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231A - 로크를 사용한 스위치의 수동 작동 인터로크 장치 - Google Patents

로크를 사용한 스위치의 수동 작동 인터로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231A
KR20000048231A KR1019990058877A KR19990058877A KR20000048231A KR 20000048231 A KR20000048231 A KR 20000048231A KR 1019990058877 A KR1019990058877 A KR 1019990058877A KR 19990058877 A KR19990058877 A KR 19990058877A KR 20000048231 A KR20000048231 A KR 20000048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witch
bolt
key
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퀴즈프랜코이스
Original Assignee
제이. 고띠어, 소피 코이그넷
알스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고띠어, 소피 코이그넷, 알스톰 filed Critical 제이. 고띠어, 소피 코이그넷
Publication of KR2000004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23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3/52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입구를 갖는 스위치(SKG)의 수동 작동을 방지하며 로크를 위한 키이를 사용하여 결정되는 소정의 작동 순서로 스위치가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하는 로크를 사용하여, 제1 절환 위치로부터 제2 절환 위치로 스위치가 진행될 수 있게 하는 인터로크 장치에 있어서, 로크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에만 대응 로크로부터 후퇴되거나 또는 로크 내에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에 의해 각각 작동 가능한 제1 로크(S3) 및 제2 로크(S2)와, 그 회전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되어 제2 스위치가 제2 절환 위치에 있지 않는 한 제1 로크가 작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그리고 제2 스위치가 더 이상 제1 절환 위치에 있지 않으면 즉시 키이에 의해 제2 로크가 작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로크의 볼트 상에 작용하는 일 조의 캠(31, 32)을 포함하며, 모든 로크는 각각의 볼트가 진행 위치에 있을 때 스위치의 핸들 입구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제1 로크의 볼트는 후퇴위치에 있으며 제2 로크의 볼트는 스위치가 제1 절환 위치에 있을 때 진행 위치에 있는 인터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크를 사용한 스위치의 수동 작동 인터로크 장치 {A DEVICE FOR INTERLOCKING THE MANUAL ACTUATION OF A SWITCH WITH THE HELP OF LOCK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가스 터빈 설비와 같은 발전소 내의 발전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 조의 버스바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그리드 변압기와 발전기 사이에서, 발전기 회로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절환 위치를 갖는 절환 장치 및 발전기 회로 차단기를 포함한다. 절환 장치는 버스바 스위치이며 그리고/또는 접지 스위치이다. 이러한 발전기 회로는 이러한 종류의 스위치 장치를 통해 시동기 장치에 접속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스위치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어 센터의 제어를 받으며 자동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이들은 전기 사고의 경우에, 특히 자동 제어 센터의 사고의 경우에 핸들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회로 요소의 완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수동 작동이 정확한 소정의 절차에 따라 진행될 필요가 있다.
도6은 각각 두 개의 절환 위치를 갖는 두 개의 접지 스위치(MALT1, MALT2)와 함께, 두 개의 절환 위치를 갖는 버스바 스위치와 직렬인 발전기 회로 차단기(KFG)를 포함하며 발전기(1)와 그리드 변압기(2) 사이에 접속된 발전기 회로의 예를 개략적인 선도로 도시한다.
도6에서, 접지 스위치(MALT1, MALT2)가 개방된 동안 발전기 회로 차단기(FKG) 및 버스바 스위치(SKG)는 폐쇄된다. 이러한 여러 요소에 적용 가능한 인터로크 방법은 자동 작동 모드와 수동 작동 모드에서 모두 동일하며, 후술되어 있다.
발전기 회로 차단기(FKG)가 폐쇄된 동안 버스바 스위치(SKG)는 개방되지 않아야 한다. 버스바 스위치(SKG)가 폐쇄된 동안, 접지 스위치(MALT1 및 MALT2) 중 어느 것도 폐쇄되어서는 안 된다. 접지 스위치(MALT1 및 MALT2) 중 어느 하나가 폐쇄된 동안 버스바 스위치(SKG)가 폐쇄되어서는 안 된다. 도6에서 도시된 형상으로부터 시작된 접지 스위치(MALT1 및 MALT2) 및 버스바 스위치(SKG)가 작동될 때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전기 회로 차단기(FKG)가 개방되어야 한다. 그 후, 버스바 스위치가 개방되어야 하며, 그 후에야 각 접지 스위치가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상의 이유로, 상기 순서와 맞지 않는 방식으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가 수동으로 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 입구(handle inlet)를 갖는 스위치의 수동 작동을 인터로크하는 로크를 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제1 절환 위치로부터 제2 절환 위치로 스위치가 진행되는 임의의 작동 순서로 수동으로 스위치가 작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키이를 갖는 로크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로크 장치는 로크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에만 대응 로크로부터 후퇴되거나 또는 상기 로크 내에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에 의해 각각 작동 가능한 제1 로크 및 제2 로크와, 그 회전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되어 제2 스위치가 제2 절환 위치에 있지 않는 한 제1 로크가 작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그리고 제2 스위치가 더 이상 제1 절환 위치에 있지 않으면 즉시 키이에 의해 제2 로크가 작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로크의 볼트 상에 작용하는 일 조의 캠을 포함하며, 모든 로크는 각각의 볼트가 진행 위치에 있을 때 스위치의 핸들 입구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제1 로크의 볼트는 후퇴위치에 있으며 제2 로크의 볼트는 스위치가 제1 절환 위치에 있을 때 진행 위치에 있다.
이러한 인터로크 장치는 스위치의 수동 작동이 두 레벨로 차단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적합한 절환 장치를 작동할 수 있기 위해, 문제의 스위치 전에 작동되어야 하는 절환 장치와 관련된 인터로크 장치로부터 올 수 있는 제1 키이를 사용함으로써 핸들 입구를 결합하도록 제2 로크를 우선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 스위치가 제2 절환 위치로 진행되도록 핸들의 도움으로 스위치가 작동된 후, 제1 로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핸들이 제거되어야 한다. 그 작업 후, 스위치의 수동 제어가 방지되며, 상기 제1 로크로부터 온 키이는 스위치가 작동된 후에만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다른 스위치 장치와 관련된 다른 인터로크 장치를 언로킹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터로크 장치에서, 일 조의 스위치 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때 국지적인 프로세스를 따르도록 작업자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일 조의 본 발명의 인터로크 장치를 갖는 도6에서 도시된 스위치 장치를 인터로크하는 것은 일곱 개의 다른 키이만을 사용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기계적인 로크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장치에 의해 신뢰성 있고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스위치 장치의 인터로크가 가능하다. 이러한 장치는 발전기 차단기와 세 개의 절환 위치를 갖는, 분사 스위치를 구성할 수도 있는 스위치 사이에 인터로크가 가능하도록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발전기 회로 차단기, 2개의 절환 위치를 갖는 버스바(busbar) 스위치, 및 2개의 절환 위치를 각각 갖는 2개의 접지 스위치를 포함하며, 발전기 회로 차단기 및 버스바 스위치가 폐쇄되어 있고 2개의 접지 스위치가 개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위치에는 본 발명의 인터로크 장치(interlocking device)가 설비된 발전기 회로의 제1 실시예의 선도.
도2는 발전기 회로 차단기 및 버스바 스위치가 개방되어 있고 2개의 접지 스위치가 폐쇄되어 있을 때, 본 발명의 인터로크 장치를 갖는 도1의 발전기 회로의 도면.
도3은 발전기 회로 차단기, 및 3개의 절환 위치를 갖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3개의 절환 위치 중 하나의 위치가 접지 위치이고, 발전기 회로 차단기 및 스위치가 폐쇄되어 있으며 스위치에는 본 발명의 인터로크 장치가 설비된 발전기 회로의 제2 실시예의 선도.
도4는 발전기 회로 차단기가 개방되어 있고 스위치가 접지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의 인터로크 장치를 갖는 도3의 발전기 회로의 도면.
도5는 주입부와, 3개의 절환 위치를 갖고 본 발명의 인터로크 장치가 설비된 접지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도3의 발전기 회로의 도면.
도6은 발전기 회로의 일례의 단순화된 회로 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전기
2 : 그리드 변압기
3A, 3B, 3C : 인터로크 장치
CS1, CS31, CS32 : 키이
31, 32 : 캠
ESKG, EMALT1, EMALT2 : 핸들 입구
SKG, MALT1, MALT2, SKG', IKG : 스위치
S3, S5, S7, S3', S6' : 제1 로크
S2, S4, S6, S2', S5' : 제2 로크
도6은 앞서 설명되었다.
도1에 도시된 발전기 회로는 도6의 발전기 회로와 동일하며, 발전기 회로는 발전기 회로 차단기(FKG), 2개의 절환 위치를 갖는 버스바 스위치(SKG), 및 2개의 절환 위치를 각각 갖는 2개의 접지 스위치(MALT1, MALT2)를 발전기(1)와 그리드 변압기(grid transformer, 2) 사이에서 구비한다. 도1에서, 발전기 회로 차단기(FKG) 및 버스바 스위치(SKG) 모두는 접지 스위치(MALT1, MALT2)가 모두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폐쇄된다.
이러한 회로에서, 회로 차단기는 발전기를 그리드 변압기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는 역할을 하고, 버스바 스위치(SKG)는 발전기를 그리드 변압기로부터 격리시키는 역할을 하며, 접지 스위치(MALT1, MALT2)는 하나가 그리드 변압기와 버스바 스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하나가 발전기와 발전기 회로 차단기 사이에서 연결되며, 각각의 접지 스위치는 이러한 장치에 대하여 유지 보수가 완벽한 안정성을 가지고 수행될 수 있도록 그리드 변압기 또는 발전기로부터 접지하기 위하여 용량성 전하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버스바 스위치와 각각의 접지 스위치(MALT1, MALT2)에는 본 발명의 각각의 인터로크 장치(interlocking device; 3A, 3B 또는 3C)가 설비되며, 각각의 인터로크 장치는 각각의 핸들 입구(ESKG, EMALT1, EMALT2)를 갖는다.
예로서, 버스바 스위치(SKG)와 연관된 인터로크 장치(3A)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각각의 인터로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key; CS1, CS31, CS32)를 사용하여 각각 작동되는 2개의 로크(lock; S2, S3)를 포함하며, 키이는 로크 자체가 로킹되었을 때에만, 즉 상기 로크의 볼트가 완전히 전진된 때에만 대응 로크로부터 후퇴되거나 대응 로크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로크는 로크의 볼트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스위치 핸들 입구(ESKG)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또한, 인터로크 장치는 스위치의 작동과 관련하여, 즉 제1 절환 위치와 제2 절환 위치 사이에서의 스위치의 가동 접점의 변위와 관련하여 회전되는 한 세트의 캠을 구비한다. 스위치가 제1 절환 위치에 있을 때, 제1 로크(S3)의 볼트는 후퇴 위치에 있음으로써 키이(CS31, CS32)가 상기 로크로부터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 로크(S2)의 볼트가 전진 위치에 있음으로써 키이(CS1)가 상기 로크와 결합되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 로크의 볼트는 스위치의 핸들 입구(ESKG)를 차단한다. 캠 세트는 스위치가 제2 절환 위치에 있는 한 제1 로크가 키이에 의해 작동되지 않도록 그리고 스위치가 더 이상 제1 절환 위치에 있지 않게 되는 즉시 제2 로크가 키이에 의해 작동되지 않도록 2개의 로크의 볼트에 대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2개의 로크는 특히 캠 세트에 의해 작동이 방지되는데, 캠 세트는 스위치(SKG)와 연관된 인터로크 장치(3A)를 참조하면, 제1 로크(S3)의 볼트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결합될 수 있는 노치(E31)를 갖는 제1 캠(31)을 포함한다. 결국, 노치(E31)가 로크(S3)의 볼트와 대면하지 않는 한 로크(S3)는 작동될 수 없다. 또한, 캠 세트는 제2 로크(S2)의 볼트에 대해 수직으로 병진 이동 가능한 판(40)과 결합할 수 있는 노치(E3)(양호하게는 반원형 노치)를 갖는 제2 캠(32)을 구비한다. 이들 캠(31, 32)의 회전은 스위치 작동과 연관되며, 캠 모두는 스위치(SKG)의 가동 접점과 2개의 캠(31, 32)의 회전축들을 상호 연결하는 선(33)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예컨대, 기어 세트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링크되어 있다.
판(40)은 병진 변위 방향으로 향한 복원력을 받으며, 복원력은 예컨대 압축 스프링(50)에 의해 가해진다. 이러한 복원력은 판(40)을 캠(32)에 대하여 가압한다. 제2 로크(S2)의 볼트는 판(40)에 제공된 구멍(41) 내에 그 자체로서 결합할 수 있고 후단부가 홈(60)을 갖는 관통 볼트이다. 캠(32)의 노치(E32)가 판(40)에 대면할 때, 판의 구멍(41)은 제2 로크(S2)의 관통 볼트의 후단부와 대면한다. 따라서, 제2 로크는 로크(S2)의 관통 볼트의 후단부가 판(40)의 구멍 내에서 결합함과 동시에 핸들 입구(ESKG)를 해제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캠(32)의 노치(E32)가 판(40)과 대면하지 않고 제2 로크(S2)의 관통 볼트의 후단부가 판(40)의 구멍(41) 내에서 결합할 때, 캠(32)은 관통 볼트의 홈(60) 내에서 결합하는 판(40)을 후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제2 로크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인터로크 장치(3A)는 2개의 캠(31, 32)이 제2 로크(S2)의 관통 볼트에 대해 평행하게 중첩된다면 그리고 제1 로크(S3)의 볼트가 제2 로크(S2)의 볼트에 직각으로 연장된다면, 비교적 집약적이고 소형인 설계로 된다.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2 로크(S2)의 관통 볼트는 스위치(SKG)의 전기 제어용 전원선(LSKG)을 개폐하도록 설계된 접점(70)도 제어한다. 이러한 접점(70)은 스위치가 수동으로 작동되는 동안에 통상적으로 개방되어 있어, 전파가 스위치(SKG)용 전기 제어부 내로 반사되어 스위치의 수동 조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접지 스위치(MALT1, MALT2)와 연관된 인터로크 장치(3B, 3C)는 전술된 스위치(SKG)와 연관된 인터로크 장치(3A)와 유사하며,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1의 발전기 회로 선도에서, 스위치(SKG)와 연관된 제1 인터로크 장치(3A)는 2개의 키이 구멍 및 2개의 키이(CS31, CS32)를 갖는 제1 로크(S3)와, 단일 키이 구멍을 갖는 제2 로크(S2)를 구비하고, 스위치(MALT1)와 연관된 제2 인터로크 장치(3B)는 하나의 키이 구멍 및 키이(CS5)를 갖는 제1 로크(S5)와, 2개의 키이 구멍을 갖는 제2 로크(S4)를 구비하며, 스위치(MALT2)와 연관된 제3 인터로크 장치(C3)는 하나의 키이 구멍 및 키이(CS7)를 갖는 제1 로크(S7)와, 2개의 키이 구멍을 갖는 제2 로크(S6)를 구비한다.
게다가, 발전기 회로 차단기(FKG)에서, 키이(CS1)와 함께 하나의 키이 구멍을 갖는 다른 하나의 로크(S1)가 제공되며, 키이(CS1)의 작동은 발전기 회로 차단기가 개방되지 않는 한 차단된다. 특히, 로크(S1)는 발전기 회로 차단기가 개방된 때에만 로크(S1)의 볼트가 결합할 수 있는 세트백(setback)을 갖는 로드(rod, 80)와 대면하여 장착된다. 로드(80)는 발전기 회로 차단기 자체가 작동될 때 로크(s1)의 볼트에 직각으로 병진 이동할 수 있다.
수동 제어 모드로의 변경 전의 발전기 회로의 초기 상태에서, 발전기 회로-브레이커는 폐쇄되고, 스위치(SKG)는 폐쇄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절환 위치를 점유하고, 양 접지 스위치(MALT1, MALT2)는 개방 상태에 대응하는 각각의 제1 절환 위치를 점유한다.
이들 장치의 수동 작동은 발전기 회로로 하여금 발전기 회로-브레이커(FKG) 및 버스바 스위치(SKG)가 모두 개방되게 되고 접지 스위치(MALT1, MALT2)가 모두 폐쇄되게 되는 도2에 도시된 상태를 점유하게 한다.
발전기 회로를 도1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2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다음의 순서를 수행해야 한다.
발전기 회로-브레이커(FKG)를 예를 들어 푸시 버튼에 의해 개방하여 로드(80)의 세트백을 로크(S1)의 볼트에 대면시킨다. 키이(CS1)를 회전시켜서 로크(S1)를 로크하여 로크(S1)의 볼트를 로드(80)의 세트백에 결합시키고, 회로-브레이커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원 라인(LFKG)을 로크(S1)의 볼트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속된 접점(70)에 의해 개방시킨다. 키이(CS1)를 로크(S1)로부터 후퇴시켜서 회로-브레이커(FKG)의 수동 작동을 차단한다.
그 다음에, 키이(CS1)를 인터로크 장치(3A)의 로크(S1)의 키이 구멍에 결합하고, 키이(CS1)를 작동시킴으로써 로크(S2)를 로크하여 핸들 입구(ESKG)를 해제한다. 동시에, 로크(S2)의 관통 볼트의 후방단을 장치(3A)의 판(40)에 결합하고, 로크(S2)의 볼트를 변위시켜 스위치(SKG)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전원 라인(LSGK)을 개방한다. 스위치(SKG)의 수동 작동 단계에서, 판(40)은 노치(E31)가 로크(S3)의 볼트로부터 반대인 위치에 있는 동안에 캠(32)의 노치(E32)에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스위치(SKG)를 핸들에 의해 개방하여 장치(3A)의 캠(31, 32)을 180°회전시킨다. 회전이 개시되는 시점부터 캠(32)은 로크(S2)의 볼트의 홈(60)에 결합되는 판(40)으로부터 멀리 밀려나서 로크(S2) 내의 키이(CS1)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캠(31)의 노치(E31)는 일단 스위치(SKG)가 완전히 개방되면 로크(S3)의 볼트에 대면하게 된다. 핸들은 핸들 입구(ESKG)로부터 후퇴되고 두 개의 키이(CS31, CS32)는 로크(S3)를 로크하도록 회전되어서, 핸들 입구(ESKG)를 로크(S3)의 볼트에 의해 폐쇄되게 하고 스위치(SKG)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각각의 키이(CS31, CS32)는 로크(S3)로부터 후퇴될 수 있게 된다.
접지 스위치(MALT1)를 폐쇄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장치(3B)의 로크(S4)의 두 개의 키이 구멍 중 하나에 있는 키이(CS31)를 결합하고, 변압기에 합체된 인터로크 시스템으로부터 나오는 다른 하나의 키이(CT)를 로크(S4)의 다른 키이 구멍에 결합한다. 접지 스위치(MALT1)에 취해지는 키이(CT)는 변압기가 그리드로부터 실제로 결합 해제된 것을 확인하는 데 적합해야 한다.
키이(CT, CS31)는 로크(S4)를 언로크하도록 작동하여 스위치(MALT1)의 핸들 입구(EMALT1)를 해제한다. 동시에, 로크(S4)의 관통 볼트의 후방단은 장치(3B)의 판(40)에 결합되고 이의 변위에 의해서 장치(3B)의 접점(70)을 제어하게 되어서 스위치(MALT1)의 자동 제어를 위해 전원 라인(LMALT1)을 개방한다. 스위치(MALT1)는 핸들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폐쇄되고, 핸들은 핸들 입구(EMALT1)로부터 후퇴하게 된다. 스위치(MALT1)가 자동으로 작동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부터 장치(3B)의 캠(32)은 장치(3B)의 판(40)을 로크(S4)의 관통 볼트의 홈(60) 안으로 밀어낸다. 스위치(MALT1)가 완전히 폐쇄되면, 장치(3B)의 캠(31)의 노치(E31)가 로크(S5)의 볼트에 대면한다. 로크(S5)는 키이(CS5)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킹되어서 핸들 입구(EMALT1)를 폐쇄하게 된다. 그 다음에, 키이(CS5)는 접지 스위치(MALT1)가 폐쇄되었는지 그리고 변압기 상에서의 작동이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변압기의 키이 인터로크 시스템에 놓이게 된다.
접지 스위치(MALT2)를 폐쇄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장치(3C)의 로크(S6)의 두 개의 키이 구멍 중 하나에 있는 키이(CS32)를 결합하고 발전기에 합체된 키이 인터로크 시스템으로부터 나오는 다른 키이(CG)를 로크(S6)의 다른 키이 구멍에 삽입한다. 접지 스위치(MALT2)에 작용된 키이(CS)는 발전기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는 데 적합한 종류로 되어야 한다.
키이(CG, CS32)는 스위치(MALT2)의 핸들 입구(EMALT2)를 해제하는 로크(S6)를 언로크하기 위해 작동된다. 동시에, 로크(S2)의 관통 볼트의 후방단은 장치(3C)의 판(40)에 결합되고, 접점(70)에 의한 로크 변위는 스위치(MALT2)를 자동 제어하기 위해 전원 라인(LMALT)을 개방하는 작용을 한다. 스위치(MALT2)는 핸들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폐쇄되고, 핸들은 핸들 입구(EMALT2)로부터 후퇴된다. 스위치(EMALT2)가 수동으로 작동되는 시점으로부터, 장치(3C)의 캠(32)은 판(40)을 로크(S6)의 관통 볼트의 홈(60) 안으로 밀어내서 로크(S6) 내의 키이(CG, CS32)를 차단하게 된다. 스위치(MALT2)가 완전히 폐쇄되면, 장치(3C)의 캠(31)의 노치(E31)는 로크(S7)의 볼트에 대면한다. 로크(S7)는 키이(CS7)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킹되어 핸들 입구(EMALT2)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면, 접지 스위치(MALT1)가 폐쇄되었는지 그리고 발전기 상에서 작동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키이(CS7)가 발전기의 키이 인터로크 시스템으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3개의 인터로크 장치를 사용하는 인터로크 시스템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발전기 회로용으로 단지 7개의 상이한 키이만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발전기 회로는 키이를 사용하여 앞에서 설명한 것과는 반대의 순서로 도1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도3에서, 본 발명의 인터로크 장치(3D)는 발전기(1)와 그리드 변압기(2) 사이의 발전기 회로-브레이커(FGK)와 직렬로 발전기 회로에 장착된 3위치 스위치(SKG')의 수동 제어를 로크한다. 스위치(SKG1)는 절환 위치(100)에 있을 때에는 버스바 스위치로서 작용하고 절환 위치(101)에 있을 때에는 접지 스위치로서 작용한다.
인터로크 장치(3D)는 이의 두 개의 로크(S2', S3') 각각이 단일 키이 구멍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스위치(SKG)용으로 설명한 장치(3A)와 유사하고, 캠(31, 32)의 회전으로 인해서 세트백을 갖는 로드(90)가 변위되고 돌기(S3)를 갖는 다른 캠(33)이 회전된다. 로드(90)의 세트백은 가동 인접부를 형성하는 레버 아암(91)과 협동하며, 상기 레버는 키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로크(S4')의 볼트에 의해 작동되고 관통 볼트를 갖는데, 상기 관통 볼트의 후방단은 로크(S4')의 볼트에 직각으로 병진 이동하는 판(40')과 협동하는 홈(61)을 포함하고, 상기 판(40')은 로크(S4')의 볼트의 후방단이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구멍(41')을 갖고 있다. 판(40')은 장치(3A)의 판(40)과 유사한 방식으로 압축 스프링(50')과 캠(33) 양자에 의해 로크(S4')의 볼트에 직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된다.
도3에 있어서, 발전기 회로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 발전기 회로 차단기(FKG)는 폐쇄되고 스위치(SKG')는 버스바의 세트 상으로 폐쇄된다. 이러한 장치들이 수동으로 조작될 때, 이 장치들은 발전기 회로 차단기(FKG)가 개방되고 스위치(SKG')가 접지에 대응되는 제3 스위칭 위치인 도4에 도시된 상태를 취해야 한다.
발전기 회로가 도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4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전기 회로 차단기(FKG)는 푸시 버튼을 누름으로써 개방되고, 이럼으로써 로크(S1)의 볼트를 향하는 위치를 취하기 위해 로드(80)의 세트백(setback)이 발생된다. 로크(S1)는 키이(CS1)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킹되어, 로크(S1)의 볼트가 로드(80)의 세트백과 결합됨과 동시에 로크(S1)의 볼트와 함께 이동하는 접촉부(70)의 세트에 의해 회로 차단기의 자동 제어를 위한 동력 공급 라인(LFKG)을 개방시킨다.
키이(CS1)는 로크(S1)로부터 제거되어 회로 차단기(FKG)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키이(CS1)는 장치(3D)의 로크(S2')의 키이 구멍 내로 결합되고, 로크(S2')은 키이(CS1)를 작동시킴으로써 로킹되어 핸들 입구(ESKG')를 해제시킨다. 동시에, 로크(S2')의 관통 볼트의 후단부는 장치(3D)의 판(40)에 결합되고 로크(S2')의 볼트의 이동은 스위치(SKG')의 자동 제어를 위한 동력 공급 라인(LSKG')이 접촉부(70)에 의해 개방되게 한다. 스위치(SKG')는 개방 상태에 대응되는 제2 스위칭 위치(100)를 취하도록 핸들을 이용하여 작동된다. 스위치가 작동될 때, 이는 캠(31, 32)이 90도만큼의 제1 회전을 수행하게 한다. 이러한 회전의 초기에, 캠(32)은 로크(S2')의 볼트의 홈(60)에 결합된 판(40)을 후방으로 압착하여 키이(CS1)가 로크(S2') 내에 차단되게 한다. 스위치의 이러한 제1 이동 중에, 장치(3D)의 캠(31)의 노치(E31)는 도4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S3')의 볼트를 향하지 않는다. 스위치(SKG')의 제1 회전 중에, 캠(31, 32)의 90도 회전은 로드(90) 내의 세트백이 레버(91)와 접촉하여 스위치를 개방 위치로 차단하도록 로드(90)를 병진 운동시킨다. 동시에, 캠(33)은 판(40') 내의 구멍(41')이 로크(S4')의 관통 볼트를 향하도록 돌출부(S33)가 판(40')을 압착하기 위해 90도만큼 회전한다.
스위치(SKG')가 제2 스위칭 위치로부터 접지 위치에 대응되는 제3 스위칭 위치(101)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변환기와 결합된 키이 인터로크 시스템으로부터 나온 키이(CT)를 이용 가능하여야 한다. 3개의 스위칭 위치를 갖는 스위치에 이어지는 키이(CT)는 변환기가 사실상 그리드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보장하기 적절한 종류이어야 한다. 키이(CT)는 로크(S4')을 해제시키도록 로크(S4')의 키이 구멍에 결합된다. 키이(CT)가 로크(S4')을 작동시키는 데에 이용될 때, 로크(S4')의 관통 볼트의 후단부는 판(40')의 구멍(41')에 결합되어 로드(90) 내의 세트백의 전방으로 후퇴되도록 레버 아암(91) 상에 작용하기 위해 연장된다. 레버 아암(91)이 후퇴되어 키이 대신에 수동으로 전자 제어 하에 스위치가 작동될 때 제2 스위칭 위치로부터 제3 스위칭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볼트의 후단부와 레버 아암(91) 사이에 전자석(EM)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후, 제3 스위칭 위치로 이동하도록 핸들을 이용하여 스위치가 작동되고, 상기 핸들은 핸들 입구(ESKG')로부터 후퇴된다. 이러한 이동의 시초에, 캠(33)의 돌출부(S33)는 로크(S4')의 볼트의 홈(60')과 결합되어 차단되게 하는 판(40')을 해제시키고, 키이(CT)는 더 이상 로크(S4')으로부터 후퇴되지 않는다.
스위치(SKG')가 접지 위치에 있을 때, 캠(31)의 노치(E31)는 로크(S3')의 볼트를 향하게 된다. 키이(CS3')는 로크(S3')을 로킹하여 핸들 입구(ESKG')를 폐쇄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후, 이 키이(CS3')는 스위치(SKG')가 접지 위치에 있다는 것과 변환기에 작용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변환기의 키이 상호 잠금 시스템으로 복귀된다.
도5는 발전기(1)와 그리드 변환기(2) 사이에 접지 위치를 포함하는 3개의 스위칭 위치를 갖는 스위치(SKG')와, 접지 개방 위치(200), 접지 폐쇄 위치(201) 및 시동기 회로용 폐쇄 위치(202)를 포함하는 3개의 스위칭 위치를 갖는 접지 스위치(IKG)와 직렬로 발전기 회로 차단기(FKG)를 구비하는 발전기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SKG')와 결합된 상호 잠금 장치(3D)는 설계 및 작동의 관점에서 도3 및 도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스위치(IKG)와 결합된 상호 잠금 장치(3D)는 2개의 키이 구멍과 그 후단부가 구멍(41)을 갖는 판(40)과 상호 작용하는 홈(60)을 구비하는 관통 볼트를 갖는 제1 로크(S5')을 구비한다. 이 관통 볼트의 이동은 스위치(IKG)의 자동 제어용 동력 공급 라인(LIKG)을 개폐하는 접촉부(70) 상에서 또한 작용한다. 판(40)은 판(40)이 결합될 수 있는 노치(E32)를 갖는 캠(32)과 스프링(50)에 의해 로크(S5')의 관통 볼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압착된다. 장치(3E)는 키이 구멍과 제2 로크(S6')의 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노치(E32)를 갖는 제2 캠(32)을 구비한 제2 로크(S6')을 또한 포함한다. 2개의 로크(S5', S6')의 볼트는 진행 위치에서 스위치(IKG)의 핸들 입구(EIKG)를 개폐할 수 있도록 또한 배치된다.
발전기 회로 차단기와 결합된 로크(S1')은 2개의 키이(CS', CS")를 갖는 2개의 키이 구멍을 구비한다.
수동 제어 모드에서, 스위치(SKG')는 키이(CS1) 대신에 키이(CS1')를 이용함으로써 도3 및 도4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개방되어 접지된다.
발전기 회로 차단기(FKG)가 개방되어 접지 스위치(IKG)가 제1 스위칭 위치(200)를 차지하는 도5에 도시된 형상으로부터 시작하여, 스위치는 다음과 같이 제2 스위칭 위치(201)로 작동된다. 회로 차단기(FKG)와 결합된 로크(S1')은 예컨대 키이(CS1")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킹되어, 이 로크의 볼트를 개방 위치로의 회로 차단기의 수동 작동을 방지하는 로드(80)의 세트백에 결합시킨다.
이어서, 키이(CS1")는 로크(S1')으로부터 후퇴되고 로크(S5')의 2개의 키이 구멍 중의 하나에 결합된다. 발전기의 키이 상호 잠금 시스템으로부터 나온 다른 키이는 로크(S5')의 다른 키이 구멍에 결합되고, 이들 2개의 키이는 로크(S5')을 해제시키기 위해 회전된다. 로크(S5')의 볼트의 이동은 접지 스위치(IKG)에 동력을 주기 위한 라인(LIKG)이 접촉부(70)에 의해 개방되게 한다. 접지 스위치(IKG)의 핸들 입구(EIKG)는 해제되고, 이 접지 스위치는 스위칭 위치(201)를 차지하도록 작동된다. 스위치(IKG)가 수동으로 작동될 때, 장치(3E)의 캠(31, 32)은 캠(32)이 로크(S5')의 볼트의 홈(60) 내의 판(40)을 후방으로 압착하는 동안에 노치(E31)가 로크(S6')의 볼트를 향하도록 90도만큼 회전된다. 핸들은 핸들 입구(EIKG)로부터 후퇴되고, 로크(S6')은 키이(CS6')에 의해 로킹되고, 이어서 상기 키이는 작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발전기의 키이 상호 잠금 시스템에 후퇴 및 복귀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안전상의 이유로, 올바르지 않은 작동 순서로 스위치 장치가 수동으로 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8)

  1. 핸들 입구를 갖는 스위치(SKG, MALT1, MALT2, SKG', IKG)의 수동 작동을 방지하며 로크를 위한 키이를 사용하여 결정되는 소정의 작동 순서로 스위치가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하는 로크를 사용하여, 제1 절환 위치로부터 제2 절환 위치로 스위치가 진행될 수 있게 하는 인터로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에만 대응 로크로부터 후퇴되거나 또는 상기 로크 내에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에 의해 각각 작동 가능한 제1 로크(S3, S5, S7, S3', S6') 및 제2 로크(S2, S4, S6, S2', S5')와, 그 회전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되어 제2 스위치가 제2 절환 위치에 있지 않는 한 제1 로크가 작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그리고 제2 스위치가 더 이상 제1 절환 위치에 있지 않으면 즉시 키이에 의해 제2 로크가 작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로크의 볼트 상에 작용하는 일 조의 캠(31, 32)을 포함하며,
    모든 로크는 각각의 볼트가 진행 위치에 있을 때 스위치의 핸들 입구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제1 로크의 볼트는 후퇴위치에 있으며 제2 로크의 볼트는 스위치가 제1 절환 위치에 있을 때 진행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로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로크(S2, S4, S6, S2', S5)는 관통 볼트를 가지며, 일 조의 캠은 제1 로크의 볼트가 진행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는 노치(E31)를 갖는 제1 캠(31)과, 제2 로크의 관통 볼트에 수직 방향으로 병진운동으로 이동되는 판이 결합되는 노치(E32)를 갖는 제2 캠(32)과, 상기 제2 캠에 대해 판을 압박하는 방향을 따라 복귀력을 가하는 탄성 요소(50)를 포함하며, 판이 제2 캠의 노치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키이에 의해 로크가 작동되는 것이 허용되거나 또는 방지되도록 제2 로크의 관통 볼트의 후방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로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이동하는 제2 로크(S2, S4, S6, S2', S5')의 관통 볼트가 스위치의 전기 제어 수단의 전력 공급 라인(LSKG, LMALT1, LMALT2, LSKG', LIKG)를 개폐시키도록 된 접점(7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로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로크(S3, S5')는 두 개의 다른 키이를 사용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로크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로크(S4, S6, S5')는 두 개의 다른 키이를 사용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로크 장치.
  6. 각각 두 개의 절환 위치를 갖는 두 개의 접지 스위치(MALT1, MALT2) 및 두 개의 절환 위치를 갖는 버스바 스위치(SKG)를 포함하며, 제4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바 스위치의 수동 작동이 방지되며 제5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각 접지 스위치의 수동 작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회로.
  7. 하나의 위치가 접지 위치인 세 개의 절환 위치를 갖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세 개의 절환 위치를 갖는 스위치의 수동 작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하나의 위치가 접지 위치인 세 개의 절환 위치(IKG)를 갖는 접지 스위치를 또한 포함하며, 제5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접지 스위치의 수동 작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회로.
KR1019990058877A 1998-12-18 1999-12-18 로크를 사용한 스위치의 수동 작동 인터로크 장치 KR200000482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15978 1998-12-18
FR9815978A FR2787628B1 (fr) 1998-12-18 1998-12-18 Dispositif pour verrouiller a l'aide de serrures la manoeuvre manuelle d'un sectionn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231A true KR20000048231A (ko) 2000-07-25

Family

ID=953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877A KR20000048231A (ko) 1998-12-18 1999-12-18 로크를 사용한 스위치의 수동 작동 인터로크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29615B1 (ko)
EP (1) EP1014411B1 (ko)
JP (1) JP2000215765A (ko)
KR (1) KR20000048231A (ko)
AT (1) ATE319179T1 (ko)
CA (1) CA2292911A1 (ko)
DE (1) DE69930094T2 (ko)
FR (1) FR2787628B1 (ko)
NO (1) NO996251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3321B2 (en) * 2003-04-10 2006-05-30 Eaton Corporation Apparatus operating an isolation switch in coordination with a circuit breaker
US7429708B1 (en) * 2007-06-22 2008-09-30 Eja, Limited Safety switch
CN201493816U (zh) * 2009-07-13 2010-06-02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电动工具
US8552318B2 (en) * 2010-11-12 2013-10-08 Schneider Electric USA, Inc. Rotary interlock mechanism for electrical switches
RU2669918C1 (ru) * 2015-01-28 2018-10-17 Абб Швайц Аг Узел механ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для разъединителя и заземляющего переключателя
EP3250800B1 (en) * 2015-01-30 2020-04-29 Ansaldo Energia IP UK Limited Automated extended turndown of a gas turbine engine combined with incremental tuning to maintain emissions and dynamics
CN106169391B (zh) * 2016-08-31 2018-01-09 中国西电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断路器与三工位隔离开关的机械联锁机构
US10672573B1 (en) * 2019-06-27 2020-06-02 EMA Electromechanis, Inc. Gas insulated grounding switch
US10784063B1 (en) 2019-06-27 2020-09-22 EMA Electromechanics, Inc. Air insulated grounding switch
CN110601348B (zh) * 2019-09-18 2023-03-03 广东金升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供电传输系统机械连锁装置
US11476647B1 (en) 2021-04-22 2022-10-1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aintenance grounding device in motor control center with integrated interlock system
CN113851341B (zh) * 2021-08-20 2023-02-28 平高集团有限公司 一种三工位操动机构及开关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27559C (de) * 1927-07-17 1931-06-19 Berliner Staedtische Elek Zita Sicherung von aus Trenn- und OElschaltern bestehenden Schaltanlagen
US2298234A (en) * 1940-06-28 1942-10-06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Switching apparatus
US3174003A (en) * 1960-11-02 1965-03-16 Holmes Electric Protective Com Lock alarm switch with keyway adapted to receive two keys of different lengths
US3206567A (en) * 1961-06-13 1965-09-14 Smith Corp A O Key controlled switch arrangement
FR1365484A (fr) * 1963-05-22 1964-07-03 Merlin Gerin Dispositif de verrouillage pour une installation comportant deux sectionneurs
DE1276174B (de) * 1965-02-20 1968-08-29 Continental Elektro Ind Ag Einrichtung zur mechanischen Verriegelung von Leistungsschaltern und Trennschaltern bei Systemen mit mehr als zwei Sammelschienen
US3822368A (en) * 1972-04-17 1974-07-02 R Salzman Lock construction
US4280035A (en) * 1979-01-25 1981-07-21 Austin A. Webb Plural key actuated totalizer for gasoline sales pump
US5061199A (en) * 1991-03-14 1991-10-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Wall outlet lock apparatus
US5408213A (en) * 1993-05-12 1995-04-18 Ungarsohn; Benjamin I. Portable breakaway alarm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19179T1 (de) 2006-03-15
EP1014411A1 (fr) 2000-06-28
JP2000215765A (ja) 2000-08-04
NO996251L (no) 2000-06-19
FR2787628A1 (fr) 2000-06-23
DE69930094D1 (de) 2006-04-27
EP1014411B1 (fr) 2006-03-01
DE69930094T2 (de) 2006-09-28
FR2787628B1 (fr) 2001-01-19
CA2292911A1 (fr) 2000-06-18
NO996251D0 (no) 1999-12-16
US6329615B1 (en) 2001-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48231A (ko) 로크를 사용한 스위치의 수동 작동 인터로크 장치
CA2252300C (en) Safety door-locking system for switchgear cabinets
US9875868B2 (en) Locking device for high-voltage switchgear
PL194314B1 (pl) Wtykowe urządzenie łącznikowe
US3629530A (en) An electric safety switch apparatus
CN103441439A (zh) 一种装有隔离开关、真空断路器及接地开关的开关柜
KR20090020570A (ko) 에너지 분배용 전기 개폐기 조립체를 위한 스위칭 디바이스
EP0795187B1 (de) Schaltschloss für ein niederspannungs-schaltgerät
CN109716606A (zh) 用于抽出式断路器的推压互锁系统
EP0729165B1 (en) Interlock mechanism for a key operated door switch
EP1382049A1 (de) Schaltschloss zum verklinken eines federspeichers
US2166061A (en) Interlock system
EP0779404A3 (de) SIcherheitsschloss
US6989498B1 (en) Method and device for locking
CN206471243U (zh) 高压进线柜、母联柜钥匙机械联锁装置
KR100309454B1 (ko) 전력 기기용 링 메인 유니트의 접점 조작기구
CN86102745A (zh) 开关装置
CN109509655A (zh) 开关柜组件及其机械电气互锁装置
CN209641541U (zh) 一种开关柜组件及其机械电气互锁装置
JP3385673B2 (ja) 断路器の鎖錠装置
JPH0716271Y2 (ja) 接地開閉器のインターロック機構
RU178774U1 (ru) Устройство блокировки и фиксации привода заземлителя и блокировки выключателя
CN210575718U (zh) 一种带分闸禁合闸功能钥匙锁的高压真空断路器
JPH036086Y2 (ko)
US2673946A (en) Manually set l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