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4466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4466A
KR20000044466A KR1019980060964A KR19980060964A KR20000044466A KR 20000044466 A KR20000044466 A KR 20000044466A KR 1019980060964 A KR1019980060964 A KR 1019980060964A KR 19980060964 A KR19980060964 A KR 19980060964A KR 20000044466 A KR20000044466 A KR 20000044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received
key
mode
orig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60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4466A/ko
Publication of KR20000044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4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동통신 단말기를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함부로 발신하지 못하도록 하며, 발신만을 제어하며 다른 기능은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한 발신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신제어 방법은, 발신제어 대기모드시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키에 대응하는 숫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발신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표시부에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입력 요구 메시지 표시 후 숫자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를 비밀번호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수신후 메모리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비밀번호와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에만 수신된 전화번호를 발신하고 통화모드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모드가 종료될 경우 발신제어 대기모드로 진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휴대가 가능하며, 통화를 수행하는 모든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발신전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핸드폰과, 휴대형 개인 정보통신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이하 PDA라 함) 등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허가된 사용자 이외에는 단말기의 사용을 금지하기 위해 발신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발신제어 기능은 락 코드(Lock Code)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사용자가 발신제어를 위해 락 코드를 설정한 경우의 발신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잠김모드로 설정되어 있음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락 코드를 입력하여 잠김모드를 해제하고 발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한다. 그리고, 다이얼링할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발신키를 입력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으로 발신 전화번호를 송신하고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락 코드를 한번 해제하면 사용자가 다시 잠김모드로 설정하지 않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항상 발신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을 해제한 후 전화기를 책상등에 놓아둔 상태로 자리를 떠나는 경우 다른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다른 사용자가 악의를 가지고 전화를 함부로 사용하거나 또는 어린아이 등이 무작위적으로 다이얼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통화를 수행한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매번 다시 잠김모드로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다른 사용자가 함부로 발신하지 못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한 발신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만을 제어하며 다른 기능은 수행할 수 있는 발신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핸드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제어모드 설정 및 해제시의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제어 대기모드시 발신시 제어 흐름도.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으로, 발신제어 대기모드시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키에 대응하는 숫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발신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표시부에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입력 요구 메시지 표시 후 숫자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를 비밀번호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수신후 메모리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비밀번호와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에만 수신된 전화번호를 발신하고 통화모드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모드가 종료될 경우 발신제어 대기모드로 진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발신전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핸드폰과, PDA 중 핸드폰을 예로써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핸드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핸드폰의 기본적인 동작 및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11)는 핸드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발신제어에 관한 제어를 수행한다. 듀플렉서(112)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들 중 설정된 대역의 신호만을 추출하여 수신부(113)로 출력하고, 송신부(115)에서 출력된 무선신호를 안테나(ANT)로 출력한다. 수신부(113)는 듀플렉서(112)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주파수 합성부(11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코드화된 음성신호 또는 호 착신에 따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수신부(113)는 상기 코드화된 음성신호 또는 상기 호 착신에 따른 제어신호를 음성처리부(116) 또는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주파수 합성부(114)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송신부(115)에서 필요로 하는 주파수와 수신부(113)에서 필요로 하는 주파수를 발생하여 송신부(115)와 수신부(113)로 각각 출력한다. 송신부(115)는 음성처리부(116)에서 출력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 또는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된 발호에 따른 신호를 주파수 합성부(114)로부터 출력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대역의 주파수로 변환한 후 듀플렉서(112)로 출력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한 안테나(ANT)와, 수신부(113)와, 주파수 합성부(114)와, 송신부(115)를 총칭하여 무선부라 칭한다.
음성처리부(116)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수신부(113)로부터 출력되는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그러면 스피커(SPK)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MIC)는 가청음으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처리부(116)로 출력한다. 그리고, 음성처리부(116)는 마이크(MIC)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코드화하여 송신부(115)로 출력한다. 표시부(117)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핸드폰의 현재상태 및 핸드폰 동작수행 상태를 표시한다. 메모리부(118)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구분되며, 핸드폰의 제어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등은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며, 삭제되어도 되는 데이터는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키입력부(119)는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들(*키와 #키를 포함한다)과, 각종 기능을 위한 기능키들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제어모드 설정 및 해제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신제어 설정 및 해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호가 착신될 경우는 배제하고 설명한다.
제어부(111)는 (200)단계에서 대기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대기모드란 키입력과 호의 착신을 대기하는 상태를 말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발신제어모드시의 대기상태(이하‘발신제어 대기모드’라 한다.) 또는 착발신이 모두 허가되는 대기상태 등의 모든 상태를 총칭한다. 제어부(111)는 대기모드를 수행하는 중 키입력부(119)로부터 키신호가 수신되면 (2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키신호가 메뉴키신호인가를 검사한다. 제어부(111)는 메뉴키신호가 수신된 경우 204단계로 진행하며, 메뉴키신호가 아닌 경우 (23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1)는 (204)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17)에 메뉴를 표시하며, 키입력부(119)로부터 메뉴의 이동에 따른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표시부(117)에 메뉴 선택바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메뉴를 스크롤시키며 표시한다. 이는 표시부(117)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구현한다. 제어부(111)는 메뉴를 스크롤시키거나 또는 메뉴 선택바를 이동시키는 중 메뉴 선택에 따른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206)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메뉴가 발신제어 메뉴인가를 검사한다. 제어부(111)는 발신제어 메뉴가 선택된 경우 (208)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발신제어 메뉴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11)는 (23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1)는 (208)단계에서 표시부(117)에 비빌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비밀번호란, 핸드폰에 잠김모드를 위해 설정한 락 코드를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발신제어시에만 사용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신제어만을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구성할 경우 발신제어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최초로 입력되는 번호를 비밀번호로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잠김모드를 위한 락 코드와 동일하게 사용할 경우 이미 설정되어 있는 락 코드를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제어부(111)는 (208)단계에서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한 후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설정된 자리수가 수신될 때까지 코드를 수신한다. 이때 키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 키를 이용하여 입력된 코드의 자리수를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자리수를 표시하고자 하지 않을 경우 표시부(117)에 '*' 키를 이용하여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11)는 설정된 자리수의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 (212)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부(118)에 저장된 비밀번호 또는 락 코드와 비교하여 수신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가를 검사한다. 제어부(111)는 상기 (212)단계의 검사결과 수신된 비밀번호와 메모리부(118)에 저장된 코드가 일치할 경우 (214)단계로 진행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220)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를 설명한다. 제어부(111)는 (220)단계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되어 비교된 카운트 값이 설정된 값(N)과 동일한가를 검사한다. 이때 설정된 값(N)은 2회 내지 3회 등으로 제조시에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입력횟수의 비교과정 없이 (200)단계로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11)는 비교결과 설정된 횟수와 동일한 경우 (200)단계로 진행하며, 설정된 횟수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208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설정된 횟수가 동일한 경우 (200)단계로 진행하지 않고 직접 락 모드(Lock Mode)로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212)단계에서 (21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111)는 현재 발신제어모드의 온/오프(on/off)상태를 표시하며, 키신호에 대응하여 발신제어모드의 표시를 변경한다. 제어부(111)는 (216)단계에서 확인키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고, 확인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218)단계로 진행하며, 확인키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214)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11)는 (218)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표시부(117)에 표시된 발신제어모드를 메모리부(118)에 저장하고, 저장된 상태의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즉, 발신제어모드를 온(on)하여 저장된 경우 발신제어 대기모드로 진행하고, 발신제어모드를 오프(off)한 경우 일반적인 대기모드로 진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발신제어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제어 모드시 발신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발신제어 모드시의 발신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호가 착신되는 경우는 배제하고 설명한다.
전원이 온(Power On)되면, 제어부(111)는 메모리부(118)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와 무선부를 초기화시키고, 각종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18)로부터 읽어오는 데이터 중 발신제어 모드의 데이터를 읽어와 발신제어 모드의 데이터를 확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발신제어모드가 온되어 있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11)는 발신제어모드가 온되어 있으므로 (302)단계에서 발신제어 대기모드로 진행한다. 제어부(111)는 발신제어 대기모드를 수행하며, (304)단계에서 키입력부(119)로부터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306)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11)는 (306)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키신호가 기능키신호인가를 검사한다. 제어부(111)는 기능키신호가 수신된 경우 (33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즉, 발신제어 대기모드 상태에서는 핸드폰에서 제공하는 전화번호부(phone book)기능이나 전자 계산기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제어부(111)는 (306)단계의 검사결과 기능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수신된 키신호에 대응하는 숫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숫자는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 키와, '#' 키를 포함한다. 제어부(111)는 수신되는 키에 대응하여 숫자를 표시하며, 발신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제어부(111)는 발신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312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17)에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314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11)는 314단계에서 키입력부(119)로부터 수신되는 키신호에 대응하는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이를 '*' 키로 자리수를 표시한다. 이의 구성은 도 2의 설명에서와 같이 아스트리크를 표시하도록 또는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설정된 자리수의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316)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부(118)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가를 검사한다. 제어부(111)는 (316)단계의 검사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 (318)단계로 진행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340)단계로 진행하여 비밀번호가 입력되어 비교된 카운트 값이 설정된 값(N)과 동일한가를 검사한다. 비교된 카운트 값이 설정된 값(N)과 동일한 경우 (302)단계로 진행하며, 동일하지 않은 경우 (312)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도 상기 도 2의 설명에서와 같이 (340)단계의 입력횟수를 비교하는 단계를 두지 않고 (316)단계의 검사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바로 (302)단계로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된 값(N)은 도 2와 동일하게 또는 달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횟수가 동일한 경우 (302)단계로 진행하지 않고 락 모드로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318)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111)는 무선부를 제어하여 발호에 따른 신호를 무선신호로 송신하고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제어부(111)는 (318)단계의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중 (320)단계에서 키입력부(119)로부터 종료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322)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모드를 종료하고, (302)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통화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318)단계의 통화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이를 통해 함부로 발신이 이루어지지 않고, 발신제어 대기모드 상태에서는 발신키 입력시마다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발신한다. 또한 통화가 종료되어도 다시 발신제어 통화모드로 진행하며, 발신 이외의 다른 기능은 아무런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핸드폰을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신전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핸드폰과, PDA 등에서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가정용 무선 전화기의 무선단말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제어모드를 별도로 설정하여 매 발신에 대해서만 비밀번호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아이나 또는 악의를 가지고 사용하려는 사람의 발신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발신제어모드에서는 다른 부가기능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람이 계산기등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아무런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도 매번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부가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제어 방법에 있어서,
    발신제어 대기모드시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키에 대응하는 숫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발신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표시부에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입력 요구 메시지 표시 후 숫자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를 비밀번호로 수신하는 비밀번호 수신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수신후 메모리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가를 검사하는 검사단계와,
    상기 수신된 비밀번호와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에만 수신된 전화번호를 발신하고 통화모드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모드가 종료될 경우 발신제어 대기모드로 진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
KR1019980060964A 1998-12-30 1998-12-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 KR20000044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964A KR20000044466A (ko) 1998-12-30 1998-12-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964A KR20000044466A (ko) 1998-12-30 1998-12-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466A true KR20000044466A (ko) 2000-07-15

Family

ID=1956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964A KR20000044466A (ko) 1998-12-30 1998-12-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44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298B1 (ko) * 2004-05-29 2007-03-08 남판우 유료 서비스 접속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방법
US7363252B2 (en) 2000-09-28 2008-04-22 Takashi Fujimoto Mobile tele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3252B2 (en) 2000-09-28 2008-04-22 Takashi Fujimoto Mobile telephone
KR100689298B1 (ko) * 2004-05-29 2007-03-08 남판우 유료 서비스 접속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35981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及び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子機増設方法
KR20010045885A (ko) Sms를 이용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1200082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작성 방법
KR2000004446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
JPH0984128A (ja)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通信機器
JP2002542677A (ja) モバイル無線電話器を監視および/または制御用途に用い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594010B1 (ko) 쇼트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잠금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844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JPS5830777B2 (ja) 移動体搭載用電話機
US6580922B1 (en) Method of transmitting telephone number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JP3229793B2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JP4936792B2 (ja) 携帯電話装置
KR20060028275A (ko) 외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잠금해제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06127B1 (ko) 무선 휴대 전화기의 디티엠에프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송/수신장치 및 방법
JP3037276B2 (ja) 防犯機能付き携帯電話機及びその遠隔操作方法
KR100276812B1 (ko) 통신 단말기에서 라스트콜 차단방법
KR20060121024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송수신 잠금 이동통신단말기
KR10098439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KR1004486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제한 설정 방법
KR100365777B1 (ko)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저장 장치 및 방법
KR20010060146A (ko) 표시부를 구비한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0145108B1 (ko) 셀롤라폰의 키패드 연속 록킹 방법
KR20020091385A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제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