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735A - 초배지 - Google Patents

초배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735A
KR20000047735A KR1019990052943A KR19990052943A KR20000047735A KR 20000047735 A KR20000047735 A KR 20000047735A KR 1019990052943 A KR1019990052943 A KR 1019990052943A KR 19990052943 A KR19990052943 A KR 19990052943A KR 20000047735 A KR20000047735 A KR 20000047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medium
super medium
cemen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낙천
Original Assignee
이낙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80052093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24070A/ko
Application filed by 이낙천 filed Critical 이낙천
Priority to KR101999005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7735A/ko
Publication of KR20000047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73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38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8Corrosion-inhibiting agents or anti-oxida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배지에 관한 것으로, 숯 50 ∼ 75중량%와 접착제 25 ∼ 50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통상의 초배지 표면 중 적어도 일면에 100 ∼ 300g/㎡의 양으로 도포하고, 50 ∼ 70℃ 온도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제조한 초배지를 시멘트로 건축된 건축물의 벽면 등에 붙이고 도배를 하므로서 원적외선 방사능 및 음이온 방출능을 가지며,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전자파흡수능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갖는 숯으로 인하여 시멘트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발성 유해성분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며 최종 도배지의 접착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었다.

Description

초배지{Preliminary wallpaper}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능 및 음이온 방출능을 가지며,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전자파 및 수맥파 흡수능을 가지며 탈취와 곰팡이 및 유해세균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초배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숯 50 ∼ 75중량%와 접착제 25 ∼ 50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통상의 초배지 표면 중 적어도 일면에 100 ∼ 300g/㎡의 양으로 도포하고, 50 ∼ 70℃ 온도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배지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제품 고유의 특성은 물론 부수적인 효과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각종 기능성 제품이 제조, 판매되고 있고, 원적외선 방사능 등과 같은 기능성을 갖는 많은 제품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건축물의 내, 외장재에도 응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건축물은 내구성 등이 우수한 시멘트를 주재료로 하여 건축되고 있으나 시멘트로부터 악취가 나는 것은 물론 인체에 해를 끼치는 성분들 예를 들어, 휘발성 유기 화합물도 많이 배출되고 있다.
특히, 각종 건축물의 건축시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시멘트로부터의 악취 발생 및 유해 성분의 배출이 심하게 일어나며, 건조가 완벽하게 이루어진다고 하여도 시멘트 특유의 냄새가 발생하고 시멘트 가루가 묻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도배를 하거나 도료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시멘트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인체에 유익한 특성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시멘트로 형성된 벽면, 마루 및 천정면에 황토, 맥반석, 바이오세라믹 등의 성분이 함유된 혼합물을 도포하거나 시멘트에 혼합하여 벽면 등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시멘트 벽면이나 기타 고형분으로 형성된 벽면 등에 도배지를 접착하는 경우에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점이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는 초배지를 먼저 붙이고 도배지를 접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도배를 하거나 도료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법은 외관이 미려하게 마무리되는 장점은 있지만 시멘트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는 거의 차단되거나 없어지지 않으며, 유해 물질의 차단이나 흡수 역시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황토, 맥반석, 바이오세라믹 등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벽면 등에 도포하거나 시멘트에 혼합하여 건축물의 벽면 등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방법은 건축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값이 비싸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고 시멘트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의 해결 효과 역시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바이오세라믹, 게르마늄, 맥반석, 황토 등은 원적외선 방사능 이외에 다른 기능성이 발현되지 않아 실제적으로는 많이 적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 방사능 및 음이온 방출능을 가지며,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전자파 및 수맥파 흡수능을 가지며 탈취와 곰팡이 및 유해세균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도배지의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초배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능성 물질의 탈리가 잘 일어나지 않아 기능성이 지속적으로 발현되므로 내구성이 강한 초배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숯 50 ∼ 75중량%와 접착제 25 ∼ 50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통상의 초배지 표면 중 적어도 일면에 100 ∼ 300g/㎡의 양으로 도포하고, 50 ∼ 70℃ 온도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제조한 초배지를 시멘트로 건축된 건축물의 벽면 등에 붙이고 도배를 하므로서 원적외선 방사능 및 음이온 방출능을 가지며,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전자파흡수능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갖는 숯으로 인하여 시멘트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발성 유해성분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며 최종 도배지의 접착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었다.
도 1은 암모니아를 이용한 시간 경과에 따른 가스농도곡선이고,
도 2는 초배지의 온습도 측정결과(25℃, 65% → 30℃,65%)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은 초배지의 온습도 측정결과(30℃, 65% → 30℃,50%)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초배지의 이산화탄소 가스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는 초배지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는 숯 50 ∼ 75중량%와 접착제 25 ∼ 50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통상의 초배지 표면 중 적어도 일면에 100 ∼ 300g/㎡의 양으로 도포하고, 50 ∼ 70℃ 온도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능성 물질인 숯은 원적외선 방사능이 있고, 음이온을 방출하며, 온도와 습도의 조절능이 우수하고, 전자파와 수맥파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자기파의 흡수능이 있으며, 탈취 효과가 우수하고 곰팡이 및 유해세균의 발생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적외선은 신체 내부 깊숙이 작용하여 몸을 따듯하게 하고, 혈액순환 촉진 및 피로 회복과 노폐물 배출 효능을 도와주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숯의 주요 성분은 탄소(C14)와 무기질인데 나무가 흙으로부터 Ca, K, Na, Mg 등을 흡수하고 나무로 숯을 구울 때 유기산과 수분은 증발되고 탄소와 무기질만 남게 되며, 이들 성분 중에서 흙으로부터 흡수된 게르마늄(Ge)성분 등의 미량 광물질에 의해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방사율은 93%에 이른다. 음이온은 각종 오염으로 급증한 주변의 양이온을 흡착, 중화시켜서 신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숯의 성분 중 85% 이상인 탄소에서 많은 양의 음이온이 발생되는 데 숯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은 매우 활발한 전자이기 때문에 주변의 물질이 잃기 쉬운 전자(음이온)를 공급하여 양이온의 작용으로 인한 부패, 부식, 산화 등의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숯은 1g당 내부 표면적이 300㎡ 정도의 기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변이 다습할 경우에는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한 경우에는 수분을 발산하는 호환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함으로서 인체의 생활리듬을 최적으로 만들어 주어 건강 유지에 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기공이 유해한 각종 미생물 및 냄새를 흡착하여 부패 방지는 물론 방취, 방부의 효과가 있는 것이고, 외부의 온도를 차단하는 효과가 발생되어 초배지에 적용될 경우 실내의 온도를 일정 기간 유지해 줄 수 있으며, 숯은 pH 8 ∼ 9의 약알칼리성이어서 곰팡이 및 유해 세균 등의 생육 조건이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습도의 조절기능이 병행되어 곰팡이 및 유해 세균 등은 물론 바퀴벌레도 서식할 수 없게 되고, 각종 전기, 전자 제품에서 나오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와 지하의 수맥 흐름이 차단되어 부패한 물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수맥파를 숯이 흡수하여 사람의 신체를 유해 전자파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숯은 50 ∼ 7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사용량이 5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원적외선 방사율 등과 같은 숯으로부터 발현되는 효과의 발현 정도가 미약한 단점이 있고, 7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되는 초배지로부터 숯이 탈리될 가능성이 높으며, 시멘트로 형성된 벽면과의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접착제가 사용 가능하며, 유동성을 가져 고체 표면을 적셔 고화할 수 있고, 고화할 때 체적수축이 적으며, 온습도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응력에 의한 접착의 안정성이 손상되지 않고 장기부하에 클리프하지 않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이 특히 효과적이다.
접착제는 숯의 분산과 도포층으로부터 숯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시멘트로 형성된 벽면 등에 접착이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분질의 접착제는 물론 클로로프렌, 폴리초산비닐,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즈 등과 같이 용액 및 에멀젼형의 합성수지재 접착제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의 점도를 낮추어 통사의 초배지 표면에 도포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희석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 예를 들면 전분질 접착제의 경우에는 물을, 합성수지재 접착제의 경우에는 접착제 성분의 합성수지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제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희석제의 사용량은 사용될 초배지의 종류 및 특성, 접착제의 종류 및 특성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초배지는 제지형성능을 갖는 물질로 제조된 초배지가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먼저, 숯 50 ∼ 75중량%와 접착제 25 ∼ 50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통상의 초배지 표면 중 적어도 일면에 100 ∼ 300g/㎡의 양으로 도포하고, 50 ∼ 70℃ 온도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본 발명의 초배지를 제조한다.
도포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로울러를 이용한 도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도포시 특정 부위만 접착제의 농도를 높게할 수도 있다.
숯과 접착제 혼합물의 도포량은 통상의 초배지 1㎡당 100 ∼ 300g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도포량이 100g/㎡ 미만이면 초배지에 도포되는 숯의 양이 적어 원적외선 방사효율 등과 같은 숯으로부터 발현되는 효과의 발현 정도가 미약한 단점이 있고, 300g/㎡을 초과할 경우에는 통상의 초배지 표면에 숯과 접착제 혼합물을 도포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도포 후 건조 방법으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건조 방법이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50 ∼ 70℃ 온도의 열풍으로 건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숯 70중량%와 전분질 접착제 30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통상의 초배지 1㎡ 당 150g의 양이 되도록 로울러 방식으로 도포한 후, 60℃의 열풍으로 3분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초배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초배지를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KICM-FIR-1042의 방법 즉, 전하입자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2℃, 습도 55%, 대기중 음이온수 80/cc 조건에서 음이온 발생정도를 측정하고 측정대상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측정하여 단위체적당 이온수로 표시한 결과, 178/cc이었으며, KICM-FIR-1004의 방법으로 탈취효과를 시험한 결과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탈취 효과에 대한 데이타를 도 1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경과시간(분) 블랭크농도(ppm) 시료농도(ppm) 탈취율(%)
초기 500 500 -
30 480 170 65
60 470 140 70
90 450 120 73
120 440 110 75
1) 블랭크(Blank):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임
2) 시험가스명 : 암모니아
3)가스농도측정 : 가스검지관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초배지에 대한 온도 및 습도 조절능력, CO2가스 흡착성능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의 흡착성능을 평가하였다.
즉, 무게가 45g이고, 면적이 2970㎡(45㎝ × 66㎝)인 초배지 7장을 테스트용 챔버(온도(10 ∼ 40℃) 및 상대습도(45 ∼ 75%)의 조절이 가능) 내부에 부착하고, 초배지를 부착하지 않은 동일한 챔버를 이용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먼저, 초기에 온습도를 25℃, 65%로 세팅한 후, 30℃, 65%로 온도를 상승시켰으며, 이 후 다시 30℃, 50%로 상대습도를 낮추어 실내공기환경 실험실의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온습도를 측정하되 각 챔버의 내부에 온습도 센서(SATO사제 온습도계; 모델명 SK_L200TH)를 넣고 5분 간격으로 데이터를 연속으로 획득하여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의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챔버내에 농도 11.1%인 CO2가스를 5ℓ씩 주입하고, 약 2분 간격으로 챔버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를 멀티가스모니터(Multi-gas Monitor : B&K-Type 1302)와 샘플러 앤 도서(Sampler & Doser : B&K-Type 1303)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분석(B&K의 7620 프로그램)한 후, 그 결과를 도 4 및 표 2에 도시 및 기재하였다.
초기농도(ppm) 4시간후농도(ppm) 감소량(ppm) 감쇄율(%)
초배지 부착 챔버 2876 2289 587 20.41
초배지 미부착 챔버 3100 2584 516 16.64
뿐만 아니라, 톨루엔, 에틸벤젠, 오르소-크실렌 각각 500㎕씩 취하여 바이얼(Vial)에 넣고 혼합하여 제작한 시약을 각 챔버에 넣고 경과시간별로 샘플링 튜브(AMETEK-ALPHA-2)에 흡착시키고 열탈착장비 및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MSD : HP 5973)를 이용하여 분석(켐스테이션(Chemstation) 프로그램)하므로서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성능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도시하였다.
습공기선도로 확인한 결과, 25℃, 65%의 공기를 30℃로 가열하면 상대습도는 48%까지 떨어지게되지만, 초배지를 부착한 챔버의 상대습도는 초배지가 부착되지 않은 챔버에 비해 약 상대습도 7% 정도 높은 결과를 보여 조습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습도를 변화시킨 경우에도 초배지가 부착된 챔버와 부착되지 않은 챔버의 상대습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배지의 이산화탄소 농도 초기값과 4시간 경과후의 값을 비교한 결과, 초배지가 부착된 챔버에서의 감쇄율은 20.41%로 초배지를 부착하지 않은 챔버의 16.64% 보다 높은 감쇄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챔버내에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이 동일한 경우 초배지를 부착한 챔버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가 낮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초배지에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숯 50 ∼ 75중량%와 접착제 25 ∼ 50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통상의 초배지 표면 중 적어도 일면에 100 ∼ 300g/㎡의 양으로 도포하고, 50 ∼ 70℃ 온도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제조한 초배지를 시멘트로 건축된 건축물의 벽면 등에 붙이고 도배를 하므로서 원적외선 방사능 및 음이온 방출능을 가지며,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전자파흡수능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갖는 숯으로 인하여 시멘트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발성 유해성분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며 최종 도배지의 접착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었다.

Claims (1)

  1. 숯 50 ∼ 75중량%와 접착제 25 ∼ 50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통상의 초배지 표면 중 적어도 일면에 100 ∼ 300g/㎡의 양으로 도포하고, 50 ∼ 70℃ 온도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배지.
KR1019990052943A 1998-12-01 1999-11-26 초배지 KR20000047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943A KR20000047735A (ko) 1998-12-01 1999-11-26 초배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093A KR19990024070A (ko) 1998-12-01 1998-12-01 초배지
KR1019980052093 1998-12-01
KR1019990052943A KR20000047735A (ko) 1998-12-01 1999-11-26 초배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735A true KR20000047735A (ko) 2000-07-25

Family

ID=2663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943A KR20000047735A (ko) 1998-12-01 1999-11-26 초배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77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5007735A1 (de) Verfahren und materialien zur sanierung schadstoffbelasteter räume
KR100358326B1 (ko) 기능성 도료
KR100651080B1 (ko) 조습성을 갖는 무기계 바름재 조성물
KR20110096652A (ko) 라돈저감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
JP2003336374A (ja) 壁上塗材
KR20000047735A (ko) 초배지
JPH11128329A (ja) ホルムアルデヒド捕捉材、ホルムアルデヒド吸着材、ホルムアルデヒド発生抑制部材及びホルムアルデヒド捕捉部の捕捉状況表示方法
KR100587991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판 마루바닥재
JP5136872B2 (ja) 調湿性と塗装性を有すると共に、ホルムアルデヒドの低減性を有する内装仕上げ材
JPH0268400A (ja) 多孔質塩化ビニル系樹脂壁紙
KR100552324B1 (ko) 포죠란을 이용한 마무리용 벽바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18067Y1 (ko) 기능성 지류
JP2000192373A (ja) 下貼り紙
KR19990024071A (ko) 기능성 도료
KR100192935B1 (ko) 건강증진 및 보호기능을 갖는 합성수지재 벽지코팅용 조성물
KR101375150B1 (ko) 바이오 액체 벽지 조성물 및 바이오 액체벽지 조성물 제조방법
KR100736277B1 (ko)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80254Y1 (ko) 기능성 지류
KR20020079314A (ko) 숯도료
KR100508461B1 (ko) 포죠란 분말을 이용한 초배지
KR200370962Y1 (ko) 합판 마루바닥재
CN103113836B (zh) 一种白乳胶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0530020B1 (ko) 황토 초배지
JP2010094378A (ja) 吸着分解層を形成したシート状物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5104817A (ja) セラミック添加剤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