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84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주파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주파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845A
KR20000047845A KR1019990054325A KR19990054325A KR20000047845A KR 20000047845 A KR20000047845 A KR 20000047845A KR 1019990054325 A KR1019990054325 A KR 1019990054325A KR 19990054325 A KR19990054325 A KR 19990054325A KR 20000047845 A KR20000047845 A KR 20000047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frequency
signal
level
output signal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0491B1 (ko
Inventor
제이.마크 어펠
존슨케이.미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20000047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송 경로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을 감시하는 제1신호 감시기와,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과 상기 송신 경로상의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의 기설정된 최대 출력 전력 파라미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와 병렬로 연결된 제2무선 주파수 증폭기를 활성화 시켜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와 상기 제2무선 주파수 증폭기의 결합된 디-시(DC) 바이어스 전류와 선형동작범위를 증가시키는 증폭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주파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RF TRANSMITT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증폭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중 트래픽 폐쇄 루프 전력 검출기를 이용하여 무선 증폭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뢰할 수 있는 예측에 의하면, 다가오는 2000년까지 약 3억의 가입자가 셀룰러(Cellur) 전화기를 이용할 것라고 한다. 미국 내에서 셀룰러 서비스 사업자, 지역 벨 회사(Bell Companies) 그리고 내셔널 원거리 사업자(National Long Distance Operator)가 셀룰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셀룰러 서비스 이용 가격은 늘어나는 경쟁에 의해 감당할 수 있는 최고로 낮아졌다.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무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이동국(Mobile Station)들이 각 기지국(Base Station)에 동시에 접속하게 할 수 있는 많은 종류의 다중 접속 기술이 구현되고 있다. 상기 다중 억세스 기술에는 시간분할 다중접속 방식(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분할 다중접속 방식(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그리고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이하 CDMA라 한다.)등이 있다. 상기 다중 억세스 기술들은 선택된 타임슬롯 또는 선택된 주파수 또는 선택된 코드 또는 상기한 것들의 조합을 매개로 하여 가입자의 음성/데이터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트래픽 채널을 할당한다.
단일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할 수 있는 가입자들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각 셀 영역을 더 작게 하여 많은 수의 셀들이 동일한 지리적 영역을 관할 하게 함으로써 주파수 재사용이 최대화 된다. 그런데 많은 개수의 기지국을 설치하는 것은 그 만큼 기반 시설의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증가되는 비용의 증가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무선 서비스 사업자들은 장비의 비용, 유지/보수의 비용 그리고 동작 비용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서비스의 품질/신뢰성 (Quality/Reliability) 그리고 많은 가입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셀룰러 시스템의 기술 혁신을 구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전기적인 전력은 무선 시스템의 동작 비용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모든 기지국들은 음성과 데이터 신호들을 이동국(예:셀 폰(Cell Phone), 셀룰러 모뎀이 구비되는 휴대용 컴퓨터등)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Transmitter)와 이동국으로부터 음성과 데이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기(Receiver)를 구비한다. 송신기는 송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비교적 큰 무선 주파수(이하 RF라 한다.) 전력 증폭기를 이용한다.
무선 시스템은 큰 신호 왜곡(Distortion)에 안정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파수 확산에 따른 IS-95 주파수 대역 요구사항을 위반하지 않기 위해, 광대역의 동작조건에서 선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RF 증폭기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선형 RF 증폭기를 위한 DC-RF 변환효율은 낮다. 일반적으로 CDMA 증폭기는 RF 파형의 선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입력 전력 비(Ratio)보다 8~10dB 이상의 이득을 필요로 한다.
한편, 종래의 송신 전력 증폭기(Transmitter Power Amlifier)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출력신호의 상대적 세기에 관계없이, 일정하며 상대적으로 큰 전력을 소모한다. 예를 들어, 만약 낮 시간 동안의 일반적인 트래픽 로드에 10와트(Watt)의 RF 출력 전력 레벨이 필요로 한다면, 송신 전력 증폭기에 의해 소모되는 DC 최고 출력 전력은 80내지 100와트를 필요로 한다. 즉, 필요로 하는 전체 출력 전력은 8-10 dB가 높다. 그러나 한밤중에는 트래픽 로드가 작아지며, 송신기의 RF 출력 전력 레벨은 예컨데 1와트가 필요로 하게 되어, RF 출력 신호에 대한 전력 제어가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 증폭기의 동작 바이어스 점이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송신 전력 증폭기에 의해 소모되는 DC 최고 전력은 여전히 80 내지 100와트 이다. 즉, 종래의 송신 전력 증폭기는 감소되는 트래픽 로드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
따라서, 동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개선된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기지국의 전력 증폭기에서 전력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송신 전력 증폭기의 RF 출력 레벨을 감시할 수 있고 기지국의 트래픽 로드에 따라 DC 전력 레벨을 감소 시키는 개선된 무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전송 경로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를 제어하는 전력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 제어 회로가 RF 송신기의 전송 경로상에 위치하며 병렬로 연결된 RF 전력 증폭기들의 결합된 유효 DC 바이어스 전류를 제어한다. 상기 전력 제어 회로는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을 감시하는 제1신호 감시기와,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과 상기 송신 경로상의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의 기설정된 최대 출력 전력 파라미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와 병렬로 연결된 제2무선 주파수 증폭기를 활성화 시켜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와 상기 제2무선 주파수 증폭기의 결합된 디-시(DC) 바이어스 전류와 선형동작범위를 증가시키는 증폭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활성화된 상기 RF 전력 증폭기들이 비선형 범위에서 동작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F 전력 증폭장치의 선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비활성화 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해당 RF 전력 증폭기들을 활성화 시킨다.
반대로, 만약 활성화된 RF 전력 증폭기들이 선형 범위내에서 동작하고 있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활성화된 RF 전력 증폭장치의 결합된 유효 DC 바이어스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RF 전력 증폭기들을 비활성화 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력 제어 회로는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을 감시하는 제1신호 감시기와, 변조된 RF 출력 신호 레벨과 송신 경로상의 제1 RF 전력 증폭기의 기설정된 최대 출력 전력 파라미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RF 전력 증폭기와 병렬로 연결된 제2 RF 전력 증폭기를 활성화 하여 전체 병렬 RF 전력 증폭기의 선형성을 유지하고 전력 제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증폭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력 제어 회로는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을 감시하는 제1신호 감시기와,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과 상기 송신 경로상의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의 기설정된 최대 출력 전력 파라미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와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증폭기들을 활성화 시켜 상기 무선 주파수 증폭기들의 결합된 디-시(DC) 바이어스 전류와 선형동작범위를 증가시키는 증폭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력 제어 회로는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을 감시하는 제1신호 감시기와, 변조된 RF 출력 신호 레벨과 송신 경로상에서 병렬로 연결되고 활성화된 해당 RF 전력 증폭기들의 기설정된 최대 출력 전력 파라미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병렬로 연결되고 활성화된 복수개의 RF 전력 증폭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RF 전력 증폭기들을 비활성화 하여 전체 병렬 RF 전력 증폭기의 선형성을 유지하고 전력 제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증폭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주파수 송/수신장치내에서 폐쇄루프 전력 검출 시스템을 포함하는 가변 전력 송신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RF 송/수신기에서 사용되는 RF 전력 검출 및 조정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RF 전력 검출 및 조정 시스템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복수개의 셀 영역들(121-123)을 구비하며, 각 셀 영역은 기지국(101), 기지국(102) 및 기지국(103)을 구비한다. 각 기지국들(101-103)은 복수개의 이동국들(111-114)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국들은 셀룰러 디바이스로서, 통상적인 셀룰러 핸드폰, PCS 핸드폰, 휴대용 컴퓨터등이 된다.
상기 도 1의 점선은 각 셀 영역들(121-123)의 대략적인 경계선을 나타내며, 상기 각 셀 영역들에는 기지국(101-103)이 위치한다. 상기 각 셀 영역들의 경계선은 설명과 도면의 편의를 위하여 원의 형태로 나타내었다. 당업자라면 상기 셀 영역의 경계선이 불규칙한 모양이며 선택된 셀 환경과 자연적인 또는 인간에 의한 장애물등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101), 기지국(102) 및 기지국(103)은 각각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이하 BSC라 한다.)와 기지국 전송 시스템(Base Trasceiver System:이하 BTS라 한다.)을 구비할 수가 있다. 상기 BSC와 BTS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BSC는 무선 통신 리소스(Resources)를 관리하며, 복수개의 BTS들을 관할한다. BTS는 각 셀 영역에 위치하는 RF 송/수신기, 안테나 그리고 다른 전기적인 장비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BTS는 무선 접속 유닛, 가열 유닛, 전원공급 유닛, 전화 라인 인터페이스 그리고 RF 송신기와 RF 수신기 뿐만 아니라 호 처리 회로등을 구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동작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각 셀 영역들(121-123)에 구비되는 BTS들과 BSC를 합쳐서 기지국(121), 기지국(122) 및 기지국(123)이라 칭하기로 한다.
기지국(101), 기지국(102) 그리고 기지국(103)은 통신 라인(131)과 이동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140)를 통하여, 기지국들간의 음성과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 하며, 공중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도시하지 않음.)와 음성과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 한다. 상기 이동 교환기(140)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이동 교환기(140)는 무선 네트워크와 공중 전화 네트워크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 간의 송/수신 신호 경로등을 제공하는 스위칭 디바이스 이다. 통신 라인(131)은 신호 전달 수단이 되며, T1 라인, T3 라인, 광 통신 링크, 네트워크 백-본(Back-Borne) 연결 수단등이 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라인(131)은 몇 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링크들이 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링크들은 기지국(101), 기지국(102), 기지국(103) 중의 하나와 이동 교환기(140)를 연결하여 준다.
무선 네트워크(100)의 일 예에서, 셀 영역(121)에 위치하는 이동국(111)은 기지국(101)과 통신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셀 영역(122)에 위치하는 이동국(113)은 기지국(102)과 통신을 수행하며, 셀 영역(123)에 위치하는 이동국(114)는 기지국(103)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도 1에서, 이동국(112)은 셀 영역(121)에 위치하는데, 상기 위치는 셀 영역(123)에 근접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동국(112)에서의 화살표시(도면 부호 125 참조)는 이동국(112)이 셀 영역(123)으로 향하여 이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후에 이동국(112)은 셀 영역(121)에서 셀 영역(123)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핸드오프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핸드오프 절차는 첫 번째 셀로부터 두 번째 셀로의 호 이동성 제어를 전송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만약 이동국(112)이 기지국 (101)과 통신을 하고 있는 도중에 기지국(1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약해짐을 감지하면, 이동국(112)은 기지국(103)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등과 같이 더 신호세기가 큰 기지국의 신호로 스위칭을 하게 된다. 이때, 이동국(112)과 기지국(103)은 새로운 통신 링크를 설정하며, 기지국(103)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 제어신호를 계속해서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101)과 공중전화 네트워크에 보내어지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로인해 해당 호(Call)는 기지국(101)에서 기지국(103)으로 이음새 없이 전달된다. 이상적인 핸드오프는 일반적인 트래픽 채널상에서 전송되는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들 간의 핸드오프 라기 보다는, 제어(Control) 또는 페이징(Paging) 채널상에서 통신하는 이동 디바이스의 셀 간의 핸드오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 이다.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지국(101)은 BSC(101)와 BTS(220)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BSC와 BTS의 동작 설명은 상기 도 1에서 전술되었다. BSC(101)는 BTS(220)를 구비하며, 셀 영역(121)내의 리소스들을 관리한다. BTS(220)는 BTS 제어장치(225)와, 채널 엘러먼트(240)를 포함하는 채널 제어장치(235)와, 송/수신 인터페이스(245)와, RF 송/수신장치(250) 그리고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255)로 이루어 진다.
BTS 제어장치(225)는 BTS(220)의 전반적인 동작과 BSC(21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처리 회로(Processing Circuitry)와 메모리등으로 이루어 진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BTS 제어장치(225)는 복수개의 채널 엘러먼트들을 구비하여 순방향 채널(Forward Channel)과 역방향 채널(Reverse Channel)에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채널 제어장치(235)의 동작을 명령한다. 상기 순방향 채널은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의 신호가 전송되는 채널을 의미하며, 상기 역방향 채널은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의 신호가 전송되는 채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채널 엘러먼트는 셀 영역(121)에 위치하는 이동국(111)과 CDMA 프로토콜(Protocol)에 따라서 동작을 수행한다. 송/수신 인터페이스(245)는 채널 제어장치(240)와 RF 송/수신장치(250)간의 양방향 채널 신호를 전송한다.
안테나 어레이(255)는 RF 송/수신장치(250)로부터의 순방향 채널 신호를 기지국(101)의 관할내에 위치하는 이동국들에게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 어레이(255)는 기지국(101)의 관할 내에 위치하는 이동국들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채널 신호를 RF 송/수신장치(250)으로 전송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안테나 어레이(255)는 3섹터 안테나 등과 같은 멀티-섹터 안테나가 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각 안테나 섹터는 셀 영역(121)에 대하여 120도의 각도 내에서 송신 및 수신을 책임지게 된다. 또한 RF 송/수신장치(250)는 송/수신 동작 도중에 안테나 어레이(255)의 여러 안테나들 중에서 해당 안테나를 선택하는 안테나 선택 유닛을 구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RF 송/수신장치(250)에 구비되는 송신기는 기지국(101)에 의해 소모되는 DC 최고(Prime) 전력을 감소시키는 가변 전력 RF 증폭기들을 구비한다. RF 출력 신호(RF Output Signal)의 전력 레벨이 전력 증폭기 내의 더 낮은(Lower) DC 최고 전력 레벨에서 유지될 때마다, 상기 DC 전력 감소가 발생하게 된다. 이것은 기지국에 의해 핸들링(Handing)되는 무선 트래픽이 상대적으로 작은 레벨일 때, RF 전력 증폭기로 출력되는 DC 최고 전력을 감소시키는 폐쇄루프 전력 검출 시스템(Closed-Loop Power Detection System)에 의해 구현되어 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주파수 송/수신장치내에서 폐쇄루프 전력 검출 시스템을 포함하는 가변 전력 송신기(Variable-Power Transmitter)를 도시한다. 이하 상기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변-전력 송신기(300)는 드라이버(305), RF 전력 증폭기(310) 그리고 RF 커플러(Coupler)(315)로 이루어지는 송신 경로(Transmit Path)를 포함한다. 또한 가변-전력 송신기(300)는 출력 전력을 검출 및 조정하는 경로(이하 '출력 전력 검출/조정 경로'라 한다.)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 전력 검출/조정 경로는 전력 검출기(325), 조정 증폭기(Correction Amplifier)(330) 그리고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335)로 이루어 진다. RF 커플러(315)의 출력은 안테나 어레이(255)로 전송된다.
드라이버(305)는 RF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RF 입력신호는 RF 송수신 장치(250)에 구비되는 RF 변조(Modulation) 디바이스(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생성된다. 드라이버(305)는 RF 전력 증폭기(310)의 입력단에서 RF 입력 신호를 조정(Codition)한다. 드라이버(305)는 상기 RF 입력 신호에 대하여 증폭과 레벨 쉬프팅(Level Shifting)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다. RF 전력 증폭기(310)는 드라이버(305)의 출력에 대하여, 안테나 어레이(255)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송 전력 레벨(Transmission Power Level)까지 전력 증폭을 수행한다. 만약 기지국(101)의 관할 내에서 비교적 적은 수의 이동국들이 존재한다면, RF 입력 신호의 진폭은 상대적으로 작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101)의 관할 내의 이동국들의 숫자가 증가하게 되면, 순방향 채널의 트래픽이 증가로 인하여 RF 입력 신호의 진폭 또한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와 대응하여 RF 전력 증폭기(310)의 출력신호의 진폭 또한 증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 시스템은 큰 신호 왜곡에 안정적으로 동작하지 못한다. 따라서 RF 전력 증폭기(310)는 광대역의 동작조건에서 입력 신호의 진폭에 대하여 높은 선형성을 가지는 출력을 생성하여야 한다. RF 입력신호가 상대적으로 작을 때, RF 전력 증폭기(310)는 선형 범위내에서 잘 동작할 수가 있다. 그러나 RF 입력신호의 진폭이 커지게 되면, RF 전력 증폭기(310)는 비선형적으로 동작하기 시작하며, 인터모듈레이션 왜곡(IMD)가 RF 전력 증폭기(310)의 출력단에서 발생하게 된다. RF 전력 증폭기(310)가 동작하는 선형범위의 크기는 RF 전력 증폭기(310)에 의해 소모되는 바이어스 전류의 양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만약 RF 입력신호의 다이나믹(Dynamic)범위가 크다면, RF 전력 증폭기(310)는 상대적으로 큰 DC 바이어스 전류를 필요로 하게 되어, 전력 소모가 증가하게 된다. 만약 DC 바이어스 전류가 과중한 트래픽 상황 아래서 예측되는 최대 다이나믹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레벨로 설정되어 있다면, 낮은 트래픽 조건에서도 역시 마찬가지로 RF 전력 증폭기(310)는 상기 최대 다이나믹 범위에 해당하는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력 전력 검출/조정 경로의 구성에 의해 RF 전력 증폭기(310)의 DC 바이어스 전류는 트래픽 로드에 대응되게 조정되어야 한다. RF 커플러(315)는 RF 전력 증폭기(310)의 RF 출력 신호를 감시하며, 상기 RF 출력 신호의 복사(Copy) 신호를 전력 검출기(325)에게 제공한다. 전력 검출기(32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DC 전압은 안테나 어레이(255)에 전달되는 RF 출력 신호의 전력 레벨과 비례한다. 조정 증폭기(330)는 전력 검출기(325)로부터의 DC 출력 신호를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출력 조정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기준 전압은 최소 RF 출력 전력 레벨(Minimum RF Output Power Level)을 설정하는데 사용되어 질 수가 있다. 따라서 RF 출력 전력 신호는 그 레벨이 상기 최소 레벨 이상으로 보장 받을 수가 있으며, 상기 RF 출력 전력이 특정 전력 레벨 이상이 될 때까지 RF 전력 증폭기(310)의 바이어스 전류는 조정되지 않는다.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335)는 조정 증폭기(330)로부터 입력된 출력조정신호를 이용하여, RF 전력 증폭기(310)의 DC 바이어스 전류의 레벨을 조정한다. 안테나 어레이(225)으로 전달되는 RF 출력 신호의 진폭이 증가하면 할수록 조정 증폭기(330)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조정신호 또한 증가하여, RF 전력 증폭기(310)의 DC 바이어스 전류도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335)는 RF 출력신호가 증가하는 경우 DC 바이어스 전류를 점진적으로(Incrementally) 증가 시킬 수가 있다. 이때의 상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335)는 RF 전력 증폭기(310)의 전류 미러회로(Current Mirrors)를 제어하는 가변 저항에 의해 구현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335)는 RF 출력신호가 증가하는 경우 DC 바이어스 전류를 불연속적인 단계별(Discrete Steps)로 증가 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335)는 구비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DC 바이어스 전류 룩-업 테이블에 따라 DC 바이어스 전류를 조정할 수가 있다. 상기 바이어스 전류 룩-업 테이블은 RF 전력 증폭기(310)의 세부적인 동작특성 및 동작조건에 대응하는 최적의 바이어스 전류값을 포함한다. 주어진 전력 증폭기 모델과 주어진 온도, 주파수 및 출력조정신호 파라미터에서,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335)는 룩-업 테이블로부터 조정 바이어스 전류 레벨을 결정하며, 그에 만게 RF 전력 증폭기(310)의 DC 바이어스 전류를 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변-전력 송신기(300)는 최소 전력 소비에 있어서 선형성을 유지하기 위해, RF 전력 증폭기(310)의 바이어스 지점을 조정한다. 또한 가변-전력 송신기(300)에서 폐쇄 조정 루프의 사용은 디바이스들 간의 동작 불안정성을 최소화 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RF 송/수신기에서 사용되는 RF 전력 검출 및 조정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RF 전력 검출 및 조정 시스템(400)은 RF 변조기(402), RF 증폭기(406), 전압 제어 감쇄기(Voltage Controlled Attenuator)(408), RF 전력 증폭 장치(412) 그리고 RF 커플러(424)로 이루어 지는 송신 경로를 포함한다. 또한 RF 전력 검출 및 조정 시스템(400)은 전력 검출기(Power Detector)(426, 440),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428, 442), 비교기(Comparator)(438, 444),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30, 446),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36), 제어 프로세서(432) 그리고 메모리(434)로 이루어지는 출력 전력 검출/조정 경로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 전력 검출/조정 경로는 스위치 제어기(422)를 제어하는 바이어스 제어신호(411)를 생성한다. 상기 바이어스 제어신호(411)에 따라, 스위치 제어기(422)는 RF 전력 증폭 장치(412)에 병렬로 구성되는 RF 전력 증폭기(414-416)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RF 전력 증폭기들에게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RF 변조기(402)는 두 개의 기저대역신호(Baseband Signal)를 입력한다. 상기 두 개의 기저대역신호는 인-페이즈(In-Phase) 신호(이하 'I 신호'라 한다.)와 쿼더러쳐(Quadrature) 신호(이하 'Q 신호'라 한다.)가 될 수가 있다. RF 변조기(402)는 국부 발진기(404)에 의해 제공되는 RF 캐리어(Carrier)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I 신호 및 Q 신호에 대하여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를 수행한다. 그리고 RF 증폭기(406)는 초기에 상기 RF 변조기(402)에 의해 RF 변조된 신호에 대하여 기설정된 레벨로 증폭 시킨다. 전압 제어 감쇄기(408)는 제어 프로세서(432)로부터 결정되는 감쇄 제어 신호(Attenuation Control Signal)에 대응하여 상기 증폭된 RF 변조 신호를 선택적으로 감쇄 시킨다. 그리고 RF 전력 증폭 장치(RF Power Amplifier Bank)(412)에 병렬로 연결된 RF 전력 증폭기들(414-416)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력 증폭기들은 상기 감쇄된 RF 변조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 어레이(255)로 전달한다.
송신 경로의 이득과 RF 전력 증폭기들(414-416)에 의해 소모되는 DC 전력은 후술되는 RF 출력 전력 검출/조정 경로에 의해 감시되고 조정된다. 입력단에서, 전력 검출기(440)는 Q 신호를 감시하며, 기저대역 Q 신호를 정류(Rcetifies)하여 그 신호 진폭에 비례하는 DC 신호를 생성한다. I 신호와 Q 신호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진폭을 가지며, 트래픽 레벨의 변동에 따라 그 레벨이 커졌다(Rise)가 작아졌다(Fall)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력 검출기(440)는 Q 신호 대신에 I 신호를 감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4에 가산 회로, 평균 회로 또는 I 신호와 Q 신호를 결합하여 합성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검출기(440)에 의해 감시되게 하는 회로등이 포함될 수가 있다. 전력 검출기(440)의 주 동작은 입력신호의 진폭과 출력신호의 진폭을 비교하기 위해, 상기 입력신호의 진폭을 측정하는 것이다.
출력단에서, 전력 검출기(426)는 RF 커플러(424)를 통하여 안테나 어레이(255)로 전달되는 RF 출력 신호를 감시한다. 전력 검출기(426)는 상기 RF 출력 신호를 정류하여, 그 신호 진폭에 비례하는 DC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입력단에서 전력 검출기(440)에 의해 생성되는 DC 신호는 비교적 낮은 전력의 기저대역 신호에 기초하며, 출력단에서 전력 검출기(426)에 의해 생성되는 DC 신호는 비교적 높은 전력의 RF 출력 신호에 기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보상하기 위하여, 해당 DC 신호 또는 두 개의 DC 신호 모두는 비교하는 동작 이전에 스케일링(Scaled) 되고 가산/감산 레벨-쉬프트가 될 수가 있다.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442)는 전력 검출기(440)로부터의 입력측 DC 신호를 스케일링하고 필요하다면 불연속적인 DC 레벨 쉬프트를 수행한다. 연산 증폭기(428)는 전력 검출기(426)로부터의 출력측 DC 신호를 스케일링하고 필요하다면 불연속적인 DC 레벨 쉬프트를 수행한다. 비교기(444)는 상기 가산/감산 레벨-쉬프트된 연산 증폭기(428, 442)의 출력들을 입력하여 비교하여, 초기 VCA 제어 신호(참조부호 413)(이하 'IVC 신호'라 한다.)를 생성한다. 그리고 비교기(438)는 상기 IVC 신호(413)를 후술되는 D/A 변환기(436)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전력 신호와 비교한다.
제어 프로세서(432)는 메모리(434)에 구비되는 동작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송신 경로의 이득과 RF 출력 전력 레벨을 감시 및 제어한다. 연산 증폭기(428)의 출력단의 스케일링된 RF 출력 전력 레벨은 A/D 번환기(430)에 의해 디지털화 되고, 제어 프로세서(432)에 의해 감시된다. 비교기(438)의 출력단의 최종 VCA 제어신호(참조부호 415)(이하 'FVC 신호'라 한다.)는 A/D 변환기(446)에 의해 디지털화 되어 제어 프로세서(432)에 의해 감시된다.
입력 Q 신호의 진폭이 증가하면, RF 출력 전력 레벨 또한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입력 Q 신호와 RF 출력 신호의 작은 변동은 FVC 신호(415)에 의해 조정되어, 송신경로의 일정한 이득이 유지된다.
만약 입력 Q 신호의 레벨이 비교적 작다면 RF 출력 전력 또한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는데, 이는 호 트래픽 레벨 정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낮은 RF 출력 전력에서는 RF 전력 증폭기들(414-416) 중에서 한 개의 RF 전력 증폭기, 예컨데 RF 전력 증폭기(414)가 선형적인 동작을 유지하면서 전압 제어 감쇄기(40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할 수가 있다. 그러나 입력 Q 신호의 진폭이 증가하는 경우, RF 출력 레벨이 RF 전력 증폭 장치(412)가 선형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지점까지 증가할 수가 있으며, 이때 안테나 어레이(255)에 전달되는 RF 출력 신호에 인터모듈레이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제어 프로세서(432)는 입력 Q 신호 진폭의 증가가 RF 출력 신호에서 비례하는 증가 즉, 선형적인 증가와 대응(Match)되지 않기 때문에, 비선형의 조건을 검출한다. 제어 프로세서(432)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50)를 통한 외부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RF 전력 증폭 장치(412)의 동작 파라미터와 온도, 주파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비선형 조건을 검출할 수가 있다. 제어 프로세서(432)는 RF 전력 증폭 장치(412)에 병렬로 연결된 RF 전력 증폭기들(415, 416)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턴-온(Turn-On) 시켜, 비선형 조건을 조정(Correct)할 수가 있으며, 또한 상기 비선형 조건을 예측하고 방지할 수가 있다. 제어 프로세서(432)는 스위치 제어기(422)를 제어하는 바이어스 제어신호(411)를 이용하여, 상기한 턴-온 동작들을 수행한다. 즉, 제어 프로세서(432)는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RF 전력 증폭기들(414-416)을 송신 경로에 둠으로 인하여, RF 전력 증폭기들에 의해 소모되는 DC 바이어스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낮은 호 트래픽 기간 즉, 작은 Q 신호 진폭 기간 동안에, 제어 프로세서(432)는 전압 제어 감쇄기(408)의 출력을 송신 레벨 까지만 끌어 올릴 정도로 RF 전력 증폭기들(414-416)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해당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전력 소모를 줄일 수가 있다. 그리고 높은 호 트래픽 기간 즉, 큰 Q 신호 진폭 기간 동안에, 제어 프로세서(432)는 선형 동작 범위를 증가시키고 RF 출력 신호의 인터모듈레이션 왜곡을 감소 시키기 위하여, RF 전력 증폭기들(414-416) 중에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 프로세서(432)는 비교기(444,438)에 의해 생성되는 FVC 신호(415)의 변화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D/A 변환기(436) 출력단의 기준 전력 신호를 제어한다. 제어 프로세서(432)가 송신 경로 상의 변조 RF 신호를 증폭 시키는 RF 전력 증폭기들(414-416)의 숫자를 가변 시킬 때, 이에 대응하게 제어 프로세서(432)는 D/A 변환기(436)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 전력 신호값을 조정하여, 비교기(444, 438)가 송신 경로상의 갑작스런 이득 변화를 과도하게 보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어 프로세서(432)는 D/A 변환기(436)에 의해 생성되는 기준 전력 신호의 시간에 따른 그 값의 변화에 의한 송신 경로상의 에러를 검출할 수가 있다. 제어 프로세서(432)는 온도와 동작 주파수와 RF 전력 증폭기들(414-416) 중에서 선택적인 턴-온, 턴-오프에서의 변화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시간에 따른 기준 전력 신호를 조절한다. 또한 제어 프로세서(432)는 송신 경로상에서 오동작하는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기준 전력 신호의 레벨 변화를 기설정된 상위 또는 하위 기준값(한계치 값)과 비교한다. 만약 기준 전력 신호값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으로 크다면, 특정 디바이스에서 에러가 발생한 것이 된다. 그때, 제어 프로세서(43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450)를 통하여 외부 제어기로 에러를 보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RF 전력 검출 및 조정 시스템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501단계에서 RF 전력 검출 및 조정 시스템(400)은 루틴(Routine)이 동작되는 동안에 기저대역 입력 Q 신호의 레벨과 RF 출력 전력 레벨을 감시하며, 송신 경로의 이득을 결정하기 위하여 해당 두 값들을 비교한다. 이때, 상기 두 값들은 상기 입력 Q 신호 및 RF 출력 전력 신호가 스케일링이 된 값들이 될 수가 있다.
502단계에서 RF 전력 검출 및 조정 시스템(400)은 송신 경로의 일정한 이득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전압 제어 감쇄기(408)를 제어하는 이득 조정 신호(Gain Correction Signal) 즉, VCA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503단계에서 제어 프로세서(432)는 측정된 RF 출력 전력 레벨과 송신 경로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RF 전력 증폭기들에 대한 활성화에 따른 전력 등급을 비교한다.
504 단계에서 만약 RF 출력 전력 레벨이 RF 전력 증폭기들(414-416) 중에서 해당 RF 전력 증폭기들이 포화되고 비선형적으로 동작하게 될 정도로 충분히 크면, 제어 프로세서(432)는 결합되어 활성화 되는 RF 전력 증폭기들(414-416)의 유효(Effective) 다이나믹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해당 RF 전력 증폭기들을 활성화 시킨다. 만약 RF 출력 전력 레벨이 충분히 작으면, 제어 프로세서(432)는 결합되어 활성화 되는 RF 전력 증폭기들(414-416)의 유효(Effective) 다이나믹 범위를 감소 시키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해당 RF 전력 증폭기들을 비활성화 시킨다. 이로인해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504단계에서 추가적으로, 제어 프로세서(432)는 전압 제어 감쇄기(408)을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VCA 제어 신호값을 조정하기 위하여 D/A 변환기(436) 출력단의 기준 전력 신호를 조정할 수가 있다. 제어 프로세서(432)는 또한 동작 온도 및 주파수의 변화나 동작 온도 또는 주파수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기준 전력 신호를 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505단계에서 제어 프로세서(432)는 에러 보고 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450)를 통하여 외부 제어기로 출력할 수가 있다. 상기 에러 보고 신호는 제어 프로세서(432)에서 생성되어 D/A 변환기(436)에 전달되는 기준 전력 신호의 넓은 범위의 변화(Variations)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에러 보고 신호는 제어 프로세서(432)가 RF 전력 증폭기들(414-416)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해당 RF 전력 증폭기들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시켜서, RF 출력 신호를 선형적으로 증폭 시킬 수가 없는 경우에 생성될 수가 있다. 상기 에러 보고 신호는 송신 경로상에서의 에러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F 무선 송신기가 트래픽 로드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출력 전력을 제어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동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트래픽 로드에 따라 병렬로 결합된 RF 전력 증폭기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해당 RF 전력 증폭기들에 대하여 온-오프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RF 출력 신호의 전력을 제어할 수가 있다.

Claims (20)

  1.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송 경로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을 감시하는 제1신호 감시기와,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과 상기 송신 경로상의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의 기설정된 최대 출력 전력 파라미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와 병렬로 연결된 제2무선 주파수 증폭기를 활성화 시켜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와 상기 제2무선 주파수 증폭기의 결합된 디-시(DC) 바이어스 전류와 선형동작범위를 증가시키는 증폭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송 경로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가,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을 상기 송신 경로상에서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증폭기들의 결합된 최대 출력 전력 파라미터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증폭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 시켜서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증폭기들의 결합된 디-시(DC) 바이어스 전류를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송 경로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기저대역 신호의 레벨을 감시하는 제2신호 감시기와,
    상기 입력 기저대역 신호의 레벨과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송신 경로의 신호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이득 제어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송 경로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기가,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동작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이득 제어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송 경로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기가,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동작 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이득 제어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송 경로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 레벨과 상기 최대 출력 전력 파라미터를 비교하기 전에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 레벨을 스케일링하는 제1스케일링 회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송 경로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기저대역 신호 레벨과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 레벨을 비교하기 전에 상기 입력 기저대역 신호 레벨을 스케일링하는 제2스케일링 회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송 경로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가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선형 동작 범위를 유지할 만큼 상기 결합된 디-시(DC) 바이어스 전류를 충분히 증가 시키지 못하면 에러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송 경로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9. 관할 지역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기지국들의 각 기지국이 상기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경로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와, 무선 송신기를 제어하는 전력 제어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전력 제어 회로가,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을 감시하는 제1신호 감시기와,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과 상기 송신 경로상의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의 기설정된 최대 출력 전력 파라미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와 병렬로 연결된 제2무선 주파수 증폭기를 활성화 시켜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와 상기 제2무선 주파수 증폭기의 결합된 디-시(DC) 바이어스 전류와 선형동작범위를 증가시키는 증폭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관할 지역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가,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을 상기 송신 경로상에서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증폭기들의 결합된 최대 출력 전력 파라미터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증폭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 시켜서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증폭기들의 결합된 디-시(DC) 바이어스 전류를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관할 지역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회로가,
    상기 입력 기저대역 신호의 레벨을 감시하는 제2신호 감시기와,
    상기 입력 기저대역 신호의 레벨과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송신 경로의 신호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이득 제어기가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할 지역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기가,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동작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이득 제어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할 지역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기가,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동작 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이득 제어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할 지역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 레벨과 상기 최대 출력 전력 파라미터를 비교하기 전에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 레벨을 스케일링하는 제1스케일링 회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할 지역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기저대역 신호 레벨과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 레벨을 비교하기 전에 상기 입력 기저대역 신호 레벨을 스케일링하는 제2스케일링 회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할 지역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기가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선형 동작 범위를 유지할 만큼 상기 결합된 디-시(DC) 바이어스 전류를 충분히 증가 시키지 못하면 에러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할 지역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17.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기지국들로 이루어지며, 각 기지국이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경로를 가지는 무선 송신기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송신기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을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과 상기 송신 경로상의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의 기설정된 최대 출력 전력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와 병렬로 연결된 제2무선 주파수 증폭기를 활성화 시켜, 상기 제1무선 주파수 증폭기와 상기 제2무선 주파수 증폭기의 결합된 디-시(DC) 바이어스 전류와 선형동작범위를 증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기지국들로 이루어지며, 각 기지국이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경로를 가지는 무선 송신기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송신기 동작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을 상기 송신 경로상에서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증폭기들의 결합된 최대 출력 전력 파라미터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증폭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 시켜서,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증폭기들의 결합된 디-시(DC) 바이어스 전류를 감소시키는 과정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기지국들로 이루어지며, 각 기지국이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경로를 가지는 무선 송신기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송신기 동작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기저대역 신호의 레벨을 감시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기저대역 신호의 레벨과 상기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경로의 신호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기지국들로 이루어지며, 각 기지국이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경로를 가지는 무선 송신기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송신기 동작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신호가,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동작 온도나 또는 동작 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경로의 신호 이득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국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기지국들로 이루어지며, 각 기지국이 입력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무선 주파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경로를 가지는 무선 송신기를 구비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 송신기 동작 방법.
KR1019990054325A 1998-12-30 1999-12-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주파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50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22,899 US6272336B1 (en) 1998-12-30 1998-12-30 Traffic-weighted closed loop power detection system for use with an RF power amplifier and method of operation
US09/222,899 1998-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845A true KR20000047845A (ko) 2000-07-25
KR100350491B1 KR100350491B1 (ko) 2002-08-28

Family

ID=2283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325A KR100350491B1 (ko) 1998-12-30 1999-12-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주파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72336B1 (ko)
KR (1) KR1003504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864B1 (ko) * 2005-12-13 2006-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손실을 줄인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 전력 감지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926906B1 (ko) * 2006-09-29 2009-11-17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KR101337181B1 (ko) * 2007-08-30 2013-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01723B1 (ko) * 2008-01-11 2014-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력 증폭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5238B2 (en) * 2000-03-29 2003-09-23 Sony Corporation Low power and high linearity receivers with reactively biased front ends
EP1168742B1 (en) * 2000-06-28 2008-03-19 Sony Deutschland GmbH Modulation identification device
US6466150B1 (en) * 2000-10-25 2002-10-15 Qualcomm, Inc. Polar analog-to-digital converter
KR100382487B1 (ko) * 2000-11-02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득 및 위상 왜곡 보상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송신시스템
US7746292B2 (en) 2001-04-11 2010-06-29 Kyocera Wireless Corp. Reconfigurable radiation desensitivity bracket systems and methods
US7154440B2 (en) * 2001-04-11 2006-12-26 Kyocera Wireless Corp. Phase array antenna using a constant-gain phase shifter
US7221243B2 (en) * 2001-04-11 2007-05-22 Kyocera Wireless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electrical signals
US7174147B2 (en) * 2001-04-11 2007-02-06 Kyocera Wireless Corp. Bandpass filter with tunable resonator
US6690251B2 (en) * 2001-04-11 2004-02-10 Kyocera Wireless Corporation Tunable ferro-electric filter
US7190935B2 (en) * 2001-09-14 2007-03-13 Rf Micro Devices, Inc. Amplifier power detection circuitry
US6687491B2 (en) * 2002-01-18 2004-02-03 Sony Corporation Direct conversion of low power high linearity receiver
US7184727B2 (en) * 2002-02-12 2007-02-27 Kyocera Wireless Corp. Full-duplex antenna system and method
US7176845B2 (en) * 2002-02-12 2007-02-13 Kyocera Wireless Corp. System and method for impedance matching an antenna to sub-bands in a communication band
US7180467B2 (en) * 2002-02-12 2007-02-20 Kyocera Wireless Corp. System and method for dual-band antenna matching
JP3958066B2 (ja) * 2002-02-21 2007-08-15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送信出力回路および移動体通信端末
GB0205199D0 (en) * 2002-03-06 2002-04-17 Univ Belfast Modulator/transmitter apparatus and method
US7177606B2 (en) * 2002-07-10 2007-02-1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n output signal power level of a wireless transmitter
US7751496B2 (en) * 2003-06-25 2010-07-06 Pine Valley Investments, Inc.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r, receiver and transceiver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US7151913B2 (en) * 2003-06-30 2006-12-19 M/A-Com, Inc.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r, receiver and transceiver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US7221915B2 (en) * 2003-06-25 2007-05-22 M/A-Com, Inc.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r, receiver and transceiver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US7254195B2 (en) * 2003-08-25 2007-08-07 M/A-Com, Inc.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dynamic differential delay correction
US7277678B2 (en) * 2002-10-28 2007-10-02 Skyworks Solutions, Inc. Fast closed-loop power control for non-constant envelope modulation
US20040092185A1 (en) * 2002-11-13 2004-05-13 Grafe Timothy H. Wipe material with nanofiber layer
US6950636B2 (en) * 2002-12-06 2005-09-27 Skyworks Solutions, Inc. Power amplifier control driver having over-current protection and linear control
US6816008B2 (en) * 2002-12-31 2004-11-09 Alion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 Quasi-linear multi-state digital modulation through non-linear amplifier arrays
JP3907052B2 (ja) * 2003-03-07 2007-04-18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増幅回路
US20040224715A1 (en) * 2003-05-07 2004-11-11 Rosenlof John R.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transmitter impairments
US7720443B2 (en) 2003-06-02 2010-05-18 Kyocera Wireless Corp.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elephone communications
US7720171B2 (en) * 2003-06-13 2010-05-18 Alcatel-Lucent Usa Inc. Coefficient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091778B2 (en) * 2003-09-19 2006-08-15 M/A-Com, Inc. Adaptive wideband digital amplifier for linearly modulated signal amplification and transmission
US7038542B2 (en) * 2003-10-22 2006-05-02 Kabushiki Kaisha Toshiba Variable gain amplifier
US20050162794A1 (en) * 2003-10-30 2005-07-28 Donnelly David S. System for mitigating radiation effects on componentry in space
US7379714B2 (en) * 2004-04-02 2008-05-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transmitter's impedance
US7398063B2 (en) * 2004-11-23 2008-07-08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adio Frequency signals over a range of powers
EP2259640B1 (en) * 2004-12-23 2013-09-1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power control system thereof
EP1831992A1 (en) * 2004-12-23 2007-09-1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ower control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7345534B2 (en) * 2005-05-31 2008-03-18 M/A-Com Eurotec Bv Efficient power amplification system
US7392021B2 (en) * 2005-08-03 2008-06-24 M/A-Com,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ower delivered to a load
US20070087770A1 (en) * 2005-10-14 2007-04-19 Hong Ga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48762B2 (en) * 2005-11-30 2009-06-16 Kyocera Corporation Method for tuning a GPS antenna matching network
US20090027112A1 (en) * 2007-07-26 2009-01-29 Chin Li Controllable precision transconductance
US7671699B2 (en) * 2007-08-14 2010-03-02 Pine Valley Investments, Inc. Coupler
KR101656101B1 (ko) * 2009-12-15 2016-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전력 제어 및 장치
CN101789805B (zh) * 2010-02-24 2014-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放大装置和基于放大装置的信号处理方法
EP2439988B1 (en) * 2010-10-08 2014-06-25 Alcatel Lucent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base station
US9031601B2 (en) 2012-06-25 2015-05-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ling radio transmitter power based on signal performance
US10797389B2 (en) * 2015-08-17 2020-10-06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Non-invasive beam forming add-on module
CN105305990B (zh) * 2015-12-09 2018-02-09 北京中科汉天下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放大器的功率控制电路
CN108418563A (zh) * 2018-02-23 2018-08-17 深圳飞骧科技有限公司 一种功率放大器的反馈控制电路
US10615893B1 (en) * 2018-09-27 2020-04-07 Intel Corporation Transmitter with feedback control
TWI739713B (zh) * 2021-02-04 2021-09-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用於發射機的增益控制電路及相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6685B2 (ja) * 1989-09-06 1998-05-06 富士通株式会社 送信出力制御回路
US4996500A (en) * 1989-10-24 1991-02-26 Hewlett-Packard Company Automatic control system
KR960000775B1 (ko) * 1990-10-19 1996-01-12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고주파 전력 증폭기의 출력레벨 제어회로
GB9320078D0 (en) * 1993-09-29 1993-11-17 Linear Modulation Tech Cartesian amplifier power control and related applications
CA2135816C (en) * 1993-11-19 2000-02-15 Takashi Enoki Transmission circuit with improved gain control loop
JP3192323B2 (ja) * 1994-07-29 2001-07-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力制御回路
US5559471A (en) * 1994-12-21 1996-09-24 Motorola, Inc. Amplifier and biasing circuit therefor
JPH08307159A (ja) * 1995-04-27 1996-11-22 Sony Corp 高周波増幅回路、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5689815A (en) * 1995-05-04 1997-11-18 Oki Telecom, Inc. Saturation prevention system for radio telephone with open and closed loop power control systems
AU6861296A (en) * 1995-08-30 1997-03-19 Matsushita Communication Industrial Corporation Of America Highly responsive automatic output power control based on a differential amplifier
JPH09321681A (ja) * 1996-05-31 1997-12-12 Fujitsu Ltd 送信電力制御装置
US6055418A (en) * 1996-07-05 2000-04-25 Thomcast Communications, Inc. Computer program product configured to control modular transmission system components
JP3493424B2 (ja) * 1998-05-29 2004-02-03 京セラ株式会社 Cdma方式の送信電力制御方法
US6124758A (en) * 1998-08-19 2000-09-26 Harris Corporation RF power amplifier control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864B1 (ko) * 2005-12-13 2006-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손실을 줄인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 전력 감지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926906B1 (ko) * 2006-09-29 2009-11-17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KR101337181B1 (ko) * 2007-08-30 2013-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01723B1 (ko) * 2008-01-11 2014-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력 증폭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72336B1 (en) 2001-08-07
KR100350491B1 (ko) 200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49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주파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6693974B2 (en)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circuit using adjacent channel power profile and method of operation
US6751447B1 (en)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circuit using output reference signal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430458B1 (ko) 무선 주파수 증폭기에 대한 적응성 프리리미터
US6449466B1 (en)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for use in a transmitter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703649B1 (ko) Rf 전력 증폭기의 동적 바이어스를 위한 가입자 장치 및방법
KR101025693B1 (ko) 송신 출력 회로 및 이동체 통신 단말기
KR100277126B1 (ko) 가변 전력 증폭기의 동적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1517170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A250651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transmitter power efficiency
US20090079511A1 (en) Polar Modulation Transmiss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7058370B2 (en) Transmission power amplifier unit
KR20000011333A (ko) 데이터전송방법및무선시스템
KR20010029804A (ko) 전력 증폭기의 온도 보상 바이어스 네트워크와 그 동작 방법
KR100289284B1 (ko)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의 순방향 전력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14839A (ko) 기지국 송신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cdma 이동 통신시스템
US6766150B1 (en) System and method for tuning a narrowband cavity filter used in a CDMA transmitter
KR100266868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기지국시스템의파일럿송신기
GB2401264A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bias and quiescent current of an RF transmitter
KR100700594B1 (ko)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02920A (ko)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수신시스템 및 수신전력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