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135A - 담배팩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담배팩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135A
KR20000048135A KR1019990057521A KR19990057521A KR20000048135A KR 20000048135 A KR20000048135 A KR 20000048135A KR 1019990057521 A KR1019990057521 A KR 1019990057521A KR 19990057521 A KR19990057521 A KR 19990057521A KR 20000048135 A KR20000048135 A KR 20000048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cigarette
push
plate
tobac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포케하인즈
로에스러버카드
Original Assignee
포케 하인즈
포케 운트 콤파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케 하인즈, 포케 운트 콤파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filed Critical 포케 하인즈
Publication of KR20000048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1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39Tobacco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9/00Packaging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susceptible to damage by abrasion or pressure, e.g. cigarettes, cigars, macaroni, spaghetti, drinking straws or welding electrodes
    • B65B19/02Packaging cigarettes
    • B65B19/04Arrang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cigarettes
    • B65B19/10Arranging cigarettes in layers each comprising a predetermined nu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Manufacturing Of Cigar And Cigarette Tobacco (AREA)

Abstract

담배팩의 생산에 있어서, 여러개의 층으로 배열된 복수의 담배(11)로 부터 담배그룹(10)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한데, 엄밀하게 말하면 후방 및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푸시로드(14)의 도움으로 담배매거진(12)의 축(13)으로 부터 푸시아웃되는 담배그룹(10)(또는 서브 그룹)에 의하여 담배그룹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단 담배 그룹(10)이 푸시아웃되면, 매거진축(13)에서 담배(11)는 자체의 자중 하에 푸시-아웃 위치로 떨어진다. 시작위치로의 복귀운동시, 푸시로드(14)의 하향운동에 의해 푸시로드(14)가 시작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담배(11)의 하강운동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담배팩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cigarette packs}
본 발명은 담배매거진의 축으로부터 푸시로드에 의하여, 전부 또는 여러개의 층으로 푸시아웃될 수 있는 담배그룹용 담배팩을 생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푸시-아웃 운동시, 각각의 축에서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열된 개개의 담배가 푸시로드의 상측에 저장되고 푸시로드의 시작위치으로의 복귀 후, 자체의 자중 하에서 정지면인 플레이트상의 하부 푸시-아웃 위치로 이동한다.
담배팩의 내용물은 정돈된 담배그룹 즉, 여러개의 층이나 열로 배열된 담배그룹에 의하여 구성된다. 담배그룹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절한 개수의 담배가 푸시로드에 의하여 담배매거진의 개별적, 인접 축으로 부터 푸시 된다. 이 담배는 여러개의 층으로 푸시아웃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담배그룹을 완성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3개의 담배가 축 마다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위치된 상태로 푸시아웃될 수 있다. 일단 푸시로드가 시작위치로 복귀하면, 담배는 밑에 있는 면 즉, 플레이트에 도달할 때까지 축에서 자체의 자중 하에 하향으로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인 응력에 관하여 민감한 담배에 대해 주의 깊은 조작과 함께 담배그룹이 푸시아웃됨에 따라 더 높은 사이클 스피드를 허락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부분적인 단면으로, 패킹기계의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 즉 담배 터릿을 가진 담배 매거진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확대된 스케일로, 상이한 운동 단계를 도시한 담배매거진의 상세도.
도 3 내지 도 6은 담배매거진의 바닥구역에 담배와 푸시로드의 운동의 상이한 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
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음 특징들을 특징으로 한다.
a) 담배를 푸시아웃할 때 그리고 푸시로드의 시작위치으로 복귀할 때 푸시로드는 담배용 지지면인 플레이트 상에서 항상 변위가능하다.
b) 담배의 푸시-아웃 운동시 푸시로드는 지지면인 플레이트 상에서 일정거리로 변위가능하다.
c) 푸시로드의 시작점으로 복귀할 때, 푸시로드가 하향 방향으로 변위가능하여, 축에 있어서의 담배의 하향운동은 푸시로드가 시작위치로 복귀되기 전에 개시되어 푸시로드가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푸시로드가 시작위치로 완전히 복귀될 때만 상기 필요한 운동이 개시되면 축에서 담배의 하향운동이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운동 사이클이 푸시로드의 복귀운동시 시작되기 때문에 담배의 하향운동을 위해 더 긴시간의 주기가 정해진다. 푸시로드는 하향으로 이동하는데 엄밀히 말하자면, 담배의 하강운동보다 더 높은 속도로 하향 운동한다. 푸시로드의 동시적인 하향운동과 복귀운동은 최종 위치(외부 축)에 도달될 때까지 제어되어서 푸시로드는 담배와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다.
하향운동 즉, 복귀운동시 푸시로드의 하향으로 인도되어 왕복 운동하는 구성요소는 담배가 푸시로드와의 접촉 없이 자유롭게 하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선택되어서 속도 성분은 낙하하는 담배의 속도보다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응하는 구동 메카니즘으로 인해 복귀운동시 동시적인 하향운동을 완수하는 푸시로드를 갖춘 담배매거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면에 예시된 전형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되어질 것이다.
담배팩의 생산에서는, 담배팩의 내용물에 상응하는 담배그룹(10)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담배그룹(10)은 복수의 담배(11)를 각각 갖고 하나 위에 다른 하나 그리고 하나 옆에 다른 하나로 위치되어 있는 3개의 층을 주로 포함한다.
담배그룹(10)은 담배매거진(12)으로 부터 푸시된 담배(11)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담배(11)를 수집하는, 저장하는, 정렬하기 위한 이러한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US 4 856 538). 담배 매거진(12)의 구성은 전형적으로 인접 (매거진)축(13) 그룹으로 되어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축(13)은 담배(11)의 직경에 상응하여 본질적으로 수직이고, 폭이 좁은 채널을 형성한다. 각각의 축(13)에 있어서, 담배(11)는 빽빽하게 포장되는 방식으로 하나 위에 다른 하나로 수집되어 있다. 축(13)이나 축 그룹의 바닥끝부에서, 담배그룹(10)의 일부를 이루는 담배(11)는 길이방향으로 푸시아웃된다. 이러한 것은 담배그룹(10) 즉, 적어도 3개의 층을 자동적으로 형성한다.
푸시로드(14)는 담배매거진(12)의 축(13)으로 부터 담배(11)를 푸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축(13)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웨브(web)같은 푸시로드(14)는 하나 옆에 다른 하나로 배열되고 연대적으로 구동되는 푸시로드 그룹(15)을 형성한다.
푸시로드(14)나 푸시로드그룹(15)은 후방 및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시작위치(도6)에 있어서, 푸시로드(14)는 축(13)구역외부에 위치되어 있다. 각각의 축(13)내의 바닥에 있는 담배는 푸시로드(14)를 향하여 인도되어지는 끝면에 물리게되고 푸시로드의 운동에 의해 축(13)으로 부터 푸시-아웃방향(화살표(16))으로 푸시아웃될 수 있다. 축은 수직 매거진벽(17, 18)에 의하여 측면상에 패쇄된다. 이 축(13)은 푸시로드(14)의 운동구역에 걸쳐 하향으로 뻗어 있다. 그 결과 다수의 담배(11)는 푸시로드(14)의 푸시-아웃운동시 대향측으로 푸시아웃될 수 있다. 본 실례의 경우에 있어서,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위치된 3개의 담배(11)는 각각의 푸시-아웃 주기동안 각각의 푸시로드(14)에 의하여 물리게 된다.
축(13)에서 담배(11)는 수평지지대상에 즉, 플레이트(19)상에 얹혀있다. 플레이트는 담배(11)가 담배의 대부분에 걸쳐 플레이트(19)상에 얹혀지는 크기로 되어있다. 푸시로드(14)를 향하여 인도되는 담배 필터(20)의 일부분 즉, 푸시로드(14)를 향하여 인도되는 끝구역은 플레이트(19)가 담배(11)의 필터측 끝면으로 부터 일정거리에 한정하므로 하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담배필터(20)의 작은 구역이 플레이트(19)상에 얹혀있고 이러한 것은 담배(11)가 축(13)에 안정한 방식으로 지지되게 하는 것을 확보하게 한다. 축(13)을 경계 지우게 하기 위한 축벽(21)이 플레이트 바로 아래 측면으로 뻗어 있고, 축(13)의 구역 외부 측면으로 뻗어있어서, 그 결과 푸시로드(14)는 심지어 원위치로 되돌려진 최종위치에서도 이들 푸시-아웃측 끝부를 경유하여 축벽들(21)사이에 위치된다.
축(13)으로 부터 배출된 담배그룹(10)은 담배 컨베이어 구역까지 즉, 담배터릿(22)까지 푸시로드(14)에 의해 운송되어진다. 담배터릿은 원주를 따라서 배분된, 담배그룹(10)을 수용하기 위하여 각각 의도된 복수의 포켓(23)을 갖는다. 플레이트(19)에 얹혀진 담배그룹(10)이 푸시로드(14)에 의하여 푸시되어져서 개방 및/또는 프리 포켓(23)내로 들어간다. 이동 운송하는 작동시, 포장되는 특정방식으로 담배그룹(10)을 형성하는 측면 가이드 요소는 축(13)과 담배터릿(22)사이의 구역에 위치되어 있다.
도6을 따라, 시작위치로 복귀한 다음, 담배(11)는 축(13)에 하향으로 떨어지는데 엄밀히 말하자면, 자체의 자중 하에 떨어진다. 도6을 따라, 일단 담배의 위치에 도달하면 새로운 푸시-아웃 사이클이 시작될 수 있다.
작동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축(13)에서 담배(11)의 하강운동은 도6에 따라, 푸시로드가 최종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개시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푸시로드(14)가 복귀운동시 하향(화살표(24)에 따른 운동방향)으로 이동되어 축(13)에서 담배(11)는 푸시로드(14)의 복귀운동시 하향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푸시로드는 복귀운동의 최종단계 동안 동시적으로 하향으로 이동된다.
푸시로드(14)는 이러한 운동을 완수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푸시로드는 담배(11)의 낙하높이 보다 작은 높이로 설계되어 있다. 특히, 도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푸시-아웃 운동하는 동안 그리고 상부 평면의 시작위치로의 복귀운동단계 동안, 푸시로드(14)는 플레이트(19)로 부터 일정거리에 확실하게 한정하여 이동된다. 복귀운동(화살표(24))시 소정의 상대 위치에 도달하면(도3), 푸시로드는 플레이트(19)까지 (다소)하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하향 운동은 축(13)내에서 담배(11)가 진행중 푸시로드(14)와 접촉하여 들어감이 없이 자체의 자중으로 하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속도로 실행된다. 상기 푸시로드는 담배(11)의 구역이 푸시로드(14)로 부터의 그 거리범위에 걸칠 때, 담배(11)의 구역 외부에 위치된다. 그리하여, 담배(11)는 장해물 없이 이전에 시작된 하강운동을 계속할 수 있다.
담배(11)가 푸시로드(14)의 상측에 안정한 방식으로 여전히 얹혀 있을 때 다시 말하면, 담배(11)의 무게중심이 푸시로드(14)(도3)위의 구역에 여전히 위치되어있을 때 푸시로드(14)의 하향운동 -계속하는, 변환되지 않은 복귀운동과 함께- 은 편의상 일정 단계에서 개시된다. 이러한 과정상, 푸시로드(14)는 푸시로드(14)의 끝측 바닥 코너(26)에 관련하여 도2에 도시된 운동경로(25)범위에 걸쳐있다. 이러한 운동경로(25)는 복귀운동시 하향루프(27)를 형성하고 운동경로(25)의 끝부에서 플레이트(19)로부터 일정거리의 원래 평면으로 복귀된다. 상기 거리는 푸싱-아웃과정이 반대로 작용되지 않도록 선택되어진다. 알맞은 거리는 담배의 직경의 거의 절반에 상응하는 즉, 약 4mm이다.
푸시로드(14)의 상기 운동은 다양한 방식으로 성취될 수 있다. 도시된(도1) 전형적인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푸시로드그룹(15)의 푸시로드(14)는 담배(11)로 부터 멀리 떨어진 끝부에서 후방 및 전방으로 이동하는 메카니즘상에서, 이 경우에는 가이드로드(30)에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29)상에서 피봇베어링(28)에 의하여 조여진다. 이 카트리지(29)는 푸시로드(14)의 후방 및 전방운동을 완수하기 위하여 종래적인 방식으로(도시되지 않은 구동에 의하여)후방 및 전방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 동시적인 하향운동은 별개의 피봇 메카니즘(31)에 의하여 발생된다. 구동로드(32)는 푸시로드(14)에 제공된다. 상기 구동로드는 캠 메카니즘에 의하여 화살표(34)에 따라 피봇 되어진 피봇레버(33)에 연결되어 진다. 캠 메카니즘은 캠 플레이트(35)를 포함하는데 이 플레이트는 롤러레버(36)를 원주상에서 움직이게 한다. 상기 롤러레버는 피봇레버(33)로 전달되고 구동로드(32)에 의하여 피봇레버로 부터 푸시로드(14)로 전달되어 캠플레이트(35)의 윤곽에 상응하는 피봇운동이 완수되는데, 그 결과 특히 도2에 관련하여 상기된 운동이 완수된다. 이러한 운동의 공동작용은 푸시로드(14)의 동시적인 복귀와 푸시로드(14)의 하향운동시, 코너(26)가 플레이트(19)와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담배(11)의 하향운동의 바람직한 시작은 상기 담배의 손상없이 현저한 범위까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푸시로드가 하향의, 아치형으로 변위가능하며 축에서 담배의 하향운동은 푸시로드가 시작위치로 복귀되기전에 개시되어 사이클 스피드를 상승시켜서 생산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푸시로드(14)에 의하여, 전부 또는 여러개의 층으로 담배매거진(12)의 축(13)으로 부터 푸시아웃될 수 있는 담배그룹(10)용 담배팩을 생산하는 장치로서, 푸시-아웃 운동시 각각의 축(13)에서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열된 개개의 담배(11)가 푸시로드(14)의 상측에 저장되고, 푸시로드(14)의 시작위치로의 복귀 후, 자체의 자중 하에서 정지면인 플레이트(19)상의 하부 푸시-아웃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담배팩 생산장치에 있어서,
    a) 담배(11)를 푸시아웃할 때 그리고 푸시로드의 시작위치로 복귀할 때 푸시로드(14)는 담배용 지지면인 플레이트(19)상에서 항상 변위가능하고,
    b) 담배(11)의 푸시-아웃 운동시 푸시로드(14)는 지지면인 플레이트(19)상에서 일정거리로 변위가능하고,
    c) 푸시로드의 시작위치로 복귀할 때, 푸시로드가 하향 방향으로 변위가능하여, 축(13)에서의 담배(11)의 하향운동은 푸시로드(14)가 시작위치로 복귀되기 전에 개시되어 푸시로드가 최종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복귀운동시, 푸시로드(14)는 지지면인 플레이트(19)상에서 하향의, 아치형 운동경로를 수행하고 그리고 후퇴된, 시작위치에서 상부 푸시-아웃 평면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시작위치로의 푸시로드의 복귀운동과 동시에 일어나는 푸시로드(14)의 하향운동은 담배(11)가 로드의 대부분에 걸쳐서 특히, 무게중심을 가지고 푸시로드(14)상에 여전히 얹혀 있을 때, 시작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19)는 특히, 담배 필터(20)의 시작구역이 푸시로드(14)의 시작위치에 할당되는 한, 단지 축(13)에서 담배(11)의 길이부분을 넘어 뻗어 있어서 푸시-아웃된 위치에 위치되어있는 담배(11)가 플레이트(19)의 구역에 위치된 담배필터(20)의 (짧은)구역을 가지며, 담배필터(20)의 나머지 구역 즉, 필터 없는 담배의 끝구역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푸시로드의 복귀운동시 푸시로드(14)의 하향운동속도가 축(13)에서의 담배(11)의 (자유)낙하운동속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0057521A 1998-12-15 1999-12-14 담배팩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KR200000481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7600.5 1998-12-15
DE19857600A DE19857600A1 (de) 1998-12-15 1998-12-15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ertigen von Zigarettenpackun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135A true KR20000048135A (ko) 2000-07-25

Family

ID=789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521A KR20000048135A (ko) 1998-12-15 1999-12-14 담배팩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97559B1 (ko)
EP (1) EP1010621B1 (ko)
JP (1) JP2000185707A (ko)
KR (1) KR20000048135A (ko)
CN (1) CN1131814C (ko)
BR (1) BR9907389A (ko)
DE (2) DE198576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977A (ko) * 2016-09-23 2018-04-02 태영산업 주식회사 담배필터 포장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3986B2 (en) * 2009-11-24 2017-10-31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remises semantics
CN102417041A (zh) * 2010-09-27 2012-04-18 四川新绿色药业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自动装杯组件及其填装方法
CN102085929B (zh) * 2011-01-28 2012-05-30 重庆烟草工业有限责任公司涪陵卷烟厂 一种横向收集机的提升机构
CN102602563B (zh) * 2012-03-22 2013-12-04 瑞安市佳德包装机械有限公司 装盒机送盒机构
CN104443502B (zh) * 2014-09-29 2017-06-20 佛山市顺德区美嘉思食品有限公司 一种条状饼干定量输送理饼器
ITUA20162281A1 (it) * 2016-04-04 2017-10-04 Gima Tt S P A Dispositivo di trasferimento di gruppi organizzati di articoli da fumo, apparato e metodo per l'alimentazione e la formazione di gruppi organizzati di articoli da fumo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 di trasferiment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69650A (en) * 1928-05-24 1930-07-01 Rose Brothers Ltd Apparatus for feeding cigarettes or like articles
DE533241C (de) * 1928-05-24 1931-09-10 Alfred German Rose Zigarettenzufuehrungsvorrichtung
US1862386A (en) * 1930-08-22 1932-06-07 Firm Universelle Cigarettemasc Apparatus for removing articles from a pile
GB1524843A (en) 1975-08-28 1978-09-13 Molins Ltd Cigarette hoppers
DE3234926A1 (de) * 1982-09-21 1984-03-22 Maschinenfabrik Alfred Schmermund Gmbh & Co, 5820 Gevelsberg Vorrichtung zum bilden eines zigarettenblocks
DE3339703A1 (de) * 1983-11-03 1985-05-23 Focke & Co, 2810 Verden Vorrichtung zum verpacken von langgestreckten gegenstaenden, insbesondere zigaretten
GB8421017D0 (en) * 1984-08-17 1984-09-19 Molins Plc Packing machines
DE3602428A1 (de) 1986-01-28 1987-07-30 Focke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ruefen von zigaretten
IT1220338B (it) * 1988-04-21 1990-06-15 Gd Spa Dispositivo formatore di gruppi di sigarette in una macchina impacchettatrice di sigaret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977A (ko) * 2016-09-23 2018-04-02 태영산업 주식회사 담배필터 포장시스템
KR101879262B1 (ko) * 2016-09-23 2018-07-17 태영산업 주식회사 담배필터 포장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0621A1 (de) 2000-06-21
DE59908723D1 (de) 2004-04-08
CN1257028A (zh) 2000-06-21
JP2000185707A (ja) 2000-07-04
CN1131814C (zh) 2003-12-24
US6397559B1 (en) 2002-06-04
DE19857600A1 (de) 2000-06-21
EP1010621B1 (de) 2004-03-03
BR9907389A (pt) 2001-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7306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mptying containers
US7222716B2 (en) Retractable transfer device metering apparatus and methods
JPH07108697B2 (ja) たばこの包装装置
US484592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ackaging of paper handkerchiefs
US459237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groups of cigarettes
US2884114A (en) Conveying and transfer mechanism
JPH0212805B2 (ko)
KR20000048135A (ko) 담배팩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JPH0446857B2 (ko)
US20040104240A1 (en) Unit for feeding cigarettes to a packer machine
US5070991A (en) Apparatus for forming groups of rod-like articles
JPH09118306A (ja) たばこ加工産業における棒状物品から成るパッケージブロックを移送するための装置
CS210612B2 (en) Device for forming of groups of products
US554003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cigarettes or the like into packs
US4132398A (en) Apparatus for removing sheets from stacks
US3019581A (en) Automatic catcher
US3454149A (en) Blank 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US4856958A (en) Apparatus for converting discrete arrays of rod-shaped articles into a mass flow
GB2104028A (en) Packing biscuits, fish fingers or the like
US2996782A (en) Pallet supply and accelerating apparatus
US4819343A (en) Apparatus for the storage of (cigarette) packs
US5494148A (en) Method of feeding tobacco items, particularly cigarettes, to a continuous packing machine
US3820671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receptacles
US4059940A (en)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cigarettes or the like
RU2736292C2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блок подачи,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стержнеобразных элемен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