퓨터 스크린 상에서 커서의 해당 이동을 제어하는 데에 마우스 변위 자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두개 이상의 푸시-버튼이 마우스 상에 일반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버튼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그래픽 심볼을 선택 또는 드래그하여야 할 때 개인용 컴퓨터로 명령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다. 이같은 장치는 매우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이 개인용 컴퓨터 스크린 상에서 커서 이동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이유료 상기 장치는 널리 확산되고 있다.
마우스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유사한 타입의 포인팅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같은 장치는 일반적으로 마우스의 사용이 일반적으로 적합하지 않거나 불편한 휴대용 개인 컴퓨터에서 사용되도록 개발되고 있다. 가장 확산된 타입 중 하나가 "트랙볼"로 알려져 있으며, 그것은 마우스의 동작과 기본적으로 유사한 동작을 가지는 정지된 장치(static device)이다. 실제로 트랙볼에 있어서, 볼은 항상 드러나 있으며, 볼의 회전을 검출하도록 채택된 트랜스듀서와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볼은 손가락으로 볼을 회전시키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액세스 가능하다.
이에 따라, 모든 상술한 종래 기술의 포인팅 장치의 공통적인 특징은 사용자의 수작업을 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이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불편함을 야기한다.
실제로, 이같은 포인팅 장치는 사용자의 한 손은 분주하게 하며, 이에 따라 포인팅 장치를 사용할 때 라이팅 장치, 개인용 컴퓨터 상의 키 입력, 독서, 전화 핸드세트의 사용 등과 같은 다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한한다.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씩 차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활동을 정지하여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시간 및 집중력의 손실이 발생한다. 게다가, 사용자가 한쪽 손 또는 양손을 사용할 수 없는 불구인 경우, 마우스와 같은 전통적인 타입의 포인팅 장치는 문제시되거나, 심지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제 2 유형의 불편은 종래의 포인팅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효율성 손실이다. 실제로, 커서가 스크린상의 미리 정의된 지점에서 이동되어야 하는 매순간마다, 사용자는 우선 자신의 시선을 이같은 지점에 집중시켜야 하며, 이후 마우스 및 그에 따른 스크린 상의 커서를 원하는 위치로 옮기기 위하여 자신의 손을 이동시켜야한다. 이같은 이동 동안에, 사용자는 스크린 상의 커서에 전가되는 이동을 체크하고 스크린을 관찰하므로써, 마우스에 전가되는 변위를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 상에서 커서의 이동 및 배치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루프 타입으로 정의될 수 있고 공지된 눈-손 좌표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일어난다. 이러한 방식의 동작은 인간의 눈이 커서 이동을 쉽고 직관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며 또한 높은 위치 설정의 정확성을 얻을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동작은 사용자가 최대로 가능한 포인팅 속도를 얻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진다. 실제로, 스크린 상에서의 커서 이동과 손의 이동을 조화롭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필수적으로 그가 커서를 이동시키기를 원하는 스크린 위치를 미리 관찰하고 이어서 상기 위치에 도달하도록 마우스를 변위시켜야 한다. 사용자가 커서가 존재하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스크린 위치로 커서를 이동하는 것을 요구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커서 위치 및 커서가 이동하여야 할 위치에 교대로 자신의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한 사용자에 의한 요구로 인해 시간이 소모된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커서 위치 설정의 속도를 필연적으로 저감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모든 문제점들을 안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따르는 청구 범위에서 지시된 특징을 가지는 포인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포인팅 장치의 주요 부품에 대한 유용한 실시예가 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 및 특징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여 질 것이며, 상기 도면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장착된 개인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을 사용하지 않고 동작될 수 있는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같은 포인팅 장치용 부품의 예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와 관련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기에 적합한 상기 포인팅 장치의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조리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부품 동작을 설명하는 도 4와 유사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부품에 대한 3가지의 가능한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목적은 손을 사용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컴퓨터 또는 개인용 컴퓨터 스크린상에서의 커서의 이동 및 배치를 허용한다는 것이다. 대신에 이러한 커서의 이동을 얻기 위하기 위하여, 사용자 신체중 다른 부분의 변위가 사용되며, 특정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신체 일부는 손일 수 있다.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유형의 개인용 컴퓨터(EL)가 도 1에 도시되었다. 개인용 컴퓨터(EL)는 입출력 장치로서 일반적인 CRT로 이루어진 모니터(MON) 및 키보드(KB)를 포함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EL)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포인팅 장치용의 두개의 기본적인 부품은 광전자 송신기(TX) 및 대응 수신기(RX)이다. 이러한 광전자 송신기(TX) 및 수신기(RX)는 개인용 컴퓨터의 입력 포트, 특히 예를 들어 마우스와 유사한 종래의 포인팅 장치가 접속되는 개인용 컴퓨터의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전자 처리 유니트(ECU)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송신기(TX)는 수신기(RX)에 의해 수신되도록 적용된 예를 들어 적외선 대역의 전자기 방사빔을 방출한다. 상기 수신기(RX)는 실질적으로 각 센서(angle sensor)이며, 즉 방사 소오스에 대한, 즉 송신기(TX)에 대한 자기 자신의 각을 검출할 수 있는 각 센서이다. 상기 수신기는 명백하게 공간 내에서 송신기(TX)에 대하여 자기 자신의 방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현되었으며, 즉 각 좌표 측정 장치이다.
이어 포인팅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EL)의 모니터(MON)상에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수신기(RX) 방향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절대 각 좌표와 관련되지 않고 각 좌표의 변이와 관련된 정보가 사용되며, 상기 정보에 의해 수신기(RX)는 커서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송신기(TX)에 대해 방향설정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마우스와 같은 종래의 포인팅 장치와 완전히 호환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종래 유형의 마우스에 있어서, 실제로, 평면상에서의 마우스 변위 및 그에 따라 위치 변이와 관련되지만 절대 위치와는 관련되지 않은 정보가 스크린 상의 커서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대안적으로, 게임 및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조이스틱과 같은 절대 포인팅 장치를 에뮬레이트하기 위하여, 포인팅 장치의 변이 대신에 절대 각 좌표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사용 방법도 명백하여 진다. 수신기(RX)를 사용자 머리와 일체가 되도록 하면 충분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의 머리의 간단한 이동에 의해 스크린 상에서의 커서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눈의 방향을 따르게 하기 위하여 머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자연스럽기 때문에, 이러한 타입의 이동은 극히 자연스럽고 직관적이다. 도 2 및 다음의 설명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부분 및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인용 번호를 사용하여 도시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있어서, 개인용 컴퓨터(EL)의 사용자는 수신기(TX)가 제공된 안경(OC)을 착용한다. 이에 따라, 스크린(MON)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를 움직이고 그에 따라 안경에 조립된 수신기(RX)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항상 커서에 자신의 시선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속도 및 효율이 명백히 증가하게 된다. 게다가, 사용자의 손은 완전히 자유롭게 되어 다른 타스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인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키 또는 푸시-버튼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키는 예를 들어 그래픽 심볼을 드래그하거나 선택하기 위하여 사실상 개인용 컴퓨터(EL)로 명령을 전달하기에 하나이면 충분히 적합한 대부분의 경우에도 2 개 또는 3 개이다. 상기 명령은 푸시-버튼이 눌려져 있는 상태 또는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져서 개인용 컴퓨터(EL)로 전달되는 정보 또는 명령이 이진 타입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또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용된 부품, 즉 이진 명령을 인가하고 일반적으로 도 1의 푸시-버튼(INT)으로 표현되는 부품을 포함한다.
이같은 부품(INT)이 계속적으로 사용되어야 하지는 않기 때문에, 상기 부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타입의 푸시 버튼 또는 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개인용 컴퓨터(EL)의 키보드(KB)중 소정 키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이진 명령을 개인용 컴퓨터(EL)에 제공하기를 원하거나,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클릭" 을 원할 때, 사용자는 작업 평면상에 놓인 이같은 키(INT)를 손을 사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같은 장치를 사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장점의 일부가 손실된다. 실제로, 종래 키와 함께 이진 명령(INT)을 사용하므로써, 사용자는 비록 종종이기는 하지만 손을 사용하도록 강요받는다.
소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이에 따라 사용자 손 사용을 요구하지 않고 사용자가 이진 명령을 상기 포인팅 장치로 인가하도록 제공된 센서 또는 제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INT)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발음된 소정의 단어 또는 소리를 인식하도록 사전 조정된 음성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 장치(INT)는 사용자의 이를 누르므로써 사용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엘라스토머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작은 폐쇄 튜브에 접속된 가압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진 명령은 이의 압박으로 엘라스토머 튜브 내부에서 발생된 압력 불균형에서 얻어지며, 상기 압력 불균형은 예를 들어 신장 강도계(extensometric) 타입의 가압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착용하도록 된 소정 부분인 상기 엘라스토머 튜브는 매우 저가의 부품이고,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몇 초 이내에 회복될 수 있다. (착용하는 것 이외에, 위생적인 이유로 대체 할 수 있다는 것이 편리하다.)
신장 강도계 센서를 사용자 피부의 일부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진 명령은 근육, 예를 들어 턱 근육을 수축하므로써 또는 관절을 구부리므로써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딕터폰에서 사용되는 타입의 발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푸시-버튼을 사용하는 것도 다른 대안책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완전히 자유롭게 된 자신의 손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완벽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용 주요 부품을 도시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면은 개인용 컴퓨터(EL)의 스크린(MON)상에서 커서 위치 설정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공된 송신기(TX) 및 수신기(RX)와,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에 이진 명령을 제공하도록 하는 센서(INT)를 도시한다. 송신기(TX) 및 수신기(RX)와 센서(INT)는 포인팅 장치의 처리 유니트(ECU)에 접속된다. 특히, 이러한 세 가지의 부품(TX, RX, INT)은 제어 유니트(UC)에 접속되며, 상기 유니트(UC)는 처리 유니트(ECU)의 일부이다. 이러한 제어 유니트(UC)의 기능은 송신기(TX)를 구동하는 것과 수신기(RX) 및 센서(INT)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수신, 디코딩 및 처리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니트(UC)의 기능은 실질적으로 수신기(RX) 및 센서(INT)에 의해 발생된 신호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명령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제어 유니트(UC)는 또한 컴퓨터 또는 개인용 컴퓨터(EL)로 이같은 정보를 전송하도록 사전 조정된다. 이러한 전송은 제어 유니트(UC)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를 컴퓨터에 의해 요구된 프로토콜에 따라 또는 소정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는 인터페이스(IF)를 통해 발생한다. 따라서 이같은 인터페이스(IF)의 중요한 기능은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종래의 포인팅 장치와 완벽한 호환성을 가지도록 하여, 단지 포인팅 장치의 한 부품만을 수정하므로써 상이한 프로토콜 또는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컴퓨터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수신기(RX)의 동작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기(RX)는 실질적으로 각 좌표 측정 장치이다. 상기 수신기(RX)는 공간내의 지점, 즉 특히 송신기(TX)에 대한 자기 자신의 축 방향을 실질적으로 검출한다.
기본적으로 수신기(RX)는 다수개의 광감지 엘리먼트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는, 블록 방사에 적합한 하나의 스크린 또는 조리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기(RX)는 4개의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를 포함하는데, 상기 광감지 엘리먼트들은 평면상에 배열되고 모양이 직사각형이거나 또는 정사각형이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꼭지점에 두개의 대칭 축을 가지는 형상을 형성하도록 고르게 배열된다. 스크린(LS) 및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은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수신기(RX) 축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이같은 광감지 엘리먼트(F1,F2,F3,4)의 전단에는, 상기 광감지 엘리먼트로부터 소정 거리에, 상기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로 이루어진 배치 중심에 개구를 가지고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모양을 가지는,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의 평면에 평행인 평면으로 형성된 조리개(LS)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LA로 지정된 영역은 모양 및 위치로서 조리개(LS) 내에 제공된 개구에 해당한다. 개구를 가지는 조리개(LS)의 기능은 송신기(TX)에 의해 방출된 방사빔이 송신기(TX)에 대한 수신기(RX)의 설정 방향에 따라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상에 상이하게 충돌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경우를 고려하도록 한다. 도 5에 있어서, 간략화를 위하여, 본 상황은 수신기(RX)가 직접 송신기(TX)를 향하도록 설정되는 대신에, 송신기(TX)에 대하여 각(α)으로 방향 설정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간략화를 위하여, 평면상에서의 단일 각이 공간내의 선형적으로 독립적인 한쌍의 각을 대신하는 것으로 고려되며, 결과적으로 도 5는 단지 광감지 엘리먼트(F1,F2)만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RX)는 송신기(TX)에 대하여 각(α)으로 방향설정되기 때문에, 송신기(TX)에 의해 방출된 빔은 조리개(LS) 및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 평면에 수직으로 입사되지 않는다.
수신기(RX) 크기가 수 밀리미터 정도로 상대적으로 작은 반면에, 수신기(RX)와 송신기(TX)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50 Cm 내지 1m로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송신기(TX)로부터 방출된 방사빔은 무수히 배치된 방사 소오스로부터 방출되는 것처럼 제 1 근사화로서 상호 평행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같은 이유로 인하여, 도 5에서, 수신기(RX)상에 입사되는 방사빔은 수신기의 평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방향설정된 두개의 평행한 직선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두개의 직선은 본질적으로, 수신기(RX) 축이 되는 상기 평면의 법선에 대하여 각(α)으로 경사져 있다.
이것은 송신기(TX)에 의해 방출된 방사빔이 수신기(RX)의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상에 상이하게 충돌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특수한 경우에 있어서, 입사되는 방사빔은 상호 인접하여 배치된 두개의 광감지 엘리먼트(F1,F2)상에 현저히 상이하게 충돌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광감지 엘리먼트(F2)에서보다 광감지 엘리먼트(F1)에 더욱 많이 충돌한다.
조리개(LS) 개구가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에 대해 중앙에 집중하여 배열된다면, 송신기(TX)에 의해 방출된 방사빔은 수신기(RX)의 축이 송신기(TX)를 직접적으로 향하도록, 즉 널-각(α)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 광감지 엘리먼트상에 균일하게 충돌한다. 도 5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논-널 각(α)으로 수신기(RX)의 축이 방향 설정된 경우, 광감지 엘리먼트(F1,F2)에서 입사된 방사빔에 의해 충돌된 부분은 소정량 또는 거리(X)에 의해 상대적으로 증가 및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양(X)은 광감지 엘리먼트(F1,F2)가 그 상부에 충돌하는 입사 방사빔의 양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리(X)는 광감지 엘리먼트(F1,F2)에 의해 생성된 신호로부터 바로 검출될 수 있다. 제 1 가정으로서 거리(X)가 Dsinα와 동일하기 때문에 각(α)도 역시 검출될 수 있으며, 상기 D는 광감지 엘리먼트(F1,F2) 평면과 조리개(LS)평면 사이의 거리이다.
상술한 상황은 간단한 각(α)의 검출과 명백히 관련된다. 그러나, 4개의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를 사용하므로써 공간내에서 수신기(RX)의 설정 방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즉 두개의 각(α 및 β)을 측정하므로써 설정 방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상술한 시스템은 또한 (예를 들어 4개의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를 구비한 상술한 타입의) 검출기 구조 및 (도시되지 않은) 홍채를 대신하는 단초점 렌즈를 사용하므로써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초점 수단은 센서와 송신기 사이의 거리 보다 매우 짧은 단 초점 수단이므로, 상기 렌즈에 입사되는 방사빔은 평행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F1 및 F2) 광감지 엘리먼트의 평면상에 방사빔을 투사하는 렌즈를 사용하므로써, 관련 빛은 광 시스템 축을 가지는 입사된 방사빔에 의해 형성된 단일 각(α)에 단조롭게 링크된다.
상기 구조의 매우 낮은 비용의 실제적인 실시예는 4개의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의 중심상에 직접 놓인 (도시되지 않음) 구면 렌즈를 사용하여 얻어지며; 이에 따라 렌즈와 광검출기 사이의 공간 요구는 제거된다.
도 6 및 도 7은,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상의 입사되는 방사빔이 송신기(TX)에 대한 수신기(RX)의 설정 방향에 따라 다양한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5)로 상이하게 분할되는 방법이 명확한 두가지 경우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실지로 수신기(RX) 축의 두가지 상이한 설정 방향에 따라 송신기(TX)가 방출한 입사 방사빔이 가격된 영역(LA)을 도시한다.
대신에 도 4에는 수신기(RX) 축이 송신기(TX)를 직접 향하는 경우의 영역(LA)이 도시되었다. 상기 수신기 축이 송신기를 직접 향하는 경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리개(LS) 개구가 중심에 위치하고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에 대해 대칭이라고 명확하게 가정하여, 입사 방사빔에 의해 가격된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의 부분은 다른 것들에 대한 것과 완전히 동일하게 된다.
수신기(RX)의 축 방향 설정이 정확하게 송신기(TX)를 향하는 방향인 이같은 방향으로부터 매우 작은 양으로 이동하자마자,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상에서 입사 방사빔의 분할은 변화하여 불균형적이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 하나의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의 상에 입사 방사빔의 강도를 나타내는 신호에서 출발하여, 두개의 상호 직각 방향, 즉 이하 X 및 Y로 제시되는 방향을 따라 송신기(TX)에 대한 수신기(RX)의 축 방향을 나타내는 각(α 및 β)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신기(RX)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과 매우 유사한 다수의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에 (도 5a에 도시된) 스크린 또는 조리개(LS')를 제공한다. 상기 조리개(LS')는 또한 실질적으로 직사학형 또는 정사각형 모양이지만, 방사빔이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로 이루어져서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로부터 입사 방사빔을 스크리닝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심 부분(C) 이외의 부분이 완전히 투명한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심 부분(C)은 실질적으로 조리개(LS')의 모양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모양이며, 조리개 내부에 포함된다. 이러한 수신기(RX)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은 상술한 실시예를 보완하며; 동작 원리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앞서 언급된 것들과는 달리, 이어 송신기(TX)에 대한 요구는 상대적으로 작다. 본질적으로, 송신기(TX)는 개인용 컴퓨터(EL)의 스크린(MON)에 인접하여 위치되어야 하며, 정상 사용인 동안에는 수신기(RX)가 항상 송신기(TX)에 의해 방출된 방사빔이 검출되는 영역 이내에 위치되도록 사용자와 마주되고 있어야 한다. 게다가, 송신기(TX)는 정적인 위치내에 존재하여야 하며, 실질적으로는 포인팅 장치에 필수적인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미세형태의 방사빔 소오스가 되어야 한다.
수신기(RX)의 동작이 송신기(TX)와 수신기(RX) 사이의 거리와는 무관하고 수신기(RX)가 송신기(TX)에 대해 방향설정되는 각에만 의존하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것은, 이러한 각이 다양한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로 입사되는 방사빔의 강도 사이의 비에 실질적으로 의존하지만 절대 강도에는 의존하지 않는다는 점에 기인하여, 가능하다. 명확하게 이것은 사용자가 마음대로 자신이 스크린(MON)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수정할 수 있고 자신의 머리를 방향 설정하므로써만 커서의 위치를 체크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송신기(TX)가 스크린(MON)에 제공되고 사용자의 머리와 일체로 형성된 수신기(RX)는 스크린(MON)에 인접하여 위치된 입방체 에지 또는 묘안석 반사기와 같은 역반사기를 발광시키는 사용자의 머리와 일체로 형성된 송신기(TX)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처리 유니트(ECU)와 사용자 머리 사이의 접속은 제거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8은 상술한 것으로 구현된 송신기(TX) 및 수신기(RX)를 명확하게 도시한다. 수신기(RX)는 기본적으로 논리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회로(LOG)에 접속되는데, 상기 논리 네트워크의 기능은 각 좌표에 대한 정보 및 입사 방사빔의 전체 강도를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회로(LOG)는 X 및 Y로 설정된 두개의 신호를 출력하는데, 상기 신호는 각 좌표를 나타내며, 이후에 추가로 처리된다.
상기 신호(X 및 Y)는 동적 압축기(CD)로 전송되는데, 상기 동적 압축기의 기능은 수신기(RX)의 동작을 송신기(TX)로부터의 거리와 무관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체 강도에 관한 함수에 따라 신호(X 및 Y)의 진폭을 표준화하는 것이다.
동적 압축기(CD)로부터 출력된 신호(X 및 Y)는 동기화 복조기에 이은 증폭기에 인가되는데, 이들은 ALI로서 결합적으로 설계된다. 수신기(RX)가 송신기(TX)에 의해 방출된 방사빔 이외에 강한 잡음 및 간섭 소오스가 되는 많은 양의 추가 전자기 방사빔을 수신한다는 점이 지적되어야 한다.
수신기(RX)는 실질적으로 개인용 컴퓨터(EL)의 스크린(MON)을 향하고, 강한 전자기 방사빔의 소오스가 된다는 것을 알기에 충분하다. 이같은 이유로 인해, 가능한한 많이 이같은 잡음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송신기(TX)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주파수를 가지고 발진기 회로(OSC)에 의해 발생되는 주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송신기(TX)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같은 주기 신호는 동기화 복조기(ALI)로 전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기화 복조기(ALI)는 단지 송신기(TX)에 의해 방출된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및 위상을 가지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상술한 모든 잡음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동기화 복조기(ALI)의 출력단에서, 수신기(RX)의 실제적인 각 좌표를 나타내는 두개의 신호(X 및 Y)가 이용 가능하다. 상기 신호(X 및 Y)는 입력 신호를 디지털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로 전송된다. A/D 변환기의 출력은 이러한 신호를 변환시켜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상술한 인터페이스(IF)로 차례로 전송된다.
이진 제어 장치(INT)는 또한회로(TH)를 통해 인터페이스(IF)에 접속된다. 이같은 회로(TH)의 기능은 상기 이진 제어 장치(INT)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진 제어 장치(INT)가 예를 들어 가압 센서라면, 상기 회로(TH)는 임계치 비교 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진 제어 장치(INT)가 예를 들어 페달식 푸시-버튼이라면, 상기 회로(TH)는 바운드 방지 회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여분의 회로가 되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인터페이스(IF)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명령을 나타내는 모든 신호를 디지털 포맷으로 수신하여, 상기 컴퓨터(EL)에 정확한 포맷으로 전송한다.
상술한 구조 및 실시예가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구현할 때 수행되는 설계 선택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수신기(RX)가 방향 설정되는 각 좌표에 따라 공간내에 각 좌표를 검출하기 위하여 3개의 광감지 엘리먼트이면 충분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것이 상기 수신기(RX)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처리하는 유니트(ECU)로 전기 회로를 매우 간단하게 하기 때문에, 4개의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만으로 이루어진 수신기(RX)가 도시되었다.
또한 이진 명령 장치(INT)에서와 같이, 상술된 것 이외에 응용 및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다양한 변형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특징은 수신기(RX)의 모양 및 위치이다. 본 발명의 객체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수신기(TX)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안경테(OC)와 일체로 형성된다. 사용자가 안경을 필요로하지 않을 경우, 어찌하였든 사용자는 항상 안경 유리가 없는 또는 교정 없는 유리가 장착된 안경테(OC)를 항상 착용할 수 있다.
수신기(TX)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OC)내에 바로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를 안경테의 다리에 제공하므로써 일시적으로 일반 안경테(OC)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하나의 안경테(OC)에서 다른 안경테로 수신기(RX)를 운반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더욱이, 광감지 엘리먼트를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하고 광감지 엘리먼트의 앞에 위치된 스크린 내에 많은 개구를 구현하므로써 특히 감소된 크기를 가지도록 수신기(RX)를 구현할 수 있다. 광감지 엘리먼트는 명백히 개구에 대해 서로 엇갈려 위치(파상 배치)될 수도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므로, 상이한 광감지 엘리먼트상의 입사 방사빔의 변이는 상술한 원리에 따라 수신기(RX)의 설정 방향을 정확하게 검출하도록 한다.
이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매우 감소된 크기를 가지는 연장된 수신기(RX)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미적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는 무겁게 하지 않고 수신기(RX)를 안경테(OC)내에 통합 또는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RX)를 안경테(OC) 중앙 위치, 즉 안경 코받침 상부의 안경 지지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부분 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RX)는 또한 다리를 안경테의 나머지 부분에 힌지 결합하는 부분 근처에 안경테(OC)의 다리와 통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OC)의 안경 지지 프레임을 접속시키는 상부 가로대에 수신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길게 연장된 모양으로 상기 수신기(RX)를 구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된 모든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를 안경테(OC)에 영구적으로 통합시키거나 또는 미리 존재하는 안경테(OC)에 상기 수신기를 제거 가능하게 통합하는 것 모두 가능하다.
수신기(RX)가 안경테(OC)와는 상이한 대상물에 적용되는 경우의 대안적인 실시예도 역시 가능하다. 상기 송신기(TX)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헬멧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예를 들어 가상적인 실제 상황을 재현하도록 채택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헬멧에 통합될 수도 있다.
송신기(TX)도 역시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오디오 헤드폰 또는 마이크로폰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헤드폰 사용을 요구하는 활동을 하고 있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수신기(RX)가 처리 유니트(ECU)에 반드시 접속되어야 하는 것이 명백하다. 상술한 도면에서 이러한 접속은 항상 와이어(W)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사용자 머리와 개인용 컴퓨터(EL) 사이에서는 접속 와이어(W)가 바람직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존재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같은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수신기(RX)와 처리 유니트(ECU) 사이에서의 통신은 예를 들어 디지털 라디오 또는 적외선 접속에 의해 무선으로 이루어진다.
실제로, 근래에는 크기가 매우 감소된 라디오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수신기에 배터리를 통한 자신의 전압 공급원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수신기(RX)의 무게 및 크기를 증가시키는 요구를 내포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필요한 경우에 접속 와이어(W)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키보드(KB) 또는 컴퓨터 또는 손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불구인 사람들을 위한 컴퓨터(EL)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인용 컴퓨터(EL)를 대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EL)를 위한 정상 키보드의 키 장치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실질적으로 같은 모양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KBS)를 구현하는 것도 간단하다. 이같은 스크린(KBS)은 여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액정 스크린을 통해 또는 간단하게 램프에 의한 또는 발광 다이오드에 의한 후면 발광 마스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KBS)은 개인용 컴퓨터(EL)의 정상 스크린 또는 모니터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같은 키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KBS)은 그것을 제어하기 위하여 구성된 처리 유니트(ECU)에 접속된다. 게다가, 처리 유니트(ECU)는 또한 종래의 키보드(KB)가 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개인용 컴퓨터(EL)의 입력 포트에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 유니트(ECU)는, 수신기(RX)가 모니터(MON)를 향하는 것이 아니라 키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KBS)을 향하도록 방향 설정될 때, 커서를 모니터(MON) 스크린에서 사라지게 할뿐만 아니라 수신기(RX)가 방향 설정되어 키를 나타내는 지점에 대응하는 키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심볼 또는 영역을 지시하거나 발광시킨다. 이같은 키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KBS)에는 또한 자신의 송신기 또는 역반사기가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간단하게 자신의 머리를 방향 설정하므로써, 처리 유니트(ECU)에 접속된 키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KBS)을 나타내는 소정 키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은, 처리 유니트(ECU)가 소정 시간에 사용자가 지적하는 문자를 연속적으로 발광 또는 지적하기 때문에 특히 용이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키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선택하기 위하여 자신의 머리 방향을 빠르게 수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키를 선택할 때, 이진 제어 장치(INT)를 통해 사용자가 명령을 제공하거나 클릭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일이 발생할 때, 처리 유니트(ECU)는 개인용 컴퓨터(EL)로, 개인용 컴퓨터의 입력 포트로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코드를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EL)의 키보드(KB)를 완전히 대체한다.
이같은 실시예를 통해, 손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고 키 입력의 수행을 가능케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특히 장애인에 의해 사용되는 개인용 컴퓨터(EL) 또는 컴퓨터의 효율적인 사용을 허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또한 표준형 키보드(KB)와 매우 호환적이다.
본 발명의 범주를 일탈하지 않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4개의 광감지 엘리먼트 또는 포토다이오드(F1,F2,F3,F4)로 이루어진 대신에 수신기(RX)는 사각 배열의 PSD( 위치 감지 다이오드) 형의 단일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수신기(RX)는 두개의 광감지 엘리먼트의 조합(도시되지 않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조합들 중 하나는 한쌍의 다이오드 또는 선형 타입의 한 PSD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쌍의 포토다이오드 및 상기 두개의 선형 PSD는 모두 다른 쌍과는 선형적 독립이 되도록 상호 직교적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기술되고, 다양한 형태의 변화 및 변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진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된다.

Claims (41)

  1. 디스플레이 스크린(MON) 상에 도시된 그래픽 포인팅 심볼 또는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MON)이 장착된 컴퓨터(EL)와 접속되도록 제공된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MON)과 통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기 방사빔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TX),
    사용자 신체의 일부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송신기(TX)에 대해 자신의 각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공된 수신기(RX), 및
    상기 수신기(RX) 및 상기 컴퓨터(EL)에 접속되며, 상기 각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에 관한 함수에 따라 그래픽 포인팅 심볼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처리 수단(EC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사용자 머리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상기 송신기(TX)의 위치에 대하여 수신기의 축 방향을 검출하기 위해 제공된 각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다수의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고 상기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와 마주하여 그들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조리개(L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 및 상기 개구가 구비된 상기 조리개(LS)는 상기 송신기(TX)에 대한 상기 축 방향의 변이가 상기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로의 입사 방사빔의 변이를 일으키도록 형성 및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적어도 3개의 광감지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4개의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의 중심에 직접 놓인 구면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다수의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 및 투명물질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중심부(C)를 가지는 조리개(LS')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개(LS')는 상기 광 감지 엘리먼트(F1,F2,F3,F4)와 마주하여 그들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심부(C)는 상기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로부터의 입사 방사빔을 스크리닝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 및 상기 조리개(LS')는 상기 송신기(TX)에 대한 상기 축 방향의 변이가 상기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로의 입사 방사빔의 변이를 일으키도록 형성 및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적어도 3개의 광감지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4개의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데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ECU)은 상기 송신기(TX)에 접속되고 주기적 신호로 상기 송신기(TX)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ECU)은 동기화 복조기(ALU)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화 복조기는 상기 주기 신호를 사용하여 변조되고, 상기 송신기(TX)에 의해 방출된 상기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상의 입사 방사빔만을 나타내는 필터링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로의 입사 방사빔을 나타내는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ECU)은 동적 압축 회로(CD)를 포함하며, 상기 동적 압축 회로는 상기 송신기(TX)와 상기 수신기(RX) 사이의 거리와는 무관한 상기 각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광감지 엘리먼트(F1,F2,F3,F4)에 의해 생성된 입사 방사빔을 나타내는 신호를 표준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ECU)은 상기 각 방향의 변이에 관한 함수에 따라 상기 그래픽 포인팅 심볼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안경테(OC)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안경테와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도록 공급된 헬멧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도록 제공된 헤드폰 또는 마이크로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이진 명령을 검출하기 위해 제공된 센서(I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푸시-버튼(I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INT)은 발에 의해 활성화되는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INT)은 상기 컴퓨터(EL) 키보드(KB)의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INT)는 이의 압력에 의해 활성화되는 가압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근육 또는 관절에 적용된 신장 강도계 센서(I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음된 사전 조정된 음성 및 단어를 인식하도록 형성된 음성 인식 장치(I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와이어(W)로 상기 처리 수단(ECU)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무선 또는 적외선 접속을 통해 상기 처리 수단(ECU)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ECU)에 접속되고 상기 사용자와 마주하는 상기 컴퓨터(EL)의 모니터(MON)에 인접하여 배열된 키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KBS)을 포함하며,
    상기 키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KBS)은 컴퓨터용 종래 키보드의 그래픽 심볼 키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처리 유니트(ECU)는 상기 심볼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수신기(RX)의 축을 방향설정하므로써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심볼이 선택될 때 상기 그래픽 키 심볼 중 임의의 하나를 발광 또는 지적하며, 상기 사용자가 동시에 상기 센서(INF)를 활성화시킬 때 상기 키를 나타내는 코드를 상기 컴퓨터(EL)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정사각형 배열의 PSD 타입의 단일 포토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두개의 광감지 엘리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광감지 엘리먼트는 한쌍의 포토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포토다이오드 쌍은 모두 수직으로 또는 다른 쌍과는 선형적으로 독립이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호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두개의 광감지 엘리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광감지 엘리먼트는 선형 타입의 PSD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선형 PSD 포토다이오드는 모두 수직으로 또는 다른 포토다이오드와는 선형적으로 독립이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호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포인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수신기(RX)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안경테(OC)에 제거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상기 안경테(OC)의 다리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안경 지지부를 접속하는 상기 안경테(OC)의 상부 가로대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안경 지지부들 사이의, 상기 안경테(OC) 코받침 상부에 포함된 중심 위치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38.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포인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고 그 내부에 통합되는 수신기(RX)를 포함하는 안경테(OC).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상기 안경테(OC)의 다리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OC).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안경 지지부를 접속하는 상기 안경테(OC)의 상부 가로대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OC).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RX)는 안경 지지부들 사이의, 상기 안경테(OC) 코받침 상부에 포함된 중심 위치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OC).
KR1019990703333A 1996-10-17 1997-07-30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 KR200000492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TO96A000848 1996-10-17
IT1996TO000848A IT1304963B1 (it) 1996-10-17 1996-10-17 Dispositivo di puntamento per un elaboratore elettronic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230A true KR20000049230A (ko) 2000-07-25

Family

ID=1141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3333A KR20000049230A (ko) 1996-10-17 1997-07-30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932878A1 (ko)
JP (1) JP2001506776A (ko)
KR (1) KR20000049230A (ko)
CN (1) CN1240039A (ko)
AU (1) AU4012697A (ko)
CA (1) CA2268980A1 (ko)
IT (1) IT1304963B1 (ko)
WO (1) WO19980181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832B1 (ko) * 1999-12-01 2007-01-04 주식회사 케이티 눈동자 움직임추적을 통한 2차원 모니터 포인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2246B1 (it) * 1999-04-09 2002-04-09 Francesco Lauricella Apparecchio con scacchiera fotosensibile per il comando di personalcomputer mediante emittente di luce concentrata, applicata alla testa
ITTO20110777A1 (it) 2011-08-25 2011-11-24 Fandis Lab S R L Pannello solare a concentrazione con inseguimento biassiale e sistema di gestione comprendente tale pannello
CN105955461A (zh) * 2016-04-25 2016-09-21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交互界面管理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83197A1 (fr) * 1985-06-07 1986-12-12 Thomson Csf Systeme de commande de positionnement d'une marque sur un ecran et application a la commande d'ordres a distance
DE4207284C2 (de) * 1992-03-07 1996-08-22 Stefan Reich Räumliche Bilddarbietung
US5574479A (en) * 1994-01-07 1996-11-12 Selectech, Ltd. Optical system for determining the roll orientation of a remote unit relative to a base unit
GB2291497B (en) * 1994-07-06 1998-09-23 Alps Electric Co Ltd Relative position detecting device
FR2726903B1 (fr) * 1994-11-10 1996-12-06 Thomson Csf Ecartometre integ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832B1 (ko) * 1999-12-01 2007-01-04 주식회사 케이티 눈동자 움직임추적을 통한 2차원 모니터 포인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012697A (en) 1998-05-15
CN1240039A (zh) 1999-12-29
ITTO960848A1 (it) 1998-04-17
EP0932878A1 (en) 1999-08-04
IT1304963B1 (it) 2001-04-05
JP2001506776A (ja) 2001-05-22
CA2268980A1 (en) 1998-04-30
WO1998018100A1 (en)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2854B2 (en) Near field ges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563629A (en) Device for pointing the cursor on the screen of interactive systems
EP17044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 input device
US7102616B1 (en) Remote control device with pointing capacity
US6757068B2 (en) Self-referenced tracking
US6963331B1 (en) Positio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20060209013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machine connected to a display by line of vision
JP2002366297A (ja) 機器の動作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11640144B2 (en) Watch with optical sensor for user input
KR20020072367A (ko) 바이오 피드백을 이용한 정보 입력 시스템 및 정보 입력방법
EP0500794A1 (en) Computer control system
WO2004066097A2 (en) Gaz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11216066B2 (en) Display device, lear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KR20000049230A (ko)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
WO2011045786A2 (en) Wearable device for generating input for computerized systems
Xirgo et al. Accelerometer-based computer mouse for people with special needs
US20100020016A1 (en) Computer Mouse
GB2418974A (en) Data input from the relative position of devices on respective hands of a user
JP3087345B2 (ja) 入力装置
JPH1153102A (ja) 入力装置
JP2002222054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100524352B1 (ko)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JPH1039995A (ja) 視線・音声入力装置
CN103135772A (zh) 键盘模块及显示系统
KR19990021540A (ko) 눈의 시선각도를 이용한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