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138B1 - 개선된 주머니 구조물을 갖는 턱받이 - Google Patents

개선된 주머니 구조물을 갖는 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138B1
KR100344138B1 KR1020007005157A KR20007005157A KR100344138B1 KR 100344138 B1 KR100344138 B1 KR 100344138B1 KR 1020007005157 A KR1020007005157 A KR 1020007005157A KR 20007005157 A KR20007005157 A KR 20007005157A KR 100344138 B1 KR100344138 B1 KR 100344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ib
pocket
longitudinal length
lateral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2037A (ko
Inventor
라인하트리차드니콜라스
램슨패트리샤리
굽타아밋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1003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10Bibs
    • A41B13/103Bibs with a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10Bi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52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dispos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주머니를 갖는 턱받이를 제공한다. 상기 턱받이는 몸통부 패널, 주머니 패널, 및 몸통부 패널과 주머니 패널 사이에 위치한 제 3 패널을 갖는다. 제 3 패널은 주머니가 벌어진 형태로 유지되는데 도움을 준다.

Description

개선된 주머니 구조물을 갖는 턱받이{BIB HAVING AN IMPROVED POCKET STRUCTURE}
일회용 턱받이는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턱받이는 유아에게 음식물을 먹이는 동안에 착용되어 사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회용 턱받이는 다중 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일회용 턱받이는 흘린 음식 물질을 받기 위한 흡수성 페이퍼 상면시이트와, 흘린 액체가 턱받이를 통과해 유아의 의복까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라스틱 필름 배면시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다중 층의 턱받이 구조도 공지되어 있다.
또한, 선행 기술은 착용자의 의복을 오염시킬 수 있는 고체 또는 액체를 받기 위한 주머니 구조물을 갖는 턱받이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주머니를 갖는 턱받이의 예가 노엘(Noel)에게 1984년 5월 1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45,231호에 개시되어 있다. 노엘은 중력에 의해 벌어질 수 있는 주머니를 갖는 턱받이를개시하고 있다.
노엘은 턱받이에 사용하기 위한 주머니 구조물에 대한 개선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노엘은 턱받이 주머니가 벌어진 형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에이프런 패널(apron panel)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존한다. 이러한 디자인의 유효성은 착용자 및/또는 턱받이의 수직 배향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따라서, 흘린 고체 및 액체 음식 물질을 받아서 담을 수 있게 벌어진 형태로 유지될 수 있는 주머니를 갖는 저렴한 일회용 턱받이에 대한 요구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에게 편리하게 고정될 수 있는 일회용 턱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흘린 음식 물질을 받기 위한 주머니 구조물을 갖는 일회용 턱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벌어진 형태로 유지될 수 있는 주머니 구조물을 갖는 일회용 턱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머니가 벌어진 형태로 유지되도록 일회용 턱받이의 주머니 공간내로 연장되는 패널을 갖는 일회용 턱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일회용 턱받이를 제공한다. 턱받이는 턱받이 몸통부, 및 턱받이 몸통부로부터 연장되어서 목 개구부를 한정하는 한 쌍의 어깨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턱받이 몸통부는 종방향 길이, 종방향 중심선 및 측방향 너비를 가질 수 있다.
턱받이 몸통부는 제 1 몸통부 패널, 제 2 주머니 패널 및 제 3 패널을 포함한다. 제 2 주머니 패널은 몸통부 패널과 주머니 패널의 중간에 주머니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몸통부 패널에 연결된다. 주머니 공간은 주머니 입구 가장자리, 주머니 종방향 길이 및 주머니 측방향 너비를 갖는다.
제 3 패널은 주머니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턱받이에 연결되며, 제 3 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몸통부 패널과 주머니 패널의 사이에 위치한다. 한 양태에서, 제 3 패널의 거의 전체가 주머니 패널과 몸통부 패널 사이에 위치한다.
주머니 패널과 몸통부 패널 사이의 제 3 패널의 배치는 몸통부 패널의 아래에 놓인 부분으로부터 주머니 패널의 적어도 일부를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여서, 턱받이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주머니 공간이 벌어지게 한다.
한 양태에서, 제 3 패널은 주머니 공간의 측방향 너비보다 더 큰 측방향 너비를 갖는다. 이러한 배치는 주머니 공간에 배치될 때 제 3 패널의 적어도 일부가 절첩(folding) 또는 구김(wrinkling) 등에 의해 평면 형태로부터 변형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제 3 패널의 변형은 주머니 패널이 몸통부 패널로부터 이격되는데 도움을 준다. 다르게, 제 3 패널은 주머니 공간의 측방향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측방향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제 3 패널은 주머니 공간의 측방향 너비보다 적은 측방향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제 3 패널은 주머니 공간의 종방향 길이보다 더 큰 종방향 길이를 가질 수있거나, 또 다르게는 제 3 패널은 주머니 공간의 종방향 길이보다 더 적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종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제 3 패널은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제 3 패널은 주머니 공간의 입구 가장자리를 한정하는 절첩부에서 주머니 패널에 연결된 제 1 말단부를 갖는다. 또한, 제 3 패널은 제 1 말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측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가장자리, 및 종방향으로 연장된 측부 가장자리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일회용 턱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흘린 액체와 고체 물질을 받기 위한 개선된 주머니 구조물을 갖는 턱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명확하게 청구하는 청구항으로 결론지어지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유사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과 결부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턱받이가 사용되는 중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주머니 패널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하여 제 3 패널의 일부를 드러낸 본 발명의 일회용 턱받이를 대체로 평면인 편평한 배향으로 지지시켜 놓고 앞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몸통부 패널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 3 패널을 나타낸 본 발명의 일회용 턱받이를 뒤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측방향으로 비대칭인 비와 각 B의 측정을 예시하기 위해 턱받이가 대체로 평면인 편평한 배향으로 지지되어 있을 때 폐쇄 형태의 목 개구부를 확대한 부분 개략도이다.
도 6은 개방 형태의 목 개구부를 확대한 부분 개략도이다.
도 7은 턱받이와 목 개구부의 외부 주변부를 나타낸 부분 조합된 턱받이(턱받이 몸통부를 절첩하여 주머니 패널과 제 3 패널을 형성하기 전)를 앞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8은 주머니 패널이 턱받이 몸통부 패널의 일부위에 놓이도록 주머니 패널을 놓기 위해 턱받이 몸통부의 일부를 절첩시킨 부분 조합된 턱받이를 앞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주머니 패널과 몸통부 패널의 사이에 제 3 패널이 놓이도록 턱받이 몸통부의 일부를 절첩시킨 턱받이를 앞에서 본 평면도이며, 이 때 제 3 패널의 측방향 너비와 주머니 공간의 측방향 너비간의 차이로 인해 제 3 패널의 측부 가장자리중 한 가장자리가 절첩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주머니 패널의 일부를 절단하였다.
도 10은 도 9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몸통부 패널, 주머니 패널 및 제 3 패널에 걸친 단면도로서,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접힌 선을 갖는 몸통부 패널,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접힌 선을 갖는 주머니 패널 및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접힌 선을 갖는 제 3 패널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9의 선 11-11을 따라 취한 몸통부 패널, 주머니 패널 및 제 3 패널에 걸친 단면도로서, 주머니의 종방향 길이보다 더 큰 종방향 길이를 갖는 제 3 패널을 나타낸다.
도 12a는 도 11과 유사한 단면도로서, 주머니의 종방향 길이보다 적은 종방향 길이를 갖는 제 3 패널을 나타낸다.
도 12b는 도 11과 유사한 단면도로서, 주머니의 종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종방향 길이를 갖는 제 3 패널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턱받이의 사시도로서, 제 3 패널의 측부 가장자리의 절첩부가 투시되어 나타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일회용 턱받이(20)를 예시한다. "일회용"이란, 턱받이가 일단 사용된 후에는 폐기되도록 의도되었음을 의미한다. 일회용 턱받이(20)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32, 34), 종방향 길이(L), 종방향 중심선(21),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가장자리(36) 및 측방향 너비(W)를 갖는 턱받이 몸통부(22)를 포함한다.
"종방향"이란 용어는 턱받이 몸통부(22)의 길이를 따라 측정되는 축 또는 방향을 말하며, 상기 방향 또는 축은 턱받이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머리로부터 착용자의 허리까지 연장되는 선과 대체로 평행하다. "측방향" 및 "횡방향"이란 용어는 종방향 중심선(21)에 수직인 방향 또는 축을 말하며, 상기 방향 또는 축은 턱받이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가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선에 대체로 평행하다.
턱받이(20)는 음식 조각을 포착하여 받기 위한 주머니(100)를 포함한다. 턱받이 몸통부(22)는 제 1 몸통부 패널(70), 제 2 주머니 패널(105) 및 제 3 패널(600)을 포함한다. 몸통부 패널(70) 부분과 주머니 패널(105) 부분이 도 1 내지 3과 도 9에서 절단된 채로 도시되어 있어서, 주머니(100)내로 연장되어서 몸통부 패널(70)과 주머니 패널(105)의 중간에 위치하는 제 3 패널(600)을 드러낸다.
턱받이가 착용자에게 고정될 때 몸통부 패널(70)은 착용자 신체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주머니 패널(105)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몸통부 패널(70)과 주머니 패널(105) 중간에 주머니 공간을 포함하는 주머니(100)를 몸통부 패널(70)과 함께 형성한다.
주머니 패널(105)은, 턱받이 하부 가장자리(36)도 될 수 있는 주머니 하부 가장자리(120)로부터 주머니 입구 가장자리(110)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주머니 공간의 종방향 길이는 하부 가장자리(120)로부터 주머니 입구 가장자리(110)까지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측정한다. 주머니 공간의 종방향 길이는 도 2에서 참조번호 117로 지정되어 있다. 하부 가장자리(120)와 입구 가장자리(110)는 둘다 종방향 중심선(21)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면서 측방향 가상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주머니 패널(105)은 턱받이 측부 가장자리(32, 34)의 중간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주머니 패널(105)은 참조번호 107로 지정된 부착 대역에서 가장자리(32, 34)를 따라, 아래에 놓인 몸통부 패널(70)에 연결된다. 접착제와 같은 고정 수단은 부착 대역(107)에서 주머니 패널(105)의 측부 가장자리를 몸통부패널(70)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주머니 공간은 도 2에서 참조번호 118로 지정된 측방향 너비를 갖는다. 주머니 공간의 측방향 너비(118)는 부착 대역(107) 사이에서 최소한의 측방향 간격에 상응한다.
제 3 패널(600)은 턱받이(20)의 일부에 연결되어서, 몸통부 패널(70)과 주머니 패널(105) 중간의 주머니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한 양태에서, 몸통부 패널(70), 주머니 패널(105) 및 제 3 패널(600)은 연속된 물질 시이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물질 시이트는 하나 이상의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주머니 패널(105)은 턱받이 하부 가장자리(36)에 상응하는 시이트 물질내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절첩부에서 몸통부 패널(70)에 연결될 수 있다. 주머니 입구 가장자리(110)에 상응하는 시이트 물질내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절첩부에 의해 제 3 패널(600)이 주머니 패널(105)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패널(600)은 사변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 3 패널(600)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 8, 9 및 11 내지 13에서, 제 3 패널(600)은 입구 가장자리(110)에서 주머니 패널(105)에 연결된 제 1 말단부(610)를 가질 수 있다. 제 3 패널(600)은 제 1 말단부(610)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측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가장자리(630)를 가질 수 있다. 제 3 패널(600)은, 또한 제 3 패널(600)의 제 1 말단부(610)로부터 하부 가장자리(630)까지 연장되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 가장자리(620)를 가질 수 있다. 하부 가장자리(630)와 측부 가장자리(620)는 자유 가장자리(free edge)이어서 턱받이(20)의 다른 부분에 부착되어 있지 않다.
제 3 패널(600)은 몸통부 패널(70)의 아래에 놓인 부분으로부터 주머니 패널(105)의 적어도 일부를 이격시켜서,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주머니 공간이 벌어지게 한다. 특히, 주머니(100)내로 연장되는 제 3 패널(600)의 적어도 일부는 절첩 또는 구김 등에 의해 평면 형태로부터 변형될 수 있어서, 몸통부 패널(70)로부터 주머니 패널(105)의 일부를 이격시킨다.
바람직하게, 제 3 패널(600)이 몸통부 패널(70)과 주머니 패널(105) 사이에 위치할 때 제 3 패널(600)이 쉽게 변형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3 패널(600)은 주머니 공간에 비례하는 크기의 측방향 너비를 갖는다. 제 3 패널(600)은 바람직하게는 주머니 공간의 측방향 너비(118)보다 더 큰 측방향 너비를 갖는다. 제 3 패널(600)은 도 8에서 참조번호 618로 지칭된 측방향 너비를 갖는다. 제 3 패널(600)이 주머니 공간에 배치될 때, 제 3 패널(600)은 너비(618, 118) 간의 차이로 인한 절첩 또는 구김 등에 의해 평면 형태로부터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은 도 9와 13에 예시되어 있으며, 상기 도면은 제 3 패널(600)의 측부 가장자리(620)가 턱받이의 종방향 중심선(21)을 향해 절첩되고 패널(600)의 일부와 몸통부 패널(70) 사이에 배치됨을 나타낸다. 측부 가장자리(620)의 이러한 변형은 주머니(100)가 벌어진 형태로 유지되는데 도움을 준다.
다르게, 제 3 패널(600)은 주머니 공간의 측방향 너비(118)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측방향 너비(618)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제 3 패널(600)은 주머니 공간의 측방향 너비보다 적은 측방향 너비(618)를 가질 수 있다.
제 3 패널(600)은 도 8에서 참조번호 617로 지칭된 종방향 길이를 갖는다.도 11에서, 제 3 패널(600)은 주머니 공간의 종방향 길이보다 더 큰 종방향 길이를 갖는다. 다르게, 제 3 패널(600)은 주머니 공간의 종방향 길이(117)보다 적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종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2a에서, 제 3 패널(600)은 길이(117)의 50% 이상에 상응하지만 길이(117)의 100% 보다는 적은 종방향 길이를 갖는다. 다르게, 제 3 패널(600)은 길이(117)의 50% 보다 적은 종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2b에서, 패널(600)의 종방향 길이는 주머니 공간의 종방향 길이(117)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제 3 패널(600)의 종방향 길이는 주머니 공간의 종방향 길이보다 적으며, 제 3 패널(600)은 주머니 공간보다 더 큰 측방향 너비(618)를 갖는다.
다시 도 1 내지 4에 있어서, 턱받이(20)는 또한 근위 말단부(24A, 26A)와 원위 말단부(24B, 26B)를 갖는 한 쌍의 어깨 연장부(24, 26)를 포함한다. 어깨 연장부(24, 26)는 턱받이 몸통부(22)에서 근위 말단부로부터 원위 말단부까지 연장되어서, 턱받이가 편평한 수평 표면상에 지지될 때 대체로 평면인 목 개구부(200)를 제공한다.
대체로 평면인 목 개구부(200)는 목 전방부(210), 목 후방부(230), 및 목 전방부(210)와 목 후방부(230) 중간에 배치된 최대 너비 부분(220)을 갖는다. 또한, 목 개구부(200)는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측정할 때 종방향 길이(240)를 갖는다(도 2).
턱받이가 편평한 수평 표면상에 지지되어 있을 때 대체로 평면인 목 개구부(200)는 종방향 중심선(21)과 같은 종방향 축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대칭이며, 종방향 길이(240)의 중간점(242)을 통과하는 측방향 축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비대칭이다. 목 개구부(200)의 측방향 비대칭은 상이한 목 크기와 형태 주위에서 흘러내리지 않게 정합됨을 증진시키며, 이와 동시에 턱받이를 착용자에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착용자 목뒤에서 어깨 연장부(24, 26)가 겹쳐질 때 턱받이 몸통부(22)가 착용자의 가슴에서 벌어지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또한, 턱받이(20)는, 어깨 연장부(24, 26)를 겹치는 방식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패스닝 조합체를 포함하여 턱받이(20)가 착용자에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스닝 조합체는 어깨 연장부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요소를 갖는 기계적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요소는 다른 어깨 연장부 위의 랜딩 표면(landing surface)에 침투하여서 물리적으로 맞물린다. 한 양태에서, 패스너는 어깨 연장부(26)에 연결된 기판(312)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돌출부(310) 어레이(30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10)는 어깨 연장부(24)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랜딩 표면과 맞물릴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돌출부(310)는 프롱(prong)을 포함할 수 있으며, 랜딩 표면은 어깨 연장부(24)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부직 웹(352)의 목적 표면(350)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내지 4). 도시된 양태에서, 웹(352)은 어깨 연장부(24, 26) 둘다에 배치되어서, 부드럽고 마찰을 일으키지 않는 표면을 착용자 목 주위에 제공한다.
턱받이(20)의 구성요소를 더욱 상세히 언급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턱받이(20)는 다중 적층체를 갖는 복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관련하여, 턱받이(20)는 흡수성 외부 상면시이트 층(40), 및 상면시이트(40)에 비해액체 불투과성인 가멘트-대향 배면시이트 층(80)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시이트(40)는 흘린 음식 물질을 받기 위한 제 1 외부 표면(42), 및 제 2 내부 표면(44)을 갖는다. 배면시이트(80)는 제 1 가멘트 대향 표면(82) 및 제 2 표면(84)을 갖는다. 배면시이트(80) 표면(84)과 상면시이트(40) 표면(44)은 반대쪽으로 대향하는 표면이며, 접착제 등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서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어깨 연장부(24, 26), 턱받이 몸통부 패널(70), 주머니 패널(105) 및 제 3 패널(600)은 상면시이트(40)와 배면시이트(80)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연속된 단일 시이트로부터 형성된다.
상면시이트(40)는 3000ft2당 약 10 내지 약 50lb의 기본 중량을 갖는 페이퍼 웹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미국 특허는 상면시이트(40)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티슈 페이퍼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할 목적으로 참조문헌으로 인용된다: 미국 특허 제 4,191,609호, 제 4,440,597호, 제 4,529,480호, 제 4,637,859호, 제 5,223,096호 및 제 5,240,562호. 적합한 상면시이트(40)는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에서 제조되는 바운티 페이퍼 타월(Bounty Paper Towel)과 같은 홑겹 또는 다겹 페이퍼 타월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배면시이트(80)는 폴리올레핀계 필름과 같은 액체 불투과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배면시이트(80)는 약 0.5mil(0.0005in) 내지 약 3.0mil(0.003in)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배면시이트는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트레데가 필름 프러덕츠(Tredegar Film Products)에 의해 CPC-2(P-10392) 상품명으로 제조되며 약 2mil의 두께를 갖는 FS-II 엠보싱된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시이트(40)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배면시이트(8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접착제 결합, 기계적 결합 및 초음파 결합과 같은 방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면시이트(40)와 배면시이트(80)를 연결시키는데 적합한 접착제는 고온 용융 감압성 접착제와 같은 고온 용융 접착제이다. 상면시이트(40)를 배면시이트(80)에 연결시키는데 적합한 하나의 구체적인 접착제는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파울 소재의 에이치. 비. 풀러 캄파니(H. B. Fuller Co.)에 의해 제조되는 HL-1258 접착제이다. 기타 적합한 접착제는 미국 위스콘신주 엘름그로브 소재의 핀들리 어브헤시브즈(Findley Adhesives)로부터 구입가능한 핀들리 어드헤시브즈 H2031 및 H2120을 포함한다.
기계적 패스너는 폴리올레핀계 기판(312)으로부터 연장되는 폴리올레핀계 프롱(310) 어레이(30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프롱(310)은 기판(312)에 근접한 프롱 하부로부터, 프롱 자루부의 너비보다 더 큰 너비를 갖는 프롱 말단부(330)까지 연장되는 프롱 자루부(320)를 포함한다. 어레이(305)는 in2당 약 600 내지 약 3600개의 프롱(3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롱 자루부의 전체 원주 주위에서 프롱 자루부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원형의 가장자리를 갖는 프롱 말단부(330)를 각각 갖는다. 이러한 프롱(310)어레이는 비교적 부드럽고 마찰을 일으키지 않는 표면을 제공하여서 착용자 피부에 일으키는 자극을 감소시킨다.
한 양태에서, 어레이(305)는 in2당 약 900개의 프롱(3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롱(310) 어레이는 후크형 요소의 일부 어레이와 비교할 때 비지향성으로 배향될 수 있으며, 상기 어레이는 후크형 요소의 배향에 따라 좌우되는 특정 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기판의 제 1 표면상에 감압성 접착제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판의 맞은 편 제 2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프롱(310)의 비지향성 어레이(305)를 각각 갖는 기판(312)을 포함하는 적합한 패스너가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파울 소재의 3M 캄파니에 의해 XPH-4152라는 상품명으로 제조된다.
다른 양태에서, 프롱(310) 어레이(305)는 in2당 약 2500개의 프롱을 포함할 수 있으며, 3M 캄파니에 의해 XPH-4182라는 상품명으로 제조된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패스너는 후크형 요소의 어레이(305)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형 요소를 포함하는 적합한 패스너가 3M 캄파니에 의해 KN0513 이라는 상품명으로 제조된다.
하기의 문헌은 지향성 어레이와 비지향성 어레이, 및 후크형과 비후크형의 목적 맞물림 요소를 포함한, 목적 표면의 맞물림 요소의 적합한 어레이를 개시할 목적으로 참조문헌으로 인용된다: 1980년 8월 5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216,257호, 1989년 7월 11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46,815호, 1990년 1월16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94,060호, 1995년 2월 28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92,498호, 1994년 7월 5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26,612호, 1995년 4월 18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407,439호; 및 1994년 10월 27일자로 공개된 PCT 공개공보 WO 94/23610호.
목적 표면(350)은, 상면시이트(40) 표면(42)의 상부를 덮도록 어깨 연장부(24, 26)의 적어도 일부위에 배치된 부직 웹 섬유로 이루어진 표면(3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양태에서, 목적 표면(350)은 어깨 연장부(24, 26)의 외부 표면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되며, 하부 가장자리(354)에서 끝이 난다. 가장자리(354)는 최대 너비의 목 부분(220)을 갖는 목 개구부 후방부(230)의 접합부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목 개구부 후방부(230)와 접해있는 어깨 연장부(24, 26) 부분과 같이 착용자 피부와 접촉될 수 있는 어깨 연장부 부분에 걸쳐 부직 웹이 연장되어 있어서, 착용자 피부에 부드럽고 비자극적인 표면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부직 웹은 목 개구부 전방부(210)의 주변부 아래(201)로 연장될 수 있어서, 몸통부 패널(7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부직 웹(352)은 흡수성 상면시이트 층(40)에 액체가 통과하도록 하면서 표면(350)은 착용자가 접촉할 때 비교적 건조한 채로 있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부직 웹(352)은 부직 웹(352)과 상면시이트(40) 중간에 공극을 만들어서 턱받이의 흡수성에 일조할 수 있다.
프롱(310)이 웹(352)의 섬유와 확고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부직 웹(352)을 선택한다. 한 양태에서, 목적 표면(350)은 스펀 적층되고 열에 의해 점-결합된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웹 표면(3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웹은 약 22g/㎡의 기본 중량을 가지며, 상기 섬유는 섬유 길이 9000m당 약 3.0g 미만의 평균 데니어를 갖는다. 적합한 부직 웹(352)은 미국 사우쓰 캐롤라이나주 심슨빌 소재의 화이버웹 코포레이션(Fiberweb Corp.)에서 셀레스트라 유니콘(Celestra Unicorn)이라는 상품명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섬유 웹은, 전술한 프롱(310)에 의해 확고하게 맞물릴 수 있고 착용자 피부에 부드럽고 마찰을 일으키지 않는 목적 표면을 제공한다.
대체로 평면인 목 개구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형태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수렴형의 개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어느 경우에든지, 상기 개구부(200)의 최대 측방향 너비는 목 전방부와 목 후방부의 중간에 위치한 최대 너비 부분(220)에 위치한다. 최대 너비 부분(220)에 위치한 최대 측방향 너비는 목 개구부 전방부와 목 개구부 후방부에서 측정되는 측방향 너비보다 크다. 반대로, U-형 및 V-형 목 개구부는 후방으로 수렴되지 않으며, 목 개구부 전방부와 목 개구부 후방부의 중간에 배치된 최대 너비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개구부(200)의 최대 너비 부분(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된 종방향 길이(225)를 가질 수 있거나(예컨대, 상기 부분(220)은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또 다르게는 최대 너비 부분(2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너비를 갖는 선일 수 있다. 최대 너비 부분(220)의 종방향 길이(225)는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측정할 때 목 개구부 전방부(210)의 종방향 길이(215)보다 적을 수 있다.
목 개구부가 폐쇄 형태를 갖는 경우, 길이(240)는 개구부(200) 주변부(201)의 반대 지점 사이에서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측정한다. 목 개구부(200)가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수렴형의 개방 형태를 갖는 경우, 목 개구부 후방부에서 어깨 연장부(24, 26) 가장자리를 분리시키는 최소 측방향 너비(246)가 우선 확인된다. 이어서, 종방향 길이(240)는 목 개구부 전방부(210)로부터 측방향 너비(246)의 중간점까지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측정한다. 최소 측방향 너비(246)를 갖는 여러 위치가 목 후방부(230)에 있는 경우, 길이(240)는 목 개구부 전방부로부터, 목 개구부 전방부(210)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최소 측방향 너비(246)의 중간점까지 측정한다.
목 개구부 전방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개구부의 중심에 대해 대체로 오목한(즉, 턱받이가 착용되었을 때 위쪽으로 오목한) 형태를 포함하는 주변부(201)를 가질 수 있다. 목 전방부(210)의 주변부(210)는 계란형, 원형, 포물선 또는 타원형을 비롯한 통상적으로 알려진 수많은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목 전방부(210)의 주변부는 하나 이상의 직선 구역, 하나 이상의 곡선 구역, 또는 직선 구역과 곡선 구역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슬릿(211)이 목 개구부 전방부(210)의 주변부(201)로부터 대체로 방사상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슬릿(211)은 목 개구부 전방부(210)의 주변부(210)가 착용자의 목에 밀접하면서도 편안하게 정합되게 한다. 슬릿(211)은 어깨 연장부(24, 26)가 겹쳐질 때 슬릿(211) 중간에 생긴 턱받이의 꽃잎형 부분이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게 한다. 이에 의해, 슬릿(211)은 목 개구부(200)가 착용자의 목에 순응되어질 때 턱받이 몸통부의 비틀어짐과 벌어짐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슬릿(211)은 목 개구부(200)의 형태와 함께 작용하여 착용자 목 주위에서의 턱받이 정합성을 개선시키고, 특정한 목 크기를 수용하기 위해 어깨 연장부(24, 26)가 겹쳐질 때 턱받이 몸통부의 비틀어짐과 벌어짐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슬릿 또는 분기점은 모렛(Moret)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16,025호에 일반적으로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는 본원에서 참조문헌으로 인용된다.
목 개구부 후방부(230)는 직선 구역, 곡선 구역, 또는 직선 구역과 곡선 구역의 조합을 포함하는 주변부(201)를 가질 수 있다. 도 5와 6에서, 목 후방부(230)의 주변부는 어깨 연장부(24, 26)의 내부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된 대체로 직선인 구역을 포함한다. 상기 직선 구역은 수렴하지만, 목 개구부 후방부(230)가 최대 너비 부분(220)으로부터 연장될 때 반드시 교차하지는 않아서, 목 개구부 후방부(230)는 최대 너비 부분(220)으로부터 연장될 때 가늘어진다. 목 개구부 전방부(210)의 오목한 주변부와 끝이 가늘어지는 목 개구부 후방부(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방울 형태의 목 개구부(200)를 제공한다. 도 6은 끝이 잘린 물방울 형태의 목 개구부(200)를 도시한다.
목 개구부 후방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개구부 전방부(210)의 종방향 길이(215)보다 더 큰 종방향 길이(235)를 가질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종방향 길이(235)는 종방향 길이(215)의 약 1.2배 이상, 다른 양태에서는 약 1.5배 이상, 또 다른 양태에서는 약 2.0배 이상이다. 예컨대, 하나의 비제한적인 양태에서, 길이(215)는 약 1.2in일 수 있고, 길이(225)는 약 0.64in일 수 있으며, 길이(235)는 약 2.7in일 수 있고, 최대 너비 부분(220)의 측방향 너비는 약 3.4in일 수 있다.
어깨 연장부가 다른 각도로 겹쳐지게 함으로써 최대 너비 부분(220)보다 적은 측방향 너비를 갖는 다양한 목 크기와 형태가 수용될 수 있다. 착용자 목 뒤에서 어깨 연장부를 이형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어깨 연장부(24, 26)를 겹치게 하면 일반적으로 턱받이 몸통부(22)가 적어도 어느 정도 비틀어지며, 이로 인해 턱받이 몸통부(22)가 착용자의 가슴으로부터 벌어질 수 있다. 어깨 연장부가 보다 큰 각도로 겹쳐질수록 일반적으로 상기 비틀어짐은 증가한다.
본 발명의 턱받이는 목 개구부(200)의 일정한 최대 측방향 너비와 주변부에 있어서 광범위한 목 크기와 형태를 확고하게 고정시키는 동시에 전술한 비틀어짐과 벌어짐을 최소화시키는 목 개구부(200)를 제공한다. 턱받이가 일반적으로 평면 배향으로 있을 때 원형 목 개구부를 한정하는 어깨 연장부를 갖는 턱받이는 원형 개구부의 직경보다 상당히 작은 목을 정합시키도록 어깨 연장부가 겹쳐질 때 일반적으로 많이 비틀어짐을 나타낸다. 측방향으로 연신된 계란형(주축이 측방향으로 배향됨)의 목 개구부를 갖는 턱받이는 또한 어깨 연장부가 보다 작은 목 크기를 수용하도록 겹쳐질 때 상당한 비틀어짐을 나타낸다.
턱받이가 대체로 평면인 배향으로 있을 때 종방향으로 연신된 계란형 목 개구부(주축이 종방향으로 배향됨)을 한정하는 어깨 연장부를 갖는 턱받이는 측방향으로 연신된 개구부를 갖는 턱받이보다 더 적게 비틀어짐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 개구부 형태는 슬릿과 같이 작용할 수 있어서, 턱받이가 착용자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턱받이가 대체로 평면인 배향으로있을 때, U 또는 V-형 목 개구부를 한정하는 어깨 연장부를 갖는 턱받이도 어깨 연장부가 겹쳐질 때 심한 비틀어짐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어깨 연장부(24, 26)는 광범위한 형태의 목 크기를 수용하도록 다양한 각도로 겹치면서 착용자 목의 후방부에 맞물리며, 비교적 작은 목 크기를 수용하기 위해 더 많이 겹쳐질 때 발생하던 턱받이 몸통부(22)의 비틀어짐 정도를 감소시킨다.
대체로 평면인 목 개구부(200)는 1.0 보다 큰 측방향 비대칭 비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상기 비는 약 1.15 이상일 수 있으며, 다른 양태에서는 약 1.25 이상이며, 또 다른 양태에서는 약 1.5 이상이다. 종방향 대칭성과 1.0보다 큰 측방향 비대칭 비를 갖는 턱받이 개구부(200)는, 턱받이 몸통부(22)의 비틀어짐과 벌어짐을 최소화하면서 목 개구부 후방부의 주변부(201)의 크기가 다양한 목 후방부에 맞물릴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5와 6에 있어서, 측방향 비대칭 비는 하기의 절차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턱받이(20)는 대체로 평면인 목 개구부(200)를 제공하기 위하여 편평한 수평 표면상에 지지된다. "대체로 평면인 목 개구부(200)"란, 어깨 연장부(24, 26)와 몸통부 패널(70)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있고 어깨 연장부(24, 26)가 겹쳐있지 않은 형태로 있을 때 제공된다. 이어서, 자의 가장자리를 턱받이 위에 그의 중심선(21)을 따라 놓아 길이(240)의 중간점(242)을 정한다. 중간점의 위치는 편평한 수평 표면에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목 개구부의 종방향 길이(240)의 중간점(242)을 통해 연장되어 두 지점[목 후방부(230)의 주변부에 위치한 제 1 교차점(261)과 목 개구부 주변부의 반대 부분에 있는 제 2 교차점(262)]에서 목 개구부(200)의 주변부(201)와 교차하는 가상선이 제작된다[점(261, 262 및 242)은 동일 직선상에 있다]. 점(261)의 위치는 거리(264)(중간점(242)으로부터 제 2 지점(262)까지 측정함) 대 거리(263)(중간점(242)으로부터 제 1 지점(261)까지 측정함)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선택한다. 이와 같이 거리(264)를 거리(263)로 나누어서 얻은 비가 목 개구부(200)의 비대칭 비이다.
한 양태에서, 대체로 평면인 목 개구부(200)는 각 B로 정의되는 것과 같은, 목 개구부(200)의 특정 각을 이룬 부분내에서 측방향 비대칭 비를 갖는다. 착용자에 대해 턱받이가 흘러내리거나 이동하지 않게 하는 힘 구성요소에 의해 착용자의 목 후방부에 목 개구부가 확고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대체로 평면인 목 개구부(200)는 목 개구부의 특정 각을 이룬 부분내에서 1.0 보다 큰 측방향 비대칭 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와 6에 있어서, 각 B는 중간점(242)을 통과하는 측방향 축으로부터 측정된다. 한 양태에서, 목 개구부(200)는 약 1.15 이상의 비대칭 비를 가지며, 또 다른 양태에서는 약 1.25 이상, 또 다른 양태에서는 약 1.5 이상의 비대칭 비를 가지며, 상기 비대칭 비는 15°보다 크고 80°보다 작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30°보다 크고 75°보다 작은 각 B에 의해 정의되는 목 개구부의 각을 이룬 부분에 위치한다.
턱받이를 사용해야 하는 시점 이전에, 어깨 연장부(24, 26)는 선택적 약화선(270)을 따라 원위 말단부(24B, 26B) 등에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턱받이를 사용해야 할 때, 어깨 연장부는 선택적 약화선(270)을 따라 분리될 수 있어서,턱받이의 다른 부분을 찢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어깨 연장부가 분리될 수 있고, 또한 패스닝 조합체에 의해 겹쳐지는 방식으로 이형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선택적 약화선(270)은 종방향 중심선(21)과 나란히 놓이며, 다수의 이격된 세공(271)을 포함한다. 세공(271)은 턱받이(200) 두께에 걸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된다. 세공은 천공 나이프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배면시이트(80), 상면시이트(40) 및 부직 웹(352) 각각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 약화선(270)은 사용 이전에 어깨 연장부의 원위 말단부가 느슨하지 않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턱받이는 사용 이전에 취급하기가 더 쉽다. 또한, 선택적 약화선의 사용은 제조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예컨대, 턱받이(20)는 배면시이트(80) 물질, 상면시이트(40) 물질 및 부직(352) 물질의 연속 웹을 함께 연결시킴으로써 연속된 다중 적층체 시이트를 형성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다중 적층체 시이트로부터 절단될 각 턱받이의 원하는 부분에 상응하는 예정된 위치에서 다중 적층체 시이트가 천공될 수 있다.
이어서, 턱받이는 예정된 패턴에 따라 시이트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동안에 어깨 연장부의 느슨한 원위 말단부를 위치시키거나 지지하려고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턱받이(20)는 예정된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접은 선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하기 위해 턱받이(20)를 접음으로써 접은 선이 형성될 수 있다. 접은 선은 주머니(100)의 벌어짐 및 벌어진 형태의 유지를 쉽게 하도록 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7은 부분적으로 제작된 턱받이 구조물을 나타낸다. 도 7에서, 턱받이(20)의 목 개구부(200)와 외부 주변부는, 접착제에 의해 배면시이트(80) 층에 연결된 상면시이트(40) 층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시이트로부터 절단되었다. 또한, 부직 웹(352)은 어깨 연장부(24, 26)를 덮도록 고정되어 있다. 도 7에서, 주머니(100)는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
도 7에서, 접착제(99)는 부분적으로 제작된 턱받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용되었다. 접착제(99)는, 부착 대역(107)을 형성하여 주머니 패널(105) 가장자리를 몸통부 패널(70)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주머니 패널(105) 가장자리를 몸통부 패널(70)에 고정시키는데 적합한 다른 수단은 열 결합, 기계적 결합 및 초음파 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부분적으로 제작된 턱받이는 도 7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선(410)을 따라 절첩될 수 있어서, 주머니 하부 가장자리(120)를 만들고, 주머니 패널(105)의 위치를 몸통부 패널(70)과 인접하게 정하여, 주머니 패널(105)은 몸통부 패널(70) 하부의 위에 놓이게 된다. 접착제(99)는 주머니 패널(105)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를, 몸통부 패널(70)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의 하부에 연결시켜서, 주머니(100)는 주머니 하부 가장자리(120)와 그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폐쇄된다.
주머니 패널(105)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 중간에 솔기를 갖지 않아서, 주머니 패널(105)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 중간에서 하나의 일체형 패널로서 연장된다. 접착제에 의해 물질의 두 개 가장자리를 연결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솔기는 주머니 패널(105)에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는 부가의 제작 단계를 필요로 하고 절첩에 의해 패널에 형성된 접은 선이 작용하는데 솔기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부분적으로 제작된 턱받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축에 평행한 절첩선(420)을 따라 절첩될 수 있어서, 주머니 입구 가장자리(110)를 형성하는 접은 선을 발생시키고, 이 때 제 3 패널(600)은 주머니(100)로 연장되어 주머니 패널(105)과 몸통부 패널(70) 사이에 배치되도록 주머니(100)속으로 밀어넣어진다.
한 양태에서, 몸통부 패널(70)은 또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첩선(430)을 따라 절첩될 수 있다. 절첩선(430)은 주머니 입구 가장자리(110)에 대체로 평행하며, 그 아래에 놓인다. 절첩선(430)을 따라 몸통부 패널(70)을 절첩시키면, 주머니 입구 가장자리(110)에 대체로 평행하고 그 아래에 놓인 몸통부 패널(70)에 접은 선이 발생한다(도 13).
그 다음에, 턱받이 몸통부 패널(70)은 절첩선(440)을 따라 절첩될 수 있어서, 어깨 연장부(24, 26)는 턱받이 몸통부 패널의 일부와 주머니 패널(105) 위에 놓인다. 도 8에 도시된 형태로 있는 턱받이에서 턱받이 몸통부 패널은 절첩선(440)을 따라 절첩될 수 있어서, 패널(105, 600) 부분 둘다는 어깨 연장부(24, 26)의 바로 아래에 있다. 다르게, 도 9에 도시된 형태로 있는 턱받이에서 턱받이는 절첩선(440)을 따라 절첩될 수 있다.
턱받이(20)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첩선(460)을 따라 절첩될 수도 있어서,몸통부 패널(70), 주머니 패널(105) 및 제 3 패널(600)의 각각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접은 선을 형성한다. 이론에 제한됨없이, 이러한 접은 선은 주머니(100)가 벌어진 형태로 유지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선(460)을 따라 절첩되었을 때의 턱받이 형태에 따라, 몸통부 패널(70), 주머니 패널(105) 및 제 3 패널(600)에 발생된 접은 선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거나 바깥쪽으로 오목할 수 있다.
예컨대, 턱받이가 절첩선(460)을 따라 절첩될 때 도 8에 도시된 형태로 있다면, 턱받이는 그의 가장자리가 도 8의 평면밖 위쪽으로 회전되도록 절첩될 수 있다. 이어서, 턱받이가 도 9에 도시된 형태로 있을 때, 종방향 접은 선은 도 9의 선 10-10을 따라 취해 턱받이 패널에 걸친 단면도인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0과 관련하여, 이러한 절첩은 제 3 패널(600) 상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은 선(650), 주머니 패널(105) 상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은 선(505) 및 주머니 패널의 아래에 있는 몸통부 패널(70) 부분에 있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은 선(570)을 제공한다. 접은 선(650)은 바깥쪽으로 볼록하며, 접은 선(505, 570)은 바깥쪽으로 오목하다(바깥쪽이란 턱받이가 착용되었을 때 착용자 신체로부터 멀어져가는 방향이어서, 제 3 패널(600)에서의 접은 선(650)의 볼록 방향은 몸통부 패널(70)에서의 접은 선(570)과는 반대이다). 이론에 제한되지 않더라도, 접은 선(570)의 바깥쪽으로 오목한 특성은 흘린 물질이 주머니(100)내로 보내지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다른 접은 선의 배치도 제작될 수 있어서, 접은 선(650, 505, 570)은모두 바깥쪽으로 볼록하거나 모두 바깥쪽으로 오목하거나; 접은 선(650, 570)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고 접은 선(505)은 바깥쪽으로 오목하거나; 접은 선(650)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고, 접은 선(505)은 바깥쪽으로 오목하며 접은 선(570)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거나; 접은 선(650)은 바깥쪽으로 오목하고 접은 선(505, 570)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거나; 접은 선(650, 505)은 바깥쪽으로 오목하고 접은 선(570)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거나; 접은 선(605)은 바깥쪽으로 오목하고 접은 선(505)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고 접은 선(570)은 바깥쪽으로 오목하다.
본 발명의 특정한 양태가 예시되고 기재되었으나,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취지와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은 알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는 발명의 범주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화 및 변형을 다루고자 한다.

Claims (10)

  1. 제 1 몸통부 패널;
    주머니 입구 가장자리, 주머니 종방향 길이 및 주머니 측방향 너비를 갖는 주머니 공간을 몸통부 패널과 주머니 패널 중간에 제공하기 위해 몸통부 패널에 연결된 제 2 주머니 패널; 및
    주머니 공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턱받이에 연결된 제 3 패널을 포함하는,
    종방향 중심선, 측방향 너비 및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 가장자리를 갖는 일회용 턱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패널이 주머니 패널의 적어도 일부를 아래에 놓인 몸통부 패널 부분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주머니 공간이 턱받이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벌어지도록 하는 일회용 턱받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주머니 공간으로 연장되는 제 3 패널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 형태로부터 변형된 일회용 턱받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3 패널이, 주머니 패널에 연결된 제 1 말단부, 제 1 말단부로부터 이격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가장자리, 및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일회용 턱받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측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가 자유 가장자리(free edge)인 일회용 턱받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패널의 측방향 너비가 주머니 공간의 측방향 너비보다 크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일회용 턱받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3 패널의 측방향 너비가 주머니 공간의 측방향 너비보다 큰 일회용 턱받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패널의 종방향 길이가 주머니 공간의 종방향 길이보다 작은 일회용 턱받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패널의 종방향 길이가 주머니 공간의 종방향 길이보다 큰 일회용 턱받이.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패널의 종방향 길이가 주머니 공간의 종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일회용 턱받이.
KR1020007005157A 1997-11-14 1998-11-16 개선된 주머니 구조물을 갖는 턱받이 KR100344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69,868 1997-11-14
US08/969,868 US6128780A (en) 1997-11-14 1997-11-14 Bib having an improved pocket structure
US8/969,868 1997-11-14
PCT/US1998/024388 WO1999025212A1 (en) 1997-11-14 1998-11-16 Bib having an improved pocket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037A KR20010032037A (ko) 2001-04-16
KR100344138B1 true KR100344138B1 (ko) 2002-07-20

Family

ID=25516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157A KR100344138B1 (ko) 1997-11-14 1998-11-16 개선된 주머니 구조물을 갖는 턱받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28780A (ko)
EP (1) EP1052913B1 (ko)
JP (1) JP2001522956A (ko)
KR (1) KR100344138B1 (ko)
AU (1) AU1525199A (ko)
CA (1) CA2309933C (ko)
DE (1) DE69816869T2 (ko)
WO (1) WO1999025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4220B1 (en) * 1999-07-13 2002-01-01 Greg M. Frye Adjustable disposable garment protector
US6381751B1 (en) * 2001-08-17 2002-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a durable pocket structure
US6499140B1 (en) * 2001-08-17 2002-12-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a durable pocket structure
KR100438174B1 (ko) * 2001-09-05 200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속도 제어방법
US20030074710A1 (en) * 2001-10-19 2003-04-24 Sanders Donald J. Clothing shield with opening mechanism
US20040128729A1 (en) * 2002-08-21 2004-07-08 Allan Lat Adult disposable plastic bib with a 4" self-opening pocket
US7100211B2 (en) 2003-04-21 2006-09-05 Bruffett Lynda L Bib having an internal pocket for storing items
WO2005053446A1 (en) * 2003-11-05 2005-06-16 Paul Brown Neoprene bib with material face
US7444685B2 (en) 2005-09-22 2008-11-04 Bonobos, Llc Reconfigurable mealtime accessory tote for organizing and transporting mealtime accessories to remote meal locations, and protecting the clothing of young children during mealtime when using the same
CA2531872C (en) 2006-01-09 2013-11-26 Rea E. Cymbol Bib with a pocket
US7143448B1 (en) 2006-03-24 2006-12-05 Gottehrer Jonathan M Bib for catching waste
US7237271B1 (en) 2006-05-17 2007-07-03 Mclandrich Andrew Barber Disposable protective bib
US7686791B2 (en) * 2007-03-07 2010-03-30 Richard F Ramage Emesis container
US7947024B2 (en) * 2007-03-07 2011-05-24 Richard F. Ramage and Anthony F. Ramage Emesis container
US20100122390A1 (en) * 2008-11-20 2010-05-20 Lenore Sender Baby garment with integrated front covering
US8966665B2 (en) * 2009-07-17 2015-03-03 Gordon J. Lee Bib assembly
US7904968B2 (en) 2009-07-24 2011-03-15 Darci Fletcher Apron with a bendable pocket-forming device
US10226080B2 (en) 2015-06-25 2019-03-12 Nina S. Gethers Bib
USD900433S1 (en) 2018-09-04 2020-11-03 Lenore S. Sender Baby bodysuit with integrated bib
USD882213S1 (en) * 2018-11-01 2020-04-28 Lindsay King Bib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644A (en) * 1896-07-07 Alice josephine birney
US879124A (en) * 1905-03-29 1908-02-11 Stork Company Bib.
US1591721A (en) * 1926-04-23 1926-07-06 Robert C Melvin Bib
US2164369A (en) * 1937-05-19 1939-07-04 Pioneer Wrapper And Printing C Bib
US2423489A (en) * 1945-10-01 1947-07-08 Gordon M Dunn Bib
US2580388A (en) * 1948-02-04 1952-01-01 Adda M Allen Bib structure
US2551907A (en) * 1948-03-17 1951-05-08 Serebrin Dorothy Dee Bib for children
US2552462A (en) * 1949-12-30 1951-05-08 Savrin Anna Bib
US3010111A (en) * 1959-03-03 1961-11-28 Harold J Ralph Bib with pocket
US3010110A (en) * 1960-09-27 1961-11-28 Margaret E Kirk Disposable child's bib
US3407407A (en) * 1966-09-22 1968-10-29 Blum And Company Inc Bib construction
US3945048A (en) * 1975-03-25 1976-03-23 Janet Shearer Disposable bib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SE410548B (sv) * 1978-03-06 1979-10-22 Duni Bila Ab Engangshaklapp samt forfarande for tillverkning av densamma
US4233688A (en) * 1979-01-09 1980-11-18 Jonna Hjerl Bib
US4441212A (en) * 1982-09-30 1984-04-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US4445231A (en) * 1983-04-19 1984-05-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gravitationally openable pocket
US4660226A (en) * 1986-04-11 1987-04-28 Marlys M. Quilling Bib
US4649572A (en) * 1986-05-27 1987-03-17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bib with an improved pocket formed with an accordion fold
US4706303A (en) * 1986-07-16 1987-11-17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bib with an elasticized neckband
US4646365A (en) * 1986-07-16 1987-03-03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bib with an integral, elasticized neckband
US4780911A (en) * 1987-10-26 1988-11-01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osable bib with elasticized head opening
US5218721A (en) * 1990-07-27 1993-06-15 Jeanette Mathews Air inflatable bib
US5490289A (en) * 1994-05-25 1996-02-13 Lehrer; Peggy Baby bib
US5715542A (en) * 1995-08-10 1998-0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an improved fastener
BR9609919A (pt) * 1995-08-10 1999-07-06 Procter & Gamble Babador dotado de uma abertura de pescoço aperfeiçoada
BR9609968A (pt) * 1995-08-10 1999-02-02 Procter & Gamble Babador dotado de um bolso aperfeiçoado
BR9712351A (pt) * 1996-10-17 1999-11-16 Procter & Gamble Babador descartá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09933A1 (en) 1999-05-27
WO1999025212A1 (en) 1999-05-27
JP2001522956A (ja) 2001-11-20
KR20010032037A (ko) 2001-04-16
AU1525199A (en) 1999-06-07
CA2309933C (en) 2005-01-25
EP1052913B1 (en) 2003-07-30
US6128780A (en) 2000-10-10
EP1052913A1 (en) 2000-11-22
DE69816869T2 (de) 2004-05-19
DE69816869D1 (de) 200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138B1 (ko) 개선된 주머니 구조물을 갖는 턱받이
US6058506A (en) Bib having improved pocket
US6499140B1 (en) Bib having a durable pocket structure
US5822792A (en) Bib having an improved neck opening
US6381751B1 (en) Bib having a durable pocket structure
US5715542A (en) Bib having an improved fastener
US5819314A (en) Bib having concave side edges
EP1076490B1 (en) Bib having side edges with stress relief means
AU742073B2 (en) Bib having an improved fastener
MXPA00004728A (en) Bib having an improved pocket structure
MXPA98001114A (en) Bib that has a better b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