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101A - 탈피가 용이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 Google Patents

탈피가 용이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101A
KR20000047101A KR1019980063865A KR19980063865A KR20000047101A KR 20000047101 A KR20000047101 A KR 20000047101A KR 1019980063865 A KR1019980063865 A KR 1019980063865A KR 19980063865 A KR19980063865 A KR 19980063865A KR 20000047101 A KR20000047101 A KR 20000047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oating layer
tight buffer
t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준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63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7101A/ko
Publication of KR20000047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10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02B6/4404Multi-podd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피가 용이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의 코팅층이 외부의 충격력에 강한 특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탈피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광섬유가 서로 접해지도록 집합된 상태에서 그 둘레면에 소정 두께의 코팅층이 형성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외표면에 소정 깊이의 절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을 따라 용이하게 탈피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는 영스 모듈러스가 비교적 큰 재질로 코팅된 상태에서 외표면에 소정 깊이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력에 강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별도의 탈피장비가 구비되지 않은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탈피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탈피가 용이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본 발명은 탈피가 용이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의 코팅층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절개홈을 형성하므로써, 탈피가 용이하도록 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의 전파 및 자기장에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아 정보의 전송 상태가 양호하므로 현재 통신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는 점점 타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은 수백 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의 거리에 설치되므로, 그 중간에 케이블의 접속 및 분기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광케이블에는 소정의 광신호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광섬유와 외부의 인장력에 대응하기 위한 인장선 등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광케이블의 표면층에는 일정한 외피로 둘러싸여 있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의 외피를 탈피하여 내장된 광섬유를 각각 대응되는 광섬유와 연결되도록 접속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1)는 다수개의 광섬유리본(10)이 적층된 상태에서 그 둘레면에 UV경화레진에 의해 타이트(tight)하게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코팅층(20)은 외부에서 작용되는 충격력이 내부의 광섬유리본(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1)는 광섬유리본(10) 뿐만이 아니라 다수개의 0.9㎜광섬유심선이 하나의 다발 형태로 집합된 상태에서 둘레면에 UV경화레진에 의해 코팅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코팅층(20)에 다수개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의 무게를 줄인 에어 브라운 화이버(air brown fiber)도 많이 사용된다.
이때, 상기 코팅층(20)은 영스 모듈러스(Yong`s Modulus)가 큰 재질로 코팅되어 있을 경우 외부의 충격력에는 강한 특성을 갖게 되나, 탈피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영스 모듈러스가 작은 재질로 코팅될 경우 탈피는 용이한 반면, 외부에서 작용되는 충격력을 완충시켜 줄 수 없기 때문에 광손실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1)의 코팅층(20)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탈피 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만일 현장에 탈피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탈피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기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의 코팅층이 외부의 충격력에 강한 특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탈피가 용이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를 별도의 탈피장치가 구비되지 않아도 용이하게 탈피할 수 있도록 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타이트 버퍼(tight-buffered)형 광섬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변형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를 탈피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10 : 광섬유리본
20 : 코팅층 25 : 절개홈
30 : 광섬유심선
본 발명은 다수개의 광섬유가 서로 접해지도록 집합된 상태에서 그 둘레면에 소정 두께의 코팅층이 형성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외표면에 소정 깊이의 절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을 따라 용이하게 탈피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1)는 다수개의 광섬유리본(10)이 적층된 상태에서 그 둘레면에 UV경화레진에 의해 타이트(tight)하게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코팅층(20)은 영스 모듈러스가 비교적 큰 재질로 코팅되어 외부의 충격력에 강한 특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동시에 그 외표면에는 소정 깊이의 절개홈(25)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코팅층(20)을 절개홈(25)을 따라 용이하게 탈피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1)는 광섬유리본(10) 뿐만이 아니라 다수개의 0.9㎜광섬유심선(30)이 하나의 다발 형태로 집합된 상태에서 둘레면에 UV경화레진에 의해 코팅되어 이루어지기도 하며, 이때에도 상기 코팅층(20)의 외표면에 소정 깊이의 절개홈(25)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코팅층(20)을 절개홈(25)을 따라 용이하게 탈피되도록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이 작용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가 탈피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1)는 다수개의 광섬유리본(10) 둘레면에 영스 모듈러스가 비교적 큰 재질로 코팅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력이 내부의 광섬유(10)상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에 따른 광손실 등을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코팅층(20)의 외표면에는 소정 깊이의 절개홈(25)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상기 코팅층(20)을 탈피하게 되면 절개홈(25)이 찢어지면서 코팅층(20)이 내부의 광섬유리본(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탈피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1)는 광섬유리본(10) 뿐만이 아니라 다수개의 0.9㎜광섬유심선이 하나의 다발 형태로 집합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1)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1)는 외력에 강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탈피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는 다수개의 광섬유 둘레면에 영스 모듈러스가 비교적 큰 재질로 코팅된 상태에서 외표면에 소정 깊이의 절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외부의 충격력에 강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절개홈을 따라 용이하게 탈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는 코팅층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을 따라 쉽게 탈피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탈피장비가 구비되지 않은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탈피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

  1. 다수개의 광섬유가 서로 접해지도록 집합된 상태에서 그 둘레면에 소정 두께의 코팅층(20)이 형성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1)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20)의 외표면에 소정 깊이의 절개홈(25)이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25)을 따라 용이하게 탈피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가 용이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KR1019980063865A 1998-12-31 1998-12-31 탈피가 용이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KR20000047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865A KR20000047101A (ko) 1998-12-31 1998-12-31 탈피가 용이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865A KR20000047101A (ko) 1998-12-31 1998-12-31 탈피가 용이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101A true KR20000047101A (ko) 2000-07-25

Family

ID=1957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865A KR20000047101A (ko) 1998-12-31 1998-12-31 탈피가 용이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71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412B1 (ko) * 2002-05-30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심 광섬유 케이블
KR20160104911A (ko) * 2015-02-27 2016-09-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 필러 및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705923A4 (en) * 2017-11-02 2021-08-1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FIBER OPTIC UNIT AND FIBER OPTIC CAB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412B1 (ko) * 2002-05-30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심 광섬유 케이블
KR20160104911A (ko) * 2015-02-27 2016-09-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 필러 및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705923A4 (en) * 2017-11-02 2021-08-1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FIBER OPTIC UNIT AND FIBER OPTIC CABLE
US11209606B2 (en) 2017-11-02 2021-12-28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fiber unit and optical fiber c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5306C (en) Optical fiber cable
KR0159087B1 (ko) 광섬유 리본의 결합 어레이
US4953945A (en) Transmission protective coated optical fiber tape
CA1254413A (en) Multi core optical fiber cable
EP1146374A3 (en) Optical fiber ribbon fan-out cables
DK0405851T3 (da) Kabel, der har et ikke-metallisk armeringslag
CA2091716A1 (en) Underwater optical fiber cable having optical fiber coupled to grooved core member
US20040247265A1 (en) Branching method for an optical fiber cable
CN108603991A (zh) 光纤线缆
WO2001065285A3 (en) Optical fiber ribbon cables with controlled bending behavior
JPH08106032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20000047101A (ko) 탈피가 용이한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EP1182484B1 (en) Optical fiber separation and regrouping device
US5715344A (en) Core for use in a slot type optical cable
CN116420102A (zh) 光纤带芯线
JP2000147340A (ja) 2心ケーブル
GB2362476A (en) Fusing jacketed optic fibres side by side
JPS6024503A (ja) 光フアイバ−の配線用ホルダ−
US20240159980A1 (en) Optical fiber cable with tensile material between the inner reinforcing projection
JPH0875959A (ja) ジェリー充填型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0215743A (ja) 複合ケ―ブル
JP2005128326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20230333340A1 (en) Optical cable
JPS5814322Y2 (ja) 光フアイバケ−ブル
US20210116659A1 (en) Optical fibre ribbon cable with low diameter optical fib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