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6537A -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6537A
KR20000046537A KR1019980063224A KR19980063224A KR20000046537A KR 20000046537 A KR20000046537 A KR 20000046537A KR 1019980063224 A KR1019980063224 A KR 1019980063224A KR 19980063224 A KR19980063224 A KR 19980063224A KR 20000046537 A KR20000046537 A KR 20000046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battery
charging
rechargeable battery
log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택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63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6537A/ko
Publication of KR2000004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53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충전용 배터리(40)는 충전 전원부(10)로부터 충전 로직부(20)를 통하여 전원을 인가받아 마이컴(30)에 의하여 충전한다. 마이컴(30)은 스위치(A) 동작을 제어하여 온/오프 되도록하며, 메모리(50)에 저장된 충전용 배터리(40)의 상수값을 리드한후, 상기 리드한 상수값을 기준으로 하여 충전용 배터리(40)에 전원이 과충전하지 못하도록 그 상태를 제어한다. 따라서, 저가형 전화기에서의 배터리 수명 연장 및 배터리 불량으로 인한 세트 불량률을 최소화함에 따라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 CHARGE IN A WIRELESS TELEPHONE BATTERY)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상태가 만(full)충전되기 전에 충전 로직회로를 제어하여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전화기는 이동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는데, 충전용 배터리는 충전 회로를 통하여 가정용 교류 전원 또는 차량의 직류 전원에서 소정의 시간만큼 충전을 해야 만충전 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기존 무선 전화기의 충전 로직회로는 충전용 배터리가 만충전이 되어도 계속 충전 전류가 인입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쳐 무선 전화기의 품질을 저해시키고 세트의 불량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터리의 상태가 만충전되기 전에 충전 로직회로를 제어하여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은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충전 상태이고,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80% 이하일 경우, 제1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고, 충전 로직부를 온시키며, 충전 전류량을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에 더하여 저장한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와;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충전 상태이고,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80% 이상에서 100% 이하이며, 충전 로직부가 온 상태일 경우, 제2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고, 충전 로직부를 오프시키며, 충전 전류량을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에 더하여 저장한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와;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충전 상태이고,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80% 이상에서 100% 이하이며, 충전 로직부가 오프 상태일 경우, 제2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 충전 로직부를 온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와;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충전 상태이고,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100% 이상이며, 충전 로직부가 온 상태일 경우, 제3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 충전 로직부를 오프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와;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충전 상태이고,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100% 이상이며, 충전 로직부가 오프 상태일 경우, 제4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 충전 로직부를 온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와;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방전 상태이고, 충전용 배터리의 로우 배터리 지시 용량값 이하일 경우, 부저를 통하여 로우 배터리 경고음을 송출하며, 경고음이 제1 소정의 시간동안 계속되면, 휴대장치 전원을 오프하는 단계와;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방전 상태이고, 충전용 배터리의 로우 배터리 지시 용량값 이상이며, 휴대장치 상태가 대기 상태일 경우, 제1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 대기 상태인 전류 소모량을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에서 감소하여 저장한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와;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방전 상태이고, 충전용 배터리의 로우 배터리 지시 용량값 이상이며, 휴대장치 상태가 통화 상태일 경우, 제1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 통화 상태인 전류 소모량을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에서 감소하여 저장한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방법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충전 전원부 20:충전 로직부
30:마이컴 40:충전용 배터리
50:메모리 60:부저
70:표시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로서, 충전 전원부(10)와, 충전 로직부(20)와, 마이컴(30)과, 충전용 배터리(40)와, 메모리(50)와, 부저(60)와, 표시부(70)를 포함한다.
충전 전원부(10)는 가정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아답터를 통하여 전송되는 직류 전원을 제공받은후, 제공받은 전원을 충전 로직부(20)로 전송한다.
충전 로직부(20)는 충전 전원부(10)로부터 직류 전원을 제공받은후, 마이컴(30)에 의하여 스위치(A)가 온되어 접속되면, 상기 접속된 스위치(A)를 통하여 충전용 배터리(40)에 직류 전원을 인가한다. 반면에, 마이컴(30)에 의하여 스위치(A)가 오프되어 접속이 차단되면, 상기 차단된 스위치(A)로는 직류 전원이 흐르지 않는다.
충전용 배터리(40)는 마이컴(30)이 동작하도록 전원(Vcc)을 제공하며, 마이컴(30)에 의하여 스위치(A)가 온될 경우, 충전 로직부(2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한다.
마이컴(30)은 충전용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하며, 스위치(A) 동작을 제어하여 온/오프 되도록한다. 또한, 마이컴(30)은 메모리(50)에 저장된 충전용 배터리(40)의 상수값을 리드한후, 상기 리드한 상수값을 기준으로 하여 충전용 배터리(40)에 전원이 과충전하지 못하도록 그 상태를 제어한다.
메모리(50)는 마이컴(30)에 의하여 동작되며, 충전용 배터리(40)의 상수값 즉, 충전 배터리의 최대 전류 상수값, 충전 상태의 충전 전류 상수값, 대기 상태의 방전 전류의 상수값, 통화 상태의 방전 전류의 상수값, 로우 배터리 지시 용량값, 현재 상태의 배터리 용량값을 저장한다.
부저(60)는 마이컴(30)에 의하여 동작되며, 충전용 배터리(40)의 상태가 로우 배터리 지시 용량값 이하일 경우, 로우 배터리 경고음을 송출한다.
표시부(70)는 마이컴(30)에 의하여 동작되며, 충전용 배터리(40)에 충전된 현재의 배터리 용량값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한다.
도 2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서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충전용 배터리(40)로부터 전원(Vcc)을 제공받은 마이컴(30)은 메모리(50)에 저장된 충전용 배터리(40)의 상수값 즉, 충전 배터리의 최대 전류 상수값, 충전 상태의 충전 전류 상수값, 대기 상태의 방전 전류의 상수값, 통화 상태의 방전 전류의 상수값, 로우 배터리 지시 용량값, 현재 상태의 배터리 용량 저장값을 리드한다(단계 200).
마이컴(30)은 현재 충전용 배터리(40) 용량값을 표시부(70)에 출력한후(단계 201), 표시부(70)에 출력되는 현재 배터리 용량값에서 충전 또는 방전되는 레벨 표시 상태의 변화가 있는가를 판단한다(단계 202).
상기 판단 단계(202)에서 현재 배터리 지시 상태의 변화가 있으면, 상기 변화된 현재의 배터리 용량값을 메모리(50)에 저장하며(단계 203),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상기 변화된 현재의 배터리 용량값을 표시부(70)에 출력한후(단계 204), 현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체크한다(단계 205). 상기 판단 단계(202)에서 현재 배터리 지시 상태의 변화가 없을 경우, 현재 충전용 배터리(40)의 상태가 충전 상태인지, 방전 상태인지를 체크한다(단계 205).
상기 체크 단계(205)에서 현재 충전용 배터리(40)의 상태가 충전 상태이면, 이전의 상태가 충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206). 상기 판단 단계(206)에서 이전 상태가 충전 상태가 아니면, 타이머를 재시작하여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07). 상기 판단 단계(206)에서 이전 상태가 충전 상태이면, 현재 충전용 배터리(40) 용량값을 체크한다(단계 208).
상기 체크 단계(208)에서 현재 충전용 배터리(40) 용량이 80%이하이면,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예로서, 1분) 동안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단계 209).
상기 판단 단계(209)에서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1분) 동안 경과되지 않으면,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지 않음에 따라 충전 전원부(1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계속적으로 충전을 하기 위하여 충전 로직부(20)를 온 시킨후(즉, 마이컴(30)에 의하여 스위치(A)가 온됨),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10). 상기 판단 단계(209)에서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1분) 동안 경과되면, 소정의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타이머를 재시작하고(단계 211), 충전 로직부(20)를 온시키며(단계 212), 충전 전류량을 현재의 배터리 용량값에 더하여 현재의 배터리 용량값에 저장한후,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13).
상기 체크 단계(208)에서 현재 충전용 배터리(40) 용량이 80%∼100%이면, 현재의 충전 로직부(20)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214).
상기 판단 단계(214)에서 충전 로직부(20)가 온 상태이면,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예로서, 2초) 동안 경과되었는가를 체크한다(단계 215). 상기 체크 단계(215)에서 소정의 시간(2초) 동안 경과되지 않으면, 충전 로직부(20)를 온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16). 상기 체크 단계(215)에서 소정의 시간(2초) 동안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고(단계 217), 충전 로직부(20)를 오프시키며(즉, 마이컴(30)에 의하여 스위치(A)가 오프됨)(단계 218), 충전 전류량을 현재의 충전용 배터리(40) 용량값에 더하여 현재의 배터리 용량값에 저장한후,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19).
상기 판단 단계(단계 214)에서 충전 로직부(20)가 오프 상태이면,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2초) 동안 경과되었는가를 체크한다(단계 220). 상기 체크 단계(220)에서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2초) 동안 경과되지 않으면, 충전 로직부(20)를 오프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21). 상기 체크 단계(220)에서 소정의 시간(2초) 동안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단계 222), 충전 로직부(20)를 온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23).
상기 체크 단계(208)에서 현재 충전용 배터리(40) 용량값이 100% 이상이면, 현재의 충전 로직부(20)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한다(단계 224).
상기 판단 단계(224)에서 충전 로직부(20)가 온 상태이면,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예로서, 1초) 동안 경과되었는가를 체크한다(단계 225). 상기 체크 단계(225)에서 소정의 시간(1초) 동안 경과되지 않으면, 충전 로직부(20)를 온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26). 상기 체크 단계(225)에서 소정의 시간(1초) 동안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단계 227), 충전 로직부(20)를 오프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28).
상기 판단 단계(224)에서 충전 로직부(20)가 오프 상태이면,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예로서, 15초)동안 경과되었는가를 체크한다(단계 229). 상기 체크 단계(229)에서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15초) 동안 경과되지 않으면, 충전 로직부(20)를 오프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30). 상기 체크 단계(229)에서 타이머 15초가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단계 231), 충전 로직부(20)를 온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32).
상기 체크 단계(205)에서 현재 충전용 배터리(40)의 상태가 방전 상태이면, 이전의 상태가 방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233). 상기 판단 단계(233)에서 이전 상태가 방전 상태가 아니면, 타이머를 재시작하여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34). 상기 판단 단계(233)에서 이전 상태가 방전 상태이면, 충전용 배터리(40)의 로우 배터리 지시 용량값 이하인가를 체크한다(단계 235).
상기 체크 단계(235)에서 로우 배터리 지시 용량값 이하이면, 로우 배터리 경고음을 부저(60)를 통하여 송출하며(단계 236), 로우 경고음이 소정의 시간(예로서, 1분)동안 계속되는가를 판단한다(단계 237). 상기 판단 단계(237)에서 소정의 시간(1분) 동안 계속되면, 휴대장치 전원을 오프한다(단계 238). 상기 판단 단계(237)에서 소정의 시간(1분) 동안 계속되지 않으면, 현재의 휴대장치 상태를 체크한다(단계 239).
상기 체크 단계(234)에서 로우 배터리 지시 용량값 이상이면, 현재의 휴대장치 상태를 체크한다(단계 240).
상기 체크 단계(239, 240)에서 휴대장치가 대기 상태일 경우,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예로서, 1분)동안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단계 241). 상기 판단 단계(241)에서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1분) 동안 경과되지 않으면,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42). 상기 판단 단계(241)에서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1분) 동안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단계 243), 대기 상태인 전류 소모량을 현재의 배터리 용량값에서 감소하여 현재의 배터리 용량값에 다시 저장한후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44).
상기 체크 단계(240)에서 휴대장치가 통화 상태일 경우,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예로서, 1분)동단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단계 245). 상기 판단 단계(245)에서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1분) 동안 경과되지 않으면,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46). 상기 판단 단계(245)에서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1분) 동안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단계 247), 통화 상태인 전류 소모량을 현재의 배터리 용량값에서 감소하여 현재의 배터리 용량값에 다시 저장한후 처음으로 리턴한다(단계 248).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상태가 만충전되기 전에 충전 로직회로를 제어하여 과충전을 방지함으로써, 저가형 전화기에서의 배터리 수명 연장 및 배터리 불량으로 인한 세트 불량률을 최소화함에 따라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충전 로직부로부터 전송된 직류 전원을 마이컴에 의하여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하는 경우에,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과충전되지 않도록 하는 무선 전화기 과충전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충전 상태이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80% 이하일 경우, 제1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고, 상기 충전 로직부를 온시키며, 충전 전류량을 상기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에 더하여 저장한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충전 상태이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80% 이상에서 100% 이하이며, 상기 충전 로직부가 온 상태일 경우, 제2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고, 상기 충전 로직부를 오프시키며, 충전 전류량을 상기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에 더하여 저장한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충전 상태이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80% 이상에서 100% 이하이며, 상기 충전 로직부가 오프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 상기 충전 로직부를 온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충전 상태이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100% 이상이며, 상기 충전 로직부가 온 상태일 경우, 제3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 상기 충전 로직부를 오프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충전 상태이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100% 이상이며, 상기 충전 로직부가 오프 상태일 경우, 제4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 상기 충전 로직부를 온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방전 상태이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로우 배터리 지시 용량값 이하일 경우, 부저를 통하여 로우 배터리 경고음을 송출하며, 상기 경고음이 상기 제1 소정의 시간동안 계속되면, 휴대장치 전원을 오프하는 단계;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방전 상태이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로우 배터리 지시 용량값 이상이며, 상기 휴대장치 상태가 대기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 대기 상태인 전류 소모량을 상기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에서 감소하여 저장한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방전 상태이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로우 배터리 지시 용량값 이상이며, 상기 휴대장치 상태가 통화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 통화 상태인 전류 소모량을 상기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에서 감소하여 저장한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80% 이하일 경우, 제1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지 않으면, 타이머를 재시작하고, 상기 충전 로직부를 온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80% 이상에서 100% 이하이며, 상기 충전 로직부가 온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지 않으면, 상기 충전 로직부를 온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80% 이상에서 100% 이하이며, 상기 충전 로직부가 오프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지 않으면, 상기 충전 로직부를 오프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100% 이상이며, 상기 충전 로직부가 온 상태일 경우, 제3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 상기 충전 로직부를 온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 용량값을 체크하여 100% 이상이며, 상기 충전 로직부가 오프 상태일 경우, 제4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를 재시작하며, 상기 충전 로직부를 오프시킨후,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방법.
  7.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있어서,
    가정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아답터를 통하여 전송되는 직류 전원을 제공받는 충전 전원부;
    상기 충전 전원부로부터 직류 전원을 제공받은후, 스위치로 흐르는 직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는 충전 로직부;
    상기 충전 로직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하는 충전용 배터리;
    상기 충전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하며, 상기 스위치 동작을 제어하여 온/오프 되도록 하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상수값을 리드한후, 상기 리드한 상수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전원이 과충전하지 못하도록 그 상태를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에 의하여 동작되며,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상수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마이컴에 의하여 동작되며,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가 로우 배터리 지시 용량값 이하일 경우, 로우 배터리 경고음을 송출하는 부저;
    상기 마이컴에 의하여 동작되며,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된 현재의 배터리 용량값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KR1019980063224A 1998-12-31 1998-12-31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00046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224A KR20000046537A (ko) 1998-12-31 1998-12-31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224A KR20000046537A (ko) 1998-12-31 1998-12-31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537A true KR20000046537A (ko) 2000-07-25

Family

ID=1956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224A KR20000046537A (ko) 1998-12-31 1998-12-31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65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285B1 (ko) * 2002-10-25 2009-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용 배터리 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285B1 (ko) * 2002-10-25 2009-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용 배터리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5428A (en) Overdischarge and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for a battery in a portabl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362597B2 (en) Power distribution in a portable device
US7741812B2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including notification control unit
US6246890B1 (en) Portable telephone with built-in charger
JPH07121023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1094185A (ja) バッテリ充電器
JP2914425B2 (ja) 自動電源制御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H08223812A (ja) 充電式電気機器
KR20000046537A (ko) 무선 전화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JPH1127873A (ja) 携帯用電子機器
JPH1012283A (ja) バツテリパツク及びバツテリパツクの制御方法
JP2867003B2 (ja) コードレス電話子機の充電装置
JPH0752893B2 (ja) コードレス電話子機の通話可能時間表示装置
JP2002335307A (ja) 電池残量レベル表示機能付き携帯通信端末
JPH08251098A (ja) 携帯用通信機器
JP3066246B2 (ja) 電気機器の電池容量表示装置
JP2000230944A (ja) 供給電力演算装置
JP3435902B2 (ja) 電池充電器
JPH10172583A (ja) 電池残量報知装置
JPH07326389A (ja) 無線通信装置
KR100532697B1 (ko)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충전횟수 체크방법
KR100211330B1 (ko)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KR100640351B1 (ko)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091222B1 (ko) 백업 배터리를 내장한 휴대 단말기
JPH08186941A (ja) 充電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