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173A - 오목한 측면 에지를 갖는 일회용 턱받이 - Google Patents

오목한 측면 에지를 갖는 일회용 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173A
KR20000049173A KR1019990703268A KR19997003268A KR20000049173A KR 20000049173 A KR20000049173 A KR 20000049173A KR 1019990703268 A KR1019990703268 A KR 1019990703268A KR 19997003268 A KR19997003268 A KR 19997003268A KR 20000049173 A KR20000049173 A KR 20000049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b
wearer
neck opening
neck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6210B1 (ko
Inventor
잭슨베벌리안쥴리안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0004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10Bi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10Bibs
    • A41B13/103Bibs with a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52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dispos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체로 종방향으로 대칭이며 횡방향으로 비대칭인 목 개방부, 및 오목한 측면 에지를 갖는 턱받이를 제공한다. 대체로 평면인 목 개방부는 눈물방울 형태일 수 있다. 오목한 측면 에지는 착용자 팔의 움직임을 수용한다. 턱받이는 허리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오목한 측면 에지를 갖는 일회용 턱받이{BIB HAVING CONCAVE SIDE EDGES}
일회용 턱받이는 본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턱받이는 아이의 음식물 섭취중에 사용될 수 있다. 일회용 턱받이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적층 구조체를 구비할 수 있다.
턱받이를 착용자에게 착용시키는데 있어서 하나의 문제점은 턱받이를 착용자에 고정시키는 경우 착용자의 가슴을 덮는 턱받이 부분이 변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턱받이는 착용자의 가슴에서 이격되어 갭을 형성한다. 이러한 변형은 턱받이를 착용자의 목 둘레에 고정할 때 턱받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 가슴 위의 턱받이 부분은 착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경우와 같이 착용자가 팔을 움직일 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착용자의 일부분이 엎질러지는 음식물로부터 보호되지 않게 하고 착용자가 지나친 불편함을 느낄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변형은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면, 보통 목 개방 형태로 양산되는 턱받이는 모든 목 사이즈 및 형상에 동등하게 잘 착용되지 않을 수 있다. 턱받이 목 개방 형태가 착용자의 특정 목 사이즈 및 형상에 순응하도록 제조될 때, 착용자 가슴상의 턱받이 부분은 변형될 수 있다. 반면에, 과도한 사이즈의 턱받이 목 개방 형상이 사용중 착용자의 목에 잘 맞지 않을 경우, 턱받이는 사용중에 착용자에게서 미끌어지거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신체에 맞는 동시에 착용자의 움직임을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 턱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턱받이가 착용자에 고정될 때 턱받이의 변형을 감소시키는 목 개방부 및 측면 에지를 갖는 턱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종방향 길이부, 횡방향 폭부, 바닥 에지부 및 횡방향으로 이격된 측면부를 갖는 일회용 턱받이를 제공한다.
측면부는 착용자 팔의 움직임을 수용하기 위한 대향된 오목한 에지를 포함한다. 또한, 턱받이는 턱받이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한쌍의 어깨 연장부를 포함한다. 어깨 연장부는 턱받이 본체로부터 연장하는데, 어깨 연장부의 내측 에지는 대체로 평면인 목 개방부를 제공하며, 상기 대체로 평면인 목 개방부는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대체로 대칭이며, 목 개방부의 종방향 길이부의 중간점을 통과하는 횡방향 축을 중심으로 대체로 비대칭이다. 목 개방부와 결합되는 오목한 측면부는 착용자 가슴상에서의 턱받이 착용감 및 순응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움직임을 수용한다.
어깨 연장부는 턱받이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한쌍의 대향된 볼록한 에지를 제공할 수 있다. 각 볼록한 에지는 오목한 에지중 하나에 인접해 위치될 수 있다. 볼록한 에지로 테가 둘러진 턱받이 부분은 착용자의 어깨를 엎질러진 것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턱받이는 적어도 하나의 허리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턱받이는 턱받이의 대향 측면부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허리 고정끈과 같은 한쌍의 허리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턱받이의 바닥 에지와 턱받이의 대향된 오목한 에지의 중간의 턱받이 측면부로부터 연장된다. 턱받이가 주머니를 구비하는 경우, 고정 부재는 주머니와 턱받이의 대향된 오목한 에지의 중간의 턱받이 대향 측면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회용 턱받이(disposable bib)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감이 향상된 형상을 갖는 턱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상세히 지적하며 명확하게 청구하는 특허청구범위로 종결되지만, 본 발명은 유사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가리키도록 사용되고 있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주어진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으며, 유사한 구조는 동일한 참조부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회용 턱받이의 정면도로서, 턱받이는 평탄하고, 대체적으로 평면인 방향으로 지지되며 턱받이의 층을 도시하기 위해 턱받이가 부분적으로 절취되어 도시된 도면,
도 2는 턱받이의 신체에 접촉하는 표면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회용 턱받이의 배면도,
도 3은 턱받이의 각 측면부로부터 연장되는 허리끈을 갖는 본 발명의 일회용 턱받이의 정면도,
도 4는 턱받이의 측면부로부터 천공 라인을 따라 분리가능한 고정 태브를 갖는 일회용 턱받이의 정면도.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턱받이(20)를 도시한 것이다. 턱받이(20)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32, 34)를 갖는 턱받이 본체(22)와, 종방향 길이부(L)와, 종방향 중심선(21)과,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 에지(36)와, 횡방향 폭부(W)를 포함한다. "종방향(longitudinal)"이라는 용어는 턱받이 본체(22)의 길이부를 따라 측정되는 축 또는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방향 또는 축은 턱받이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머리로부터 착용자의 허리까지 연장하는 라인에 일반적으로 평행하다. "횡방향(lateral)" 및 "가로방향(transverse)"이라는 용어는, 종방향 중심선(21)과 직각이며 턱받이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가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라인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축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측면부(32, 34)는 대향되고, 횡방향으로 이격된 오목한 에지(1032, 1034)를 포함한다. 오목한 에지(1032, 1034)는 측면부(32, 34)를 따라 위치되어 착용자 팔의 움직임을 수용한다.
또한, 턱받이(20)는 한쌍의 어깨 연장부(24, 26)를 포함하며, 각 연장부는 턱받이 본체(22)에 연결된 기단부와 턱받이 본체(22)로부터 이격된 말단부를 갖는다. 도 1에 있어서, 어깨 연장부(24, 26)의 기단부는 참조부호(24A, 26A)로 표시되어 있으며, 어깨 연장부(24, 26)의 말단부는 참조부호(24B, 26B)로 표시되어 있다. 어깨 연장부의 말단부(24B, 26B)는 참조부호(271)로 표시된 천공을 포함하는 분리식 약한 라인(270)을 따라 떨어질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연장부(24, 26)의 외측 연장부가 한쌍의 대향되고 횡방향으로 이격된 볼록한 에지(1024, 1026)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도록 어깨 연장부(24, 26)는 턱받이 본체(2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볼록한 에지(1024)는 오목한 에지(1032)에 인접하며 이 오목한 에지(1032)와 결합된다. 볼록한 에지(1026)는 오목한 에지(1034)에 인접하며 이 오목한 에지(1032)와 결합된다. 에지(1024, 1026)로 테가 둘러진 어깨 연장부(24, 26) 부분은 착용자의 어깨 위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어깨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어깨 연장부(24, 26)는 턱받이 본체(22)로부터 연장되어, 턱받이가 평탄한 수평 표면에 지지될 때 대체로 평면인 목 개방부(200)를 제공한다. 대체로 평면인 목 개방부(200)는 전방 목 부분(210)과, 후방 목 부분(230)과, 상기 전방 목 부분(210)과 후방 목 부분(230) 중간에 위치된 최대 폭 부분(220)을 갖는다. 또한, 목 개방부(200)는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측정된 종방향 길이부(240)를 갖는다.
대체로 평면인 목 개방부(200)는 종방향 중심선(21)과 같은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대체로 대칭이며, 턱받이가 평탄한 수평 표면상에 지지될 때 종방향 길이부(240)의 중간점(242)을 통과하는 횡방향 축을 중심으로 대체로 비대칭이다. 목 개방부(200)의 횡방향 비대칭성은 상이한 목 사이즈 및 형상에 대해 미끄러짐없는 맞춤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어깨 연장부(24, 26)가 착용자의 목뒤에서 겹쳐져 턱받이가 착용자에게 고정될 때 턱받이 본체(22)가 착용자의 가슴으로부터 이격되어 갭을 형성하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또한, 턱받이(20)는 음식물 조각을 캐취하고 보관하기 위한 주머니(100)를 구비할 수 있다. 주머니(100)는 주머니 개방 에지(110) 및 주머니 바닥 에지(120)(도 2)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턱받이(20)는 에이프런 패널(150)을 또한 포함한다. 에이프런 패널(150)은 주머니 개방 에지(110)로부터 턱받이 바닥 에지(36)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에이프런 패널(150)은 주머니 개방 에지(110)로부터 매다는 형태로 현수되어 중력에 의한 주머니(100)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중력에 의해 개방가능한 주머니를 구비한 턱받이"라는 명칭으로 노엘(Noel)에게 1984년 5월 1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45,231 호와, "개선된 주머니를 구비한 턱받이"라는 명칭으로 라인하르트(Reinhart)가 1995년 8월 10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 08/513,496 호는 주머니 및 에이프런 패널을 구비한 턱받이를 형성하는 턱받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된다.
또한, 턱받이(20)는 어깨 연장부(24, 26)를 중첩된 형태로 서로 연결하여 턱받이(20)를 착용자에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조립체는 어깨 연장부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에 접촉하는 표면상에 위치된 요소를 구비하는 기계적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요소는 다른 어깨 연장부상의 랜딩 표면(landing surface)을 통과하고 이와 물리적으로 맞물린다. 도 2에 있어서, 고정구는 어깨 연장부(24)의 신체에 접촉하는 표면에 연결되었으며 연장부(24)의 말단부(24B)에 인접한 돌출부(310)의 어레이(305)를 포함한다. 어떤 적절한 형태일 수 있으며 후크(hooks) 및 프롱(prongs)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돌출부(310)는 어깨 연장부(26)의 외향면중 적어도 일부와 맞물림가능하다. 적절한 고정 조립체는 "개선된 목 개방부를 구비한 턱받이"라는 명칭으로 라인하르트가 1995년 8월 10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 08/513,643 호와, "개선된 고정구를 구비한 턱받이"라는 명칭으로 라인하르트가 1996년 6월 20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 08/667,155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은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된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조립체는 스팽글러(Spangler)의 미국 특허 제 4,523,333 호에 개시된 접착성 테이프 태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미국 특허 제 4,523,333 호는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된다.
턱받이(20)의 구성요소를 자세히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턱받이(20)는 다중 적층체를 포함한 복합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도 1의 턱받이(20)는 4개 층의 적층체를 도시하기 위한 부분적으로 절단된 채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4개의 층의 적층체는 외향면(42)을 갖는 외측 부직층(40), 부직층(40) 아래에 위치된 티슈 페이퍼층(50), 페이퍼층(50) 아래에 위치된 플라스틱 필름층(60) 및 플라스틱 필름층(60)에 인접해 위치된 부직 신체 접촉층(7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 신체 접촉층(70)은 신체에 접촉하는 표면(72)을 갖는다.
외측 부직포(40)의 외향면(42)은 어깨 연장부(26)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며, 어깨 연장부(24)의 신체에 접촉하는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310)에 의해 맞물림가능하다. 층(40, 50, 60, 70)은 접착제와 같은 모든 적당한 방법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어깨 연장부(24, 26), 턱받이 본체(22) 및 주머니(100)와, 에이프런 패널(150)은 층(40, 50, 60, 70)의 적층체의 단일 연속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부직층(40, 70)은 각기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 및 합성 섬유의 조합체의 부직 웨브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층(40, 70)은 스펀레이드(spunlaid)의 열적 점 접착된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웨브일 수 있으며, 상기 웨브는 약 22 g/㎡의 기본 중량을 가지며, 상기 섬유는 섬유 길이 9000 미터당 약 3 그램, 즉 약 1/3000 g/m와 동일하거나 작은 평균 데니르(denier)를 갖는다. 적절한 부직 웨브는 미국 싸우스캐롤라이나주 심슨빌 소재의 화이버웨브 코포레이션(Fiberweb Corp.)이 제조하여 판매하는 "셀레스트라 유니콘(Celestra Unicorn)"이다. 이러한 섬유의 웨브는, 돌출부(310)에 의해 단단히 맞물릴 수 있으며 부드럽고 착용자의 피부에 무해한 표면[예를 들면, 표면(42)]을 제공한다.
페이퍼층(50)은 3000 ft2당 약 10 내지 50 lb, 즉 약 10/3000 lb/ft2내지 약 50/3000 lb/ft2의 기본 중량을 갖는 페이퍼 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에 인용하는 미국 특허 제 4,191,609 호, 제 4,440,597 호, 제 4,529,480 호, 제 4,637,859 호, 제 5,223,096 호 및 제 5,240,562 호에는 티슈 페이퍼를 턱받이(20)에 어떻게 적절하게 사용하는가가 개시되어 있다. 적합한 페이퍼층(50)은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에서 제조되는 바운티(BOUNTY) 브랜드 페이퍼 타월과 같은 단일 플라이 또는 다중 플라이 페이퍼 타월로 제조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층(60)은 폴리올레핀 필름과 같은 액체 불투과성 중합체 필름(liquid impervious polymeric fil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층(60)은 약 0.0076㎜ 내지 약 0.0508㎜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일 수 있다.
대체로 평면인 목 개방부(2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폐쇄된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개방되었으며 후방으로 수렴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다른 경우에 있어서, 개방부(200)의 최대 횡방향 폭은 전방 목 부분(210)과 후방 목 부분(230) 중간에 위치된 최대 폭 부분(220)에 위치된다. 최대 폭 부분(220)은 도 1의 최대 폭의 라인이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최대 폭 부분(220)은 한정된 종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길이부(240)는 개방부(200)의 주변부(201)상의 대향점 사이에서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측정된다. 목 개방부(200)가 개방되고 후방으로 수렴된 형상을 가지는 경우, 길이부(240)는 전방 목 개방 부분(210)으로부터 최소 횡방향 폭을 갖는 후방 목 개방 부분 위치까지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측정된다[즉, 어깨 연장부(24, 26)는 서로 더욱 근접함].
전방 목 개방 부분(210)의 주변부(2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개방부의 중앙에 대해 대체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즉, 턱받이를 착용했을 때 상방으로 오목함). 도 1에 있어서, 주변부(201)는 전방 목 개방 부분(210)에서 대체로 반원형이다. 전방 목 부분(210)의 주변부(201)는 다수의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하학적 형상, 즉 계란형, 원형, 포물선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들 형상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목 부분(210)의 주변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선 부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곡선 부분, 또는 직선 부분과 곡선 부분의 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슬릿(211)은 전방 목 개방 부분(210)의 주변부(201)로부터 일반적으로 반경방향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슬릿(211)은 착용자 목에 대해 전방 목 개방 부분(210)의 주변부(201)의 밀접하지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슬릿(211)은 그 중간의 턱받이의 결과적인 꽃잎형 부분이 어깨 연장부(24, 26)가 겹쳐짐에 따라 서로 미끌어질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목 개방부(200)가 착용자 목부에 순응될 때 슬릿(211)은 턱받이 본체의 변형 및 갭 형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슬릿(211)은 목 개방부(200)의 형상과 협력하여 착용자 목 둘레에서의 턱받이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며, 어깨 연장부(24, 26)가 특정 목 사이즈를 수용하도록 겹쳐질 때 턱받이 본체의 변형 및 갭 형성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슬릿 또는 분기는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되는 모렛(Moret)의 미국 특허 제 4,416,025 호에 개시되어 있다.
후방 목 개방 부분(230)은 직선 부분, 곡선 부분, 또는 직선 부분과 곡선 부분의 조합부를 포함하는 주변부(201)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후방 목 부분(230)의 주변부는 어깨 연장부(24, 26)의 내측 에지에 의해 형성된 일반적으로 직선 부분을 포함한다. 후방 목 개방 부분(230)이 최대 폭 부분(220)으로부터 연장될 때 이러한 직선 부분은 수렴되어, 후방 목 개방 부분(230)이 최대 폭 부분(220)으로부터 연장될 때 상기 후방 목 개방 부분(230)은 테이퍼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목 개방 부분(210)의 오목한 주변부 및 테이퍼진 후방 목 개방 부분(230)은 눈물방울 모양의 목 개방부(200)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목 개방 부분(230)은 전방 목 개방 부분(210)의 종방향 길이부(215)보다 큰 종방향 길이부(235)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종방향 길이부(235)는 종방향 길이부(215)의 적어도 약 1.2배이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종방향 길이부(235)는 종방향 길이부(215)의 적어도 약 1.5배이며,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종방향 길이부(235)는 종방향 길이부(215)의 적어도 약 2.0배이다. 턱받이가 대체로 평면인 방향에 있을 때 원형 목 개방부를 형성하는 어깨 연장부를 구비한 턱받이는 원형 개방부의 직경보다 상당히 작은 목에 착용되도록 어깨 연장부가 겹쳐질 때 대체로 높은 변형을 나타낸다. 어깨 연장부가 보다 작은 목 사이즈를 수용하도록 겹쳐질 때, 횡방향으로 신장된 타원 형상(주축이 횡방향으로 배향됨)을 갖는 목 개방부를 구비한 턱받이는 상당한 변형을 나타내기도 한다.
턱받이가 대체로 평면인 방향에 있을 때 종방향으로 신장된 타원형 목 개방부(주축이 종방향으로 배향됨)를 형성하는 어깨 연장부를 갖는 턱받이는 횡방향으로 신장된 개방부를 갖는 턱받이보다 덜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 개방 형태는 슬롯으로서 작용할 수 있어, 턱받이가 착용자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턱받이가 대체로 평면인 방향에 있을 때 U자형 또는 V자형 목 개방부를 형성하는 어깨 연장부를 갖는 턱받이는 어깨 연장부가 겹쳐졌을 때 과도한 변형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어깨 연장부(24, 26)는 광범위한 목 사이즈를 수용하도록 다양한 정도의 겹침부로 착용자 목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작은 목 사이즈를 수용하도록 겹쳐짐이 증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턱받이 본체(22)의 변형량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대체로 평면인 목 개방부(200)는 1.0보다 큰 횡방향 비대칭비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는 적어도 약 1.15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약 1.25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약 1.5일 수 있다. 종방향으로 대칭이며 1.0보다 큰 횡방향 비대칭비를 가진 턱받이 개방부(200)는, 후방 목 개방 부분의 주변부(201)가 턱받이 본체(22)의 최소 변형 및 갭 형성을 유지한 채 다양한 사이즈의 목의 뒷부분에 맞물리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횡방향 비대칭비는 다음의 절차를 이용하여 측정된다(도 2).
턱받이(20)는 대체로 평면인 목 개방부(200)를 제공하기 위해 평탄한 수평 표면상에 지지된다. 어깨 연장부(24, 26) 및 본체(22)가 실제로 동일한 평면에 있고 어깨 연장부(24, 26)가 비포개짐 형태로 있을 때 "대체로 평면인 목 개방부(200)"가 제공된다. 길이부(240)의 중간점(242)은 자(ruler)와 같은 것으로 위치되며, 자의 에지는 턱받이상에서 중심선(21)을 따라 위치된다. 중간점의 위치는 평탄한 수평 표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에, 가상선이 그어지는데, 이 가상선은 목 개방부의 종방향 길이부(240)의 중간점(242)을 통과해 연장되며, 2개의 점, 즉 후방 목 부분(230)의 주변부상에 위치된 제 1 교차점(261)과 목 개방부의 주변부의 대향 부분에 있는 제 2 교차점(262)에서 목 개방부(200)의 주변부(201)를 교차한다[점(261, 262, 242)은 동일선상에 있음]. 거리(263)[중간점(242)에서부터 제 1 점(261)까지 측정됨]에 대한 거리(264)[중간점(242)에서부터 제 2 점(262)까지 측정됨]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점(261)의 위치가 정해진다. 거리(264)를 거리(263)로 나눔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비는 목 개방부(200)의 비대칭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체로 평면인 목 개방부(200)는 그것의 특정 각도 부분[도 2에서 각도(B)로 정의됨]내에서 횡방향 비대칭비를 갖는다. 대체로 평면인 목 개방부(200)는 목 개방부의 특정 각도 부분내에서 1.0을 초과하는 횡방향 비대칭비를 가져서, 착용자에 대해 턱받이의 미끄러짐 또는 이동을 방지하는 힘 성분에 의해서 목 개방부가 착용자 목 뒷부분과 단단히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각도(B)는 중간점(242)을 통과하는 횡방향 축으로부터 측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목 개방부(200)는 적어도 약 1.15의 비대칭비를 가지며,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1.25의 비대칭비를 갖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1.5의 비대칭비를 가지며, 이 비대칭비는 15°< B <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B < 75°로 규정된 목 개방부의 각도내에 위치된다.
턱받이가 사용되기 전에, 어깨 연장부(24, 26)가 선택적인 약한 라인(270)을 따라 말단부(24B, 26B)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턱받이가 사용되었다. 턱받이가 사용될 때, 어깨 연장부는 선택적인 약한 라인(270)을 따라 분리가능하여, 상기 어깨 연장부는 턱받이의 다른 부분을 찢거나 손상시키는 일 없이 분리될 수 있으며, 고정 조립체에 의해 포갬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인 약한 라인(270)은 종방향 중심선(21)과 정렬되며, 다수의 이격된 천공(271)을 포함한다. 천공(271)은 턱받이(200)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통과하여 연장된다. 천공은 개찰 나이프(perforating knife)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턱받이 층을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오목한 에지(1032, 1034)는 목 개방부(200)와 바닥 에지(36) 중간에 종방향으로 위치된다. 특히, 오목한 에지(1032)는 측면부(32)를 따라 볼록한 에지(1024)와 주머니(100) 중간에 위치되며, 오목한 에지(1034)는 에지(34)를 따라 볼록한 에지(1026)와 주머니(100) 중간에 위치된다.
오목한 에지(1032)와 이와 관련된 볼록한 에지(1024) 사이의 횡방향 오프셋(1033)(도 1)은 적어도 약 1.5인치,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75인치,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인치이다. 횡방향 오프셋은 각기 에지(1032, 1024)와 연결된 턱받이의 국부적인 최소 및 최대 폭 사이의 차이이다. 유사하게, 횡방향 오프셋(1035)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인치,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75인치,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인치이다. 오목한 에지(1032) 및 볼록한 에지(1024)는 측면부(32)의 연속적이고, 매끄러우며 사인파형 부분을 제공하도록 서로 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오목한 에지(1034) 및 볼록한 에지(1026)는 측면부(34)의 연속적이고, 매끄러우며 사인파형 부분을 제공하도록 서로 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목 개방부(200)의 최대 횡방향 폭은 약 4.0인치 이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으며, 약 3.0인치와 약 4.0인치 사이일 수 있다. 개방부(200)의 종방향 길이(240)는 적어도 약 4.0인치 일 수 있으며, 약 4.0인치와 약 5.0인치 사이일 수 있다. 대향된 볼록한 에지(1024, 1026)를 가로질러 측정했을 때 턱받이의 횡방향 폭은 적어도 약 11.0인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1.75인치일 수 있으며, 대향된 오목한 에지(1032, 1034)를 가로질러 측정했을 때 턱받이의 횡방향 폭은 적어도 약 7.0인치일 수 있다. 목 개방부(200)와 대향된 오목한 에지(1032, 1034) 사이의 종방향 간격(1038)(도 2)은 적어도 약 2.5인치, 바람직하게는 약 3.0인치와 3.5인치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턱받이(20)는 적어도 하나의 허리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도 3에서, 턱받이(20)는 턱받이를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고정하기 위한 허리 고정끈(402, 404)을 포함하는 한쌍의 허리 고정 부재를 갖는다. 허리끈(402)은 턱받이의 측면부(32)로부터 말단 끈 단부(412)까지 연장한다. 허리끈(402)은 오목한 에지(1032)와 바닥 에지(36) 중간의 측면부(32)로부터 연장된다. 유사하게, 허리끈(404)은 턱받이의 측면부(34)로부터 말단 끈 단부(414)까지 연장된다.
허리끈(404)은 오목한 에지(1034)와 바닥 에지(36) 중간의 측면부(34)로부터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허리끈(402)은 오목한 에지(1032)와 주머니(100) 중간의 측면부(32)로부터 연장되며, 허리끈(404)는 오목한 에지(1034)와 주머니(100) 중간의 측면부(34)로부터 연장된다. 기계적인 고정구(405)는 말단부(414)에 인접한 끈(404)의 신체에 접촉하는 표면에 연결될 수 있다. 기계적인 고정구(405)는 후크 또는 프롱과 같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끈(402, 404)이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쌀 때 상기 돌출부는 끈(402)의 표면(42)과 맞물린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끈(402) 또는 끈(404)은 끈 말단 에지와 연관된 테이프 태브 고정구[미국 특허 제 4,523,333 호에 개시된 테이프 태브 고정구와 같음]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허리 고정끈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단일 허리 고정끈은 측면부(32)와 같은 하나의 측면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일 허리끈은 측면부(32)로부터 연장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져 착용자를 둘러쌀 수 있으며, 측면부(34)에 또는 이에 인접해서 턱받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끈이 착용자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쌀 수 있도록 턱받이(20)는 탄성적으로 신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허리 고정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끈(402)과 같은 단일 끈은 종방향 중심선(21)에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하다. 1996년 5월 21일에 차펠(Chappe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18,801 호는 탄성형 성질을 갖는 웨브 재료를 설명할 목적으로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받이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상기 턱받이는 태브(502, 504)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를 갖는다. 말단 태브 단부(507)를 포함하는 태브(502) 부분은 천공(570)의 라인을 따라 측면부(32)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유사하게, 말단 태브 단부(509)를 포함하는 태브(504) 부분은 천공(570)의 라인을 따라 측면부(34)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태브(502, 504)의 기단부(506, 508)는 턱받이에 영구적으로 결합된 채 유지된다.
태브(502, 504)는 천공(570)의 라인을 따라 턱받이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대향된 오목한 에지(1032, 1034)를 제공한다. 각 태브는 테이프 태브 고정구(505)(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됨)와 같은 태브(502, 504)의 신체에 접촉하는 표면상의 층(70)에 연결된 고정구를 포함한다. 테이프 태브 고정구(505)는 턱받이를 착용자 허리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착용자의 허리에 대해 턱받이의 이동을 방지한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턱받이(20)는 천공 라인을 따라 턱받이의 측면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허리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축을 따라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태브(502, 504)중 하나 또는 양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술한 미국 특허 제 5,518,801 호의 개시내용에 따라 채용될 수 있어 종방향(21)과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적인 신장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태브(502)와 같은 태브가 천공(570)의 라인을 따라 절취될 때, 태브(502)는 제 1 길이부[천공(570)의 라인을 따라 부착될 때 중앙선(21)에 평행함]로부터 보다 긴 제 2 길이부로 신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태브(502)는 착용자의 허리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기에 충분한 신장성을 가질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태브(502, 504)는 착용자의 허리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기에 충분한 신장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에 의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각종 변형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일회용 턱받이에 있어서,
    종방향 길이부, 횡방향 폭부, 바닥 에지 및 횡방향으로 이격되었으며 대향된 오목한 에지를 갖는 측면부를 갖는 턱받이 본체와,
    상기 턱받이 본체로부터 연장하여 종방향 길이부를 갖는 대체로 평면인 목 개방부를 제공하는 한쌍의 어깨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체로 평면인 목 개방부는 전방 목 부분, 후방 목 부분 및 상기 전방 목 부분과 후방 목 부분 사이에 위치된 최대 폭 부분을 가지며,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대체로 대칭이며 상기 목 개방부의 종방향 길이부의 중간점을 통과하는 횡방향 축을 중심으로 일반적으로 비대칭인
    일회용 턱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허리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턱받이.
  3. 제 2 항에 있어서,
    한쌍의 허리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허리 고정 부재는 상기 턱받이의 대향 측면부로부터 연장하는
    일회용 턱받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고정 부재는 상기 턱받이의 바닥 에지와 상기 턱받이의 대향된 오목한 에지 사이에 위치되는
    일회용 턱받이.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허리 고정 부재의 일부는 천공의 라인을 따라 상기 턱받이의 측면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일회용 턱받이.
  6. 제 2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일회용 턱받이.
  7. 제 2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머니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향된 오목한 에지는 상기 주머니와 상기 목 개방부 사이에 위치되는
    일회용 턱받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쌍의 대향된 오목한 에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록한 에지와 상기 오목한 에지 사이의 상기 횡방향 오프셋은 적어도 1.5인치인 것이 바람직한
    일회용 턱받이.
  9. 제 3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고정 부재는 상기 턱받이의 측면부로부터 분리가능하여 대향된 오목한 에지를 제공하는
    일회용 턱받이.
  10. 제 3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고정 부재는 허리끈을 포함하여 착용자를 둘러싸는
    일회용 턱받이.
KR1019997003268A 1996-10-17 1997-09-22 오목한 측면 에지를 갖는 일회용 턱받이 KR100326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337796A 1996-10-17 1996-10-17
US08/733,377 1996-10-17
US8/733,377 1996-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173A true KR20000049173A (ko) 2000-07-25
KR100326210B1 KR100326210B1 (ko) 2002-03-08

Family

ID=2494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268A KR100326210B1 (ko) 1996-10-17 1997-09-22 오목한 측면 에지를 갖는 일회용 턱받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819314A (ko)
EP (1) EP0932345A1 (ko)
JP (1) JP2000504074A (ko)
KR (1) KR100326210B1 (ko)
CN (1) CN1124091C (ko)
AU (1) AU4427697A (ko)
BR (1) BR9712351A (ko)
CA (1) CA2268937A1 (ko)
TW (1) TW348057B (ko)
WO (1) WO1998016126A1 (ko)
ZA (1) ZA9787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8780A (en) * 1997-11-14 2000-10-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an improved pocket structure
US6061827A (en) * 1998-03-09 2000-05-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side edges with stress relief means
US6405374B1 (en) * 2001-04-09 2002-06-18 Dawn Giakas-Cano Bib with securing device for securing about torso
WO2002094043A1 (en) * 2001-05-22 2002-11-28 Luciano Ferrari Disposable bib
US20040031081A1 (en) * 2002-08-19 2004-02-19 Eaves Tina Marie Trash apron and method of use
US7526815B1 (en) 2006-06-02 2009-05-05 Chez Shea Baby, Llc Baby bib with protective neckline
US7448089B2 (en) * 2006-06-02 2008-11-11 Chez Shea Baby, Llc Baby bib with protective neckline
US20090172857A1 (en) * 2006-11-13 2009-07-09 Lorri-Anne Schneider Bib with a Belt
US7788734B2 (en) * 2008-09-15 2010-09-07 Athena Menoudakos Waist bib
TW201313143A (zh) * 2011-09-22 2013-04-01 Ct Healthcare Technology Co Ltd 圍兜
US20150216239A1 (en) * 2014-02-03 2015-08-06 Maria M. Acevedo-Morales Infant's bib with multiple closures
USD764769S1 (en) 2014-05-29 2016-08-30 Pamela G. Levinson Child's bib
GB2551173A (en) * 2016-06-08 2017-12-13 Bare-Non Ltd A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garment
US10034499B2 (en) * 2016-08-16 2018-07-31 Walter W. Blackshear Disposable bib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4625A (en) * 1955-03-22 Ijnttfd statf
CA600109A (en) * 1960-06-21 A. Haydu Bartley Disposable bib
US298985A (en) * 1884-05-20 Gboege b
FR1193862A (ko) * 1959-11-05
US699513A (en) * 1897-01-27 1902-05-06 William Garms Apron and apron-tie.
US1970307A (en) * 1933-03-18 1934-08-14 Knit Tainer Company Knitting bag
US2164369A (en) * 1937-05-19 1939-07-04 Pioneer Wrapper And Printing C Bib
US2136983A (en) * 1937-12-16 1938-11-15 Quinn Ada Apron
US2424000A (en) * 1944-05-12 1947-07-15 Meyer W Shanker Protecting and restraining garment
US2424680A (en) * 1945-01-11 1947-07-29 Mary R Doyle Paper bib
US2469835A (en) * 1946-05-27 1949-05-10 Florence H Mcmartin Bib
US2468841A (en) * 1947-04-23 1949-05-03 Siegel Sigmund Chest protector
US2567524A (en) * 1949-01-03 1951-09-11 Gladys N Morganti Make-up hood or cape
US2552462A (en) * 1949-12-30 1951-05-08 Savrin Anna Bib
US2648845A (en) * 1951-07-20 1953-08-18 Harry L Berman Combination bib and apron
US2782420A (en) * 1953-09-23 1957-02-26 Ethel D Barager Disposagle bib
US2766456A (en) * 1954-10-04 1956-10-16 Nigro Julia Combination bib and safety garment for infants
US2884638A (en) * 1958-03-03 1959-05-05 Fred H Ream Bib
US3093829A (en) * 1962-03-02 1963-06-18 De Witt C Maine Protective apron construction
US3286279A (en) * 1964-04-01 1966-11-22 Maudestean C Brown Disposable baby bibs
US3407407A (en) * 1966-09-22 1968-10-29 Blum And Company Inc Bib construction
FR2080276A5 (ko) * 1970-02-27 1971-11-12 Bebe Confort
US3871027A (en) * 1974-01-22 1975-03-18 Holsopple Herman L Combination burp pad and bib
DE3037561A1 (de) * 1980-10-04 1982-05-19 Sartorius GmbH, 3400 Göttingen Anschlusskabel fuer elektrische geraete
US4441212A (en) * 1982-09-30 1984-04-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US4495658A (en) * 1983-02-10 1985-01-2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Bib having a duplex refastenable tape-tab fastener
US4445231A (en) * 1983-04-19 1984-05-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gravitationally openable pocket
US4416025A (en) * 1983-04-22 1983-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segmented neck-aperture perimetric edge
US4475250A (en) * 1983-04-25 1984-10-09 Savin Bruce A Disposable bib
US4523333A (en) * 1983-11-04 1985-06-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bib having tape-tab fastener
US4523334A (en) * 1983-11-04 1985-06-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bib having fibrous topsheet wherein mother's-bond zone is impregnated with bonding material
BE901585A (nl) * 1985-01-28 1985-05-17 Praet Marcus Van Opblaasbaar slabbetje.
US4649572A (en) * 1986-05-27 1987-03-17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bib with an improved pocket formed with an accordion fold
US4660224A (en) * 1986-09-15 1987-04-28 Jeanne Ashcraft Unisex bib-apron
US4846822A (en) * 1988-01-25 1989-07-11 Medtex Products, Inc. Liquid impervious barrier member
US4951318A (en) * 1988-11-14 1990-08-28 Sage Products, Inc. Protective gown with integral tie straps
US4891846A (en) * 1988-12-16 1990-01-09 Sager Annette M Medical absorption garment
FR2677226A1 (fr) * 1991-06-05 1992-12-11 Aubry Alain Bavoir reutilisable a poch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5493734A (en) * 1993-11-30 1996-02-27 Commonwealth Of Puerto Rico Neck shield attachment for helm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427697A (en) 1998-05-11
ZA978723B (en) 1998-03-27
KR100326210B1 (ko) 2002-03-08
CN1233941A (zh) 1999-11-03
CA2268937A1 (en) 1998-04-23
CN1124091C (zh) 2003-10-15
JP2000504074A (ja) 2000-04-04
TW348057B (en) 1998-12-21
BR9712351A (pt) 1999-11-16
WO1998016126A1 (en) 1998-04-23
US5819314A (en) 1998-10-13
EP0932345A1 (en) 199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6025A (en) Bib having segmented neck-aperture perimetric edge
CN101239016B (zh) 一次性使用的体液吸收性穿用物品
KR100326210B1 (ko) 오목한 측면 에지를 갖는 일회용 턱받이
KR100344138B1 (ko) 개선된 주머니 구조물을 갖는 턱받이
US6058506A (en) Bib having improved pocket
CA2228258C (en) Bib having an improved neck opening
KR100263082B1 (ko) 개선된패스너를갖는턱받이
EP1076490B1 (en) Bib having side edges with stress relief means
US6125471A (en) Disposable bib having an extensible neck opening
AU742073B2 (en) Bib having an improved fastener
MXPA98001114A (en) Bib that has a better bra
MXPA00004728A (en) Bib having an improved pocket structure
JP2000139994A (ja) 加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