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6525A - 이동 통신망에서 보코더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에서 보코더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6525A
KR20000046525A KR1019980063212A KR19980063212A KR20000046525A KR 20000046525 A KR20000046525 A KR 20000046525A KR 1019980063212 A KR1019980063212 A KR 1019980063212A KR 19980063212 A KR19980063212 A KR 19980063212A KR 20000046525 A KR20000046525 A KR 20000046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coder
exchange
terminal
base st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6758B1 (ko
Inventor
주봉남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6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6758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내에 구성되는 다수 기종의 보코더들 중 교환기에서 지원 가능한 보코더를 발신 및 착신 과정에서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지국(2)은 단말(1)내에 구성되어 있는 보코더의 기종 및 교환기(3)에서 지원 가능한 보코더의 기종을 수신하고, 발신 및 착신 과정 중에서 동작할 보코더에 관하여 단말(1)과 협의하여 결정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말(1)내에 다양한 기종의 보코더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 이들 보코더들 중 교환기가 지원 가능한 보코더들 중 하나를 발신 및 착신 과정에서 자동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에서 보코더 선택 방법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망 단말기의 보코더의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술은 크게 교환 기술, 전송 기술과 보코더 기술로 구분된다.
여기서, 보코더 기술은 음성 파형을 직접 양자화하지 않고 음성 파형을 분석하여 유/무성음의 구별, 기본 주기, 성도의 계수 등 음성의 특징만을 추출해서 전송하기 때문에 낮은 전송 속도로서 음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보코더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코더는 EVRC(Enhanced Voice Rated Codec), CELP(Code Excited Linear Predictive Coding), VSELP(Vector Sun Exited LP CODING)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보코더의 개발에 따라 이동 통신망을 중계하는 교환기에서는 이들 모두의 보코더를 지원할 수 있게 구성되어야 하나, 현실적으로는 그렇지 못하고 통신 회사별로 상이한 보코더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가입자의 단말 제작사에서는 어떠한 교환기와도 사용이 가능한 단말기를 제작하여야 하는 바, 다양한 종류의 보코더를 단말에 내장시키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즉, 사용자가 선택한 통신 회사의 사양에 따른 보코더만을 사용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보코더의 등장으로 인하여 교환기 역시 하나의 보코더 기술만이 채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보코더 기술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의 사용자는 교환기에서 지원 가능한 보코더 기종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나, 이러한 선택은 사용자의 수동 선택에 의존하며, 단말과 교환기간의 통신 중에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방안은 전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내에 구성되는 다수의 종류의 보코더들 중에서 교환기가 지원 가능한 보코더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 단말기의 보코더의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내의 다수 기종의 보코더들 중 교환기에서 지원 가능한 보코더를 발신 과정에서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단말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발호하여 착신자의 번호 및 내장된 보코더들중 선택된 보코더 기종종을 알리는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기지국은 단말기의 발호에 따라 통화 요청 신호 및 단말기의 번호 정보및 작동중인 보코더 기종 정보를 교환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교환기는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에 따라 신호 채널 연결 과정을 행한 후에 단말기에 신호 채널 연결 확인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기지국은 채널 연결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셋업(Setup) 메시지를 교환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교환기는 셋업 메시지에 응답하여 교환기는 호 진행 메시지 및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신호를 기지국에 전송하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된 단말의 보코더 기종 정보를 판단하여, 지원 가능 여부및 지원 가능한 보코더 기종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기지국은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교환기의 유선 회선을 설정하며, 교환기의 보코더 지원 가능 따라 단말내에서 작동할 보코더 설정을 단말과 협의하는 단계와; 기지국은 무선 채널및 유선 회선이 설정되면 교환기에 채널의 할당이 종료및 선택된 보코더 기종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와; 교환기는 정보에 응답하여 기지국과 발신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내의 다수 기종의 보코더들 중 교환기에서 지원 가능한 보코더를 착신 과정에서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교환기는 소정 단말로부터 착신이 요청되면, 해당 기지국에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기지국은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의하여 해당 단말에 대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고, 단말이 이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면 교환기에 페이징을 행하였음을 알리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교환기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셋업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므로써 호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기지국은 셋업 메시지의 수신 후에 호 확인 신호를 교환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교환기는 호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신호 지원 가능한 보코더 종류 정보들을 부가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기지국은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과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교환기의 유선 회선을 설정하며, 단말과 통신 가능한 보코더 설정을 협의하여 설정하는 단계와; 보코더 설정이 완료되면, 기지국은 교환기에 채널의 할당이 종료되었음 및 설정된 보코더 기종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고, 착신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망의 개략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보코더 선택 방법을 발신 과정에서 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보코더 선택 방법을 착신 과정에서 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말 2 : 기지국
3 : 이동 스위칭 센터 4 : 홈 위치 등록기
5 : 방문 위치 등록기 7 : 서비스 제어 포인트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을 행하는 이동 통신망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호(1)는 단말기(Mobile Station ; 이하 MS라함)(1)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입자는 MS(1)를 이용하여 망(Network)과의 무선 접속이 가능하다. 이러한 MS(1)는 단말기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퍼스널 컴퓨터 또는 팩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MS(1)내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다수의 보코더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들 보코더들 중에서 하나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하여 사용한다.
기지국(Base Station ; 이하, BS라함)(2)은 MS(1)와 교환기(3)를 중재하는 것으로서 크게 BTS(Base Tranceiver System ; BTS)(21)및 BSC(Base Station Controller)(22)로 구성된다. 여기서, BTS(21)는 소정 장소들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로 구성되어 MS(1)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BSC(22)는 BTS(21)들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BTS(21) 및 교환기(3)와의 메시지를 상호 교환한다.
교환기(3)는 무선망으로부터 유선망 또는 무선망으로의 사용자 통신을 인터페이스 하는 자동 시스템을 의미한다.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 이라함)(4)는 가입자 정보(예컨대, 전기적 일련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사용자 파일, 현재 위치 등)를 저장하여 이동 가입자를 관리하는 기능적 장치를 의미한다.
방문 위치 등록기(Visited Location Register; 이하, VLR이라함)(5)는 하나 이상의 교환기(3)들에 접속되며, VLR에 의하여 포괄되는 영역 내에 가입자가 위치할 때에 사용자의 HLR(4)로부터 얻어지는 가입자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적 장치를 의미한다. 이동 MS(1)가 교환기(3)에 의하여 포괄되는 새로우 서비스 영역에 진입한 경우에 교환기(3)는 HLR(4)로부터 이 MS(1)에 대한 정보를 요구 및 독출하여 관련 VLR(5)에 저장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망에서의 단말기(MS1)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절차가 도 2 및 3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발신 호 처리 과정에서 MS(1)의 보코더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의 제어에 의하여 MS(1)가 발호 하는 경우에 MS(1)는 착신자의 번호 및 MS(1)내의 보코더들 중 선택된 즉, 작동중인 기종을 알리는 정보를 BS(2)에 전송한다.
BS(2)는 MS(1)의 발호에 따라 교환기(3)에 통화 요청 신호를 인가하며, 이때 MS(1)의 번호 정보 및 작동중인 보코더 기종 정보 역시 교환기(3)에 제공한다. 교환기(3)는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에 따라 신호 채널 연결 과정을 행한 후에 BS(2)에 신호 채널 연결 확인 신호를 제공한다. BS(2)는 이 채널 연결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셋업(Setup) 메시지를 교환기(3)에 제공하고, 이 셋업 메시지에 응답하여 교환기(3)는 호 진행 메시지를 BS(2)에 제공하므로써 망 측에서의 호 설정 절차가 시작되었으며 더 이상의 호 설정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음을 통보한다.
이후, 교환기(3)는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신호를 BS(2)에 인가하므로써 트래픽 채널 등의 할당을 요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교환기는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신호 외에 다음과 같은 정보를 더 부가하여 송신한다. 즉, 교환기(3)는 BS(1)로부터 제공된 MS(1)의 보코더 기종 정보를 판단하여, 지원 가능한 보코더인가를 판단하고 지원 가능한 보코더인 경우에는 지원 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나, 지원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교환기(3)에서 지원 가능한 보코더 기종에 대한 정보를 BS(2)에 부가적으로 더 전송하는 것이다.
BS(2)는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MS(1)에 무선 자원 즉, 채널을 할당하고, 교환기(3)의 유선 회선을 설정하는 한편 교환기(3)의 부가 정보에 따라 MS(1)와 보코더 설정을 협의한다.
즉, 교환기(3)로부터 MS(1)의 현재 선택된 보코더에 대한 지원이 불가능하다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BS(2)는 이를 MS(1)에 통보하고, 교환기(3)에서 지원 가능한 보코더 기종이 MS(1)내에 구성되어 있는가를 상호 확인하여 지원 가능한 보코더 기종이 있는 경우에는 이 보코더 기종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보코더 기종의 선택 방법에 대하여는 MS(1) 또는 BS(2)에 우선권을 부여하거나,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케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무선 채널 및 유선 회선이 설정되면 BS(2)는 교환기(3)에 채널의 할당이 종료되었음을 통지하는 한편, 선택된 보코더 기종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고, 교환기(3)는 이에 응답하여 착신 측의 단말을 호출 중임을 알리는 호출 과정 중 신호를 BS(2)에 전달한다. 한편, 교환기(3)는 링백톤을 청취음 패스를 통하여 단말(2)에 전달하며, 착신 측이 호에 응답하면 링백톤의 제공을 중단하고 착신 측에 유선 회선을 연결하고, 연결 신호를 BS(2)에 전송한다. BS(2)는 연결 신호에 응답하여 연결 확인 신호를 교환기(3)에 전송하므로써 모든 발신 과정을 종료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MS(1)는 발호 시에 BS(2)를 통하여 사용가능한 보코더 기종들에 대한 정보를 교환기(3)에 전송하고, 교환기(3)는 이 정보에 따라 지원 가능한 보코더에 대한 정보를 MS(1)에 전송하는 것이다.
도 3에는 착신 시에 MS(1)의 보코더 기종을 선택하는 방법의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기(3)는 소정 MS(1)로부터 착신이 요청되면, 해당 BS(2)에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의하여 BS(2)는 해당 MS(1)에 대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한다. MS(1)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면, BS(2)는 이 정보에 따라 교환기(3)에 페이징을 행하였음을 알리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교환기(3)는 이 페이징 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셋업 메시지를 BS(2)에 전송하므로써 호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전송한다. BS(2)는 이 셋업 메시지의 수신 후에 호 확인 신호를 교환기(3)에 전송하므로써 더 이상 호 설정에 관련된 메시지의 수신을 중단함을 통보한다.
교환기(3)는 이 호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신호를 BS(2)에 인가하므로써 트래픽 채널 등의 할당을 요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교환기는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신호 외에 다음과 같은 정보를 더 부가하여 송신한다. 즉, 교환기(3)는 지원 가능한 보코더 종류 정보들을 부가하여 BS(2)에 더 전송하는 것이다.
BS(2)는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MS(1)에 무선 자원 즉, 채널을 할당하고, 교환기(30)의 유선 회선을 설정하는 한편 교환기(3)의 부가 정보에 따라 MS(1)와 보코더 설정을 협의한다.
즉, 교환기(3)로부터 인가된 지원 가능한 보코더 기종이 MS(1)내에 구성되어 있는가를 상호 확인하여 지원 가능한 보코더 기종이 있는 경우에는 이 보코더 기종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여기서, 보코더 기종의 선택 방법에 대하여는 MS(1) 또는 BS에 우선권을 부여하거나,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케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의 수행 결과, 교환기(3)에서 지원 가능한 보코더가 MS(1)내에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모든 과정을 종료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무선 채널 및 유선 회선이 설정되면 BS(2)는 교환기(3)에 채널의 할당이 종료되었음을 통지하는 한편, 선택된 보코더 기종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고, 착신 단말(1)에 대한 호출 중임을 알리는 호출 과정중 신호를 BS(2)에 전달한다. 그리고, 착신 단말(1)측이 호에 응답하면 연결 신호를 교환기(3)에 전송한 후에 연결 확인 신호가 교환기(3)로부터 인가되면 모든 착신 과정을 종료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MS(1)내에 다양한 기종의 보코더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 이들 보코더들 중 교환기가 지원 가능한 하나의 보코더를 발신 및 착신 과정에서 자동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에 구성되는 단말기내 보코더들 중 교환기에서 지원가능한 보코더가 자동 설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단말 내에 구성되는 다수 기종의 보코더들 중 교환기에서 지원 가능한 보코더를 발신 과정에서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발호 하여 착신자의 번호 및 내장된 보코더들 중 선택된 보코더 기종을 알리는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의 발호에 따라 통화 요청 신호 및 상기 단말기의 번호 정보 그리고 작동중인 보코더 기종 정보를 교환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는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에 따라 신호 채널 연결 과정을 행한 후에 상기 단말기에 신호 채널 연결 확인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은 상기 채널 연결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셋업(Setup) 메시지를 교환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는 상기 셋업 메시지에 응답하여 호 진행 메시지 및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된 단말의 보코더 기종 정보를 판단하여, 지원 가능 여부 및 지원 가능한 보코더 기종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교환기의 유선 회선을 설정하며, 상기 교환기의 보코더 지원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 내에서 작동할 보코더를 상기 단말과 협의하여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 채널 및 유선 회선이 설정되면 교환기에 채널의 할당이 종료 및 설정된 보코더 기종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는 상기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과 발신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보코더 선택 방법.
  2. 단말내의 다수 기종의 보코더들 중 교환기에서 지원 가능한 보코더를 착신 과정에서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교환기는 소정 단말로부터 착신이 요청되면, 해당 기지국에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은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의하여 해당 단말에 대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면 상기 교환기에 페이징을 행하였음을 알리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는 상기 페이징 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셋업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므로써 호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은 셋업 메시지의 수신 후에 호 확인 신호를 상기 교환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는 상기 호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지원 가능한 보코더 종류 정보들이 부가된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과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교환기의 유선 회선을 설정하며, 상기 단말과 통신 가능한 보코더 설정을 협의하여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코더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교환기에 채널의 할당이 종료되었음 및 설정된 보코더 기종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고, 착신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보코더 선택 방법.
KR1019980063212A 1998-12-31 1998-12-31 이동 통신망에서 보코더 선택 방법 KR100286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212A KR100286758B1 (ko) 1998-12-31 1998-12-31 이동 통신망에서 보코더 선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212A KR100286758B1 (ko) 1998-12-31 1998-12-31 이동 통신망에서 보코더 선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525A true KR20000046525A (ko) 2000-07-25
KR100286758B1 KR100286758B1 (ko) 2001-04-16

Family

ID=1956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212A KR100286758B1 (ko) 1998-12-31 1998-12-31 이동 통신망에서 보코더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675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681A1 (en) * 2004-06-28 2006-01-05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by using call-side switching center
WO2006006801A1 (en) * 2004-07-12 2006-01-19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erminal codec setup of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WO2006009362A1 (en) * 2004-07-16 2006-01-26 Sk Telecom Co., Ltd. Terminal for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KR100668686B1 (ko) * 2005-10-31 2007-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코덱 설정 오류 수정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8889B1 (ko) * 2005-03-16 2007-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코덱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0688890B1 (ko) * 2005-03-16 2007-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코덱을 이용한 링백톤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704848B1 (ko) * 2005-12-06 2007-04-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의 코덱 변경 및 적응 방법
KR100758808B1 (ko) * 2005-07-08 2007-09-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rs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681A1 (en) * 2004-06-28 2006-01-05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by using call-side switching center
KR100646376B1 (ko) * 2004-06-28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측 교환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06006801A1 (en) * 2004-07-12 2006-01-19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erminal codec setup of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KR100646343B1 (ko) * 2004-07-12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위한 단말 코덱 설정 방법 및시스템
WO2006009362A1 (en) * 2004-07-16 2006-01-26 Sk Telecom Co., Ltd. Terminal for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KR100592049B1 (ko) * 2004-07-16 2006-06-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의제어 방법
KR100688889B1 (ko) * 2005-03-16 2007-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코덱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0688890B1 (ko) * 2005-03-16 2007-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코덱을 이용한 링백톤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758808B1 (ko) * 2005-07-08 2007-09-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rs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68686B1 (ko) * 2005-10-31 2007-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코덱 설정 오류 수정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4848B1 (ko) * 2005-12-06 2007-04-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의 코덱 변경 및 적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6758B1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503B1 (ko) 홈위치레지스터로부터외부노드로의비구조적부가서비스데이타
KR100378370B1 (ko) 이동 통신시스템의 동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286758B1 (ko) 이동 통신망에서 보코더 선택 방법
KR100559011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의 듀얼 코덱을 이용한 음질개선 방법
KR20030000491A (ko) 단문메시지 전달방법
KR100641326B1 (ko)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의 호처리 방법
JP447275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呼設定方法及び装置
WO2000018144A2 (en) Method and system for an answering service
KR100335694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설정 방법
KR100688889B1 (ko) 코덱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0576838B1 (ko)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영상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311311B1 (ko) 광대역 무선 이동 단말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일반 호 설정 및해제 시험 방법
KR19980067340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회의통화제어방법
KR101245599B1 (ko) 이동통신망의 음질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233914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보류 처리 방법
KR20000046562A (ko)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방법
JP2894281B2 (ja) ページング着呼方法
KR100274160B1 (ko) 발신전용 ct-2의 접착신 호처리 방법
KR100311313B1 (ko) 광대역 무선 이동 단말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인터넷 호 설정및 해제 시험 방법
JP3636992B2 (ja) Phs端末の所在位置確認方法と、この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及びこの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構内交換システム。
KR100238722B1 (ko) 개인통신가입자의 악의호추적제어방법
KR20000046567A (ko)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링중 하드 핸드오프처리방법
KR100415061B1 (ko) 아이엠티-2000 이동 통신 교환국과 타망 연동시의 경로별신호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980007016A (ko) Cdma 디지틀 셀룰라 이동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발신호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KR100248611B1 (ko) 개인통신시스템에서 비동기데이터에 대한 착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