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785A -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 - Google Patents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785A
KR20060080785A KR1020050001239A KR20050001239A KR20060080785A KR 20060080785 A KR20060080785 A KR 20060080785A KR 1020050001239 A KR1020050001239 A KR 1020050001239A KR 20050001239 A KR20050001239 A KR 20050001239A KR 20060080785 A KR20060080785 A KR 20060080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optical cable
optical fiber
protective layer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구
김진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1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0785A/ko
Publication of KR2006008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56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 G01N25/66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by investigating dew-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14Devices for monitoring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은, 전송 매체가 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요소와; 상기 광섬유 요소를 둘러싸는 플라스틱 재질의 튜브와; 상기 광케이블의 최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피복에 접착된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층과; 상기 튜브 및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제1 흡수성 부재를 포함한다.
공기압 포설, 광케이블, 흡수성 부재, 튜브

Description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OPTIC CABLE FOR AIR BLOW INSTALLATION METHOD}
도 1은 전형적인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공기압 포설 방법에 적용되는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요소(optical fiber element)를 실장하는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관로(duct)에 케이블을 포설하는 방법으로서, 통상적으로 상기 관로의 일단에서 상기 케이블을 잡아 당기거나 밀어 넣는 방법이 사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포설 방법을 따르면 케이블에 과도한 스트레스(stress)를 가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특히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경우에, 이러한 스트레스가 상기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에 미치게 됨으로써 상기 광섬유 표면의 미세 굴곡, 잔류 스트레스 (residual stress) 등의 문제들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장 포설 방법(tension method)에 적용되는 케이블은 항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보강 부재(strength member)를 구비하게 된다. 통상의 광케이블의 경우에 광섬유가 이러한 항장력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추가적으로 중심 보강 부재(central strength member: CSM)나 주변 보강 부재(peripheral strength member: PSM)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인장 포설 방법을 대체하기 위하여, 관로에 공기를 불어 넣음으로써 케이블을 포설하는 공기압 포설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공기압 포설 방법은 내부의 전기적 또는 광학적 신호의 전송 매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거의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통상의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은 인장 포설 방법에 적용되는 케이블에 비하여 더 작은 직경 및 무게와 더 큰 공기 저항력을 가져야 하므로, 중심 보강 부재나 주변 보강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1은 전형적인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광케이블(100)은 각각 광전송 매체가 되는 복수의 광섬유들(110)과, 상기 광케이블(100)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폴리탄산에스테르(polycarbonate: PC) 재질의 튜브(tube, 130)와, 상기 튜브(130) 내의 빈 공간에 채워진 젤리(jelly, 120)를 포함한다. 상기 광케이블(100)은 수분을 흡수하는 특성을 갖는 젤리(120)를 포함하며, 온도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수축이 작고 선팽창계수가 작은 재질인 폴리탄산에스테르를 상기 튜브(130)의 재질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100)은 공기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튜브(130)의 표면에 홈들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100)은 상기 튜브(130) 내부가 젤리(120)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광섬유들(110)의 세척이 어려우며, 또한 보강 부재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가해진 인장력에 의해 상기 광섬유(110) 및 튜브(130)가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튜브(130)의 재질로 폴리탄산에스테르를 사용하므로 내화학 특성이 비교적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내화학 특성 및 항장력이 향상된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화학 특성 및 항장력과 더불어 사용성이 개선된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은, 전송 매체가 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요소와; 상기 광섬유 요소를 둘러싸는 플라스틱 재질의 튜브와; 상기 광케이블의 최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피복에 접착된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층과; 상기 튜브 및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제1 흡수성 부재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광케이블(200)은 복수의 광섬유 요소들(optical fiber element, 210)과, 제1 및 제2 흡수성 부재들(water swellable member, 240,220)과, 튜브(230)와, 보호층(protection layer, 25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광섬유 요소들(210)은 각각 광전송 매체가 되며, 상기 각 광섬유 요소(210)는 광섬유, 버퍼 광섬유(buffered optical fiber) 또는 리본 광섬유(ribbon optical fiber)일 수 있다. 즉, 상기 각 광섬유 요소(210)는 통상의 유리 재질의 코어(core) 및 클래드(clad)로 이루어진 베어 광섬유(bare optical fiber), 베어 광섬유를 수지(resin)로 코팅한 것(이러한 타입을 통상적으로 광섬유라고 칭함),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광섬유를 착색한 것, 광섬유를 플라스틱(plastic)으로 압출 코팅한 것(이를 버퍼 광섬유라고 칭함), 복수의 광섬유들을 수지로 코팅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이를 리본 광섬유라고 칭함)일 수 있다.
상기 제2 흡수성 부재(220)는 상기 광섬유 요소들(210)과 함께 상기 튜브(230)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흡수성 유닛들(water swellable unit, 225)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흡수성 유닛(225)은 수분 흡수성 얀(water swellable yarn)일 수 있다. 이러한 수분 흡수성 얀은 광섬유와 마찬가지로 실의 형상을 가지며,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튜브(230)는 상기 광섬유 요소들(210) 및 제2 흡수성 부재(220)를 둘러싸며, 폴리탄산에스테르(polycarbonate: PC)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폴리탄 산에스테르는 수축이 작고 선팽창계수가 작은 재질이다.
상기 보호층(250)은 상기 광케이블(100)의 최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튜브(230)의 외면에 접착된다. 상기 보호층(250)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은 폴리탄산에스테르보다 내화학 특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보호층(250)은 상기 폴리탄산에스테르 재질의 튜브(230)가 갖는 취약한 내화학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보호층(250)은 상기 튜브(230)보다 온도 특성이 취약하므로, 상기 튜브(230)의 온도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230) 및 보호층(250)간의 단면적의 비는 7:3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단면적은 예를 들어 상기 튜브(230)의 내주 및 외주 사이의 면적을 말한다.
상기 제1 흡수성 부재(240)는 상기 튜브(230) 및 보호층(250)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흡수성 유닛(2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수성 유닛(245)은 수분 흡수성 얀일 수 있다. 상기 튜브(230)를 형성한 후 상기 튜브(230)의 외면 상에 상기 제1 흡수성 부재(240)를 배치하고, 상기 제1 흡수성 부재(240) 및 튜브(230)를 덮도록 상기 보호층(25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흡수성 부재(240)는 상기 튜브(230) 및 보호층(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흡수성 부재(240)는 상기 제2 흡수성 부재(220)와 함께 상기 광케이블(200)에 흡수 기능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광케이블(200)에 항장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흡수성 부재(240)로 인하 여, 상기 광케이블(200)은 외부 인장력에 의한 상기 광섬유 요소들(210) 및 튜브(230)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200)이 늘어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상기 광섬유 요소(210)의 연입률을 적정치보다 높게 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광섬유 요소(210)의 연입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흡수성 부재(240)가 하나의 흡수성 유닛(245)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1 흡수성 부재(240)는 복수의 흡수성 유닛들로 이루어질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은 튜브에 접착된 보호층을 포함함으로써 종래보다 내화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튜브와 보호층 사이에 제1 흡수성 부재를 배치시킴으로써 종래보다 항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튜브 내에 젤리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세척 등의 작업이 필요치 않아서 사용성이 개선된다는 이점들이 있다.

Claims (5)

  1.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에 있어서,
    전송 매체가 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요소와;
    상기 광섬유 요소를 둘러싸는 플라스틱 재질의 튜브와;
    상기 광케이블의 최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피복에 접착된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층과;
    상기 튜브 및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제1 흡수성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내에 배치되는 제2 흡수성 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은 보강 부재를 포함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폴리탄산에스테르 재질이며, 상기 보호층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및 보호층간의 단면적의 비는 7:3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
KR1020050001239A 2005-01-06 2005-01-06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 KR20060080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239A KR20060080785A (ko) 2005-01-06 2005-01-06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239A KR20060080785A (ko) 2005-01-06 2005-01-06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785A true KR20060080785A (ko) 2006-07-11

Family

ID=3717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239A KR20060080785A (ko) 2005-01-06 2005-01-06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07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504A (ko) * 2018-01-25 2019-08-02 코닝광통신코리아 유한회사 광섬유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504A (ko) * 2018-01-25 2019-08-02 코닝광통신코리아 유한회사 광섬유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0852B2 (en) Optical fiber cable suited for blown installation or pushing installation in microducts of small diameter
US9459421B2 (en) Aerial optical fiber cables
US20200233165A1 (en) Optical cable for terrestrial networks
US8705921B2 (en) Fiber optic drop cable
KR101140219B1 (ko) 공기압 설치용 광케이블
US10162144B2 (en) Fiber optic cable assembly
US20090087153A1 (en) Optical Fiber Microcable with Multilayer Protective Sheath
KR20080027328A (ko) 광섬유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US20050089285A1 (en) Optical fiber cables
US7174076B2 (en) Optical fiber cable suitable for installation using an air-blown installation method
EP1403671B1 (en) Dielectric optical fiber cable having reduced preferential bending
US966959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iber optic drop cable
EP1536262A1 (en) Optical fiber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for
KR20060080785A (ko) 공기압 포설용 광케이블
EP3226047B1 (en) Single layer optical fiber cable for microduct application
KR100744289B1 (ko) 옥내용 광섬유 케이블
KR20100065764A (ko) 스틸 외장 광섬유 케이블
US20230244050A1 (en) Optical fiber cable and cable with connector
EP3226048A1 (en) Optical fiber cable for blowing into ducts
US20100166379A1 (en) Fiber guide for fiber optic cables
KR20000047139A (ko) 광섬유리본
ITMI981255A1 (it) Modulo ottico miniaturizzato a piu' fibre ottiche
KR20080048436A (ko) 실내 광섬유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