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4585A - 높은 광감도를 갖는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높은 광감도를 갖는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4585A
KR20000044585A KR1019980061084A KR19980061084A KR20000044585A KR 20000044585 A KR20000044585 A KR 20000044585A KR 1019980061084 A KR1019980061084 A KR 1019980061084A KR 19980061084 A KR19980061084 A KR 19980061084A KR 20000044585 A KR20000044585 A KR 20000044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cm
image sensor
forming
col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엽
김영근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6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4585A/ko
Publication of KR20000044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5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27/14627Micro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Coatings
    • H01L27/14621Colour filte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감도가 증대된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는, 픽셀 어레이 상부에 형성된 칼라필터어레이; 상기 칼라필터어레이 상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마이크로렌즈 간의 분리 지역에서 자신의 상단부에 그 측벽이 경사진 홈이 형성된 OCM막; 및 상기 OCM막 상에 형성되며 수평적으로 서로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마이크로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 제조방법은,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관련된 소자들이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기판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픽셀어레이 지역의 상기 보호막 상에 칼라필터어레이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가 완료된 결과물 전면에 평탄화된 OCM막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OCM막 상에 마이크로렌즈용 복합다중체물질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복합다중체물질 패턴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패턴을 플로우시켜 마이크로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플로우를 실시하는 제5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렌즈를 식각마스크로하여 노출된 상기 OCM막의 일부두께를 비등방성 식각하여 그 측벽이 경사진 홈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높은 광감도를 갖는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이미지센서(Image sensor)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광감도를 갖는 이미지센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지센서라 함은 광학 영상(optical image)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반도체소자로서, 이중 전하결합소자(CCD : charge coupled device)는 개개의 MOS(Metal-Oxide-Silicon) 커패시터가 서로 매우 근접한 위치에 있으면서 전하 캐리어가 커패시터에 저장되고 이송되는 소자이며, CMOS(Complementary MOS; 이하 CMOS) 이미지센서는 제어회로(control circuit) 및 신호처리회로(signal processing circuit)를 주변회로로 사용하는 CMOS 기술을 이용하여 화소수만큼 MOS트랜지스터를 만들고 이것을 이용하여 차례차례 출력(output)을 검출하는 스위칭 방식을 채용하는 소자이다.
이러한 다양한 이미지센서를 제조함에 있어서, 이미지센서의 감광도(photo sensitivity)를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는바 그 중 하나가 집광기술이다. 예컨대, CMOS 이미지센서는 빛을 감지하는 광감지부분과 감지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처리하여 데이터화하는 CMOS 로직회로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광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체 이미지센서 면적에서 광감지부분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를 통상 "Fill Factor"라 한다)을 크게 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로직회로 부분을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제한된 면적 하에서 이러한 노력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광감도를 높여주기 위하여 광감지부분 이외의 영역으로 입사하는 빛의 경로를 바꿔서 광감지부분으로 모아주는 집광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칼라필터 상에 마이크로렌즈(micro lens)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집광기술을 보여주는 종래의 이미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1에는 집광에 관련된 이미지센서의 주요부분만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미지센서는 광감지소자(101)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층간절연막(102) 내에 광차폐층(light shield layer)(10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로 보호막(104)이 형성되고, 보호막(104) 상에 칼라필터(105)가 어레이되어 있다. 그리고, 칼라필터(105) 위에는 마이크로렌즈의 균일한 제조와 포커스 길이(focal length) 조절을 목적으로 적용되는 OCM(Over Coating Material)층(106)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마이크로렌즈(107)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광감지소자(101)는 포토게이트 또는 포토다이오드 등으로 형성되며 광차폐층(104)은 금속층으로 형성된다. 칼라필터(105)의 재료로는 염색된 포토레지스트와 같은 복합다중체(polymer)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마이크로렌즈(107) 역시 복합다중체가 주로 이용되고, 층간절연막(102)은 투명물질로서 통상 실리콘산화물계 박막이 적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미지센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바, 이를 언급해본다.
마이크로렌즈는 노광 및 현상과, 플로우를 위한 열공정에 의해 형성되는바, 이웃한 렌즈들간에 서로 붙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마이크로렌즈 사이에 공간을 둘 수밖에 없는데 이 부분으로 입사되는 빛은 광감지소자로 전달할 수가 없다. 도2는 서로 이웃하는 마이크로렌즈(107) 사이의 공간이 Δw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을 때, 이 곳으로 입사되는 빛이 광감지소자(101)로 입사되지 못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종래에 비해 광감도가 증대된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집광기술을 보여주는 종래의 이미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4a 내지 도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광감지소자 102 : 층간절연막
105 : 칼라필터 106 : OCM막
200 : 그 측벽이 경사진 홈 107 : 마이크로렌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는, 픽셀 어레이 상부에 형성된 칼라필터어레이; 상기 칼라필터어레이 상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마이크로렌즈 간의 분리 지역에서 자신의 상단부에 그 측벽이 경사진 홈이 형성된 OCM막; 및 상기 OCM막 상에 형성되며 수평적으로 서로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마이크로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 제조방법은,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관련된 소자들이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기판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픽셀어레이 지역의 상기 보호막 상에 칼라필터어레이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가 완료된 결과물 전면에 평탄화된 OCM막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OCM막 상에 마이크로렌즈용 복합다중체물질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복합다중체물질 패턴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패턴을 플로우시켜 마이크로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플로우를 실시하는 제5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렌즈를 식각마스크로하여 노출된 상기 OCM막의 일부두께를 비등방성 식각하여 그 측벽이 경사진 홈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 제조방법은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관련된 소자들이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기판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픽셀어레이 지역의 상기 보호막 상에 칼라필터어레이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가 완료된 결과물 전면에 평탄화된 OCM막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OCM막 상에 마이크로렌즈용 복합다중체물질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복합다중체물질 패턴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패턴을 식각마스크로하여 노출된 상기 OCM막의 일부두께를 비등방성 식각하여 그 측벽이 경사진 홈을 형성하는 제5단계; 및 상기 패턴을 플로우시켜 마이크로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열 공정을 실시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단계는, 상기 OCM막 상단부를 에치백하거나 화학적기계적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는 이웃하는 볼록 마이크로렌즈 사이의 공간에서 OCM막(106) 상단부에 그 측벽이 경사진 홈(20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밖의 구성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즉, 종래에는 이웃하는 볼록 마이크로렌즈 사이들의 공간이 평탄하였기 때문에 이 공간으로 입사되는 빛은 전혀 광감지소자(101) 쪽으로 집광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측벽이 경사진 홈(200)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이 홈(200)의 중앙부위(Δw')로 입사되는 빛은 집광하지 못하더라도, 홈(200)의 측벽부로 입사되는 빛은 광감지소자(101)쪽으로 집광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종래의 이미지센서보다 집광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광감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4a 내지 도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이다.
도4a를 참조하면, 통상의 방법으로, 광감지소자(101)와, 층간절연막(102), 광차폐층(금속배선)(103), 및 보호막(104), 칼라필터(106), 및 평탄화된 OCM막(106)을 차례로 적층 형성한다. OCM막(106)은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마이크로렌즈와 굴절률이 유사한 SOG막, 복합다중체물질, 또는 산화막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OCM막(106)은 그 자체가 평탄화 특성이 우수한 물질을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평탄화를 위하여 에치백 또는 화학적기계적연마(CMP) 공정을 추가 할 수 있다.
이어서, 역시 통상의 방법대로 마이크로렌즈용 복합다중체물질(107a)을 도포한 다음,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복합다중체물질 패턴(107b)을 형성하고, 도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 공정을 통해 패턴(107b)을 플로우시켜 위로 볼록한 형상의 마이크로렌즈(107)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4d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마이크로렌즈(107)를 식가마스크로하여 OCM막(106)을 비등방성 건식식각하여 그 측벽이 경사진 홈(200)을 형성한다. 이때 건식식각은 탄소(C)와 불소(F)가 포함된 기체를 사용하며, 예컨대 CF4, CHF3, C2F6, C4F8등이 사용가능하고 이에 산소를 더 부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렌즈(107) 형성을 위한 플로우 공정을 실시한 다음, 홈(200)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을 수행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패턴(107b)이 형성된 상태에서 먼저 홈(200)을 형성하고 그 후 플로우를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렇듯,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광감도가 향상된 이미지센서를 제공하므로써, 이미지센서중 특히 CMOS 이미지센서의 고집적화가 가능하다.

Claims (8)

  1. 이미지센서에 있어서,
    픽셀 어레이 상부에 형성된 칼라필터어레이;
    상기 칼라필터어레이 상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마이크로렌즈 간의 분리 지역에서 자신의 상단부에 그 측벽이 경사진 홈이 형성된 OCM막; 및
    상기 OCM막 상에 형성되며 수평적으로 서로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마이크로렌즈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미지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와 상기 OCM막은 유사한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3. 이미지센서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관련된 소자들이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기판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픽셀어레이 지역의 상기 보호막 상에 칼라필터어레이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가 완료된 결과물 전면에 평탄화된 OCM막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OCM막 상에 마이크로렌즈용 복합다중체물질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복합다중체물질 패턴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패턴을 플로우시켜 마이크로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플로우를 실시하는 제5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렌즈를 식각마스크로하여 노출된 상기 OCM막의 일부두께를 비등방성 식각하여 그 측벽이 경사진 홈을 형성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OCM막의 비등방성 식각은 탄소와 불소를 포함하는 기체에서 건식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OCM막 상단부를 에치백하거나 화학적기계적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6. 이미지센서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관련된 소자들이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기판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픽셀어레이 지역의 상기 보호막 상에 칼라필터어레이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가 완료된 결과물 전면에 평탄화된 OCM막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OCM막 상에 마이크로렌즈용 복합다중체물질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복합다중체물질 패턴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패턴을 식각마스크로하여 노출된 상기 OCM막의 일부두께를 비등방성식각하여 그 측벽이 경사진 홈을 형성하는 제5단계; 및
    상기 패턴을 플로우시켜 마이크로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열 공정을 실시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OCM막의 비등방성 식각은 탄소와 불소를 포함하는 기체에서 건식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OCM막 상단부를 에치백하거나 화학적기계적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KR1019980061084A 1998-12-30 1998-12-30 높은 광감도를 갖는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KR20000044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084A KR20000044585A (ko) 1998-12-30 1998-12-30 높은 광감도를 갖는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084A KR20000044585A (ko) 1998-12-30 1998-12-30 높은 광감도를 갖는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585A true KR20000044585A (ko) 2000-07-15

Family

ID=1956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1084A KR20000044585A (ko) 1998-12-30 1998-12-30 높은 광감도를 갖는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45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951B1 (ko) * 2001-11-14 2004-09-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718769B1 (ko) * 2005-11-30 2007-05-16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951B1 (ko) * 2001-11-14 2004-09-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718769B1 (ko) * 2005-11-30 2007-05-16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9992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n image sensor
JP2005012189A (ja) 光電変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57004A (ja) イメージセンサのマイクロレンズ及びその形成方法
US8030117B2 (en)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003869A (ja) イメージセンサのマイクロレンズ形成方法
US8183080B2 (en) Imag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45604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sensor
KR100937657B1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JP4153426B2 (ja) 集積イメージセンサ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20000044590A (ko) 높은광감도를 갖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449951B1 (ko)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521969B1 (ko) 높은 광감도를 갖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44585A (ko) 높은 광감도를 갖는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KR100790209B1 (ko) 시모스 이미지센서
KR100817710B1 (ko) 입사광의 파장에 따라 마이크로렌즈의 곡률반경을 달리한시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760140B1 (ko)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마이크로렌즈 제조방법
KR100967477B1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60484A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41448A (ko) 오목 마이크로렌즈를 갖는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KR20030039713A (ko)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001093B1 (ko) 특성을 향상시킨 시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4378108B2 (ja) 光電変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72650A (ja) 光電変換装置
KR100791472B1 (ko) 이미지 센서의 마이크로 렌즈 및 그 제작방법
KR100727267B1 (ko)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한 이미지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