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2001A -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층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층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2001A
KR20000042001A KR1019980058041A KR19980058041A KR20000042001A KR 20000042001 A KR20000042001 A KR 20000042001A KR 1019980058041 A KR1019980058041 A KR 1019980058041A KR 19980058041 A KR19980058041 A KR 19980058041A KR 20000042001 A KR20000042001 A KR 20000042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tact hole
metal
interlayer insulat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중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8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2001A/ko
Publication of KR20000042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00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7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 H01L21/7680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involving intermediate temporary filling with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19Smoothing of the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층 형성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 금속층 및 제1 층간절연막, 식각 저지막 및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식각 저지막을 과식각하여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일부가 식각된 콘택홀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콘택홀 내에 스텝 커버리지(step-coverage)가 좋은 물질막 패턴을 매몰시킨다. 상기 식각 저지막 및 물질막 패턴 상에 제2 층간절연막 및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상기 제2 층간절연막 및 제1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금속 트렌치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 금속층을 오픈한다. 다음에,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콘택홀 및 금속 트렌치에 매몰되도록 상부 금속층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콘택홀을 스텝 커버리지가 좋은 물질막으로 보이드 없이 잘 매립할 수 있어 후속의 상부 금속층을 하부 금속층과 잘 콘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층 형성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층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 다마슨 공정(dual damascene process)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층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 중에서 높은 속도가 요구되어지는 로직 소자를 중심으로 해서 비저항이 낮고 E/M(electro-migration)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구리 금속을 금속 배선층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구리 금속을 이용하여 금속 배선층을 형성할 경우, 구리 금속의 부식으로 인한 구리 금속의 식각 어려움 때문에 콘택홀의 매몰과 금속 배선층을 동시에 형성하는 소위, "이중 다마슨(Dual Damascene)" 공정을 이용하여 금속 배선층을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이중 다마슨 공정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층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절연막(3)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 상에 하부 금속층(5)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금속층(5) 상에 제1 층간절연막(7)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1 층간절연막(7) 상에 식각 저지막(9)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저지막(9)은 제조공정중 식각 저지를 위하여 적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음에, 상기 식각 저지막(9)을 패터닝하기 위하여 상기 식각저지막(9) 상에 사진공정을 이용하여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11)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11)을 식각마스크로 상기 식각 저지막(9)를 식각하여 콘택홀(1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식각 저지막(9)이 식각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각 저지막(9)을 과식각(over etch)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제1 층간절연막(7)도 식각되어 콘택홀(13)은 깊게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11)을 제거한다. 다음에, 상기 깊은 콘택홀(13)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의 전면에 제2 층간절연막(1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 층간절연막(15)은 스텝 커버리지가 불량하여 상기 깊은 콘택홀(13)을 다 매몰시키지 못하고 콘택홀(13)의 중앙부분에 보이드(또는 솔기(seam), 17)를 발생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층간절연막(15) 상에 사진공정을 이용하여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9)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9)을 식각마스크로 상기 제2 층간절연막(15) 및 제1 층간절연막(7)을 식각하여 넓은 금속 트렌치(21)을 형성한다. 이렇게 되면, 콘택홀(13)의 상부에 넓은 금속 트렌치(21)가 형성되게 되며, 하부 금속층(5)이 오픈된다.
다음에,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9)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콘택홀(13) 및 제2 콘택홀(21)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상부 금속층(도시 안함)을 매몰 형성함으로써 매몰과 배선을 동시에 이루는 이중 다마슨 공정을 완료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이중 다마슨 공정에 의한 금속 배선층 형성방법은 상기 콘택홀(13) 내에 발생하는 보이드 때문에 상기 제1 층간절연막(7) 및 제2 층간절연막(15)을 식각할 때 콘택홀(13) 내에 식각되지 않는 물질막(도 3의 23)이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후공정의 상부 금속층을 콘택홀(5)에 잘 매립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콘택홀에 금속층을 잘 매립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층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이중 다마슨 공정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층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9는 이중 다마슨 공정에 의한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층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층 형성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 금속층, 제1 층간절연막 및 식각 저지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식각저지막 상에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식각 저지막을 과식각하여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일부가 식각된 콘택홀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콘택홀 내에 스텝 커버리지(step-coverage)가 좋은 물질막 패턴을 매몰시킨다. 다음에, 상기 식각 저지막 및 물질막 패턴 상에 제2 층간절연막 및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상기 제2 층간절연막 및 제1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금속 트렌치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 금속층을 오픈한다.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콘택홀 및 금속 트렌치에 매몰되도록 상부 금속층을 형성한다.
상기 물질막 패턴을 매몰하는 단계는, 상기 콘택홀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상기 콘택홀을 잘 매립할 수 있게 스텝 커버리지(step-coverage)가 좋은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물질막을 상기 평탄화시켜 콘택홀내에 물질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질막 패턴은 SOG막 또는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이중 다마슨 공정에 의한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층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절연막(33)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 상에 하부 금속층(35)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금속층(35)으로는 구리 금속층을 이용한다. 상기 하부 금속층(35) 상에 제1 층간절연막(37)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1 층간절연막(37) 상에 식각 저지막(39)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저지막(39)은 제조공정중 식각 저지를 위하여 적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각 저지막(39)으로 실리콘 질화막(Si3N4)을 이용한다.
다음에, 상기 식각 저지막(39)을 패터닝하기 위하여 상기 식각저지막(39) 상에 사진공정을 이용하여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41)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41)을 식각마스크로 상기 식각 저지막(39)를 식각하여 콘택홀(4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식각 저지막(39)이 식각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각 저지막(39)을 과식각(over etch)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제1 층간절연막(37)도 식각되어 콘택홀(43)은 깊게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41)을 제거한다. 다음에, 상기 깊은 콘택홀(43)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31)의 전면에 상기 콘택홀(43)을 잘 매립할 수 있게 스텝 커버리지(step-coverage)가 좋은 물질막(44)을 형성한다. 다음에, 필요에 따라 상기 물질막(44)을 베이크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콘택홀(43) 내에 종래기술과 다르게 보이드 없이 물질막(44)를 잘 매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질막(44)으로 SOG(silicon-on-glass)막 또는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on: CVD)에 의한 산화막을 이용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물질막(44)을 상기 평탄화시켜 제1 콘택홀(43)내에 물질막 패턴(44a)을 형성한다. 상기 물질막(44)의 평탄화는 상기 식각저지막(39)을 이용하여 상기 물질막(44)을 에치백시키거나 화학기계적연마하여 수행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식각 저지막(39) 및 물질막 패턴(44a) 상에 제2 층간절연막(45)을 형성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층간절연막(45) 상에 사진공정을 이용하여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47)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47)은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41)보다 구경이 크게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47)을 식각마스크로 상기 제2 층간절연막(45) 및 제1 층간절연막(37)을 식각하여 넓은 금속 트렌치(49)을 형성한다. 이때, 식각저지막(39)도 일부 식각한다. 이렇게 되면, 콘택홀(43)의 상부에 넓은 금속 트렌치(49)가 형성되면서 하부 금속층(35)이 오픈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47)을 제거한다. 다음에, 상기 콘택홀(43) 및 금속 트렌치(49)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31)의 전면에 상부 금속층(51), 예컨대 구리 금속층을 형성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상부 금속층(51)이 콘택홀(43) 및 금속 트렌치(49)에 잘 매몰되어 상기 하부 금속층(35)과 잘 콘택함과 동시에 매몰과 배선을 동시에 이루는 이중 다마슨 공정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층 형성방법은 제1 콘택홀을 스텝 커버리지가 좋은 물질막으로 보이드 없이 잘 매립할 수 있어 후속의 상부 금속층을 하부 금속층과 잘 콘택할 수 있다.

Claims (3)

  1.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 금속층 및 제1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층간절연막 상에 식각 저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각저지막 상에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식각 저지막을 과식각하여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일부가 식각된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택홀 내에 스텝 커버리지(step-coverage)가 좋은 물질막 패턴을 매몰시키는 단계;
    상기 식각 저지막 및 물질막 패턴 상에 제2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층간절연막 상에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상기 제2 층간절연막 및 제1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금속 트렌치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 금속층을 오픈하는 단계;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홀 및 금속 트렌치에 매몰되도록 상부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층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막 패턴을 매몰하는 단계는,
    상기 콘택홀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상기 콘택홀을 잘 매립할 수 있게 스텝 커버리지(step-coverage)가 좋은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물질막을 상기 평탄화시켜 콘택홀내에 물질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층 형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막 패턴은 SOG막 또는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층 형성방법.
KR1019980058041A 1998-12-24 1998-12-24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층 형성방법 KR20000042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041A KR20000042001A (ko) 1998-12-24 1998-12-24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층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041A KR20000042001A (ko) 1998-12-24 1998-12-24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층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001A true KR20000042001A (ko) 2000-07-15

Family

ID=1956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041A KR20000042001A (ko) 1998-12-24 1998-12-24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층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20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94B1 (ko) * 2002-07-05 2008-05-2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커패시터 형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94B1 (ko) * 2002-07-05 2008-05-2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커패시터 형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4710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ulti-layer copper lin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6090700A (en) Metallization method for forming interconnects in an integrated circuit
US7119006B2 (en) Via formation for damascene metal conductors in an integrated circuit
US6849536B2 (en) Inter-metal dielectric pattern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2003508896A (ja) 少なくとも1つのメタライゼーション面を有する集積回路の製造方法
KR100419021B1 (ko) 반도체소자의 구리 배선 제조방법
CN111211095B (zh) 导电互连线的制造方法
KR20000044892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399909B1 (ko)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KR100703559B1 (ko) 듀얼다마신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8875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용 갭필 형성 방법
US7112537B2 (en) Method of fabricating interconnection stru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KR20000042001A (ko)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층 형성방법
US6340638B1 (en) Method for forming a passivation layer on copper conductive elements
KR100578223B1 (ko) 반도체소자의 듀얼대머신 형성방법
KR100497776B1 (ko) 반도체 소자의 다층배선 구조 제조방법
KR100349346B1 (ko) 반도체장치의 배선패턴 형성방법
KR100259168B1 (ko) 반도체 디바이스의 금속배선 구조 및 그의 형성방법
KR20040029868A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040077307A (ko)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방법
KR10024471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27539B1 (ko) 반도체소자의다중금속층형성방법
KR100365937B1 (ko) 구리금속배선형성방법
KR20010048964A (ko) 다마슨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층 형성방법
KR20010064543A (ko) 반도체소자의 다층배선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