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139A - 광섬유리본 - Google Patents
광섬유리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47139A KR20000047139A KR1019980063903A KR19980063903A KR20000047139A KR 20000047139 A KR20000047139 A KR 20000047139A KR 1019980063903 A KR1019980063903 A KR 1019980063903A KR 19980063903 A KR19980063903 A KR 19980063903A KR 20000047139 A KR20000047139 A KR 200000471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fiber
- ribbon
- fiber ribbon
- groove
- optic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4—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 C03B37/01486—Means for supporting, rotating or translating the preforms being formed, e.g. lath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4—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 C03B37/018—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by glass deposition on a glass substrate, e.g. by inside-, modified-, plasma-, or plasma modified- chemical vapour deposition [ICVD, MCVD, PCVD, PMCVD], i.e. by thin layer coating on the inside or outside of a glass tube or on a glass rod
- C03B37/01884—Means for supporting, rotating and translating tubes or rods being formed, e.g. lath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단이 플랙시블(flexible)한 광섬유리본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그루브 내에 삽입된 광섬유리본의 양측 단부에 집중적인 측압이 발생되는 것을 완충시겨 주므로써 광손실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광섬유가 리본 형상으로 피복된 광섬유리본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리본의 외곽 광섬유와 인접한 광섬유 사이의 리본피복 상하면 또는 일측 하면과 타측 상면상에 일정 깊이를 갖는 완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홈을 중심으로 양측 단부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리본피복된 완충부가 마련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그루브 내에 삽입된 광섬유리본의 모서리 일부 구간에 집중적인 측압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최외곽 광섬유의 둘레면에 플랙시블한 재질의 완충부가 마련되고, 광섬유리본의 양단부가 상기 완충홈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구부러지면서 측압을 완충시켜 주므로 이에 따른 마이크로 벤딩현상과 광신호 누설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측단이 플랙시블(flexible)한 광섬유리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루브 내에 삽입된 광섬유리본의 모서리 부분에 응력 집중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광섬유리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롯형 광케이블은 슬롯로드의 외주면에 일정깊이를 갖는 다수개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 내에는 복수개의 광섬유리본이 적층되게 삽입된다.
도 1은 종래 슬롯로드의 그루브 내에 광섬유리본이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광케이블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슬롯형 광케이블(1)은 슬롯로드(10)의 중심부에 중심인장선(13)이 삽입되어 포설시의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롯로드(10)의 원주면에는 서로 대칭되도록 일정깊이를 갖는 두 개 이상의 그루브(11)가 슬롯로드(1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광섬유리본(20)은 다수개의 단심광섬유(21)를 일렬로 배열한 상태에서 리본레진에 의해 소정 두께로 리본피복(22)되어 상기 슬롯로드(10)의 그루브(11)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리본(20)은 그루브(11)의 내벽면과 접해지는 부분에 집중적인 측압을 받게되는 데, 이러한 광섬유리본(20)의 둘레면에는 빈틈없이 코팅된 리본피복(22)층이 형성되어 상기 측압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도 2는 광신호가 전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광섬유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광섬유(21)는 그 중심에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코어(25)층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25) 외측에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클래드층(23)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25) 내에 입사된 광신호는 상기 코어(25)와 클래드층(23) 사이의 경계면(24)으로 임계각보다 큰 각도로 입사되면서, 경계면(24)을 투과하지 못하고 전반사되어 코어(25) 내부로 전파되어 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섬유(21)에 부분적인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되면, 상기 클래드층(23)과 코어(25) 사이의 경계면(24)에서 마이크로 벤딩현상이 발생된다.
도 3은 마이크로 벤딩부에서 광신호가 누설되는 모습을 도시한 코어와 클래드층의 경계면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 벤딩부의 경계면(24)에는 미세하지만 일정한 굴곡면이 형성되고, 이러한 굴곡면에 광신호가 입사되면 굴곡면의 위치에 따라 광신호의 입사각도가 다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계면(24)에 입사되는 광신호 중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되는 광신호(Q1)는 전반사되어 코어(25) 내로 전파되지만, 임계각 이하로 입사되는 광신호(Q2)는 클래드층(23)으로 굴절되어 누설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그루브 내에 삽입되는 광섬유리본의 양측단부에 일정한 완충홈과 완충부를 형성하여 그루브의 내벽면과 접해지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작용되는 측압을 일정하게 완충시켜 주므로써, 광신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광섬유리본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슬롯로드의 그루브 내에 광섬유리본이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광케이블의 사시도,
도 2는 광신호가 전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광섬유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마이크로 벤딩부에서 광신호가 누설되는 모습을 도시한 코어와 클래드층의 경계면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리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리본 변형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리본이 그루브 내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리본의 변형예가 그루브 내에 삽입된 모습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리본을 따라 광신호가 전파되는 모습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광케이블 10 : 슬롯로드
11 : 그루브 20 : 광섬유리본
21 : 광섬유 22 : 리본피복
23 : 클래드층 24 : 경계면
25 : 코어 27 : 완충홈
28 : 완충부
본 발명은 다수개의 광섬유가 리본 형상으로 피복된 광섬유리본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리본의 최외곽 광섬유와 인접한 광섬유 사이의 리본피복 상하면 또는 일측 하면과 타측 상면상에 일정 깊이를 갖는 완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홈을 중심으로 양측 단부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리본피복된 완충부가 마련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부는 영스 모듈러스가 작은 아크릴레이트계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측압을 완충시켜 주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리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리본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광섬유리본(20)에는 다수개의 광섬유(21)가 일렬로 배열되어 리본 형태로 피복된다.
상기 광섬유리본(20)의 최외곽 광섬유(21a)와 인접한 광섬유(21) 사이의 리본 피복(22)에는 일측 하면과 타측 상면 또는 양측 상하면에 각각 길이방향의 완충홈(2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리본(20)의 최외곽 광섬유(21a) 둘레면에는 영스모듈러스가 비교적 작은 플랙시블한 재질의 아크릴레이트계 합성수지로 피복된 완충부(28)가 마련되어 작용되는 측압을 완충시켜 주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작용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리본이 그루브 내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리본의 변형예가 그루브 내에 삽입된 모습을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광섬유리본(20)과 그루브(11) 내벽면 사이에 측압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광섬유리본(20)의 양측단은 완충홈(27)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구부러지면서 측압을 완충시켜 주게된다.
또한, 이때 가장 많은 측압을 받는 최외곽 광섬유(21a)의 둘레면에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리본 피복된 완충부(28)가 마련되어 측압이 완충되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그루브(11) 내에 삽입된 광섬유리본(20)은 상기 완충홈(27)과 완충부(28)의 작용에 의해 그루브(11) 내벽면과 접촉되는 광섬유리본(20)의 양측 단부의 측압을 일정하게 완충시켜 주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리본을 따라 광신호가 전파되는 모습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코어(25)와 클래드층(23) 사이의 경계면(24)에 입사되는 광신호는 항상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되고, 상기 광섬유(2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력이 분산 작용되어 부분적인 응력집중에 따른 마이크로 벤딩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의 코어(25)와 클래드층(23) 사이의 경계면(24)에는 마이크로벤딩에 따른 굴곡이 없고, 광신호가 임계각도 이상으로 입사되기 때문에 결국, 상기 광신호는 경계면(24)을 투과하지 못하고 전반사되어 코어(25)를 따라 전파되어 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그루브 내에 삽입된 광섬유리본의 모서리 일부 구간에 집중적인 측압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최외곽 광섬유의 둘레면에 플랙시블한 재질의 완충부가 마련되고, 광섬유리본의 양측 단부가 상기 완충홈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구부러지면서 측압을 완충시켜 주므로 이에 따른 마이크로 벤딩현상과 광신호 누설이 방지된다.
Claims (2)
- 다수개의 광섬유(21)가 리본 형상으로 피복된 광섬유리본(20)에 있어서,상기 광섬유리본(20)의 최외곽 광섬유(21a)와 인접한 광섬유(21) 사이의 리본피복(22) 상하면 또는 일측 하면과 타측 상면상에 일정 깊이를 갖는 완충홈(27)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최외곽 광섬유(21a) 둘레면에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리본 피복된 완충부(28)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리본.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완충부(28)는 영스 모듈러스가 작은 아크릴레이트계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측압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리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63903A KR20000047139A (ko) | 1998-12-31 | 1998-12-31 | 광섬유리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63903A KR20000047139A (ko) | 1998-12-31 | 1998-12-31 | 광섬유리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47139A true KR20000047139A (ko) | 2000-07-25 |
Family
ID=1957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63903A KR20000047139A (ko) | 1998-12-31 | 1998-12-31 | 광섬유리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47139A (ko) |
-
1998
- 1998-12-31 KR KR1019980063903A patent/KR200000471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TE349022T1 (de) | Faseroptisches anschlusskabel | |
US4054365A (en) | Fiber optic cable construction | |
US4795232A (en) | Fibre optic cable responsive to microbending forces | |
KR960704245A (ko) | 광섬유와 광도파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폴리머 미세구조 | |
KR930023743A (ko) | 광파이버 클램프 | |
US4815817A (en) | D-shaped fiber | |
KR100305545B1 (ko) | 광섬유케이블및광섬유케이블의제조방법 | |
JPH11352344A (ja) | 低クロストーク光配線 | |
WO2005111678A1 (en) | Buffered optical waveguides | |
KR100414913B1 (ko) | 패드를 구비한 소형 경량 광케이블 | |
KR20000047139A (ko) | 광섬유리본 | |
KR100285154B1 (ko) | 광섬유리본 | |
EP0803745B1 (en) | Fiber optics device | |
KR20000041184A (ko) | 광섬유리본 | |
US7819590B2 (en) | Ferrule for an evanescence field sensor line | |
CN209821425U (zh) | 一种新型光导元件 | |
KR19990081325A (ko) | 광케이블 | |
KR100334823B1 (ko) | 리본 광섬유 케이블 | |
KR20000047133A (ko) | 광섬유리본 | |
US6868218B2 (en) | Optical fiber closure having an integrated bend limiting feature | |
JP3111871B2 (ja) | 光モジュール | |
KR20060080785A (ko) |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 | |
KR20240087345A (ko) |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 |
US20230305251A1 (en) | Optical fiber cable and cable with connector | |
KR100301775B1 (ko) | 광변형센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