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707A - 이중 모드 휴대 전화 유닛 - Google Patents

이중 모드 휴대 전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707A
KR20000048707A KR1019990702667A KR19997002667A KR20000048707A KR 20000048707 A KR20000048707 A KR 20000048707A KR 1019990702667 A KR1019990702667 A KR 1019990702667A KR 19997002667 A KR19997002667 A KR 19997002667A KR 20000048707 A KR20000048707 A KR 20000048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dma
transmission
base station
sequence
fram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1112B1 (ko
Inventor
덴트폴다블유
Original Assignee
도날드 디. 먼둘
에릭슨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날드 디. 먼둘, 에릭슨 인크. filed Critical 도날드 디. 먼둘
Publication of KR20000048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nsceiver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이중 모드 TDMA 휴대 전화 유닛(12)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제1동작 모드(20)는 최대 75km까지 동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2동작 모드(22)에서, 휴대 전화 유닛(12)은 75km 보다 먼 거리에 대해 휴대 전화 유닛(12)과 기지국(1) 사이의 동기화를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구조(24)에 따라 동작한다. 이 증가된 거리는 제2모드(22)에서의 TDMA 송신의 프레임 구조(24) 내에서 송신 타임슬롯(24c)을 상기 제1모드(20)의 프레임 구조(24)에서 보다 이후의 타임슬롯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이중 모드 휴대 전화 유닛{DUAL MODE PORTABLE TELEPHONE UNIT}
시간 이중 휴대 전화 유닛은 통상적으로 약 75km의 특정 거리 내에서 TDMA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소위 「메가셀」(75km 보다 먼 기지국으로부터의 거리) 이내에서 휴대 전화 유닛의 사용은 휴대 유닛이 정규 거리에서 기지국에 적용하는 것과 동일한 표준을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시도할 때 기지국에 시간 동기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시간 동기화 문제는 장거리를 초과하여 기지국에 접촉할 때 고유한 큰 시간 지연에 기인한다.
기존의 TDMA 시스템은 특정 시간의 기간 동안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송신 신호를 가져야 한다. 메가셀에서의 기지국과 휴대 전화 유닛 사이의 장거리 송신은 적절한 시간에 기지국에 의한 송신 신호의 수신을 방해한다. 따라서, 공중 정거장 또는 위성이 사용될 때와 같은 정규 거리 및 장거리 모두에 대해 동작할 수 있는 휴대 전화 유닛은 셀 방식 전화 시스템의 사용자 및 제공자에게 큰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셀 방식의 무선 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거리 또는 정규 거리 기지국에서 동작할 수 있는 이중 모드 TDMA 표준을 갖는 휴대 전화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중 모드 휴대 전화 유닛을 사용하여 가능한 이중 통신 가능 구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이중 모드 휴대 전화 유닛의 전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이중 모드 휴대 전화 유닛에 의해 이용되는 정규 및 확장 거리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2개의 타이밍 발생기를 구비한 단/장거리 휴대 전화 유닛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이중 모드 동작이 가능한 TDMA 휴대 전화 유닛으로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점을 해결한다. 휴대 전화 유닛은 휴대 유닛 및 기지국 사이의 정규 및 확장 거리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1 및 제3작 모드 사이의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정규 거리 동작 모드가 선택될 때, 휴대 전화 유닛은 제1 TDMA 동작 시퀀스에 따라 동작된다. 제1시퀀스는 대략 75km의 거리 내에서 통신을 가능하게 하면서 기지국에서 복수의 휴대 전화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들 사이의 적절한 타이밍 관계를 유지하는 복수의 타임슬롯을 포함한다. 제2 또는 확장 거리 동작 모드의 선택시에, 휴대 전화 유닛은 제2 TDMA 프레임 구조 또는 동작 시퀀스에 따라 동작한다. 제2프레임 구조 또는 시퀀스는 공중 정거장 상에 위치된 기지국으로 또는 위성을 통하여 동작이 요구될 때와 같은 정규 거리 동작 모드보다 먼 거리의 제2확장 거리 내에서 기지국과의 동기화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타임슬롯을 포함한다.
더 먼 거리 내에서 동기화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전화 유닛의 능력은 제1프레임 구조 또는 시퀀스를 사용할 때보다는 프레임 내에서 수신 슬롯에 비하여 이후에 공칭적으로 발생하는 송신 타임슬롯을 갖는 동작의 프레임 구조 또는 시퀀스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것은 휴대 전화 유닛과 기지국 사이의 더 먼 거리에 기인하는 더 큰 루프 전달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송신 타임슬롯이 공칭 위치로부터 더욱 멀리 진행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는 첨부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이중 모드 휴대 전화 유닛(12) 및 기지국(10)을 구비한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휴대 유닛(12)은 14로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기지국의 75km 거리 내에서 또는 16으로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기지국(10)의 (예컨대) 160km 거리 내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는 2 모드중 하나로 동작 가능하다. 도 1이 무지향식 안테나를 구비한 기지국(10)의 사용을 나타내지만, 상기 시스템은 부채꼴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지국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더욱이, 제1 및 제2동작 거리는 임의의 거리일 수 있다.
메가셀 기지국 또는 위성 통신에 수반되는 장거리(75km 이상)는 표준 시간 이중 휴대 전화를 사용할 때 동기화 문제를 야기한다. 이들 문제점은 송신 (T) 타임슬롯이 기지국(10)과 적절한 동기화를 달성하기 위해 진행될 수 있는 제한된 윈도우로부터 발생한다. 정규 거리 내에서 동작하는 휴대 전화는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그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타임슬롯 내에서 수신된다. 그러나, 75km 보다 먼 거리가 휴대 유닛에 의한 송신의 동기화에 시도되고 기지국의 수신이 가능하지 않을 때, 송신 타임슬롯이 수신 타임슬롯으로 진행되도록 요구한다. 시간 이중 장치에 있어서, 이것은 중첩 기간에 송신 및 수신할 수 없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문제점에 대한 해결안은 정규 사이즈 셀 이내의 TDMA 송신용 정규 거리 동작 모드(20)와 기지국 및 최대 적어도 160km의 휴대 유닛 사이의 거리를 갖는 메가셀을 사용하는 확장 거리 동작 모드(22)를 통합하는 휴대 전화 유닛(12)을 이용하는 것이다. 스위치(23)는 이들 두 모드 사이의 변환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제2 또는 장거리 모드는 더 긴 TDMA 프레임 기간의 사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정규 동작 모드(20)에 있어서, 상기 전화는 예컨대, 대략 4.6ms의 프레임 주기를 갖는 범유럽 셀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GSM)용의 공인된 표준에 따라 동작한다.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GSM 프레임 내의 8개의 타임슬롯이 R(수신), I(무통화), T(송신) 및 S(주사)로 지정된다. 확장 거리 모드에 있어서, 휴대 전화 유닛(12)은 TDMA 시간 프레임(26)의 수신 타임슬롯(24a)내의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 타임슬롯(24a)에 후속하는 후속 하나 또는 2개의 타임슬롯(24b)은 휴재 유닛(12)이 수신 상태에서 송신 상태로 변화할 때 무통화로 된다. 휴대 유닛(12)은 송신 타임슬롯(24c) 내에서 기지국(10)에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후 대략 4개의 나머지 타임슬롯 동안, 휴대 전화 유닛(12)은 다수의 인접 기지국 주파수중 하나로 신호 길이를 주사하도록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상기 전화 유닛(12)은 그 후 후속 시간 프레임으로부터 통신량 정보의 후속 버스트를 수신하도록 자체의 수신 주파수를 다시 변화시킨다. 이 절차는 셀 방식 신호에 RIITISII RIITISII… 형태의 반복 시간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GSM 명세는 기지국(10)이 송신 중에 루프 전달 지연을 설명하기 위해 제한된 양만큼 자체의 타이밍을 진행하도록 휴대 전화 유닛(12)에 명령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송신은 적당한 타임슬롯 중에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고 인접 타임슬롯의 다른 송신을 중첩하지 않는다. 그러나, 송신 거리는 휴대 전화 유닛(12)이 수신 타임 슬롯(24a) 직후 또는 동시에 발생하도록 그 송신 시간을 앞당길 수 없기 때문에 제한된다. 따라서, 송신 슬롯이 앞당겨질 수 있는 최대 한도는 1 타임슬롯 또는 무통화 기간 또는 예컨대, 시퀀스 RITIISII…를 야기하는 대략 500㎲이다. 이것이 대략 75km의 거리를 초과하여 송신할 수 있게 한다.
확장 거리 동작 모드(22)(도 2)로 스위칭함으로써, 휴대 전화 유닛(12)은 도 3B 또는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변경된 프레임 구조 또는 동작 시퀀스로 스위치한다. 변경된 프레임 구조에서, 인접 기지국의 신호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주사(S)로의 스위칭은 정규 프레임 구조에서 발생하는 것처럼 항상 송신후 및 수신전에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주사(S)는 수신(R)후 및 송신(T)전에 발생하거나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절차는 (주사가 실행될 때) RISIITII RISIITII… 또는 (주사가 실행되지 않을 때) RIIIITII RIIIITII… 형태의 동작의 반복 시퀀스를 발생한다.
따라서, 송신 슬롯(24c)은 표준 GSM 프레임 포맷에서 보다 최대 2개 또는 3개의 슬롯 이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구조 내에서 공칭적으로 송신 타임슬롯 이후에 위치시킴으로써, 송신 타임슬롯(T)은 더 큰 루프 지연을 보상하도록 그 공칭 위치로부터 최대 2개의 타임슬롯 또는 1.1ms 앞당겨질 수 있다. 이것이 최대 160km 거리의 기지국과 동기화할 수 있는 최대 1.1ms 시간 앞당김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 시간 앞당김이 송신 슬롯을 후속 수신 슬롯보다 이전의 수신 슬롯에 더 가깝게 할 때, 주사 동작의 위치는 더 많은 무통화 시간이 사용 가능한 송신 슬롯 이후가 되도록 변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송신 슬롯의 요구되는 시간 앞당김에 의존하여 동적 방식으로 (수신, 송신, 주사)에서 (수신, 주사, 송신)으로 그 동작 시퀀스를 변경할 수 있다.
궤도 위성을 통해 통신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전술한 예시적인 160km 보다 매우 먼 거리에 대한 통신이 필요한 경우, 장거리 모드에서의 타이밍 앞당김에 대한 조정 거리를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의 측정치는 TDMA 프레임 기간의 신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기간은 위성 모드에서 16 슬롯 또는 32 슬롯으로 적절하게 신장될 수 있으면서, GSM과 동일한 슬롯 포맷을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송신 타임슬롯의 앞당김 거리를 2배 또는 4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성공적인 위성 통신에 필요한 앞당김의 거리는 270ms의 루프 지연을 나타내는 40000km 만큼일 수 있는 위성까지의 총거리에 관련이 없고, 소정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휴대 유닛이 이동할 때의 거리의 변화량에 관련된다. 서비스 영역은 다중 방향 안테나 빔을 사용하여 셀로 분할될 수 있고, 위성 시스템은 각 셀의 중앙에 대해 각각 그 공칭 수신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으며; 휴대 전화는 그 후 셀의 중앙으로부터 위성까지의 거리보다 매우 작은 셀의 직경을 초과한 이동에 따라 그 송신 타이밍 앞당김만을 조정하도록 요구한다. 필요한 경우, 위성과의 통신을 위한 프레임 기간은 예컨대, 40ms까지 증가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길이의 프레밍 기간을 지원하도록 2개의 타이밍 발생기를 구비한 단/장거리 휴대 전화 유닛을 도시한다. 다른 형태의 이중 모드 전화 유닛은 예컨대, 미국 특허 출원 제07/967,027호; 미국 특허 출원 제08/135,542호; 미국 특허 출원 제08/305,780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08/501,575호에 이미 기술되어 있다. 이들 공동 양도된 출원은 각각 이중 모드 전화의 다른 기술적인 설계 양태를 지원하는 배경으로서 참고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다.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354,904호는 궤도 위성을 통한 TDMA 동작용의 타이밍 발행을 개시하고, 또한 참고로 본 명세서에 완전히 통합되어 있다. 상기 통합되어 있는 참조 문헌들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거리 모드 또는 단거리 동작 모드에 대해 각각 인용될 수 있는 2개의 TDMA 타이밍 발생기의 사용에 대한 요구를 특히 중점을 두고 다루지 않는다.
도 4는 4.6mS 프레임 기간 동안 순환적으로 동작하도록 예컨대, 개별적인 단거리 송신기(30), 수신기(31) 및 안테나(30) 조합을 제어할 수 있는 단거리 타이밍 발생기(34)와, 4.6mS의 단거리 프레임 기간의 2배 또는 4배와 같은 더 긴 프레임 기간 동안, 또는 다른 방법으로, IS136 3/6 슬롯 TDMA 표준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20mS 또는 40mS 프레임 기간 동안 순환적으로 동작하도록 개별적인 장거리 송신기(32), 수신기(33) 및 안테나(39) 조합을 제어할 수 있는 장거리 타이밍 발생기(35)를 도시한다. 단거리 또는 장거리 모드의 선택은 모든 모드에 대해 공통 회로(37)의 일부일 수 있는 제어기의 명령으로 선택 논리부(36)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공통 회로(37)는 송신용 정보 신호를 부호화 또는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단거리 및 장거리 모드 사이의 스위칭 결정은 수신기(30 또는 32)로부터 수신되어 한쌍의 스위치(40, 41)를 통해 제어된 신호에 의존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 및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하였지만, 이것은 본 발명이 개시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의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고 제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남 없이 다수의 변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0)

  1. 제1동작 모드의 선택에 응답하여 반복적인 TDMA 프레임 기간 내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다른 신호를 중첩함 없이 기지국에서 송신 타임슬롯의 수신을 유지하면서 제1거리 내에서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송신용의 다른 타임슬롯의 수신 및 선택을 위한 TDMA 프레임 기간 내에서 복수의 타임슬롯중 하나의 선택을 포함하는 제1동작 시퀀스에 따라 휴대 전화 유닛을 동작시키는 수단과;
    제2동작 모드의 선택에 응답하여 반복적인 TDMA 프레임 기간 내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다른 신호를 중첩함 없이 기지국에서 송신 타임슬롯의 수신을 유지하면서 제2거리 내에서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1동작 모드로 선택된 송신 타임슬롯과 상이한 송신용의 다른 타임슬롯의 수신 및 선택을 위한 TDMA 프레임 기간 내에서 복수의 타임슬롯중 하나의 선택을 포함하는 제2동작 시퀀스에 따라 휴대 전화 유닛을 동작시키는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동작 모드 사이를 스위칭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 TDMA 휴대 전화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 시퀀스는 송신 타임슬롯의 공칭 위치로부터 최대 2개의 타임슬롯까지 송신 타임슬롯을 앞당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 TDMA 휴대 전화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 시퀀스는 상기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1.1ms 만큼 송신 타임슬롯을 앞당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 TDMA 휴대 전화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 시퀀스는 착신 신호의 수신후이지만 발신 신호의 송신전에 다른 기지국을 주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 TDMA 휴대 전화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 시퀀스는 다른 기지 유닛의 주파수를 주사하는 타임슬롯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 TDMA 휴대 전화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 시퀀스의 송신 타임슬롯은 상기 제1동작 시퀀스의 송신 타임슬롯보다 이전의 수신 타임슬롯에 비해 이후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 TDMA 휴대 전화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 시퀀스는 포맷 RISIITII를 갖는 8개의 타임슬롯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R은 수신을 나타내고, I는 무통화를 나타내며, T는 송신을 나타내고, S는 다른 주파수의 주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 TDMA 휴대 전화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 시퀀스는 포맷 RIIIITII를 갖는 8개의 타임슬롯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R은 수신을 나타내고, I는 무통화를 나타내며, T는 송신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 TDMA 휴대 전화 유닛.
  9. 제1거리 및 제2거리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TDMA 휴대 전화 유닛에 있어서:
    제1반복 프레임 기간 동안 송신 및 수신 동작이 번갈아 일어나는 제1시퀀스를 발생하는 제1 TDMA 타이밍 수단과;
    상기 제1프레임 기간보다 긴 제2반복 프레임 기간 동안 송신 및 수신 동작이 번갈아 일어나는 제2시퀀스를 발생하는 제2 TDMA 타이밍 수단과;
    상기 제1거리 내에서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제1 TDMA 타이밍 수단으로 스위칭하고,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제2거리 내에서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제2 TDMA 타이밍 수단으로 스위칭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MA 휴대 전화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복 프레임 기간은 상기 제1반복 프레임 기간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MA 휴대 전화 유닛.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복 프레임 기간은 대략 4.5mS∼4.8mS의 길이를 갖고, 상기 제2프레임 기간은 20mS의 배수와 같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MA 휴대 전화 유닛.
  12. 제9항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동작이 번갈아 일어나는 상기 제1시퀀스는 RITS를 포함하고, 송신 및 수신 동작이 번갈아 일어나는 상기 제2시퀀스는 RITI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R은 수신을 나타내고, I는 무통화를 나타내며, T는 송신을 나타내고, S는 다른 주파수 채널의 주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MA 휴대 전화 유닛.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기간은 아래의 프레임 패턴 RIITISII, RITIISII, RITISIII, RIITIISI 및 RITIIISI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는 8개의 타임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 기간은 아래의 프레임 패턴 RIITII, RITIII, RIIITI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는 6개의 타임슬롯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R은 수신을 나타내고, I는 무통화를 나타내며, T는 송신을 나타내고, S는 교호 주파수 채널의 주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MA 휴대 전화 유닛.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궤도 위성 중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MA 휴대 전화 유닛.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공중 정거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MA 휴대 전화 유닛.
  16. TDMA 휴대 전화 유닛의 이중 모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동작 모드 및 제2동작 모드 사이에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동작 모드의 선택에 응답하여 반복 TDMA 프레임 기간 내에 기지국에서 신호의 중첩을 방지하면서 제1거리 내에서 상기 휴대 전화 유닛과 기지국 사이의 동기 신호를 가능하게 하는 제1동작 시퀀스에 따라 상기 휴대 전화 유닛을 동작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동작 모드의 선택에 응답하여 반복 TDMA 구조 내에서 기지국에서 신호의 중첩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 내에서 상기 휴대 전화 유닛과 기지국 사이의 동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2동작 시퀀스에 따라 상기 휴대 전화 유닛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제2동작 시퀀스에 따라 상기 휴대 전화 유닛을 동작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휴대 전화 유닛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해 공칭 위치로부터 최대 2개의 타임슬롯 앞으로 송신 기간을 앞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제2동작 시퀀스에 따라 상기 휴대 전화 유닛을 동작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휴대 전화 유닛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1.1ms 만큼 송신 기간을 앞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동작 모드의 선택에 응답하여 반복 TDMA 프레임 기간 내에 제1거리 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송신용의 다른 타임슬롯의 수신 및 선택을 위해 TDMA 프레임 기간 내에 복수의 타임슬롯중 하나의 선택을 포함하는 제1동작 시퀀스에 따라 휴대 전화 유닛을 동작시키는 수단과;
    제2동작 모드의 선택에 응답하여 반복 TDMA 프레임 기간 내에 제2거리 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1동작 모드로 선택된 송신 타임슬롯과 다른 송신용의 다른 타임슬롯의 수신 및 선택을 위해 TDMA 프레임 기간 내에 복수의 타임슬롯중 하나의 선택을 포함하는 제2동작 시퀀스에 따라 휴대 전화 유닛을 동작시키는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동작 모드 사이를 스위칭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 TDMA 휴대 전화 유닛.
  20. 제1거리 및 제2거리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TDMA 휴대 전화 유닛에 있어서:
    제1반복 프레임 기간 동안 송신 및 수신 동작이 번갈아 일어나는 제1시퀀스를 발생시키는 제1 TDMA 타이밍 수단과;
    제2반복 프레임 기간 동안 송신 및 수신 동작이 번갈아 일어나는 제2시퀀스를 발생시키는 제2 TDMA 타이밍 수단과;
    상기 제1거리 내에서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제1 TDMA 타이밍 수단으로 스위칭하고,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제2거리 내에서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제2 TDMA 타이밍 수단으로 스위칭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MA 휴대 전화 유닛.
KR1019997002667A 1996-10-03 1997-10-01 이중 모드 휴대 전화 유닛 KR100551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25,577 1996-10-03
US08/725,577 US5812544A (en) 1996-10-03 1996-10-03 Dual mode portable telephone unit
US8/725,577 1996-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707A true KR20000048707A (ko) 2000-07-25
KR100551112B1 KR100551112B1 (ko) 2006-02-09

Family

ID=2491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667A KR100551112B1 (ko) 1996-10-03 1997-10-01 이중 모드 휴대 전화 유닛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812544A (ko)
EP (1) EP0929983B1 (ko)
JP (1) JP3920354B2 (ko)
KR (1) KR100551112B1 (ko)
CN (1) CN1104169C (ko)
AR (1) AR010501A1 (ko)
AU (1) AU724773B2 (ko)
BR (1) BR9712192A (ko)
CA (1) CA2267208C (ko)
CO (1) CO4750745A1 (ko)
DE (1) DE69723712T2 (ko)
ID (1) ID19280A (ko)
MY (1) MY122047A (ko)
TW (1) TW357523B (ko)
WO (1) WO1998015147A2 (ko)
ZA (1) ZA97854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806A (ko) * 2002-10-24 2004-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복수의 통신모듈을 이용한 가정용 이동전화시스템 및 그통신방법
KR100904824B1 (ko) * 2000-12-12 2009-06-25 엔엑스피 비 브이 원격 통신 동작 방법과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고정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0898B2 (en) * 1992-03-06 2003-11-18 Aircell, Inc. Signal translating repeater for enabling a terrestrial mobile subscriber station to be operable in a non-terrestrial environment
US6233257B1 (en) * 1997-10-03 2001-05-15 Vlsi Technology, Inc. Wireless local loop automatic delay setting
US6665289B1 (en) * 1999-06-01 2003-12-16 Nokia Corporatio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employing dynamic multislot class
SE522654C2 (sv) * 1999-12-10 2004-02-24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förhindra användning av mobila telefoner
US7068610B2 (en) 2002-02-26 2006-06-27 Unruh Lincoln J System and method for reliable communications over multiple packet RF networks
FI20030477A0 (fi) * 2003-03-31 2003-03-31 Nokia Corp Kehyssynkronointitiedon jakelu tukiasemassa
WO2005002257A2 (en) * 2003-06-23 2005-01-06 Quorum Systems, Inc. Time interleaved multiple standard single radio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11558840B2 (en) * 2018-12-17 2023-01-17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dvances for uplink transmiss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5750B (sv) * 1987-06-11 1988-08-01 Ericsson Telefon Ab L M Digitalt tidsmultiplext mobiltelefonisystem med ett effektivt utnyttjande av varje tidsram
JPH0494228A (ja) * 1990-08-09 1992-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イナミックチャネル割当方法
NZ239283A (en) * 1990-08-23 1994-09-27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e cellular radio: handoff between half rate and full rate channels according to estimated received signal quality
JP2723691B2 (ja) * 1991-04-30 1998-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可変タイミング信号発生回路
US5222104A (en) * 1991-12-30 1993-06-22 Motorola, Inc. Gain control circuit for radio transmitter
JPH06315185A (ja) * 1993-04-30 1994-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ャネルモニタ方法
FI106824B (fi) * 1993-07-05 2001-04-12 Nokia Networks Oy Tukiasema
US5839071A (en) * 1993-09-21 1998-11-17 Telstra Corporation Limited Base station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444696A (en) * 1993-10-29 1995-08-22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Inc. Frame structure using consecutive slot assign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s
NZ264830A (en) * 1993-11-15 1996-11-26 Alcatel Australia Extending the range of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5541979A (en) * 1994-03-08 1996-07-30 Allen Telecom Group, Inc. Cell extender with timing alignment for use in time division multiple-access and similar cellular telephone systems
NZ272084A (en) * 1994-06-08 1997-02-24 Alcatel Australia Tdma mobile radio: extended range with adjacent located transceivers
US5642355A (en) * 1995-09-29 1997-06-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of supporting extended range in a TDMA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824B1 (ko) * 2000-12-12 2009-06-25 엔엑스피 비 브이 원격 통신 동작 방법과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고정국
KR20040036806A (ko) * 2002-10-24 2004-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복수의 통신모듈을 이용한 가정용 이동전화시스템 및 그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23712D1 (de) 2003-08-28
AR010501A1 (es) 2000-06-28
CO4750745A1 (es) 1999-03-31
ID19280A (id) 1998-06-28
JP2001501795A (ja) 2001-02-06
BR9712192A (pt) 1999-08-31
AU724773B2 (en) 2000-09-28
ZA978542B (en) 1998-03-26
WO1998015147A2 (en) 1998-04-09
AU4807797A (en) 1998-04-24
MY122047A (en) 2006-03-31
CA2267208C (en) 2006-12-05
DE69723712T2 (de) 2004-04-15
WO1998015147A3 (en) 1998-08-27
TW357523B (en) 1999-05-01
EP0929983B1 (en) 2003-07-23
EP0929983A2 (en) 1999-07-21
US5812544A (en) 1998-09-22
CN1239633A (zh) 1999-12-22
KR100551112B1 (ko) 2006-02-09
CN1104169C (zh) 2003-03-26
CA2267208A1 (en) 1998-04-09
JP3920354B2 (ja)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2880B2 (ja) 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周波数間のハンドオフ実行方法
EP0674454B1 (en) Multi-mode radio telephone
KR100304924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셀룰러시스템의주파수간핸드오프제어방법
KR19980701818A (ko)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JPH07284141A (ja) ハンドオーバ方法
KR100551112B1 (ko) 이중 모드 휴대 전화 유닛
JPH10503891A (ja) セルラー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の質を改善する方法及びベースステーション
JP2000092560A (ja)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phs公衆基地局装置ならびに移動通信方法
ES2168776T3 (es) Procedimiento para la sincronizacion de tiempo para una estacion movil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por radio.
US6522896B2 (en) Antenna diversity base station for transmission of unidirectional channels and corresponding method of transmission of a unidirectional channel by a base station
AU722795B2 (en) Method of improving connection quality and system capacity, and a cellular radio system
EP0976277A2 (en) Method of facilitating transmission level measurement, and base station
US5974321A (en) Method for selecting a signal, and a cellular radio system
GB2336071A (en) Null periods in a communication channel allow scanning for alternative handover channel
US6973060B1 (en) Rotating synchronization channel (SCH) transmission
JP3048930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323750B1 (ko) 전화 시스템에서 주파수간 핸드오프 제공 방법
US20050243764A1 (en) Rotating synchronization channel (SCH) transmission
JPH0677866A (ja) 受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