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5030A -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5030A
KR20000045030A KR1019980061542A KR19980061542A KR20000045030A KR 20000045030 A KR20000045030 A KR 20000045030A KR 1019980061542 A KR1019980061542 A KR 1019980061542A KR 19980061542 A KR19980061542 A KR 19980061542A KR 20000045030 A KR20000045030 A KR 20000045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jection
washing machine
ai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범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6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5030A/ko
Publication of KR2000004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5030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1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solely by gases, e.g. air or steam, introduced into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의 구동에 의해 순환되는 물 속에 다량의 기포가 투입되도록 한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에서는 기포발생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노즐을 통하여 저수조 내로 단순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세탁물에 작용하는 기포의 힘이 매우 약하여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는데 큰 도움을 주지 못하였으며, 일부 사용자는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세제를 필요이상으로 사용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저수조의 하부에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순환관이 형성되고, 순환을 통하여 저수조의 물을 양수시켜 순환시키는 펌프가 구비된다. 순환관의 한쪽에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분사 노즐이 연결되며, 분사 노즐에는 공기를 공급하는 기포발생기가 연결된다. 따라서, 펌프의 구동에 의해 저수조의 물을 순환시키고, 분사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물 속에 다량의 공기를 공급시켜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세탁 효율이 향상되며, 세탁물의 손상이 방지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물의 순환으로 인하여 세제의 용해율이 향상되므로, 세제와 물의 사용이 감소되어 경제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수질 오염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세탁기(洗濯機)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pump)의 구동에 의해 순환되는 물 속에 다량의 기포(氣泡)가 투입되도록 한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에 세탁물과 물, 그리고 적당한 양의 세제(洗劑)를 넣고 기계적인 물살(water flow)에 의한 충격을 세탁물에 주어 일련의 세탁 및 헹굼, 탈수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에 대한 예를 도 1a 및 도 1b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캐비닛(10)의 상면 후방에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급수시키기 위한 급수 밸브(12)가 장착되고,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저수조(20)가 설치된다. 저수조(20)의 상부에 샤워 링(shower ring: 22)이 장착되며, 이 샤워 링(22)은 급수 밸브(12)로부터 물을 급수받아 세탁물에 뿌려주게 된다. 저수조(20)의 내부에는 세탁조(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세탁조(30)에는 저수조(20)와 이어지는 다수의 구멍(32)이 형성되며, 세탁조(30)의 상부에 균형을 유지시켜 주는 밸런서(balancer: 34)가 장착된다.
그리고, 세탁조(30)의 내주면 양쪽에는 가이드 필터(guide filter: 40)가 장착되고, 가이드 필터(40)는 세탁조(30)의 하부와 상부를 이어주는 수로(42)를 갖는다. 세탁조(30)의 바닥에는 모터(5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장치(52)에 의해 펄세이터(pulsator: 6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펄세이터(6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분출구멍(62)이 형성되며, 저수조(20)의 바닥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70)의 노즐(72)이 설치된다. 기포발생기(70)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기포발생기(70)와 노즐(72)은 호스(74)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모터(5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장치(52)에 의해 펄세이터(60)가 회전되며, 펄세이터(60)의 회전에 의해 이른 바 돌개 물살(cyclone water flow)이 발생됨과 아울러 물살이 분출구멍(62)을 통하여 펄세이터(60)의 상방으로 솟아 오르면서 이른 바 분출 물살이 발생되고, 여기에 기포발생기(7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 즉 공기방울이 노즐(72)을 통하여 공급되면서 세탁물의 세탁 행정이 수행된다.
한편, 세탁물의 세탁 행정중에는 펄세이터(60)의 회전에 의해 물이 세탁조(3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가이드 필터(40)의 수로(42)를 통하여 급수된 후, 세탁조(3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면서 이른 바 폭포 물살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폭포 물살은 세탁조(30)의 물을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발생되어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기포발생기(7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노즐(72)을 통하여 저수조(20) 내로 단순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세탁물에 작용하는 기포의 힘이 매우 약한 문제가 있었다. 즉, 저수조(20) 내로 공급된 기포가 세탁물에 부딪치면서 터지게 되면 그 압력과 충격에 의해 세탁이 수행되는 것이나, 기포가 기포발생기(70)의 구동력에 의해서만 저수조(20)로 공급되므로, 기포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기포의 힘이 저수조(20)와 세탁조(30) 사이의 물에 섞이면서 약화되므로, 기포가 세탁물에 작용하지 못하게 되어 세탁물의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는데 큰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일부 사용자는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세제를 필요이상으로 사용하고 있다. 세제의 과다 사용은 세제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며, 헹굼에도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해져 비경적일 뿐만 아니라,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물의 손상이 방지되어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제와 물의 사용이 감소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도록 한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 공급 장치에서 분사 노즐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 공급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저수조 30: 세탁조
60: 펄세이터 80: 순환관
90: 펌프 100: 분사 노즐
102: 대경관 104: 소경관
108: 공기유입관 110: 기포발생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저수조의 내부에 세탁조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저수조의 하부에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순환관과; 순환관을 통하여 저수조의 물을 양수시켜 순환시키는 펌프와; 순환관의 한쪽에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분사 노즐과; 분사 노즐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기포발생기로 구성되는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한 세탁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급수 밸브(12)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조(20)가 설치되고, 저수조(20)의 내부에는 세탁조(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세탁조(30)의 바닥에는 모터(5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장치(52)에 의해 펄세이터(6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펄세이터(6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분출구멍(62)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조(30)의 하부에 저수조(30)의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순환관(80)이 형성된다. 순환관(80)은 저수조(30)의 하면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출순환관(82) 및 유입순환관(84)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관(86)을 가지며, 배출순환관(82)에 펌프(90)의 양수실(92)이 연결되고, 펌프(90)의 양수실(92)에는 펌프(9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94)가 위치된다. 양수실(92)의 한쪽에 배출구(96)가 연결되며, 펌프(90)의 배출구(96)는 저수조(20)의 유입순환관(84)과 연결관(8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관(86)의 한쪽에 분사 노즐(injection nozzle: 100)이 장착된다. 분사 노즐(100)은 대경관(102)의 한쪽에 유로(104)의 단면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소경관(106)을 가지며, 소경관(106)의 선단에는 분사구멍(106a)이 형성되고, 대경관(102)과 소경관(106)은 확대관(108)에 의해 연결되며, 확대관(108)은 압력 손실을 방지하게 된다. 분사 노즐(100)은 소경관(106)의 외측에 공기분사관(110)이 단차에 의해 점차 넓어지는 단면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분사실(112, 114)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때 공기분사관(110)은 제 1 및 제 2 분사실(112, 114)의 전방으로 소경관(106)의 선단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공기분사관(110)의 제 1 분사실(112)에는 물의 분사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공기유입관(116)이 연결되며, 공기유입관(116)에는 기포, 즉 공기방울을 발생시켜 공급시키는 기포발생기(120)가 연결된다. 여기에서, 공기유입관(116)은 분사구멍(106a)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연결되고, 분사 노즐(100)은 펌프(90)의 배출구(96)에 직접 연결시킬 수도 있다.
한편, 기포발생기(120)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설치되며, 기포발생기(120)와 분사 노즐(100)의 공기유입관(116)은 호스(122)에 의해 연결된다. 호스(122)의 한쪽에 기포의 발생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13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표시 장치(130)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32)을 갖추고 있으며, 하우징(132)은 캐비닛(10)의 상면에 외부에서 보이도록 설치된다. 하우징(132)에는 유입구멍(134)과 배출구멍(136)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유입구멍(134)과 배출구멍(136)에는 호스(122)가 각각 연결되며, 하우징(132)의 내부에는 임펠러(138)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유입구멍(134)은 호스(122)에 의해 기포발생기(120)와 연결되고, 배출구멍(136)은 호스(122)에 의해 분사 노즐(100)의 공기유입관(116)에 연결된다. 즉, 표시 장치(130)를 추가로 설치할 때에는 호스(122)의 한쪽을 절단하여 연결시킨다. 따라서, 기포발생기(12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공기는 유입구멍(134)을 통하여 하우징(132)의 내부로 유입되며, 하우징(13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구멍(136)을 통하여 공기유입관(116)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임펠러(138)가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조(20)의 내부에 급수 밸브(12)를 통하여 물을 급수시키고, 세탁조(30)의 내부에 세탁물과 적당한 양의 세제를 투입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모터(5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장치(52)에 의해 펄세이터(60)가 회전된다. 이 펄세이터(60)의 회전에 의해 이른 바 돌개 물살이 발생됨과 아울러 물살이 분출구멍(62)을 통하여 펄세이터(60)의 상방으로 솟아 오르면서 이른 바 분출 물살이 발생된다. 또한, 펄세이터(60)의 회전에 의해 물이 세탁조(3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가이드 필터(40)의 수로(42)를 통하여 급수된 후, 세탁조(3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면서 이른 바 폭포 물살을 발생시켜 세탁물의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펌프(90)의 구동에 의해 임펠러(94)가 회전되면, 저수조(20)의 배출순환관(82)을 통하여 저수조(20)의 물이 배출되면서 펌프(90)의 양수실(92)에 유입되며, 양수실(92)에 유입된 물은 배출구(96)를 통하여 분사 노즐(100)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분사 노즐(100)의 소경관(106)에서는 물의 유속이 대경관(102)에 비하여 빨라짐과 아울러 압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소경관(106)의 분사구멍(106a)을 통하여 분사되는 물이 강한 분사력을 가지게 되고, 확대관(108)은 압력 손실을 줄여주게 된다. 그리고, 물이 분사구멍(106a)을 통하여 분사되는 것에 따라 제 1 및 제 2 분사실(112, 114)에 압력 강하가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사 노즐(100)을 통과한 물은 연결관(86)과 유입순환관(84)을 통하여 저수조(2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방으로 분출된 후, 펄세이터(70)의 분출구멍(62)과 가장자리를 통하여 세탁조(30)의 내부로 분출되면서 물살을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발생되는 물살은 양수 물살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펌프(90)의 구동에 의해 저수조(20)의 물이 순환되는 과정에서 기포발생기(12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공기는 호스(122)와 공기유입관(116)을 통하여 분사 노즐(100)의 제 1 분사실(112)로 공급된 후 제 2 분사실(114)을 통하여 공급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분사실(112, 114)에서는 물의 분사에 따라 압력 강하가 일어나기 때문에 공기유입관(116)을 통하여 공기의 공급, 즉 유입 효율이 향상되며, 이로 인하여 다량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기분사관(110)이 단차에 의해 점차 넓어지는 단면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분사실(112, 114)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분사실(112)에 유입된 공기는 제 2 분사실(114)로 원활하게 분사되므로, 공기의 분사 효율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펌프(90)의 구동에 의해 분사 노즐(100)의 소경관(106)을 통과하는 물 속에 기포발생기(120)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면서 물 속에는 기포가 발생되며, 이러한 물과 기포는 유입순환관(84)을 통하여 저수조(20)의 내부로 분출된다. 따라서, 유입순환관(84)을 통하여 분출되는 물살 속의 기포의 힘이 충분하게 유지되어 세탁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저수조(20)의 물이 순환되는 것에 의해 세제의 용해율이 높아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세제의 용해율이 높아지는 것에 비례하여 세탁 및 헹굼효율이 향상되며, 세제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비교적 부드러운 유연 섬유, 예를 들어 실크 등을 세탁할 때에는 다량으로 공급되는 기포의 작용에 의해 세탁물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유연 섬유만을 세탁할 수 있는 전용 코스를 둘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연 섬유의 세탁시에는 펄세이터(60)의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펌프(90)의 구동에 의해 저수조(30)의 물을 순환시켜 양수 물살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기포발생기(120)의 구동에 의해 기포를 공급시키는 것에 따라 세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용 코스는 기포 세탁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기포발생기(120)의 구동에 의해 기포가 발생될 때 표시 장치(130)의 임펠러(138)가 회전되므로, 사용자는 임펠러(138)의 회전 상태를 캐비닛(10)의 상방에서 육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세탁기의 사용중에 기포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사용중에 기포발생기(120)의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는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임펠러(138)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기포발생기(120)의 고장에 신속한 점검 및 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포의 발생 상태를 임펠러(138)의 회전에 의해 동적으로 표시하여 세탁기의 기능 및 성능을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에 의하면, 펌프의 구동에 의해 저수조의 물을 순환시키고, 분사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물 속에 다량의 공기를 공급시켜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세탁 효율이 향상되며, 세탁물의 손상이 방지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물의 순환으로 인하여 세제의 용해율이 향상되므로, 세제와 물의 사용이 감소되어 경제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수질 오염이 방지되는 것이다.

Claims (3)

  1. 저수조의 내부에 세탁조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20)의 하부에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순환관(80)과;
    상기 순환관(80)을 통하여 상기 저수조(20)의 물을 양수시켜 순환시키는 펌프(90)와;
    상기 순환관(80)의 한쪽에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분사 노즐(100)과;
    상기 분사 노즐(100)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기포발생기(120)로 구성되는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100)은 대경관(102)의 중앙에 유로(104)의 단면이 좁아지도록 분사구멍(106a)을 갖는 소경관(104)이 형성되고, 상기 소경관(106)의 외측에 공기분사관(110)이 단차에 의해 점차 넓어지는 단면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분사실(112, 114)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분사실(112)에 상기 기포발생기(120)가 연결되는 공기유입관(116)이 형성되는 세탁기의 기포 분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100)의 공기유입관(116)은 물의 분사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
KR1019980061542A 1998-12-30 1998-12-30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 KR20000045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542A KR20000045030A (ko) 1998-12-30 1998-12-30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542A KR20000045030A (ko) 1998-12-30 1998-12-30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030A true KR20000045030A (ko) 2000-07-15

Family

ID=19568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1542A KR20000045030A (ko) 1998-12-30 1998-12-30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50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235965A1 (en) * 2010-10-20 2013-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7279U (ko) * 1973-09-23 1975-05-29
JPS55146196A (en) * 1979-05-04 1980-11-14 Hitachi Ltd Washing machine
JPS564586U (ko) * 1979-06-25 1981-01-16
JPH0191484U (ko) * 1987-12-03 1989-06-15
JPH06277384A (ja) * 1993-03-27 1994-10-04 Ikeguchi Kogyo Kk 洗濯機
US5771719A (en) * 1996-09-19 1998-06-30 Daewoo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having a centrifugal pump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7279U (ko) * 1973-09-23 1975-05-29
JPS55146196A (en) * 1979-05-04 1980-11-14 Hitachi Ltd Washing machine
JPS564586U (ko) * 1979-06-25 1981-01-16
JPH0191484U (ko) * 1987-12-03 1989-06-15
JPH06277384A (ja) * 1993-03-27 1994-10-04 Ikeguchi Kogyo Kk 洗濯機
US5771719A (en) * 1996-09-19 1998-06-30 Daewoo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having a centrifugal pum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235965A1 (en) * 2010-10-20 2013-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U2011235965B2 (en) * 2010-10-20 2014-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9217216B2 (en) 2010-10-20 201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6212B2 (ja) 洗濯装置
US5617747A (en) Washing machine with water pressurizing and spraying inner tub water passages
KR102405300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2482834A (zh) 滚筒式洗衣机
KR102397440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KR102397434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KR20180108027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US20190301075A1 (en) Washing Machine and Micro-Bubble Generator Thereof
KR20000045029A (ko) 세탁기의 세제 용해 장치
WO2017064830A1 (ja) 洗濯機
CN102482835A (zh) 滚筒式洗衣机
KR20000045020A (ko)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
KR20000045030A (ko) 세탁기의 기포 공급 장치
KR20000045022A (ko) 세탁기의기포공급장치
KR101739385B1 (ko) 액체 분사 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0319432Y1 (ko) 세탁기의 샤워장치_
TWI798512B (zh) 洗衣機
KR20100068880A (ko) 공기발생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0802466B1 (ko) 세탁기
KR20060009493A (ko) 저욕비 염색기
CN217378299U (zh) 洗衣机水路、洗衣机
KR100189263B1 (ko) 투과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KR20180108032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KR200236632Y1 (ko) 세탁기의세탁조조립구조
KR100677246B1 (ko) 증기분사식 세탁기의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